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제 Ⅲ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모의 성장양상에 관한 누년적 연구

        박영철,박민성,김태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5

        악교정 수술이 꼭 필요한 골격성 제 Ⅲ급 부정교합환자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상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골격성 제 Ⅲ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수술예정이거나 수술을 시행한 7-17세의 남녀 37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정상교합을 가진 8-13세의 남녀 56명을 정상군으로 하여, 두 군을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repubertal Group내에서의 실험군과 정상군의 비교에서 ANS-U1/Me-L1, Mx. Length/Mn. Length, S-N/Go-Me, Wits, ANB, SN-Pog, IMPA, Facial Convexity, APDI 항목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2. Pubertal Group 내에서의 실험군과 정상군의 비교에서 ANS-U1/Me-L1, S-Go/N-Me, Mx. Length/Mn. Length, S-N/Go-Me, Wits, Saddle Angle, SNB, ANB, SN-Pog, IMPA, Interincisal Angle, Facial Convexity, APDI 항목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3. 골격성 제 Ⅲ급 부정교합의 특성을 나타내는 항목들 중 Prepubertal Group과 Pubertal Group간에는 95% 유의수준에서 Mx. Length/Mn. Length, APDI 외에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실험군에서 골격성 제 Ⅲ급 부정교합의 특성을 나타내는 항목들 중 Saddle Angle과 SNB, SN-Pog와 SNM, ANB와 Facial Convexity 항목 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lateral cephalogram of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patients to whom orthognathic surgery was essential. For this study 37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Ⅲ and going to treat or be treated orthognathic surgey(age7-17) were selected to experimental group and 56 people with normal occlusion (age8-13) were selected to normal group and the two groups were evalua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of experimental group and normal group in prepuber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S-U1/Me-L1, Mx. Length/Mn. Length, S-N/Go-Me, Wits, ANB, SN-Pog, IMPA, Facial Convexity, APDI(p<0.05) 2. In comparison of experimental group and normal group in puber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S-U1/Me-L1, S-Go/N-Me, Mx. Length/Mn. Length, S-N/Go-Me, Wits, Saddle Angle, SNB, ANB, SN-Pog, IMPA, Interincisal Angle, Facial Convexity, APDI (P<0.05) 3. Among items showing characteristics of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pubertal group and pubertal group in other items except Mx. Length/MN. Length, APDI (P<0.05) 4. The significant correlationship was the highest between Saddle Angle and SNB, SN-Pog and SNB, ANB and Facial Convexity in experimental group

      • SCOPUSSCIEKCI등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 있어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과 체위에 따른 상기도 구조와 근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EMG 및 두부방사선학적 연구

        박영철,배응권,이정권,이종석,김태관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4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이하 OSA로 표시)은 수면 도중 계속 반복 되어 일어나는 상기도 폐쇄로 인하여 무호흡증을 나타내는 장애(disorder)이다. 근래의 연구에 의하면 상기도 구조의 해부학적 요인뿐 아니라 생리적 요인도 무호흡 발생에 기여한다고 하였으며 또한 이설근이 상기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OSA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술식이 시행되었으며 하악 재위치 장치를 통한 치료 역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러나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에 따른 구조적 생리적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저자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OSA 환자 26명(남 17명, 여 9명)과 일반 정상 성인 20명(남 10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앙와위에서 장치 장착 전후의 두부방사선사진을 채득하여 장치에 따른 상기도의 구조 변화를 연구하고 두군 사이의 장치 장착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OSA 환자 14명(남자 10명 여 4명)을 대상으로 체위 변화와 장치장착에 따른 이설근 근전도 변화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기도 구조에 대한 두부계측학적 측정치 중 연구개의 길이, 연구개 최대 두께와 SPAS, MAS, VAL, H-H1. MP-H에서 정상군과 OSA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으며, IAS와 EAS는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2. 정상군과 OSA군 모두에서 장치 장착에 따라 후두개가 전방 이동하면서 후두개 수준(epiglottis level)의 기도 폭경은 증가하였고 연구개의 최대 두께가 변하였으며 설골은 전방 이동하였으나 두 군 모두 IAS에서는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장치 장착에 따른 상기도 구조에 대한 효과는 두 군 사이에 서로 차이을 나타내었다. 3. 체위 변화에 따라 앙와위에서 이설근 근전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며, 직립위와 앙와위 모두에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설근 근전도가 증가하였다. 하악 재위치 장치는 상기도의 해부학적 구조뿐 아니라 상기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장치에 대한 반응은 정상군과 OSA군 사이에 차이를 나타내었고, 두 군은 상기도 생리에 있어서도 서로 다르다고 사료된다. Obstructive sleep apnea (OSA)is a disorder characterized by repetitive episode of upper airway collapse during sleep. Recent studies showed that not only the anatomic factors but the physiologic factors of the upper airway also have effects on the occurrence of apnea and that the genioglossus muscle also plays in important role in the maintenance of the upper airway. A variety of therapies were performed to treat OSA, and among them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s showed reasonable results.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the structural and physiological mechanism upon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s. The author selected 26(male 17, female 9) OSA patients that came to the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Department of Orthodontics, and 20 normal adults (male 10, female 10) and took cephalometric radiographs of them in a supine 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palcement of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to see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upper airway and compare the therapeutic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We also studied the waking genioglossus muscle activity in OSA patients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the electromyogram of the genioglosssus muscle upon the change in body posture and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mong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of the upper airway structure, the length of the soft palate, maximum thickness of the soft palate and SPAS, MAS, VAL, H-HI, MP-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and OSA groups, but the IAS and EA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2. In both the normal and OSA groups, as the epiglottis moved forward on wearing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the epiglottis level of the upper airway increased and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soft palate changed and the hyoid bone also moved forward, but the IAS in both groups showed various results and the effect of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on the structure of the upper airway was different in the two groups. 3. Upon changing the position, the electromyogram of the genioglossus muscle showed a increasing tendenc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when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were wor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lectromyogram of the genioglossus muscle in both the upright and supine positions.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s not only have an effect on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upper airway but also on the physiology of the upper airway. There are different responses to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between the normal and OSA groups therefore it could be considered to have the different physiology of the upper airway between the two groups.

