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종 한약재가 백혈병 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崔湖榮,金澤,柳志昌,卞德市,盧昇鉉 대한본초학회 1999 大韓本草學會誌 Vol.14 No.1

        I am reporting here a syntematic in vitro examination for specificity of anti-cancer effect of several oriental herbs, which have been used frequently for cancer pateints(therapy), on Molt-4 LCL(Lymphoblastoid Cell Line) Leukemic cells in relation to its density and time of incubation. 1. ErOH extract of Jujubae Fructus reduced Molt-4 cell's survival rate effectively after 48 hours' treatment at 1000㎍/㎖'s density and it reduced survival rate of LCL effectively after 12 hours' treatment at 1000㎍/㎖'s density. 2. EtOH extract of Cordyceps reduced LCL's survival rate effectively after 36 hour's treatment at 1000㎍/㎖'s density. 2. EtOH extract of Fici Fructus reduced LCL's survival rate effectively after 36 hours' treatment at 1000㎍/㎖'s density. 4. EtOH extract of Trionycis reduced Molt-4 cell's survival rate even at 500㎍/㎖ density and further effective at 1000㎍/㎖ density after 24 hours treatment and it killed the cells completely at 1000㎍/㎖ density after 48 hours treatment, It also Killed LCL completely after 12 hours and 36 hours' treatment at 1000㎍/㎖'s density. 5. EtOH extract of Biotae Cacumen reduced LCL's survival rate effectively after 12 hours' treatment at 1000㎍/㎖'s density, and after 36 hours treatment it reduced LCL's survival time very effectively. 6. EtOH extract of Psoraleae Fructus reduced Molt-4 cell's survival rate very effectively after 24 hours' treatment at 500㎍/㎖ and 1000㎍/㎖'s density, and after 48 hours' treatment at 250㎍/㎖'s density it reduced effectively and it killed the cell completely at 500㎍/㎖ and 1000㎍/㎖'s density. It also killed LCL completely after 12 hours and 36 hours' treatment at 1000㎍/㎖'s density. I hope to proceed with more advanced experiment in vivo and clinically as for the two kinds of oriental herbs and another herbs effective for leukemia.

      • 온라인 동조 PI 제어기법을 이용한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의 속도제어기 설계

        林相德,朴勝燁,全寅孝,崔重暻 창원대학교 공작기계기술연구센터 1999 연구업적집 Vol.1 No.1

        본 논문은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위해 파라메타의 추정 없이 입력과 출력의 패턴을 관찰하여 PI 이득을 온라인(On-line)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비례이득은 한계입력을 인가하여 가장 빠른 속도 상승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설정되고, 적분이득은 비례제어 과정 중에 오버슈트 방지와 안정된 수렴이 적적히 이루어지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제안된 PI이득 조정은 온라인으로 제어와 동시에 수행됨으로써 시스템 파라메타 추정 등의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 없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PI이득 조절기법은 직류전동기의 속도제어에 있어서 빠른 응답과 오버슈트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고, 기존의 Auto-tuning 방법보다 간편하고 실용적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실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과 안정성을 보인다. In this paper, a method of on-line PI gain-tuning is proposed for the speed control of brushless D.C. motor by investigating the pattern of input and output without estimating parameter. Proportional gain is tuned in the process to obtain a fast speed response by supplying the maximum constant input And integral gain is appropriately tuned in the process of proportional control so that the response may be stably converged and the overshoot may be prevented. Therefore because both control and gain-tuning are executed concurrently, additional works that estimate parameters and so on aren't required in the proposed method. In the proposed method, both fast-response and overshoot problem are well solved, and it is mire useful and convenient than existing auto-tuning methods in the speed control of D.C motor. It is illustrated by simulations and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useful and stable.

