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현황 및 전공 신설에 대한 기초 연구

        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is established with seven study courses such as kindergarten, elementary,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and visual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 retraded, and physical disability before 10 years. However the recent school environment is changed rapidly. One of the phenomena is full inclusion education. Because of the full inclusion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nt to study at regula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atus and establishment of study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irty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5-Likert scale and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xamples. Twenty eight questions among thirty question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twenty eight questions was .91.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regular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ve cities and provinces. Four hundred and fift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umber of the candidates to study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has been decreased until now from 10 years; (b) the teachers want to open the study course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o open the study courses after calculation the break-even point with decreasing numbers of the candidates who are working for regular schools to study special education.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 특수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을 실시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전문성과 일반교사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정원 조정 등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특수교육대학원을 지원한 인원과 입학생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 교사들의 인원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에 근무하는 일반학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인식 관련 변인 간 관계, 특수교육 전공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구대학교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 교사들의 변인은 교직경력이 적은 여교사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할 경우에 선택할 전공은 초등특수교육,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정신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 개설할 전공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 등을 또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당사자의 특수교육 관련 법률 제ㆍ개정 참여에 대한 의미 연구

        유재연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4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starts from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in 1997. The time when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was established, only minor professions were interested in special education while people’s perception and knowledge were below the standard. Experts established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by persuading government in 1977. However, the law which were only influenced by minor specialists, showed passive attitude toward government’s role. Since then, the efforts to build a law were strengthened, as awareness of the people involved in special education. Therefore, the special education laws developed gradually to reinforce the government role, free education, and compulsory education. Although there were some conflicts between government and disabled people, it brought us to have the law containing much of higher contents. In conclusion, cooperation is needed to establish a law that can be trusted, in order to bring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for government and also, for disabled people.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본격적인 발달은 1977년에 제정된 「특수교육진흥법」의 제정에서 비롯된다. 「특수교육진흥법」은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이 없던 시기에 특수교육에 적극적이었던 소수의 전문가들과 정부의 노력에 의한 정부 주도형 법률이다. 이후 군사정부에서 문민정부로 정권이 바뀌면서 시민의식의 성숙과 함께 1994년에는 특수교육 당사자가 법률 과정에 참여하여 「특수교육진흥법」의 전면 개정을 이루게 된다. 이후 장애 당사자 권리의 신장에 힘입어 2007년에는 「특수교육진흥법」이 폐지되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새롭게 제정된다. 이 과정에서 특수교육 전문가와 장애 당사자 간에 관련 법률 제정의 주도권 다툼에 따른 갈등이 표출되기도 하였지만, 이는 특수교육 발전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장애당사자의 입법 활동은 특수교육 의무교육과 무상교육의 확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임무 강화, 그리고 보호자의 의무규정 신설 등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를 만들어 냈다. 하지만 특수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법률 내용을 실천해야 하는 구성원들의 신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특수교육 발전을 위하여 관련 법률의 제ㆍ개정에 참여한 조직과 구성원 모두는 신뢰형성을 위하여 함께 노력할 의무가 있다. 또한 법률 제ㆍ개정의 주도권 다툼이 긍정적인 특수교육 발전의 동인(動因)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문적으로 특수교육 관련 법률을 연구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공동 협의체를 통하여 정보를 공유할 필요성이 있다.

      •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대한 구조 연구

        김은정 ( Kim Eun-j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

        개별화교육계획은 장애학생의 개개인의 교육적 욕구를 지원하기 위한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이다. 이 연구는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고 초임특수교사 때 경험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대한 인식이 경력특수교사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수교육 경력 5년 미만의 초임특수교사 560명과 특수교육 경력 5년 이상에서 10년 미만의 경력특수교사 439명을 대상으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해당하는 13개 문항을 설문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차별성이 없었다. 둘째, 초임특수교사 때 형성한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경력특수교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가 아니었다. 이 연구에서는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에 대한 인식이 경력특수교사에게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구조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The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IEP) is a student centered curriculum to support educational need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were the perception differences to IEP flame which means to make the IEP between novice and expert special teachers and how to transfer the knowledge of novice experiences to make the IEP flame to expert teachers. The 560 novice special teachers who had less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s and 439 expert special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with 13 item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novice and expert special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IEP flame; and (b) the expert teachers’ structure to IEP flame was not related with those of the knowledge during the novice special teacher experiences. This study also discussed why the expert special teachers’ IEP flame structure was not related with those of the novice special teachers.