      • SCOPUSSCIEKCI등재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bracket 부착시의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의 유형

        박영철,유형석,오영근,이승연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bracket 부착시 광조사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plasma arc licht의 임상적 유용성을 visible light 중합시의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과 비교해 봄으로써 평가해 보는데 있다. 사람의 상하악 소구치를 포매하여 만든 레진블럭시편에 광중합 접착제인 TransbondR를 사용하여 수종의 bracket을 각각의 조건에 따라 부착한 후 만능 물성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파절양상을 stere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수종의 bracket 접착시 metal bracket과 ceramic bracket의 전단결합강도는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resin bracket의 경우 다른 bracket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현저히 작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임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값을 나타내었다. 2.Visible light를 이용한 metal bracket의 광중합시 광조사시 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광조사 시 간에 따른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었다. 3.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수종의 bracket 접착시 접착제 잔류지수를 통해 접착파절양상을 관찰한 결과, metal bracket과 resin bracket의 경우 bracket기저면에 접착제가 반 이상 남아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ceramic bracket의 경우 bracket기저면에 접착제가 반 이상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았다. 4.Metal bracket의 부착시 plasma arc light를 2초간 광조사한 군과 visible light를 10초간 광조사한 군의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을 비교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광중합시 광조사 거리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bracket의 접착시 전단결합강도 저하의 우려 없이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puru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plasma arc light which can reduce the curing time dramatically compared by shear bond strengths and failure patters of the brackens bonded with visible light in direct bracket bonding. Some kinds of brackets were bonded with the TransbondR to the human premolars which were embedded in the resin blocks according to the various conditions. After bonding, the shear bond strength was tested by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in addition , the amount of residual adhesive remaining on the tooth after debonding was measured by the stereoscope and assessed with adhesive remnant index(AR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When plasma arc light was used for bonding the brackets, the shear bond strength was clinically sufficient in both metal and ceramic brackets, but resin bracke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bond strength but which was clinically useful. 2.When metal brackets were bonded using visible ligh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ear bond strength due to the light-curing time and the bond strength was clinically sufficient. 3.When the adhesive failure patterns of brackets bonded with plasma arc light were observed by using the adhesive remnant index, the bond failure of the metal and resin bracket occurred more frequently at bracket-adhesive interface but the failure of the ceramic bracket occurred more frequently at enamel-adhesive interface. 4.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hear bond strength and adhesive failure pattern between metal bracket bonded for 2 seconds by curing with plasma arc light and 10 seconds by curing with visible light. 6.When metal brackets were bonded using plasma arc light, the shear bond strength de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increased.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plasma arc light can be clinically useful for bonding the brackets without fear of the decrease of the shear bond strength.

