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손상시 교세포의 작용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양남길,고정식,안의태,박경호 순천향대학교 1984 논문집 Vol.7 No.1

        뇌조직의 별성 또는 질병과정에서 각종 신경교세포의 역활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창상 치유과정의 실험을 시행했다. 뇌조직의 미세구조가 확연하지 못한 부위가 많은 점을 고려하여 이번 실험에서는 이미 저자들이 오랫동안 연구하여 미세구조의 특징을 잘 알고 있는 뇌기저핵의 fundus striati를 주변구조로부터 외각적으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1, 2, 3, 7, 14, 28일간 생존시켜 창상 치유과정에서, 각 미세구조별로 퇴행과정과 교세포 종류별 활동상황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창상 후 형태학적 변화는 투사세포의 괴사, 외래 신경축삭과 종말의 괴사, 괴사종말과 연접한 연접후구조의 부종과 극돌기 합입등으로서 이미 발표한 성적들??과 같았다. (2) 수술초기에는 원형질성 섬유세포가 neuropil전역에 걸쳐 활동성으로 바뀌고, 모든 퇴행성 구조를 감싸면서 다른 구조와 분리시켰다. (3) 분리된 퇴행성 구조물은 용해되기 시작했다. (4) 미세교세포가 증가하였고 이들 세포는 다량의 지방소적을 함유하고 있었다. (5) 혈관주위세포는 기저막으로 싸인채 팽대되며, 주변에는 미세교세포와 이행형이면서 기저막이 없는 세포들이 많이 출현하여 뇌대식세포의 혈액세포 또는 혈관주위세포 기원설에 일치하는 형태학적 소견을 보였다. (6) 회돌기교세포는 변성축삭으로부터 수초의 회수작업등의 수동적 반응을 보였다. (7) 교세포의 비교판독 결과 대식세포는 외인성 이물질을 파괴소화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며, 원형질성 성상세포가 모든 변성구조물의 용해·흡수·제거작용을 이행하고, 최종적으로 섬유성 성상교세포가 빈자리의 섬유화를 완성한다. (8) 조직의 섬유화가 치유과정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은 뇌의 신경세포재생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주요 원인으로 생각된다. Structural variations of the neuroglial cells in the degenerating nervous tissues are points of arguements in the neuromorphological field. The short of ultrastructural information on the specific nuclei is one of the critical points in the study of neuroglial activities, because the exact readings of the ultrastructural elements are essential for the differentiation of glial-target relationships. Having the experiences of extensive studies on the fundus striati nucleus (Nucleus accumbens septi) during the last 10 years, we have studied the glial-target relationships following the surgical isolation of the fundus striati uncleus of cat. Surgery was performed by vertically inserting a stainless stell tube-knife, measuring 5mm in diameter, into the brain down to the base of the skull. The blood supply to the tissue cylinder was maintained through the vessels at the base of the skull. The blood supply to the tissue cylinder was maintained through the vessels at the base of the brain. After the survival time of 1, 2, 3, 7, 14 and 28 days, cats were perfused with a mixture of 1% paraformaldehyde-1% glutaraldehyde in phosphate buffer (pH 7.4) and postfixed in osmium tetroxide solution. The ultrathin sections were counterstained with uranyl acetate-lead citrate, and were examined in a JEM 100CX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are as follow: 1. In the primary stage, the protoplasmic astroglial cells are activated throughout the neuropil. They fill the large area between neuronal elements, and separate the degenerating elements from the intact elements. 2. The astroglial cells attack and dissolve the degenerated elements. 3. The microglial cells increase in number and are activated. 4. In the later stage, around the capillaries, there accumulate many hypertropied pericytes, activated brain macrophages, and the cells of transitional forms between pericytes and macrophages. 5. Ameboid microglia or macrophages also can separate the altering elements from the intact elements. 6. Oligodendroglia shows passive reaction of retraction its myelinating lamellae from degenerating axons. 7. Glial fibrosis actively spreading in the degenerating nervous tissue was suspected as the possible reason of loss of regenerative function in central neuronal cell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방사선 조사를 받은 흰쥐 망막 속얼기층의 미세구조

