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철학 : 조선말 성리학자의 성리학적 개념에 대한 인식 -송래희의 『성리논변』1,2권을 중심으로-

        정성희 ( Jeong Seong Hui ) 동양철학연구회 2003 東洋哲學硏究 Vol.35 No.-

        Confucianism of the last period of Chosun was progressed towards two trends. One is disputes about the concepts of confucianism according to factional view point. The other is the tendency of practical science(實學) to search realistic solusion overcoming social conflict and political confusion. But despite of long-year dispute the concepts of confucianism were not defined. Despite of establishing theory of Bon-Che(本體論) based on the theory of Li-Ki(理氣論) problems still exist about how we could explain Bul-Sang-Ri(不相離) Bul-Sang-Jab(不相雜), and which the first is between Li(理) and Ki(氣). Theory of In-Seong(人性論) is based on the theory of Seong-Jeong(性情論), but the concept of Seong(性) is divided into Bon-Yeon-Chi-Seong(本然之性) and Ki-Jil-Chi-Seong(氣質之性), according to this a question arises whether the concept of Seong(性) is limited to humanbeing or reached to object.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authority of concepts and adjust the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y are what Seong(性) is in the theory of In-Mul-Seong Dong-I(人物性同異論), and whether Seong(性) and Li(理)have mutuality in the theory of Seong-Chuk-Li(性卽理). Seong-Li-Non-Byun(性理論辨) is a very useful work published by Lai-Hui Song(宋來熙) in the last period of Chosun. Lai-Hui Song intended to present the foundation of concepts, and to adjust concepts of confucianism of Chosun by compiling diverse articles and studies. Therefore the study on Seong-Li-Non-Byun(性理論辨) is useful to reform confusion between concepts on the theory of Sa-Dan Chil-Jeong(四端七情論) and the theory of In-Mul-Seong Dong-I(人物性同異論).

      • KCI등재

        해방 공간 강성갑의 기독교 사회운동 연구

        홍성표(Hong Seong-Py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1920~30년대 한국교회는 어려운 농촌의 현실에 주목하고, 덴마크의 그룬트비의 영향을 받아 농촌운동을 전개했다. 이러한 한국교회의 농촌운동은 일제의 탄압과 교회내부의 보수적 신앙인의 반대로 1930년대 말에 막을 내렸다. 일제로부터 해방된 후에도 농촌문제는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였으나, 해방 공간에서 한국교회의 농촌운동 사례를 찾기는 쉽지 않다. 강성갑은 해방 공간에서 이러한 농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상남도 진영에서 한얼중학교를 설립하는 등 기독교 사회운동에 앞장섰다. 강성갑은 1912년 경남 의령에서 출생하였고, 연희전문 문과와 도시샤대학 신학과를 졸업하였다. 1943년 경남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으며, 1946년 4월 진영교회 담임목사로 부임하여 목회활동과 함께 기독교 사회운동을 전개하다가 한국전쟁 중에 ‘공산주의자’로 몰려 총살당했다. 이 사건은 소위 진영사건으로 알려져 있는데, 재판을 통해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가해자를 처음으로 처벌한 사건이었다. 강성갑의 경우에는 가해자를 처벌한 재판과 추모동상 제막식이라는 공적 행사를 통해 그의 억울한 죽음이 밝혀지고 명예가 회복되었으나 여전히 ‘공산주의자’로 몰려 가족들은 커다란 고통을 겪어야 했다. 강성갑은 덴마크 그룬트비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실천했다. 