      • 미치광이풀 모상근 배양에서 Tropane Alkaloid 생산성 증진을 위한 최적 생물학적 엘리시터 선발

        정희영,강승미,강영민,김용덕,양재경,정영관,최명석 Plant molecular biology and biotechnology research 2003 Plant molecular biology and biotechnology research Vol.2003 No.-

        Scopolamine and hyoscyamine which belong to tropane alkaloids are the pharmaceutically valuable anticholinergic drugs.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vities, the effects of elicitation were investigated during hairy root cultures of Scopolia parviflora. Biotic elicitors originated from 3 fungi and 1 yeast were prepared as homogenate and supernatant and added to 3-week-old cultures. Both of homogenate and supernatant of Candida albicans elicitors increased the scopolamine production. The production of hyoscyamine was enhanced by homogenate of Fusarium solani and supematant of C. albicans. Most of the other fungal elicitors were also improved on the tropane alkaloid production compared to non-treatment. Among the elicitors tested, C. albicans was proved the optimal biotic elicitor on tropane alkaloids production. These results will be served mass production of tropane alkaloids by large-scale production.

      • KCI등재

        Fluoride, Bisphosphonate 및 Gallium이 상아질 흡수 억제에 미치는 영향

        백은영,유윤정,노병덕,최윤정,이승종 大韓齒科保存學會 1997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2 No.2

        Replacement resorption is followed by the delayed replantation of an avulsed tooth. Currently no effective treatment is substantiated for replacement resor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annous fluoride, bisphosphonate(etidronate disodium) and gallium nitrate, which have been shown to reduce dentin resorption, on human dentin. Osteoclasts were collected from tibeas of chich embryo. The cells were well agitated to prevent adhesion and seeded onto the sliced human dentin wafers which had been soaked in either culture media(control), or several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tannous fluoride, etidronate disodium(1-hydroxyethylidene-1, 1-bisphosphonate disodium), and gallium nitrate. Resorption was measu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resorptive pit produced by the cells. Results are ad follows. Stannous fluoride and etidronate disodiu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dentin resorption(p<0.05) but the effect of stannous fluoride seemed to be its high cytotoxicity. Etidronate disodium did not show cytotoxicities in all experimented concentrations. Gallium nitrate did not show differences in resorption either betwee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rom the control group.

      • 뇌의 미만성 축삭 손상 정도, 지능 지수 그리고 예후와의 상호관계

        양승민,김영백,권정택,박승원,황성남,최덕영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 2001 中央醫大誌 Vol.26 No.2

        Diffuse axonal injury (DAI) is defined as posttraumatic coma for over 24 hours without intracranial mass le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urologic state of the patient and to evaluate the psychiatric sequela after DAI by psychometric analysis.Twenty eight patients with DAI were analyzed by a psychoanalyzer. Electroencephal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MR) imaging were performed on eighteen patient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about 6 to 1 and the major cause was traffic accident followed by fall down. Radiologic abnormality in MR image was predictors of poor outcome and early neurologic state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Psychometric anlysis revealed that lntelligence Quotient was correlated with outcomes and most of patients with DAI were in normal range of lntelligence Quotient(67.9%) but they have suffered from variable psychologic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ziety, phobia and dementia. Previous studies in DAI have been based principally on the prognostic factors and treatment without a systemic apporach to their meurologic and psychologic problems. Psychometric analysis can reveal psychologic symptom in the patients with DAI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their psychiatric problems may carry important implications for management of patients with moderate or servere DAI and improve rehabilitation outcomes.

      • 심한 낙타혹(Hump)의 형성을 동반한 제 2 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Dense Deposit Disease) 1예

        오희정,유민아,이영숙,김미연,김승정,강덕희,윤견일,최규복,성순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04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7 No.1

        Dense deposit disease (DDD), known as type Ⅱ MPGN, is an uncommon form of glomerulonephritis. It is an acquired primary glomerular disease, characterised by electron microscopic evidence of a continous, dense membrane deposition replacing the lamina densa. There is associated alternative pathway complement activation and a C3 nephritic factor maybe present. Patients with dense deposit disease tend to be young at clincal onset and more commonly have persistent nephrotic syndrome, gross hematuria, and acute nephritis episode and persistent depression of the serum complement level. The prognosis of dense deposit disease is worse than that of typeⅠMPGN. We experienced a patient with dense deposit disease that presenting persistent nephrotic syndrome, gross hematuria and having subepithelial hump. It is a first report of dense deposit disease having subepithelial hump in Korea, therefore we report this case with th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s.

