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상의 또래 활용 중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장미순 ( Mee Soon Jang ),김은경 ( Eun Kyung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3

        이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의 중재에 또래를 활용한 연구의 동향과 중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2000년 이후 국내 학술지에 출판된 23편의 실험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상황에 관련된 역할극이나 집단적 놀이와 게임이 중재 전략일 때 또래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래 활용 중재의 종속변인은 주로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행동이었다. 중재에 참여한 또래들은 대상 학생을 평소에 알고 있는 같은 연령의 학급 동료로 비장애인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사회성이 좋고 지시에 순종하고 모방 능력과 집중력이 있는 또래가 선정되었다. 또래 훈련은 주로 중재 시작 전에 이루어지며, 하위 기술을 설명하고 시범보이고 연습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중재는 1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을 중심으로 2~5명의 또래가 소집단을 이루어서 지원을 하는 형태가 가장 일반적이었다. 또래의 중재 행동에 있어서는 모델링하기, 협동하기, 공유하기 등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나 중재 행동을 점검하여 피드백과 강화를 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폐스펙트럼장애아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 또래 활용 방법이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experimental studies on peer-mediate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is, researchers analysed the related 23 article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domestic scientific journals since 2000 yea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an independent variables, the social role play and the group activity play were used the most. The most common dependent variable was some form social interaction. The participating peers were mainly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 were autistic subject`s classmates. And peer choice standards were composed of sociability, obedience, ability of imitation and power of concentration. The peer disciplines were practiced at a high rate in case of participating children at preschool. When peers were trained, practice after modeling and instructions on sub-skills were the most used teaching methods. The most common type in the intervention practice was that 2∼5 peers as a group members supported one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most common intervention components implemented by peers involved modeling, cooperating and sharing. Providing corrective feedback or reinforcer after monitoring the peer implementations occurred in very few studi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the research on peer-mediated intervention and education for autistic children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교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장미순 ( Mee Soon Jang ),김진호 ( Jin Ho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탐구하여 학교현장을 이해하고 교육적 지원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학생 문제행동과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대표적인 19개의 문제행동 하위항목을 선정하고, 중학교 교사 103명을 대상으로 문제행동에 대한 심각성, 스트레스, 대처 능력, 개선 가능성, 교사 책임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또래 관계 문제행동에 대한 심각성 인식 순위가 높았으며, 수업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책임 인식 순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 능력에서 높은 순위의 행동들은 개선 가능성에 있어서도 높게 나왔다. 둘째, 여자 교사는 남자 교사에 비해 문제행동에 대한 스트레스를 더 느끼고 있으며, 경력이 낮은 교사가 문제행동에 대해 더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심각성 인식과 스트레스 인식과의 상관관계 그리고 대처 능력 인식과 개선가능성 인식과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책임 인식과 심각성인식 그리고 교사 책임 인식과 스트레스 간에는 낮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지도, 수업 태만을 방지하기 위한 수업 기술 향상, 부정적 인식 정도가 높은 행동들을 중심으로 행동지도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middle school teachers about students` problem behaviors. After conduct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19 categories of problem behaviors were created. 103 middle school teachers were asked to rate their perceptions of seriousness, stress, coping capability, improvement expectation, and teacher responsibility about the 19 problem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s following: First, teachers considered peer-related problem behaviors to be the most serious and felt the most responsibility about problem behaviors of class hours. There were similarities between perceptions of improvement expectation and teacher responsibility regarding higher raking behavior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tings were noted according to gender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Male teachers perceived problem behaviors less stressful than female teachers. Long experienced teachers perceived less serious than short experienced teachers. Third, there were high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eriousness and stress along with between coping capability and improvement expec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in developing behavior management programs in school settings.