복음중등공민학교를 설립하여 기독교 사회운동을 시작하였으며, 진영교회 및 지역사회와 함께 1948년, ‘하나님을 사랑하자, 이웃을 사랑하자, 흙을 사랑하자’라는 ‘삼애정신’을 교훈으로 하는 한얼중학교를 설립하고 농촌의 인재를 양성하였다. 강성갑의 한얼중학교 설립은, 해방 후 모든 것이 부족했으나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하는 열의로 농촌의 교육을 위해 강성갑과 진영교회와 진영의 지역사회가 합심하여 열악한 조건을 극복하고 대안을 만들어간 기독교 사회운동의 모범적인 사례였다. The Korean churches, paying attention to harsh realities in 1920s and 1930s, carried on the rural movement influenced by Nikolaj Frederik Severin Grundtvig. This movement of Korean churches had to come to an end in the end of 1930s however, because of Japanese oppression and the opposition forces of conservative believers inside the church.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he rural movement was still the first priority task to solve to build a new nation, though it is not easy to find the cases of rural movement by Korean churches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Kang Seong-Gab pioneered in Christian social movements to resolve these rural problems, as an example, he established Haneul Middle School in JinYoung Gyeongsangnam-do. Kang Seong-Gab was born in 1912 in Uiryeong Gyeongsangnam-do and completed liberal arts course in Yonhi College and studied theology and graduated from Doshisha University. In 1943 he was ordained as a minister by Gyeongnam presbytery, then started his ministry as the pastor in charge at JinYoung Church in April 1946. He developed Christian social movements while he was in ministry, then he was wrongfully charged as a communist he was shot to death during Korean War. This incident is known as JinYoung slaughter, which was the first time to punish the perpetrators of civilian massacre at the trial during the Korean War. The trial to punish the perpetrators and the official dedication of memorial statue revealed his wrongful death and recovered his reputation, but his family had to suffer a great pain since Kang Seong-Gab was still regarded as a ‘communist.’ The philosophy of Danish Grundtvig influenced Kang Seong-Gab and made him to put the philosophy into practice. He started Christian socialist movements by establishing Bogeum(Gospel) Civic School, and together with JinYoung Church and the regional community he established Haneul Middle School in 1948 to start educating people in rural area. The school motto was ‘Love God, love neighbor, and love land.’ The establishment of Haneul Middle School by Kang Seong-Gab was the model case of Christian social movement, even though everything was short in supply after the Liberation, together with JinYoung Church and the regional community having enthusiasm to rebuild new nation, that they made up of an alternative plan to overcome the appalling conditions to educate the rural area.