      • SCOPUSSCIEKCI등재

        제 1 소구치 발치를 동반한 제 I 급 교정 치료 환자의 치료후 악궁의 형태에 관한 연구

        박영철,김형돈 대한치과교정학회 199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4 No.4

        This study was designed to get the knowledges of the ideal arch form of the class I malocclusion patients of Koreans with first premolar extract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98 individuals with class I malocclusion with first premolar extr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uthor found the ideal arch shape of the class I malocclusion patients with first premolar extraction. 2. Equations of ideal arch form of the class I malocclusion patients with first premolar extraction were obtained from SPSS.

      • SCOPUSSCIEKCI등재

        한국인 6-17세 아동의 성장과 발육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 제 2 세부과제 : 두개 및 안면 연조직의 성장변화 Part Ⅱ : Growth Change of Craniofacial Soft Tissue

        박영철,이기준,이장열,한희경 대한치과교정학회 199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6 No.4

        현대의 교정치료에 있어 치열궁의 문제뿐 아니라 안모에 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특히 안모형태를 결정하는 연조직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과거의 교정학 발달을 살펴볼 때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통한 경조직성장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으나 연조직 성장변화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에서의 이러한 연구는 연구대상자 수와 분석방법, 계측방법에 있어서 상당한 다양성을 보이고, 성장변화에 대한 연구는 태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남, 녀 6세에서 17세 사이의 악안면 성장과 발육에 관한 조 종단적 연구의 일부로 시행되었으며 3년간에 걸쳐 전신질환이 없고 발육상태가 양호하며 정상교합을 갖는 6-17세의 남자 409명과 여자 43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아동의 성장에 따른 안면부 연조직의 변화양상을 연구하기 위해 두개안면계측사진을 촬영하여 안모의 형태, 입술의 위치 및 형태, 코의 형태 그리고 입술의 두께 등을 계측한 후 연령별, 성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도표로 표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론 1. 일반적으로 안모의 형태(facial form)는 여자에서보다 남자에서 더 장기간 성장이 지속되었으며 안면의 상부에 비하여 안면 하부구조의 길이가 더욱 큰 증가율을 보였다. 2. 상순과 하순의 두께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으나, 서양아동에 비하여 돌출된 입술의 양상을 보였다. 3. 코의 수평방향으로의 길이는 연령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4. 하안면부의 수평적인 두께는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상순의 비저부위의 두께[A-Sn(FH)]의 성장이 다른 부위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Along with traditional goal of 'straightening teeth', today`s orthodontics put more and more emphasis on facial esthetics. Naturally, the importance of soft tissue, which dictates one`s facial form, is noticed. There have been many cephalometric studies on growth of hard tissue; however, only a few on that of soft tissue. In Korea, various methods of sampling, measuring and analysing were used to study soft tissue changes, and yet, soft tissue changes along with process of normal growth have not been studied. The author carried out this study as a part of semi-longitudinal study on craniofacial growth and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from ages of six to seventeen. 409 boys and 436 girls who`d had no systemic disease for the last three years and shown normal developmental and occlusal status were chosen as subjects. Cephalometric X-rays were taken of each subject, and facial form, lip position & form, nose form, and lip thickness were measured.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nd figures and tables were drawn according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respect to facial form, boys showed growth for longer period compared to girls. Also, lower face showed higher growth rate than upper face. 2. There was not much change in thickness of upper and lower lips with age; however, they appeared more prominent compared to caucasian children. 3. Nose grew horizontally with age. 4. Horizontal thickness of lower face increased with age, and upper lip thickness at nose base[A-Sn(FH)] showed more growth than anywhere else.