      • KCI등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사회성 지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장미순 ( Jang Mee Soon ),김진호 ( Kim Jin 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사회성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사회성 지도를 위한 교육적 함의를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3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사회성 개념은 다차원적인 사회성으로 보기보다는 학교나 사회의 체제에 순응하는 수동적인 사회성 개념이었으며, 생활과 실천 중심적인 사회성 지도를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시기에 지도해야 할 사회성의 중요 영역은 공동생활 규칙, 갈등 해결, 감정조절로 제시되었다. 구체적인 지도 전략은 반성적 대화, 학급 규칙, 또래 활용, 민주적 토론 등의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구조와 가치관 및 생활양식의 변화는 사회성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학부모와의 관계 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교사의 사기저하, 역할 갈등 등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은 사회성 지도를 위해서는 교권을 보호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부모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 지원이 이루어지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학생의 효과적인 사회성 지도를 위한 개선 방안과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meaningful data on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ear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and the actualities of teaching sociality. The 11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ree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referred the accommodative sociality factor and instructed sociality focusing on practice in daily routine. Second, on account of the practice strategies, admonition, class rules, peer modeling and discussion were used based on age development of students. Third, difficulties in teaching sociality were stress, chilling effect and role conflict which were caused by a changing social situation in families and communities. Forth, for the sake of effective teaching sociality, teachers demanded that social atmospheres should be established where educational authority is recovered and parent competency is reinforc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on the reality of teaching sociality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학교 학생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장미순 ( Mee Soon Jang ),김진호 ( Jin Ho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탐구하여 학생들의문제행동과 그에 대한 교사의 내적 반응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19개의 문제행동 유형을 도출하였고, 각 문제행동에 대하여 교사가 인식하는 심각성, 스트레스, 대처 능력, 개선 가능성, 교사 책임 정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학생 관계상의 문제행동은 심각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고, 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는 행동에 대해서 개선의 가능성에 대한인식은 순위가 높았다. 심각성이 가장 높게 인식되는 행동들은 또래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행동이었으며, 또래에 대한 공격 행동에 대해서는 스트레스 순위도 높았다. 수업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행동들에 대해서 교사들은 책임 의식을 가장 높게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 규칙 위반 행동에 대해서 교사들은 대처 능력이 높으며 개선이 잘 이루어지는 문제행동으로 인식하였다. 교사의 성별과 경력에 따른 인식 차이에서는 남자교사는 여자교사에 비해 문제행동에 대한 개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이 적은 교사는 경력이 많은 교사에 비해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책임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급 내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된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erception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students’ problem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consisted of 19 problem behavior types based upon advanced researches. 106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o express their perceptional degrees of seriousness, stress, teacher coping capability, improvement possibility, and teacher responsibility about 19 problem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ing: Teacher-student relation problem behaviors were considered to be lightly serious. If teacher-student relation problem behaviors were not aggressive, teachers were stressed slightly and expected positively the behavior to be improved. Teachers considered peer relation problem behaviors to be the most serious and were under the most of stress if peer attack occurred. Teachers felt the most responsibility for class hour problem behaviors and were good at copying with students’ negligence of task in class. Teachers reported that ‘class rule violation behaviors’ could be copied with and improved best.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difference analysis, man perceived problem behaviors less serious and stressful than woman. Contrastively, man’s coping capability, improvement possibility, and teacher responsibility perception degrees were higher than woman’s. Teachers’ responsibility perception varied depended on the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with long teaching experience perceived teacher responsibility about problem behaviors as less. Based on these results, guidelines and implications for instructing students’ problem behavior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학교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에 대한 문제행동 중재 절차의 개발

        장미순 ( Mee Soon Jang ),김은경 ( Eun Kyung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1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통합교사가 참고하여 실행할 수 있는 문제행동중재 절차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의 과정은 첫째, 그 동안 장애아동의 행동 지도에 효과를 보여왔던 행동분석적 중재와 관련된 문헌을 분석하여 문제행동중재 절차 초안을 구성하였다. 둘째, 문제행동중재 절차 초안의 내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행동중재 임상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초등교사 300명의 인식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문제행동중재 절차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로 완성된 행동중재 절차는 문제행동 정의, 행동자료 수집, 기능평가, 중재방법 선택, 중재실행, 일반화, 평가의 7가지 단계로 진행되며 각 단계를 구성하는 세부 수행 절차는 총31가지로 이루어진다. 이 연구가 제안하는 행동중재 절차의 특성과 통합교육 현장 적용에 있어서 시사되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behavior intervention procedures program for disabled students which can be implemented by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major research process followed as this : Literatures about behavior analysis and intervention were reviewed to investigate behavior intervention procedures components, After the first draft of behavior intervention procedur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was produced, content validity of the first draft was verified by behavior intervention experts. Then, survey was conducted to 300 general element school teachers to assess the field conformity. The final deduction of behavior intervention procedures was consisted of seven phases and thirty-one sub-procedures. Seven phases were problem behavior definition, collecting data, functional assessment, selecting intervention strategies, carrying out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evaluatio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좋은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장미순 ( Mee Soon Jang ),유현미 ( Hyun Mee Yu ),신현기 ( Hyun Ki Shi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좋은 수업의 의미 그리고 좋은 수업 수행의 조건과 방해 요인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하여 특수교육의 수업 전문성과 관련한 연구와 실천에 기초 정보를 제공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특수학교 교사 11명과 특수학교 9명을 5개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은 학생의 참여로 활기가 도는 수업, 현실 생활과 관련되는 경험중심의 수업, 학생에게 적합한 목표가 달성하는 수업, 교사의 역량이 발휘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인식하였다. 좋은 수업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학생 능력의 편차, 교사의 열정 소진, 과중한 교사 역할, 평가 기회 및 정보의 부족, 교육과정 구성과 적용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들은 좋은 수업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자발적인 수업컨설팅의 활성화, 학생에 대한 이해와 관심, 교사 자신의 지적 호기심과 수업에 대한 열정. 교사 간 정보의 교류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 현장에서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 고려할 사항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information on research and practice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pecial education by exploring special education teacheers` awareness of the meaning of good teaching and the conditions and constraints of implementing good teaching.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for five groups which consist of elev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nine special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 good teaching takes place when students participate actively, the teaching content is based on experiences form real life, goals appropriate for students are achieved, and teachers can cemonstrate their competence. The constraints of good teaching are students`s low levels, teachers` insincere attitudes, teachers` heavy responsibilities, insufficient assessment opportunities and information, and difficulties in curriculum-making and its appli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lso argued that it is essential to activate teaching monitoring system, to understand students better, to have intellectual curiosity and passion towards teaching, and to exchange information and cooperate with other thachers. With the basis of this result, this study discusses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in special education sites.