      • KCI등재

        의안대군이화(義安大君李和)의 공신력(功臣歷)에 대한 고찰

        천성래 ( Seong Rai Cheo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0 No.-

        As a part of examination into vassals of merit from the late era of Goryeo Dynasty to the early era of Joseon Dynasty,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history about vassals of merit primarily in terms of Euian Daegun Yi Hwa`s meritorious activities during such period of transition where extreme changes occurred with collapse of former dynasty as well as foundation of new dynasty. Yi Hwa rendered his distinguished services even under critical situations-whether national or international-accompanied with troop withdrawal at Wihwado,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and two prince revolts(1st and 2nd). And his services gave a historical implication that he was one of 4 great vassals of merit during such a period of transition in Korean history. Under the guise of Goryeo Dynasty`s collapse and Joseon Dynasty`s foundation, it was inevitable that there were many vassals of merit produced during this critical period, and royal family granted proper favors to those vassals with stipend for vassals of merit. In particular, Joseon Dynasty installed even a governmental office for vassals of merit to supervise general affairs about vassals of merit. It may be definitely to say that Euian Daegun Yi Hwa was the greatest vassal of merit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Goryeo to Joseon. He was a half-brother of Taejo Yi Seong-gye, the founder of Joseon Dynasty. Yi Hwa was invested as the vassal of 4 great merits in contribution to troop withdrawal, new dynasty foundation, affairs of state and assistance in making Yi Seong-gye the first king of Joseon dynasty, so he could enjoy the greatest favor granted by the governmental authority of his contemporary dynasty. Yi Hwa was a royal family member who stood nearest by Yi Seong-gye and got over a series of hardships wisely with bold actions, so he could play a role as real contributor to founding Joseon Dynasty after collapse of Goryeo Dynasty. According to historical documents, he took up Yeongsamsasa and was finally appointed as Yeong-euijeong, the prime minister of Joseon Dynasty, but there was very few studies focusing on his presence in the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in that it addresses the historical activities of Euian Daegun Yi Hwa to examine vassals of merit from the late era of Goryeo Dynasty to the early era of Joseon Dynasty, and determine any differences in special favors and order of ranks for the vassal of merit. Thus, it is expected that we will be able to explore the lifetime of Yi Hwa, a covered half-brother of Taejo Yi Seong-gye in Korean history, and will be able to examine Yi Hwa``s dynamic actions as royal family at critical moments of historical transition, so that we may find out the military spirit of a vassal behind his meritorious contribution to establishing the legitimacy of Joseon Dynasty in collaboration with emerging gentry armed with the philosophy of Neo-confucianism.