      •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Peritumoral Decreased Uptake Area on Hepatobiliary Phase of Gadoxetic Acid-enhanced MRI in Hepatocellular Carcinoma

        ( Seung Kak Shin ),( Yun Soo Kim ),( Young Sup Shim ),( Seung Joon Choi ),( So Hyun Park ),( Dong Hae Jung ),( Oh Sang Kwon ),( Duck Joo Choi ),( Ju Hyun Kim ) 대한간학회 2016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16 No.1

        Aims: Vascular invasion is the most important predictive factor of tumor recurrence after resect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Recent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eritumoral decreased uptake area (PDUA) on hepatobiliary phase of gadoxetic acid-enhanced MRI could be shown in cases of the impaired hepatocyte function induced by decreased portal flow, and was associated with vascular invasion in HCC. The aims of our study were to clarify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DUA on hepatobiliary phase and to elucidate the predictability of the PDUA on tumor recurrence after resec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al and radiological data from 194 consecutive HCC patients who underwent preoperative gadoxetic acid-enhanced MRI and surgical resection between January 2008 and January 2016. The presence of a faint and hypointense area around the tumor in the hepatobiliary phase was defined as PDUA. Results: Of 194 HCCs, PDUA on hepatobiliary phase was observed in 25 cases (12.9%). Of 42 HCCs with microvascular invasion, PDUA was observed in 16 cases (38.1%) and of 16 HCCs with macrovascular invasion, PDUA was observed in 8 cases (50.0%). In multivariate analysis, tumor size (>5 cm) and microvascular inva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DUA. After a median follow-up period of 17.5 months, 17 of the 25 patients with PDUA (68.0%) suffered from tumor recurrence. The recurrent-free survival in group with PDUA after resection by Kaplan-Meier method with the log-rank test was significantly worse than that in group without PDUA (P=0.003). In addition, multivariate survival analysis using Cox``s regression identified that PDUA (HR =4.2; 95% CI 1.8-9.7; P=0.001)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recurrence after resection of HCCs less than 5 cm. Conclusions: PDUA on hepatobiliary phase of gadoxetic acid-enhanced MRI could be a useful preoperative predictor of microvascular invasion and prognosis factor after surgical resection in HCC.

      • SCOPUSKCI등재
      • 드론 방제기의 분사압력 변화에 따른 노즐 분무특성 분석

        유승화 ( Seung-hwa Yu ),최덕규 ( Duck-kyu Choi ),김영화 ( Young-hwa Kim ),최일수 ( Il-su Choi ),우제근 ( Jea-keun Woo ),전현종 ( Hyeon-jong Jun ),이상희 ( Sang-hee Lee ),최용 ( Yong 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농업용 드론은 2010년대 초반 이후 우리나라 농업에서 농약 살포용으로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드론용 분무장치는 약액의 비산을 고려하지 않아 드론 방제에 적합한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약 살포용 드론의 분무압력에 따른 분무각, 분사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영농 현장에 적합한 분무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무 각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액체 공급부, 분사노즐 시스템, 분무 이미지 획득 장치 및 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된 2차원 PIV시스템(TSI Co.)을 이용하였다. 이 실험 장치는 제어시스템으로 정밀하게 제어하며 수집된 분무 이미지는 화상해석시스템으로 분석하여 분무의 거시적 특성(분사량, 분무각 등)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분무 각은 노즐 출구를 기준으로 액막 분열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각도로 정의하였으며, 노즐의 성능 평가를 위해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분사량과 실제 분사량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농용 노즐의 경우 ASABE S572.1 지침으로 분사압력 40 psi(2.76bar)에서 분사량을 노즐 팁 color code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이 컬러코드를 기초로 분사압력 변화에 따른 노즐 분사량을 살펴보면, 시험한 노즐 중TX 계열 1종과 TP계열 2종 등 총 3종의 노즐이 예상 분사량인 0.067 GPM(0.25 LPM) 보다 약간 작은 분사량을 나타내었다. 나머지 노즐을 노즐 형상에 관계없이 예상 분사량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분사량은 분사압력의 0.5승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분사압력 변화별 수집한 분무이미지를 분석하여 분무각을 측정한 결과, XR계열 노즐의 분무각을 살펴보면 40psi에서 제시한 분무각보다 10% 정도 큰 결과를 나타었으나, hollow cone 분무 구조를 갖는 TX계열 노즐은 분무 변화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TP계열 노즐의 분무각은 다소 편차가 있지만 제조사에서 제시한 분무각(80° 및 110° at 40 psi)과 가장 잘 일치하였다. AI계열 노즐의 경우 분사량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AI11002-VS 노즐의 경우 제조사에서 제시한 110° 분무각과 일치하게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종합하면, 노즐의 분사압력에 따라 분무구조가 변화하여 분무각, 분사량 등에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노즐의 종류, 사용 개수, 약액 종류 등에 따라 노즐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사막 벼 재배를 위한 물 절약형 파종 기계화 기술 분석

