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디지털 영상의 표현 층위 고도화와 기술 환경 - 90년대 초 고(高)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의 보급과 CG/CGI 작업물의 관계를 중심으로
윤나라 ( Yoon¸ Na-ra ) 한국기호학회 2022 기호학연구 Vol.70 No.-
이 글은 융합적 담론의 저변 확대를 통해 인문학 연구자뿐만 아니라 콘텐츠 창작자와 기술 개발 당사자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공통 기반의 수립에 기여함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창작과 비평, 기술과 예술 모두에서 공히 빈번하게 다루어지는 컴퓨터 그래픽스(Computer graphics, CG) 및 컴퓨터 생성 이미지(Computer generated imagary, CGI) 분야와 이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을 중심으로 융합적 논의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디지털 영상 작업은 가장 바깥쪽의 시각적 층위 한 겹을 제외하면 표현식의 작성과 조작, 즉 수학적 데이터를 다루는 행위이며, 따라서 데이터의 정확도 및 정밀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소수점이 유동(流動)하는 부동소수점 방식은 고정소수점 방식에 비해 더 적은 자릿수만으로도 더 넓은 범위의 수를 더 정확하고 더 정밀하게 표현할 수 있지만, 소수점의 유동성으로 인해 더 높은 연산 성능을 필요로 한다. 1990년대 초반 저비용 고성능의 범용 하드웨어의 등장과 보급은 새로운 기술 환경을 조성했고, 이는 곧 디지털 영상 작업물의 고도화뿐만 아니라 대중화도 함께 견인했다. 이 글은 당시의 상황을 기술과 예술의 융합적 관점을 통해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이 글은 공학과 수학의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대신 ‘글(또는 말)로 풀어 설명하기’의 방식을 채택할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인문학의 방식으로도 문화예술과 정보기술의 상호작용에 관한 실질적인 담론이 가능한지를 실험한다. This article aims to ponder the lack of competitiveness and the impracticalit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art as well as on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concept of floating point system and FLOPS is important, because all VFX CG/CGI workflow except its surface or “most superficial layer” is fundamentally writing mathematical formulas and manipulating mathematical data. Although the floating point system offers more precision and accuracy, it requires more computing power than the fixed point system. In the early 1990s, low-cost and high-performance general-purpose hardware such as Intel’s Pentium™ processor offered significantly more FP performance or “FLOPS” than before. Such a leap in performance led not only to the advent of a renewed technological environment, but also to the sophistication of VFX CG/CGI workflows, and ultimately, to the declination of a company such as SGI. This article is an experimental attempt that tries to re-examine the then situation not through another traditional point of view, but through a contemporary interdisciplinary one.
Acute Hydronephrosis owing to A Giant Fecaloma in an Older Patient
Narae Joo,Hyung Seok Lee 대한노인병학회 2020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24 No.3
Hydroureteronephrosis with acute urinary tract obstruction can lead to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obstructive nephropathy or pyelonephritis. We report the first case of hydroureteronephrosis caused by a giant fecaloma in an 83-year-old woman accompanied with chronic constipation in Korea. The patient with a fever presented to the emergency room and was diagnosed with right hydronephrosis.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markedly dilated rectum with a giant fecaloma compressing the right vesicoureteric junction. Hydroureteronephrosis was resolved through manual disimpaction of the fecaloma and simultaneous lavage with rectal tubes, which improved the acute pyelonephritis and renal function. Chronic constipation can lead to giant fecaloma threatening urinary tract patency, especially in older patients with immobility or dehydration. Therefore,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is condition as a rare but possible cause of hydronephrosis in older adult patients with chronic constipation.
Nara Jeong,Myeongil Jeong,Seungwon Han,Jaesoon Kim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5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9 No.3
본 연구는 주택정원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정원을 소유하고 있는 도시민과 소유하지 않은 도시민들의 정원 이용 행태와 선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국 대도시의 농업기술센터에서 도시농업 및 정원 관련 교육이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도시민 5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제 정원 소유 집단의 정원 규모는 넓지 않으며 무소유 집단 또한 소규모의 정원을 가꾸길 희망하고 있다. 정원을 이용하는 목적으로 두 집단 모두 휴식, 먹거리 재배, 마음 안정을 추구하고 있다. 하루 중 정원에서 소요하거나 소요하고 싶은 시간은 30분에서 2시간 정도로 분석되어 일상생활의 여가시간 중 정원 활동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진 않다. 정원 소유 집단은 식물(나무)가꾸기, 텃밭가꾸기, 휴식 등의 이용행태를 보이며 무소유 집단 또한 이러한 행태를 희망하고 있다. 이는 이용 목적과 비슷한 경향으로 도시민들은 식물, 나무, 텃밭 등의 정원을 가꾸고 정원에서 휴식을 취하길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정원 조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그늘 바람에 의한 쾌적함, 환경오염에 대한 완충이나 정신적 위안을 포함하는 건강함, 자연성, 아름다움을 중시하였다. 정원에서 식재공간, 휴게공간, 텃밭, 다목적공간 등을 선호하였다. 응답자들은 정원에 그늘을 제공, 계절별 꽃 감상, 열매를 제공할 수 있는 식물, 아름다움 형태 등의 식물 도입을 선호하였다. 정원 관리에 있어서 병해충 및 식물을 비롯한 체계적인 정원 관리방법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한 정원 관리 교육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원 소유 집단은 병해충 방제, 식물 전정 및 정지, 식물 파종 및 식재 방법 등 실제적인 교육을 요구하였으며 무소유 집단은 정원 조성방법, 총괄적 관리방법 등에 관한 교육을 선호하여 수요자의 요구에 맞도록 정원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cquired basic data on the requirements for beginning home gardening by analyz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gardening behaviors and preferences of both urbanites who do and not own garden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08 urbanites who participate in urban farming, garden-related education, or programs at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in major metropolitan areas in Korea. It was found that the gardens owned by the garden-owner group were not very large, and the non-owner group expressed a desire to own small-sized gardens. Both groups stated that their purposes for owning or wanting to own a garden included relaxation, growing food, and relaxation. The garden-owner group demonstrated usage behaviors associated with plant care, vegetable-garden care, and relaxation, while the non-owner group expressed their desire to use their gardens for the same purposes. The behaviors of both groups matched their stated purposes of garden usage. Aspects of gardening that were considered important included naturalness, aesthetics, amenity of being sheltered from the sun and wind, health benefits (such as being safeguarded from pollution), and emotional comfort. Gardens were preferred as spaces for planting, relaxing, vegetable growing, and multi-purpose uses. The respondents also favored plants that provide shade, seasonal flowers to admire, and fruit and plants that are aesthetically pleasing. Systematic management methods (including plant pest control) should be taught for garden management. Moreover, the garden-owner group required education regarding pest control, training and pruning, and planting methods, whereas the non-owner group preferred education on garden development and comprehensive care methods. Therefore, garden education must be imparted based on user n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