      • KCI등재
      • KCI등재

        중고제 판소리 명창 방만춘, 방진관 연구

        박성환(Park Seong-hw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5 No.-

        동편제, 서편제와 함께 판소리 세 가지 유파 중 하나인 중고제 판소리는 충남 논산 강경의 김성옥을 위시로 한 금강유역권과 서산 해미의 고수관, 방만춘, 방진관 등을 위시로 한 내포문화권에서 크게 발달하였는데, 주로 양반상류층의 애호 속에 담담하고 고아古雅한 가곡풍으로 발전해온 것으로 보인다. 극도의 노력으로 성가를 이뤄 심청가를 완성한 방만춘은 조선 전기8명창 중 한사람으로 판소리사에 큰 업적을 세운 인물이며 가계를 이은 손자 방진관은 방응교와 동일인으로 일제강점기 신제판소리가 유행할 때에도 끝까지 중고제 전통을 지켰고, 그 정통성이 음반과 방송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음반에 전하는 방진관의 소리 〈군사설움〉 대목의 악조 분석을 통해 현행 민속악이나 동, 서편제 소리와 다른 계면조의 평조적 표출, 구성음의 차이, 붙임새와 선율의 단조로움과 반복, 가곡풍의 창법 등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들은 방진관의 판소리가 다른 중고제 명창들의 소리와 유사성이 많으며 이는 동, 서편제에 비해 보다 앞선 시기 고제판소리의 특성으로 볼 수 있다. 허흥식 소장본 심청가 소리책은 내포제의 고장 서산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방진관의 SP음반에 남겨진 판소리 사설 부분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이 소리책이 조선창극사에 기록된 방만춘의 심청가 사설로 방진관을 거쳐 가계에 전해지던 필사본이 아닌가 면밀히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 판소리의 古調를 고수해온 방진관의 중고제 판소리는 이제 전승이 끊긴 매우 희귀한 소리가 되었다. 통속성의 결과로 갈수록 설움조로 계면화되고, 유파나 바디를 떠나 하나같이 소리의 깊이와 다양성이 사라지고 있는 현실에서 방진관의 소리는 판소리 미학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이제 방진관, 이동백, 김창룡, 심상건, 조학진등 중고제 명창들의 이채로운 소리제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함께 실기인들의 활발한 복원 작업을 체계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복원을 넘어, 대동소이하기만한 현대 판소리의 음악관을 더 폭넓게 하고 장차 새로운 현재적 전통을 창조하고 수립하는데 확고한 내적 근거와 자산으로 삼아야 할 것이기에 중고제 판소리의 부활은 매우 긴요하다. Junggoje as one of three pansori schools, along with Dongpyeonje and Seopyeonje has been much developed in the Qeum River Basin with Kim seong-ok in Ganggyeong-eup, Nonsan-si, Chungcheongnam-do and in the aepo cultural area with Go su-gwan, Bang man-chun, and Bang jin-gwan, Haemi-eup, Seosan-si, Chungcheongnam-do. It seems that it has been loved by the upper class of yangban, aristocrat and developed into calm and graceful aria style. Bang man-chun, one of 8 great singers in the Joseon Dynasty who had collected hymns ? and completed Simcheongga with great efforts, performing a feat in the history of pansori. His grandson Bang jin-gwan, an identical person to Bang eung-gyo took over the family business and protected the tradition of Junggoje to the end even under the popularity of new pansori. Its legitimacy has been verified via albums and broadcasting. Through the tone analysis on Bang jin-gwan's pansori, 'A Soldier's Lamentation' from an album, we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such as an expression like Pyungjo of Gyemeonjo different from the present folk music, Dongpyeonje, and Seopyeonje, differences of composing notes, monotonous and repetitive Buchimsea (attachment for effectiveness in drumming method) and melodies, and a singing method with an aria style. These kinds of facts have made us justify that Bang jin-gwan's pansori has lots of similarities to other master singers' songs of Junggoje and that it shows properties of old pansori earlier than Seopyeonje. Heo heung-sik's collection of a sori book Simcheongga has been handed down in the region of Seosan, the hometown of aepoje and checked as it is identical to the story part of the pansori left in Bang jin-gwan's SP album. Based on this information, it is worthwhile to research in detail if the sori book as Bang man-chun's story of Simcheongga recorded in the history of changgeuk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manuscript succeeded in his family by Bang jin-gwan or not. Bang jin-gwan's Junggoje pansori which has adhered to the old tone? of pansori has become a precious sori, without handed down more. His sori is a very valuable material showing the diversity of aesthetics of pansori under the present situation when it has become Gyemyeonjo as the tone of sadness as a result of the popularity, and when the depth and diversity of sori are disappearing regardless of schools or Bodi. Now, it is time to research on the diverse Junggoje master singers including Bang jin-gwan, Lee dong-baek, Kim chang-ryong, Sim sang-geon, and Jo hak-jin and also systematize performers' activities for the enthusiastic restoration. By doing that, we will be able to widen the viewpoint of the pansori music which is not at present, leading to consider it as the solid internal basis and property in creating and establishing the new present tradition. Therefore, it is very essential to resurrect Junggoje pansori.