        양석우,고정식,양남길,안의태,박경호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2

        본 실험은 머리부분이 많은양의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망막 속얼기층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200-250g의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마취상태에서 머리부분에만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는 미쓰비시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조사거리 80cm, 구역 30cm X 30cm, 깊이 1.2cm 조건에서 1분당 200rad씩 연속조사하여, 3,000rad 또는 6,000rad를 조사한 후 6시간, 2일, 6일후에 희생시켰다. 각 동물은 1% glutaraldehyde- 1% paraformaldehyde액으로 관류고정하였다. 관류가 끝난 후 안구를 적출하여 톱니둘레를 따라 절단한 다음, 망막의 일정부위에서 조직을 떼어냈다. 떼어낸 조직은 2.5% glutaraldehyde- 1.5% paraformaldehyde액에 일차고정한 후 1%osmium tetroxide액에 이차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수세와 탈수과정을 거쳐 araldite혼합액에 포매한 다음 얇은 절편을 작성하여 uranly acetate와 lead citrate로 염색한 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무축삭신경원의 세포질돌기는 전자밀도가 높은 어두운세포와 전자밀도가 낮은 밝은세포로 구분되었으며, 밝은 세포 가운데에는 과립형연접소포를 갖고 있는 돌기가 관찰되었다. 2. 3,000rad조사 후 6시간군의 경우 밝은 무축삭신경원이 세포질돌기와 신경절세포의 가지돌기는 팽대되었으며 사립체와 세포막이 파괴되는 모습이 관찰되었는데, 2일군의 경우 그 경향이 가장 심했다. 3. 3,000rad조사 후 6일군의 경우 부챗살아교세포의 영역이 넓어져서 전체적인 조직의 모습이 2일군의 것에 비하여 많이 회복되어 보였다. 4. 6,000rad조사 6일군의 경우 부챗살아교세포는 미세사가 많고 전자밀도가 높은 변성된 세포가 자주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3,000rad의 방사선을 조사받으면 흰쥐망막의 속얼기층은 처음에는 무축삭신경원의 세포질돌기와 신경절세포의 가지돌기가 손상을 받았으나, 6일 후에는 부챗살아교세포의 영역이 넓어져서 많이 회복되었다. 그러나 6,000rad정도의 방사선을 조사하면 부챗살아교세포도 변성되어 속얼기층 전체가 변성된것으로 보아, 부챗살아교세포는 무축삭신경원이나 신경절세포에 비하여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morphological respones of the inner plexiform layer of the retina of rat following X-ray irradiation. Rats anethetized with sodium thiopental, were exposed only on their head areas with a single dose of 3,000rads or 6,000rads, respectively. Radiation was produced by Mitsubishi linear accelerator, at the speed of 200rads/m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acrificed on the 6th hour, 2nd hour, 2nd and 6th day after X-ray irradiation. Under anethesia, 1% glutaraldehyde- 1% paprformaldehyde solution was perfused through the heart. Pieces of the tissue taken from the posterior region of the retina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 1.5% paraformaldehyde, and in 1% osmium tetroxide, and embedded in araldite mixture. Ultrath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solutions. From the ultrastructural study, following results were made: 1. Two types of amacrine cells, according to their elecrton densities, were found, i.e., light amacrine cell and dark amacrine cell. Granular synaptic vesicels were often observed in the light amacrine cells. 2. Two days after exposure to 3,000rads of X-ray, severe morp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cytoplasmic processes of light amacrine cells and dendrite of ganglion cells; i.e., edematous changes, framoentation of mitochondria, breakdown of cell membranes, etc. 3. Six days after exposure to 3,000rads of X-ray, many of the malformaitons were seen to be repaired, except the territory of activated Muller cell. 4. Six days after exposure to 6,000rads of X-ray, darkly degenerated Muller cell were frequently observed.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large amount of head-irradiation results the severe damages to the cytoplasmic processes of amacrince cell and the dendrites of ganglion cell in the inner plexiform layer of rat retina, but Muller cells are more radioresistant than amacrine and ganglion cell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FRF를 이용한 평판 구조물의 구조손상 규명기법