      • KCI등재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실태 및 통합교사의 인식

        황순영,박지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4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실태와 이에 대한 통합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 내의 5개 지역교육지원청 중 특수교사와 특수교육실무원이 배치된 일반 중학교의 국어, 수학, 미술,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장애학생의 원활한 통합교육을 위하여 통합교사들은 특수교육실무원제도를 인식하고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은 실기교과나 공개수업과 같은 특정시간에 한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통합교사들은 수업지원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사들의 인식은 장애학생들의 학교생활과 통합학급 수업에서 특수교육실무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통합교사들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관리하기 위함이고, 특수교육실무원과의 갈등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통합학급에서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통합교사들에게 만족도를 질문한 결과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학습능력, 장애학생의 교우관계, 일상생활기술 능력, 문 제행동 관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and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it. For data treatment, the investigator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with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113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math, art, and physic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 providing inclusive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limited its lesson supports to certain lessons such as practice and open lesson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Second, the examination results of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reveal that they felt a need for lesson supports to manage the problematic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satisfaction level with lesson supports among th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who had an experience of receiving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As a result, its lesson supports generated effects in a range of areas including the learning abilities of common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mation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s, improvement of everyday life skills, and management of problematic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최근 10년간의 중등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고찰

        강종구,김영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2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전공과 포함)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환경별 진로직업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동안 ‘특수교육통계’에 나타난 중등특수교육의 진로교육 여건 및 취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은 중학교에서 전공과까지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많이 특수학교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경력 특수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일반학교보다는 특수학교에 더 많이 배치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은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취업에서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전공과와 같은 추가적인 지원만으로는 이러한 어려움을 대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방법들로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특수학교는 진로직업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학교는 보다 많은 경력 특수교사의 배치를 포함하여 진로직업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위기학생의 특수교육 의뢰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장미순 ( Jang Mee-soon ),김진호 ( Kim Jin-h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위기학생의 특수교육 의뢰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특수교육 의뢰가 고려되는 위기학생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초등학교 일반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사의 특수교육 의뢰 희망 여부에 따라서 위기학생을 특수교육 의뢰 희망 집단 72명과 특수교육 의뢰 비 희망 집단 55명을 구분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교사가 위기학생을 특수교육에 의뢰하는 목적은 학생에 필요한 전문적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였으며, 학생의 문제가 특수교육이 필요하지는 않다고 판단되면 의뢰를 원하지는 않았다. 둘째, 위기학생의 정서·행동 문제 발생 정도와 교사 및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특수교육 의뢰 희망 집단과 비 희망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업 태도에 있어서도 위기학생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특수교육 의뢰를 희망하는 위기학생 집단의 학업 성취 기능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따라서 일반교사가 특수교육을 의뢰하는 주요한 기준이 학업 성취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반교육 환경에서 위기학생 지도와 특수교육 의뢰 결정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special education referral criteria and characteristics of at-risk students considered special education referral. Total 127 teachers were participated to measure the teachers` referral persp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at-risk students. At-risk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eacher`s referral intention for special education: referral or not referra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ferred at-risk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giving the specialized education to at-risk students. If students` risks were not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decide to refer at-risk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group difference i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school social relationships. Third, academic achievements at-risk students who teacher wanted to refer for special education were lower.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bout educating at-risk students in regular classroom and referral for special educ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우리나라 통합교육의 법적 모순과 한계에 따른 개정 방향

        김현경,박찬웅,신주원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in Korea's special education laws as they relate to inclusive education, and to propose amendments and future task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terms relating to inclusive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each provision were analyzed relative to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and the subsequent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in addition, it was reviewed whether various legal support for integrated education was suitable and appropriate for the field. [Results] Special education-related laws continued to show conceptual contradictions in the definition of special classes and inclusive education, and they reveal limitations in the practical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inclusive education. [Conclusion] To provide a consistent perspective on inclusive education, the definitions of special classes and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be revised, and the definition of integrated classes and integr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additionally established. In addition, to provide the necessary support, the qualifications of a teacher in charge of an inclusive class should be specified in the law. And qualification system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for teachers responsible for inclusive classes. In addition, the standards for the placement and placement of special teacher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signed to gener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should also be legally prepar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수교육 관련 법에 나타난 통합교육의 모순과 한계를 밝히고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육 관련 법의 수정방안과 향후과제를 제안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특수교육진흥법과 그 뒤를 이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을 대상으로 통합교육 관련 용어의 정의 및 각 조항의 의미 분석하였고 통합교육을 위한 각종 법적 지원이 현장에 적합하고 타당한지를 검토하였다. [결과] 특수교육 관련 법은 특수학급과 통합교육의 정의에서 개념적 모순을 지속적으로 나타내고 있었으며, 통합교육 운영을 위한 실제적인 지원에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결론] 통합교육에 대한 일관된 관점을 위해 특수학급과 특수교육기관의 정의는 수정이 필요하였으며, 통합학급과 통합교육 기관의 정의는 신설이 요구되었다. 또한 지원방법으로 통합학급 담당 교사의 명시 및 자격제도와 보상제도 도입, 일반학교의 일반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사의 배치 및 배치 기준도 마련될 것이 요구되었다.