      • KCI등재

        정중구개봉합부의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연구

        박영철,이종석,김두형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1

        교정용 임플란트 사용에 있어서 정중구개봉합부위의 골조직의 높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부학적 자료가 없어서 임상에 적용시 이론적 근거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산화단층촬영과 재구성 프로그램인 V works 4.0 (Cybermed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해부학적 근거를 얻고자 하였다. 성인 남자 14명. 성인 여자 14명의 보철용 임플란트를 위한 CT 자료를 통해 정중 시상면에서 상악골의 길이를 계측하고 정중구개봉합 부위에서 골조직 두께를 측정하며 교정용 임플란트를 안전하게 식립할 수 있는 구체적 부위를 설정하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NS에서 PNS까지의 상악골의 길이를 계측한 결과 남자에서는 평균 51.08 mm, 여자에서는 평균 47.34 mm 였다. 남녀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정중구개봉합부위의 골조직 두께를 측정한 결과 남자의 ANS-PNS길이의 중점에서 구개평면을 따라 PNS쪽으로 15 mm지점을 제외하고는 남녀 모두에서 6 mm이상의 골조직이 존재하였다. 정중구개봉합부위에 교정용 임플란트를 적용할 때 안정적인 식립부위는 구개평면을 따라서 ANS로부터 남자는 19.43 mm 후방부위. 여자는 17.62mm 후방부위에 해당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정중구개봉합부위의 안정적인 식립부위에서는 교정용 임플란트 식립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바탕으로 정중구개봉합부위의 교정용 임플란트를 활용하여 교정치료 영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lack of data for the amount of vertical bone in the midpalatal region for miniscrew impla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structure of the midpalatal suture area using CT image and V-works 4.0 program (Cybermed Inc, Seoul, Korea). CT images of 14 male and 14 female adults were reconstructed. In detail, it was 1) to measure the length of maxilla on the midsagittal plane 2) to measure vertical bone height in the midpalatal area 3) to establish the zone of safety for miniscrew implant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mean length of ANS-PNS was 51.08 mm in males and 47.34 mm in fema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p < 0.05). The vertical bone height of the midpalatal suture area was above 6mm except for 15 mm posterior from the central point of ANS-PNS in males. The zone of safety was located 19.43 mm posterior from the ANS in males while it was 17.62 mm in females along the palatal plane.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safety zone of the midpalatal area is suitable for screw implantation. Midpalatal miniscrew implantation is a powerful tool in modern orthodontics. Through many applications, it can expand the modern orthodontic field.

      • SCOPUSSCIEKCI등재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후 측모 변화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박영철,신자영,유형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1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은 성장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형태로서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그 심각성이 더해가는 데에 문제점이 있다.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원인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악의 과성장으로 인한 경우, 상악의 열성장으로 인한 경우, 그리고 이 두가지가 복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그것이다. 상악의 열성장을 동반한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성장의 조기에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장치의 효과 및 측모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외 많은 선학들의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치료 후 측모 변화 및 치료 효과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저자는 상악골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 중 재진단(follow-up)이 가능한 50명(남:18명, 여:32명)의 환자를 선별하여 성별, 치료개시 나이별, 구강내 장치 종류별로 분류한 뒤, 치료후 나타나는 측모 변화 및 치료의 안정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한국인 정상교합아동 20명(남:10명, 여:10명)과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사이에서 성장량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전과 사용후를 비교한 결과 악안면 골조직과 연조직 및 치아의 계측항목에서 많은 변화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와 상악골 급속 확장장치(R.P.E.)를 함께 사용한 군에서는 악안면 골조직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으며 순설측 유지장치(La-Li)를 함께 사용 한 군에서는 치아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3.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착용기간동안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이 치료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4.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제거후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성장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에 있어서 치료군의 성장량이 정상군의 성장량보다 적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상악골 전방견인장치를 사용하는 중에는 상악골의 전방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전방견인이 끝난 후에는 상악골 성장의 자극효과가 소멸되어 상악골 열성장의 양상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s are growth-related discrepancies, and the problems are more severe until growth is complete. Cause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re classified into mandibular overgrowth, maxillary deficiency, and combination of the two. Face mask has been recommended for treat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 with maxillary deficiency in the early time of growth. Numerous experiments were performed and clinical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face mask; nevertheless, studies on profile changes and stability after treatment of face mask are considered to be somewhat insufficient. The author selected 50 patients who can be checked for follow-up. They had been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maxillary deficiency and then treated with face mask; the sample group was divided according to sex, treatment beginning age, palatal suture opening(intraoral appliance). For each group, changing pattern of facial profile and stability of treatment observed, and comparison with 20 Korean normal children(Angle`s Class I).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keletal, dental, and soft tissue measurements indicated more changes in the amounts of maxillary forward movement during face mask treatment. 2. R.P.E.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maxillofacial changes and La-Li group showed more dental changes. 3. Growth changes of maxilla induced in the treatment group during wearing face mask were much more than those of normal group. 4. Growth changes of maxilla in the treatment group after treatment of face mask were less than those of normal group. From the obtained data,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was a stimulative effect on forward growth of maxilla during the use of face mask; however, on removal of face mask, the stimulative effect was eliminated and undergrowth tendency of maxilla resumed.