      • KCI등재

        자기관리 훈련이 아스퍼거 증후군 학생의 식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미순 ( Mee Soon Jang ),김은경 ( Eun Kyung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3

        이 연구는 아스퍼거 증후군 학생에게 자기관리를 훈련시켜서 통합학급의 점심시간에 보이는 부적절한 식사 행동과 편식 행동을 중재하였다. 실험설계 방법은 ABAB 반전설계이며 중재 종료 2주 후에 유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기관리 수행 방법은 우선 자기점검표를 만들고, 목표행동과 기록 방법 인식 훈련을 하고 이후 통합학급의 점심시간에 목표 행동을 실습하고 특수학급에 와서 식사 중 행동을 기록·평가하고 강화를 받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연구 결과, 아스퍼거 증후군 학생의 부적절한 식사 행동이 감소하였고 세 가지 반찬의 섭취 비율의 차이가 줄어서 편식 행동이 개선되었다. 중재 효과는 2주 후에도 유지되었으며 학부모와 통합학급 교사로부터 사회적 타당성이 높은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 환경에서 아스퍼거 증후군 학생의 식사 행동을 중재하는 것과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self-management training on eating problem behavior and food selectivity of student with Asperger syndrome. Reversal design was applied and maintenance data were collected. The subject was one elementary student with Asperger syndrome who exhibited mealtime problems in inclusive class. Before self-management training, the self-recording sheets were made and recording methods were taught to the subject with Asperger syndrome. Self-management training was consisted of focusing behavior practice in inclusive class and self-recording and reinforcing in resource 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lf-management training was effective to decrease the eating problem behaviors and to improve various food consumption behaviors.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maintained and a high degree of social validity showed in posttreatm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s. Implications of eating behavior treatment for student with Asperger syndrome in inclusive class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study issues were recommended.

      • KCI등재

        초등학교 위기학생의 특수교육 의뢰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장미순 ( Jang Mee-soon ),김진호 ( Kim Jin-h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위기학생의 특수교육 의뢰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특수교육 의뢰가 고려되는 위기학생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초등학교 일반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사의 특수교육 의뢰 희망 여부에 따라서 위기학생을 특수교육 의뢰 희망 집단 72명과 특수교육 의뢰 비 희망 집단 55명을 구분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교사가 위기학생을 특수교육에 의뢰하는 목적은 학생에 필요한 전문적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였으며, 학생의 문제가 특수교육이 필요하지는 않다고 판단되면 의뢰를 원하지는 않았다. 둘째, 위기학생의 정서·행동 문제 발생 정도와 교사 및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특수교육 의뢰 희망 집단과 비 희망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업 태도에 있어서도 위기학생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특수교육 의뢰를 희망하는 위기학생 집단의 학업 성취 기능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따라서 일반교사가 특수교육을 의뢰하는 주요한 기준이 학업 성취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반교육 환경에서 위기학생 지도와 특수교육 의뢰 결정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special education referral criteria and characteristics of at-risk students considered special education referral. Total 127 teachers were participated to measure the teachers` referral persp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at-risk students. At-risk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eacher`s referral intention for special education: referral or not referra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ferred at-risk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giving the specialized education to at-risk students. If students` risks were not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decide to refer at-risk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group difference i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school social relationships. Third, academic achievements at-risk students who teacher wanted to refer for special education were lower.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bout educating at-risk students in regular classroom and referral for special education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