      • KCI등재

        특수교육공학 연구동향 분석 : 2005~2014년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우정한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특수교육공학은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을 촉진하고 수행을 유지, 개선하기 위해 제공되는 공학기기, 교수전략 그리고 관련 서비스에 대한 이론과 실제로, 전반적인 공학의 발전을 수용·활용해 나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선행연구와의 연속선상에서 특수교육공학의 연구동향을 비교하기 위해 지난 10년간(2005~2014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게재된 특수교육공학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공학, 보조공학, 재활공학 등의 검색어를 사용하여 8개 학술지에 게재된 총 274편의 특수교육공학 관련 논문을 수집 후, 연구 형태, 장애영역, 대상 연령, 종속변인, 주제어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도별 특수교육공학 관련 논문 편수가 선행연구에 이어 전체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에 비해 연구 형태 및 종속변인, 대상 연령층이 폭 넓게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로봇과 SNS를 주제로 한 연구가 등장한 것도 새로운 변화 중 하나였다. 이를 통해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수성을 보완하고 대체하기 위한 특수교육공학의 다양한 연구도 필요하지만 특수교육 장면에서 새롭게 채택, 활용되고 있는 공학기기가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수한 교육적 목표를 성취하는 데 얼마나 기능적으로 작용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 역시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Th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is an important means to complement·replace the distinctiveness of the students who have special education needs. Due to the universality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there is no choice but to accept the overall technology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on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research, published in scholar articles of special education from 2005 to 2014. Key words are used to collect of research ar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assistive technology, rehabilitation technology. A total of 274 papers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research. Through this process, for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research status by year, research form, disability area, ag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key word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nual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papers appeared to be rising overall trend followed in previous studies. Second, research form, dependent variables and study the target age group were studied widely then preceding research. And new studies for robots and the SNS had founded. From the results, various studies of th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to facilitate learning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need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but new technology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ther it would be able to achieve special learning objectives of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경제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 요구

        문경아 ( Moon Kyung-ah ),권미영 ( Kwon Mi-yo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게 필요한 경제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조사연구로 K도와 D시에 재직 중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가르치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25문항의 설문지를 통하여 나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경제교육에 대해 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경제교육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으며,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경제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 경제교육을 실시할 전문 인력의 부족과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부재, 행정적 지원이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또한 경제교육을 실시할 경우 참여 의사가 높게 나타났고, 경제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지역사회와 연계된 상호보완적인 방안의 구성과 전문 지도자의 프로그램 개설방안을 모색하도록 요구하였다. 둘째,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경제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특성과 요구수준에 맞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요구하였다. 교사들은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의 문제점에 대해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맞는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새로운 경제활동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구성방안에 대해 창의융합프로그램의 개발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일반교육환경에 있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게 보다 쉽게 이해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경제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이러한 요구수준을 반영한 다양한 연구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K and D city as a basic investigation research to suggest various needs for the economic education through the survey on the needs for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150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teaching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consisting of 25 question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quest investigation for the economics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showed that economic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was needed. The reason why the economics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is not well done is the lack of specialists in economics education, the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absence of economic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 training of economic education is needed at a very high level, and the need for constructing a complementary plan linked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the establishment of programs for professional leaders. Second, the demands of teachers for economic education program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shows that experience of economics related education and programs was very poor, based on these needs,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rograms related to the economy was high. In addition, a new program of economic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is neede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need of supports for economic education which the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the general education environment can understand easily and train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proposed a variety of studies that reflected this level of demand levels.

      • KCI등재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 일반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권현수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econdary inclusiv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inclusion, inclusive classroom, and teachers’ role for inclusion. 201 inclusive secondary school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method and asked to participate the survey, and teachers of 128 schools responded. The results report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about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charged of inclusion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should be a main place for inclus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take a responsibility about inclusion. Al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the obstacle for inclusion wh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vealed that it was the lack of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of teachers. In additio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classroom would be the most helpful support for inclusion.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role for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perceptions.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e most important role for themselves was supporting inclu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swered that supporting social develop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the most important rol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conclusion, it was propos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work collaboratively and understand each oth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on in secondary schools. 본 연구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려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전국의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층화표집 한 128개교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서로 다른 인식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통합교육에 대해 특수교사는 일반학급 주도로 일반교사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특수학급에서 특수교사에 의해 주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특수교사는 개별화교육 지원을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통합학급의 학급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통합학급 운영의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일반교사는 장애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도기술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일반교사는 통합학급 수업을 위해 학생 수 축소를 가장 필요한 지원이라고 답했고 교수적 수정에 대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유사한 인식을 보였으나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 지원과 전환교육을 중요하게 꼽은 반면 일반교사는 장애학생의 사회성 발달 지도와 구성원 대상의 장애인식 교육을 가장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등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서로에 대해 이해하고 협력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통합교육과 장애학생 교육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함께 노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연수기회를 제공하고 통합교육을 촉진하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함을 강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