      • SCOPUSSCIEKCI등재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과 컴퓨터 영상사진(Dolphin Imaging System)의 계측치에 관한 비교

        박해준,박영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measurements between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digigraphs of Dolphin Imaging System. 26 Korean adult male and 24 adult female with normal occlusion were selected. For each subject lateral cephalogram was taken. Digitizing with Digigraph Work Station of Dolphin Imaging System. was performed as well. 50 tracings and 50 digigraphs were analyzed with Yonsei, Ricketts, Burstone analyses. The comparable measurements between tracing group and digigraph group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13 of 64 comparable measurement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racing group and digigraph group. 2. Three of the measurements with FH plane as a reference plane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 All measurements with SN plane as a reference plan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3. The measurements which showh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mostly short distance linear measurements while most of the angular measurem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 SCOPUSSCIEKCI등재

        Laser 반사측정법을 이용한 상악전치부의 후방견인시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에 관한 실험적연구

        우재영,박영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3 No.3

        The delivery of optimal orthodontic treatment is greatly influenced by a clinician's ability to predict and control tooth movement achieved by applying known force systems to the dentition.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of a tooth or group of teeth to better understand the nature of their displacement characteristics under the various force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location of the centers of resistance of various units of the upper anterior segment for lingually directed 100gm and 200gm force in a dry human skull. The units investigated were composed of four incisors and six anterior teeth. In addition, the effect of change in force magnitude on the loca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se units was investigated. The laser reflection technique was used to measure the initial displacements of the consolidated teeth under load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instantaneous center of resistance for the four anterior teeth was located vertically between level 4 and level 5―that is, at 37.4% apical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level. 2. The instantaneous center of resistance for the six anterior teeth was located vertically just beneath level 5―that is, at 50.3% apical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level. 3. Increasing force levels had little effect on the loca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of a given unit. 4. The location of the instantaneous center of resistance shifted apically as the number of dental units consolidated increased.

      • SCOPUSSCIEKCI등재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에 있어서 구내장치 반응성에 대한 두부 방사선적 연구

        경승현,박영철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3

        OSA가 의심되는 환자에 대하여 수면 다원 검사를 시행하여 RDI가5이상이고 Arousal Index가 20이상이어서 OSA로 진단된 환자 24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구내장치에 대한 반응검사를 위한 수면검사를 다시 시행하여 장치 장착 전후의 RDI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구내장치 장착전과 후에 두장의 두부 방사선을 호기 말에서 채득하여 안모 형태에 대한 변수를 첫번째 두부 방사선 상에서 측정하였고, 두 장의 두부 방사선사진을 중첩하여 연구개,후 인두벽, 혀, 설골, 상기도, 하악의 구내장치에 의한 이동을 나타내는 두부 방사선상의 변수를 측정하였다. RDI 개선도에 따라 가장 양호하게 반응하는 8명과 가장 효과가 낮게 반응하는 8명을 선택하여 두 군으로 분류하여 군 비교를 시행하였다. 군 비교를 위하여 Wilcoxon rank test를 시행 하였고 구내장치에 의한 각 변수의 차이와 RDI개선도와의 상관관계, 안모 형태와 RDI 개선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earmann correlat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구내장치는 장착전 평균 RDI=46.8에서 장착 후 평균 RDI=13.3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고 상관 관계에 있어서 하악의 전방이 동량과 설골의 상방 이동량은 구내장치 효과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치료 효과가 양호한 군에서 연구개 끝과 후두 덮개 사이 수준(level)에서 유의성 있는 혀의 전방 이동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구내장치에 의한 혀의 전방 이동은 RDI 개선도와도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개 끝과 후두 덮개사이 수준(level)에서 상기도의 전후방 길이인 AW는 RDI 개선도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 의하면 혀의 전방 이동과 설골의 상방 이동, 상기도의 전후길이 증가등은 RDI의 양호한 개선을 나타내는 지표 였다. 주요단어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코골이 장치 두부방사선, It is well known that oral appliance could improve respiratory difficulty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OSA). To evaluate the effect of oral appliance, polysomnography and cephalometry were performed in OSA patients before and after oral appliance was used. Twenty four OSA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piratory difficulty index (RDI) was obtained from polysomnography and the movement of soft palate, tongue, posterior pharygeal wall, hyoid bone, and mandible and the variables of the facial pattern were measured on the cephalogram. The changes of cephalometric parameters were compared to the RDI changes and the correlation was tested. After oral appliance was used, RDI decreased from 46.8 to 13.3.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DI improvement and the anterior movement of the mandible and superior movement of the hyoid bone. In 8 patients whose RDI was most improved, RDI improvement rate was correlated with the anterior movement of the tongue 3nd anterior-posterior (AP) diameter of the airway at the levels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oft palate and epiglottis. These results could conclude that anterior movement of the tongue and superior movement of the hyoid bone would be favorable cephalometric parameters for the improvement of O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