        김남인,이우식,권오양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1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21 No.2

        주파수 응답함수 (FRF)를 이용하여 평판 구조물에 존재하는 손상을 규명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손상 규명기법을 소개하였다. 본 연구의 구조손상 규명기법은 손상된 평판의 운동방정식으로부터 유도되었으며 손상 분포함수를 이용하여 손상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구조손상 규명기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손상된 구조물에 대한 모드 데이터를 요구하지 않으며, 둘째, 가진주파수와 측정점을 적절히 다수 선택함으로써 손상규명에 요구되는 관계식을 확보하는데 보다 유리하다. 몇몇 수치모의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손상 규명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In this study, an FRF-based structural damage identification method (SDM) is proposed for plate structures. The present SDM is derived from the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of motion of the damaged plate, in which damages are characterized by using a damage distribution function. The appealing features of the present SDM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modal data of the damaged structure are not required. Secondly, a sufficient number of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from the measured FRFs by simply varying excitation frequencies and response measurement points. The feasibility of the present SDIM is verified through some numerically simulated damage identification tests.

      • 點播粒數에 따른 靑刈大豆의 生育反應 및 飼料成分變化

        趙南棋,吳章植,朴良門,宋昌吉 濟州大學校亞熱帶農業硏究所 1997 亞熱帶農業硏究 Vol.14 No.-

        本 硏究는 濟州道에 있어서 點播粒數에 따른 濟州在來大豆의 生育反應 및 飼料成分에 미치는 影響을 究明하기 위하여 1996年 5月 10日부터 8月 16日까지 遂行하였던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草長은 4粒區에서 115cm로 가장 길었으며, 1粒區에서 110cm로 가장 짧았다(Y=-0.527X^2+3.885X+107.110). 2. 莖直徑, 分枝數, 葉數 等의 形質은 點播粒數가 많아질수록 減少되는 傾向이었다. 3. 生草收量은 4粒區에서 10a當 3633kg으로 가장 많았으며, 3粒과 5粒區는 中間이었고, 1粒區에서는 2349kg으로 가장 적었다.(Y^*=-125.088X^2+995.387X+1510.790) 4. 乾草收量은 4粒區에서 839kg으로 가장 많았으며, 5粒과 6粒區에서는 中間이었고, 1粒區에서는 509kg으로 가장 적은 편이었다.(Y^*=-23.839X^2+221.255X+279.720) 5. 組蛋白賃과 粗脂肪은 點播粒數가 많아질 수록 增加하였으며, 粗纖維와 粗灰分은 減少되었다. 6. 草長은 生草收量과 正의 相關을 나타내었고, 莖直徑·分枝數·葉數·葉重 等의 形質과는 高度로 有意한 正의 相關을 나타냈으며, 粗焉白質과는 負의 相關을 나타냈다.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s of number of seeds per hill in dibbling on the growth and feed composition of Cheju Local Soybean from May 10 to August 16 in Cheju-Do.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Plant height when four seeds per hill in dibbling(115cm) was the longest, while one seeds per hill in dibbling(110cm)was the shortest(Y=-0.527X^2+3.885X+107.110). 2. The diameter of stems, number of branches and number of leaves per plant decreased with the number of seeds per hill in dibbling increased. 3. Fresh yield per 10a when four seeds per hill in dibbling(3633kg) were the greatest and three seeds per hill in dibbling, when five seeds per hill in dibbling were intermediate but one seeds per hill in dibbling(2349kg) was the lightest. (Y^*=-125.088X^2+995.387X+1510.790) 4. Dry yield per 10a when four seeds per hill in dibbling(839kg) were the heaviest and when five, six seeds per hill in dibbling were intermediate but one seeds per hill in dibbling(509kg) was the lightest(Y^*=-23.839X^2+221.255X+279.720). 5. Crude protein and crude fat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seeds per hill in dibbling increased, but crude fiber and crude ash decreased. 6.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nt height and fresh yield, and further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nt height and the diameter of stems, number of branches, number of leaves, or the weight of loaves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lant height and crude protein.