      • KCI등재

        비평으로서의영화, 영화적주석(註釋)으로서의메타시네마

        전성욱(Seong Wook Jeon) 동남어문학회 2022 동남어문논집 Vol.1 No.53

        이 논문은 ‘문학 매체의 변용과 스토리텔링’이라는 관점에서 구상되었다. 비평이라는 전통적 글쓰기의 형식이 영화라는 시각 매체를 통해 구현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은 임권택과 그의 영화세계를 다룬 정성일의 다큐멘터리 <녹차의 중력>과 <백 두 번째 구름>이다. 이 영화들을 ‘메타시네마’의 개념을 통해 필름으로 구현한 비평(임권택론)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탐구해보았다. 정성일은 비평가로 활동하며 영화를 직접 연출한 감독이다. 그러나 그는무엇보다 영화에 대한 진지한 사랑을 적극적으로 표현해왔던 ‘시네필’이다. 그래서 그가 쓴 비평과 그가 연출한 영화에는 시네필의 ‘자의식’이 강렬하게 표출되어 있다. 정성일은 영화를 사랑하는 가장 적극적인 방식이 그 영화(대상텍스트)가 제기하는 질문에 응답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에게 영화의 존재론에대한 가장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한 것이 임권택이라고 했다. 정성일은 임권택에 대한 작가론 단행본을 기획하였고, 방대한 분량의 인터뷰와 비평작업을 수행하였고, 마침내 영화라는 형식 그 자체로써 임권택의 영화가 제기하는 질문을 비평적으로 성찰하게 되었다. 정성일이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서 수행하는 비평작업은 ‘자기 반영성’의 영화에 대한 고다르의 심오한 작업들에서 크게 영향을 받았으리라 추정된다. 그에게서 영화는 단지 여러 예술 장르 중의 하나가 아니다. 정성일에게 영화는어떤 존재론적 ‘물음’을 통해서 자기를 확인하는 실존적인 자기 증명의 매개체라고까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정성일에게 고다르와 임권택은 그와 마찬가지로 강렬한 영화사랑을 바탕으로 실존적 자기 확인을 실천한 선배이자 선생이었다. 여기서 다룬 두 편의 영화 <녹차의 중력>과 <백두 번째 구름>은 메타시네마적 성찰이라는 고다르적 방법을 통해서 임권택의 영화 현장에서 얻어낸 존재론적 질문과 그 해답의 천착을 다루고 있다. 본고는 그것을 시대사의 흐름이라는 통시적인 관점이 아니라 비평을 통한 실존적 성찰이라는 공시적 관점에서 다루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 비평적 ‘성찰’을 공부(工夫)와 교양(敎養)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배움과 깨달음의 학교로서의 ‘현장’에 대한 정성일의 뚜렷한 자의식을 확인한다. 그리고 그것이 본 논문에서 다루는 두 텍스트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 정성일이 필름을통해서 수행한 비평으로서의 메타시네마적 특성과 의미가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영화라는 매체이지만 활자를 적극 활용한다든가, 인쇄 매체로 출간된텍스트를 즐겨 인용하는 특징들이 드러난다. 그리고 연출의 현장을 엄밀하게관찰함으로써 도출하는 영화에 대한 앎과 깨우침의 과정을 주관적인 감수성으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메타시네마로서의 비평은 정성일이 글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표현할 수 없었던 ‘현장’의 생생함을 자기의 주관적 감성으로써 포착하고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was submitted as one of the planned topics of 'Transformation of Literary Media and Storytelling'. The aspect of how the form of writing called criticism is realized through the medium of film was reviewed. The subject of review is <The Gravity of Green Tea> and <The Hundred Second Cloud>, a documentary by Jeong Seong-il, which deals with Im Kwon-taek and his film world. Through the concept of 'meta cinema', these films were analyzed as a critique and their meaning was explored. It is presumed that the critical work performed by Jeong Seong-il through the medium of film was greatly influenced by Godard's profound works on films of 'self-reflection'. As two teachers and pioneers who awakened Jung Sung-il to the most intense awareness of the ontology of cinema, we examine his influence on Godard and Im Kwon-taek. This thesis confirms Jung Sung-il's clear self-consciousness about the 'field' as a film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kung fu (工夫) and culture (敎養). And how it is reflected in the two texts dealt with in this paper was reviewed. In this part, the meta-cinema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s a critique performed by Jung Sung-il through film were intensively discussed. Although it is a medium of film,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ly using type and quoting texts published in print media are revealed. In addition, the process of knowing and awakening about the film derived by strictly observing the production site is expressed with subjective sensitivity.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ritique as a meta-cinema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capturing and expressing the vividness of the 'field' that could not be expressed through the medium of writing through his subjective emotions.

      • 1920年代 韓國近代喜劇의 樣相

        朴升圭 湖南大學校 1987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Vol.8 No.1

        Modern Comedy in Korea informed in 1920'2. Representative writers are Kim, Chung Jin, Kim, Wo Jin, and Park, Seong Hee. Fifteen minute by Kim, Chung Jin is social problem comedy, and disilusion of a fake poet by Kim, Wo Jin is domestic problem comedy, and Bad high officer by park, Seong Hee is high farce. This inclination was due to insistent idea that Kim, Chung Jin was reporter, and Kim Wo Jin loved Yun, Sim Deok, actress, as a married man. But though Park, Seong Hee mondernized, Romance Bebijangjon, the reason that he prodeced with farce is due to popularity, public performance of Towolhwe.