        유승화 ( Seung-hwa Yu ),최덕규 ( Duck-kyu Choi ),김영화 ( Young-hwa Kim ),최일수 ( Il-su Choi ),우제근 ( Jea-keun Woo ),최용 ( Yong Choi ),현창식 ( Changsik Hyun ),류희석 ( Huiseok Ryu ),윤영태 ( Young-tae Yu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한-UAE 농업기술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UAE 현지의 사막에 농지를 구축하고 벼를 재배하는 연구가 2019년부터 시작되었다. UAE 사막에 구축된 벼 재배를 위한 실증포장은 사막 모래로 이루어져 배수가 빠르고, 낮 기온이 45~50도로 매우 무덥고 건조한 사막 기후이다. 우리나라 벼 재배는 주로 담수재배함에 따라 UAE와 같은 사막 기후와 토양에서는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게 된다. 전면 담수방식으로 벼 재배 시 농업용수 사용비용이 연간 200만원/10a 이상 소요되므로 경제성 확보를 위한 물 절약 재배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UAE 현지의 토양은 알칼리 상태로 선행 연구를 통해 벼 재배 가능성은 검증되었으나 경제적·환경적으로 지속적인 재배를 위해서는 물 및 양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AE 사막 벼 재배 환경에서 물을 절약형 벼 파종 기계화 기술을 개발하고자 주요 요인을 분석하였다. UAE 현지 벼 파종 시 고려사항을 조사한 후 물 절약형 파종 기계화를 위한 맞춤형 농기계 설계 주요 요인을 분석하여 기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한 결과, UAE 사막 토양에서 물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전면담수보다는 벼 파종 위치에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공급된 물이 토양을 중화시키는 기능을 함에 따라 특정 형태로 고랑을 형성해야 한다. 이 고랑 형태는 폭 10~15cm, 깊이 10~20cm, 두둑 폭 15~20cm 내외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 고랑은 형성 후 물이 공급되어도 무너지지 않고 유지되어야 하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파종 후 두둑에서 떨어진 흙이 고랑을 덮을 경우 볍씨의 출현에 장애되므로 고랑이 무너지지 않게 답압 필요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종합하면, 사막 벼 재배 시 물 절약에 유리한 고랑재배에 적합하도록 견고한 고랑을 형성함과 동시에 볍씨를 파종 할 수 있는 복합형 파종기를 개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막 기후와 토양 조건에 벼 재배를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두둑 성형 장치의 고안을 위해 시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이 시험 장치는 고랑 폭 10cm, 15cm 2수준, 깊이 10cm, 15cm, 20cm 3수준, 충격다짐 3수준으로 하여 사막 토양과 가장 유사한 전북 김제시에 위치한 새만금 간척지 시험포장에서 답압 성능 시험하였다. 그 결과, 수분이 없는 사막 유사 토양에서는 두둑 형성 후 원상태로 복원되거나 물 공급 시 두둑의 무너짐이 커 재 기능을 못하였다. 이 원인은 매우 건조한 사막 토양에서는 점성과 전하가 없어 뭉치이 일어나지 않았지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토양에 수분을 단계적으로 보충하였더니 견고한 고랑을 형성할 수 있어서 사막 벼 재배 조건에 부합하는 결과를 었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