      • 머리부분에 과량의 방사선을 조사받은 흰쥐 위점막 벽세포의 미세구조 연구

        김용식,고정식,양남길,안의태,박경호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2

        본 실험은 머리부분이 많은 양의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위점막 벽세포에 나타나는 미세구조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200-250g의 건강한 숫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정상군과 실험군(방사선 조사군)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은 3,000 rad조사군과 6,000 rad조사군으로 구분하였으며, 방사선 조사후 6시간, 2일 및 6일후에 희생시켰다. 실험군은 sodium thiopental로 마취시킨후 치료방사기(Mitsubishi Linear Accelerator ML-4MV)를 사용하여 머리부분에만 분당 200 rad씩 X-선을 조사하였다. 위조직은 통상적인 전자현미경을 시료작성법에 따라 2.5% glutaraldehyde- 1.5% paraformaldehyde혼합액(0.1M phosphate buffer, pH 7.3)에 1차 고정한 후, 1% osmium tetroxide(0.1M phosphate buffer, pH 7.3)에 2차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탈수과정을 거쳐 araldite혼합액에 포매하였으며, LKB-V ultratome르로 60-70nm두께의 얇은 절편을 작성하였다. 각 절편은 uranyl acetate와 lead citrate로 염색한후, JEM 100CX-Ⅱ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방사선 조사후 6시간군의 경우, 위샘내강쪽으로 벽세포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 가끔 관찰되었으며, 미세사와 용해소체가 정상군의 것에 비하여 다소 증가되었으나 기타 세포질소기관의 미세구조적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2. 방사선 조사후 2일군이 경우, 미세사와 용해소체가 6시간군의 것에 비하여 더 많이 관찰되었다. 3. 방사선 조사후 6일군의 경우, 벽세포는 세포내세관과 미세융모가 미약하였으며 관소포구조의 막성구조가 파괴되고 세포질이 부분용해된 변성세포가 자주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머리부분이 과도한 방사선에 노출되면 위점막의 벽세포는 초기에는 별다른 미세구조적 변화가 없으나 6일 정도가 지나면 분비기능에 관계된 미세구조들이 큰 손상을 받게 되므로 분비기능이 매우 약화된다고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the gastric parietal cells of the head-irradiated rats. Male rats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head region of the rat, under sodium thiopental anesthesia. was exposed to 3,000rads or 6,000rads of X-ray radiation in a single dose, respectively. The source was a Mitsubishi Linear Accelerator ML-4MV. The target to skin distance was 80cm, and the dose rate was 200rads/min. The rats of experimental groups were sacrificed on the 6 hours, 2 days and 6 days after X-ray irradiation. Pieces of the tissue taken from the body of the stomach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0.1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in 1% osmium tetroxide(0.1M Millonin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embedded in araldite mixture. The ultrathin sections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were observed with JEM 100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parietal cells were not pronounced, six hours after head irradiation. But the parietal cells protruding into the lumen of the gastric gland were infrequently observed and amounts of the microfilaments and lysosomes were sligh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orup. 2. Two days following irradiation, bundles of the microfilaments and the lysosome in the parietal cell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than those observed in the six hours group. 3. Dramatic decrease of intracellular canaliculi and microvilli of the parietal cells were observed on the 6th day, and destruction of tubulovesicular structures and partial cytolysis or necrosis were observed frequently. Above results suggest that high dose of head irradiation induces indirect hazardous effects on the gastric parietal cells of the rat, and the irradiated animals might suffered from weak acid secretion of the parietal cell, since the large number of the parietal cells are degenerated within a few days following irrad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