      • KCI등재

        정조의 경세론과 효제(孝悌)윤리

        김성윤 ( Seong Yun Kim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이 논문은 정조 경세론의 주요 측면들을 통하여 조선후기 실학의 전개 과정에서 정조가 차지하는 위치를 가늠해 본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가 제기한 주요 논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조는 이기론에서 주희나 이황과는 달리 理를 氣의 내재법칙으로 축소시킴으로써 리가 갖는 先在性·초월성·규범성을 외면했다. 정조의 이러한 주기적 이기관은 그의 근본적 시각이 경험적 현실에 있음을 보여준다. 그가 실학자들이 주장해 온 ``道器一體論``을 계승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둘째, 정조는 인성론에서 ``性卽理``라는 주자학의 기본 명제를 부정하고, ``性卽氣``를 주장했다. 아울러 맹자의 성선설에 대해서 性=四端이라는 도식을 부정하고, 사단을 元亨利貞의 四德으로 고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性四德說을 제기했다. 이러한 주장들은 그가 선험적인 원리나 윤리보다는 경험적 현실과 욕구 속에서 인간을 이해하고, 현실의 변화에 맞추어 새로운 사회원리와 윤리를 모색하려 했다는 점을 대변한다. 정조의 이기론과 인성론은 주자학의 정설에서 크게 이탈해 있었다. 셋째, 그는 도교, 불교, 양명학, 서학 등 제반 이단적 학문에 대해서 개방적인 자세를 취했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 개방성은 학문적 권위가 권력적 목적에 이용되는 것을 차단하고, 진정한 학문적·정치적 실익을 추구한 데에 자연히 뒤따르는 현상이었다. 넷째, 정조는 군주가 수신을 바탕으로 명분질서의 모범을 보이고 실제 정치에 관여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는 수신군주론이나 군주성학론의 도그마에서 탈피했다. 이에 따라 그의 통치 방식도 풍속을 돈독히 하는 禮敎的 방식에 치중하지 않고 제도 개혁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접근방식을 보였다. 다섯째, 정조는 영조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정치적 준거를 三代之治 혹은 堯舜之治에 두었다. 그러나 그가 이해한 요순은 은둔적이고 수련적인 철학자의 모습이 아니라 세속적이고 권력적인 정치가였다. 이처럼 그는 ``무위에서 유위로`` 정치 개념과 군주의 역할을 새롭게 이해했으며, 君師로 자처하면서 의리 판별의 권한이 임금에게 있음을 주장한 영조의 정책을 계승했다. 그의 지지자에 의해 국왕이 사문의 도통을 계승했다는 ``君主道統論``이 제기되는 속에서 마침내 자신을 太極에 비유함으로써 자신이 天 혹은 上帝라는 절대군주론을 피력하기에 이르렀다. 여섯째, 정조의 군주론은 중개세력의 매개 없이 군과 민이 직접 소통하는 2단계 정치구조를 지향했다. 그는 이러한 절대왕정을 지탱할 통일된 사회윤리로서 孝悌를 제시하고, 太學序齒를 통해서 이를 시험적으로 실행했다. 태학서치는 군주 이외에 모든 臣民을 하나로 보고, 신민 사이에서는 신분이나 직업이 아닌 나이를 우선시하는 새로운 계서윤리를 선도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실학이 추구하는 새로운 왕정이 결코 이론적 수준에 머무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일곱째, 정조가 추구한 절대왕정은 국가를 家의 類比 내지 확장으로 보는 유교의 家族國家와 외연상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국가권력의 정당성을 도덕보다는 백성의 행복 증진에 두고 국가사회의 결속원리를 인간에 내재한 도덕심이 아니라 개인의 주체적 개별적 연계 속에서 모색했다는 점에서 종래의 유교적 왕정론과는 질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여기에는 차후 근대국가론의 형성으로 나아갈 수 있는 소지가 다분했다. 여덟째, 실학사상의 한말 민중운동으로의 전유와 관련하여 정조의 역할이 있었을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그의 주역 연구와 文王에 대한 특별한 관심은 한말 민중운동에 크게 영향을 끼쳤던 후천개벽설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The main points of this thesis can be centered on several points as follows. First, Jeongjo emphasized that I(理) is the inherence rule of Gi(氣). These Jugijeok Igi-gwan(Gi-centred Philosophy of I and Gi) shows that his fundamental viewpoints focus on an empirical actuality. Second, In theory of human nature, Jeongjo contradicted seong-jeung-ni(性卽理. nature is based on i which is innate in all creatures) and advocated seong-jeung-gi(性卽氣. nature is based on gi). And he advocated that human nature is saduk(四德. the four virtues), not sadan(四端. the four beginnings). Third, Jeongjo had opened up towards the unorthodox. His academic openness was the phenomenon following his utilitarianism. Fourth, Jeongjo`s ruling methods had attached importance to effectiveness of system, not convert. Fifth, He had made the way of the sage King Yao and Shun(堯舜之治) as his political authority. He emphasized that he himself is taegeuk(太極. Great Ultimate). This meens he had announced the absolute monarchy. Sixth, He presented Hyoje(孝悌. filial piety and friendship) as the moral foundation for his absolute monarchy, and practiced it with Taehakseochi(太學序齒). Sevent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Jeongjo had a influence on the theory of hucheongaebyeok(後天開闢. Great Transformation for the world after the creation of heaven). This related with the Silhak(實學)`s transformation to the popular movement at the close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북경에서 만난 조선과 유구(琉球) 사신의 민간외교

        이성혜(Lee, Seong-Hea)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8 No.-

        이 논문은 이수광의 「유구사신증답록(琉球使臣贈答錄)」을 텍스트로하여, 북경에서 만난 조선과 유구 사신(使臣)간의 민간외교 활동에 관한 내용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과 유구는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태조1년(1392)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나 1524년을 마지막으로 유구 사신의 조선 내빙이 끝나고 1530년부터는 북경을 통한 우회 외교가 시작되 었으며, 이 우회 외교도 1596년까지 만난 횟수가 겨우 3회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수광이 북경에 갔던 1611년에 두 나라는 서로에 대한 정보도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외교적으로도 친밀하지 못했다. 이때 양국의 사신이 북경에서 만나 문답하고 시를 주고받는다는 것은 상대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우호를 증진할 좋은 기회였다. 물론 공식적인 접촉은 아니지만 양국의 사신으로 민간 외교의 역할을 하기에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북경에서 만난 조선 사신 이수광과 유구 사신 채견과 마성기는 서로에 대한 궁금증을 문답을 통해 일부 해결하고, 시를 주고받으면서 우호를 증진하는 민간 외교의 역할을 하였다. 시의 내용은 창화자가 양국의 사신이라는점에서 상대 나라와 사신에 대한 의례적 묘사와 칭송이 많다. 그러나 사신간의 만남과 창화는 두 나라의 우호를 증진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내용 보다는 창화했다는 점에 무게를 두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ivate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the envoys of Joseon and Yugu who met in Beijing, with reference to 「Yugu Sasin Jeungdaprok」 written by Lee Su-gwang. According to The Tru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and Yugu made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year(1392) of king Taejo’s reign. But it was just until 1524 when Yugu directly sent its envoys to Joseon. Since 1530, the two nations made diplomatic exchanges in 1530. Even their contacts in this way were made only three times until 1596. Thus, the two countries had little information about and not diplomatic closeness to each other in 1611 when Lee Su-gwang visited Beijing. In that year, the envoys of the two countries met in Beijing and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and poems. This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Joseon and Yugu to better understand and improve friendship with each other. Though informal, their meeting was presumedly enough to be regarded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the private sectors of the two nations. At that time, Joseon’s envoy Lee Su-gwang and Yugu’s ones Chae Gyeon and Ma Seong-ki could partly solved what they wanted to know about each other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They also exchanged poems with each other to promote mutual friendship. Through these moves, the envoys of the two nations showed a good example of nongovernmental diplomacy. Meanwhile, those poems were mostly about the courteous depictions and admirations of each other and their respective country. However, more importance should be put on the fact that the envoys of two different countries read poems to each other and responded to it than on what the poems were about since their meeting and exchanges using poems were to improve frienship between the two nations.

      • KCI등재

        國內飼育 犬에 있어서 心臟絲狀蟲의 感染率에 관한 調査 硏究

        Ji Hee Seong(成知禧),Hwa Joong Yoon(尹和重),Won Chang Lee(李元暢),Kwang Ho Kim(金光浩),Seung Won Kang(姜承遠) 한국예방수의학회 1996 예방수의학회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an epidemiological survey on the prevalence rate of the canine heartworms in Seoul City and the districts of Pa-Ju, Seong-Nam and Po-Chon in Kyonggi province of Korea from September 1994 to the end of September 1995. The blood samples from 292 male and 193 female dogs (pet, 363 ; fighting dogs, 60 ; working dogs, 62) were examined for the adult heartworms cuticle antibodies using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SA) kits. The test was designed to detect the antibodies of the host against the specific cuticle antigens produced with the adult heartw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