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 울릉분지 남서주변부의 탄화수소 트랩 분석

        이민우,강무희,윤영호,이보연,김경오,김진호,박명호,이금석,Lee, Minwoo,Kang, Moo-Hee,Yoon, Youngho,Yi, Bo-Yeon,Kim, Kyong-O,Kim, Jinho,Park, Myong-ho,Lee, Keumsu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5 자원환경지질 Vol.48 No.4

        동해 울릉분지 남서주변부는 탄화수소의 부존 가능성이 높은 대륙붕 환경으로 1990년대 말에 상업적 생산이 가능한 가스전이 발견된 바 있다. 가스전과 인접한 연구지역에서도 추가적인 가스개발을 위해 침식수로 내부의 조립질 퇴적체를 대상으로 시추가 수행되었지만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 취득된 탄성파 및 기존 시추 자료를 이용하여 울릉분지 남서주변부에 분포하는 침식수로 하부에 탄화수소 트랩 가능성이 있는 지질구조를 탐지하였다. 취득된 심부 탄성파 자료 및 시추자료 해석에 의하면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퇴적층은 구조진화와 연계하여 열개동시성 퇴적층군(MS1), 후열개 퇴적층군(MS2), 횡압력 동시성 퇴적층군(MS3), 후횡압력 퇴적층군(MS4)으로 구분된다. 중기 마이오세 이전에 분지형성과 동시에 퇴적된 MS1은 주로 중-저진폭, 저주파수의 캐오틱 음향특성을 나타낸다. 중기 마이오세 동안 분지가 확장되며 다량의 퇴적물이 유입된 MS2는 중-저진폭의 음향특성과 함께 연속성이 양호하며 전진퇴적 양상을 나타낸다. MS3은 고진폭 및 중-고주파수의 연속성이 양호한 반사면을 나타내는데 이는 조립질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조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MS3는 침식수로에 의해 광역적으로 삭박되었으며 침식수로 내부에는 MS4의 세립질 퇴적물이 충전되어 층서트랩을 형성한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트랩 구조는 MS3의 조립질 퇴적층이 저류층을 형성하며 MS4의 세립질 퇴적물로 충전된 침식수로가 덮개암으로 작용하는 층서 트랩으로 트랩 구조 내부에서는 탄화수소 부존을 지시하는 flat-spot 탄성파 이상대가 발달한다. A commercial gas field was found in the southwestern continental shelf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in the late 1990s. To develop additional gas field, an exploration well was drilled through the coarse infill of submarine canyon near the gas field, but it was uneconomic to develop hydrocarbons. Using newly acquired deep seismic reflection and previous well data, we have identified additional geological structure which has hydrocarbon potentials below submarine canyons 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basi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deep seismic reflection and well data, the sequences of the study area can be classified into the syn-rift megasequence(MS1), post-rift megasequence(MS2), syn-compressional megasequence(MS3), and post-compressional megasequence(MS4) in relation to the tectonic events. MS1, deposited simultaneously with the basin formation before the middle Miocene, is characterized by chaotic seismic facies with low- to moderate-amplitude and low frequency reflections. MS2 comprises laterally continuous, low- to moderate-amplitude reflections, showing progradational stacking patterns due to high rates of sediment supply during basin expansion in the middle Miocene. MS3 is mainly composed of continuous reflections with high amplitude and moderate- to high-frequency which are interpreted as coarse-grained sediments. The coarse-grained sediments of MS3 sequence is widely truncated by several submarine canyons which filled with fine-grained sediment of MS4 to form a stratigraphic trap of hydrocarbon. Therefore, the reservoir and seal of the hydrocarbon trap in the study area are coarse-grained sediment of MS3 and submarine canyon filled with fine-grained sediment of MS4, respectively. A flat-spot seismic anomaly, which may indicate the presence of hydrocarbon, is observed within the stratigraphic trap.

      • KCI등재

        긴장 및 조절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들에서의 사시 수술 후 결과

        이민우(Minwoo Lee),한승한(Sueng-Han Han),한진우(Jinu Han)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5

        목적: 높은 조절눈모음비(accommodative convergence per accommodation, AC/A)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들과 낮은 조절눈모음 비를 가진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들에서 양안 내직근 후전술(bilateral medial rectus recession)의 수술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근거리 사시각이 원거리 사시각보다 10 prism diopter (PD) 이상 큰 환자들 중에서 양안 내직근 후전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들 중 사시 수술을 경험한 모든 환자들의 의무 기록을 확인하였고,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 6명과 높은 조절눈모음비(AC/A)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지막 추적 관찰 기록에서 원거리와 근거리 주시 시 각도 편차가 10 PD 이하이며, 원거리와 근거리의 사시각이 8 PD 이하인 경우를 성공적인 수술 결과로 정의하였다. 결과: 수술 당시의 평균 연령은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 5.9 ± 1.6세였고, 높은 조절눈모음비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는 7.3 ± 2.9세로 관찰되었다(p=0.301). 수술 후 추적관찰기간은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 2.7 ± 2.9년, 높은 조절눈모음비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 4.0 ± 3.3년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426). 근거리와 원거리 사시각의 차이는 모든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100%)에서 10 PD 이내로 줄어들었으나, 높은 조절눈모음비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의 경우 10명 중 오직 6명(60%)만이 10 PD 이내로 줄어들었다. 수술의 성공률은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 5명(83.3%), 높은 조절눈모음비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군에서 5명(50%)으로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 수술의 성공률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나, 숫자가 작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지는 않았다(p=0.307, Fisher’s exact test).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 5명에서는 증량 양안 내직근 후전술을 시행하였고 5명(100%) 모두에서 성공적인 수술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에서 양안 내직근 후전술을 시행하였을 때 6명 중 5명(83%)에서 성공적인 수술 결과를 확인하였으 며, 이는 높은 조절눈모음비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 확인한 수술 성공률(50%)에 비해 높았다. 또한 높은 조절눈모음비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군에서 증량 내직근 후전술을 시행할 때에 비하여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군에서 증량 내직근 후전술을 시행할 때더욱 높은 성공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8;59(5):465-470> Purpose: To investigate the surgical outcomes of augmented bilateral medial rectus (BMR) recession in patients with low accommodative convergence/accommodation (AC/A) ratio tonic convergence excess esotropia (ET) compared to high AC/A ratio convergence excess ET.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ith esodeviation ≥10 prism diopter at near than at distance fixation who underwent BMR recession. The medical records of all esotropic patients with convergence excess who underwent strabismus surgery were reviewed. Six patients with tonic convergence excess and 10 patients with a high AC/A ratio met the study inclusion criteria. A successful outcome was defined as a near or distance angle of deviation ≤8 prism diopter and a ≤10 prism diopter difference between the two at the final recorded visit. Results: The mean age at surgery was 5.9 ± 1.6 years in the tonic convergence excess ET group and 7.3 ± 2.9 years in the high AC/A ET group (p = 0.301). The average length of the postoperative follow-up was 2.7 years (range, 0.6–8.4 years) in the tonic convergence excess ET group and 4.0 years (range, 0.6–8.4 years) in the high AC/A ET group (p = 0.426). Near-distance disparities were reduced in all patients with tonic convergence excess ET within 10 prism diopter postoperatively, but in only 6 of 10 patients in the high AC/A ET group. Five of 6 patients (83.3%) had successful outcomes in tonic convergence excess ET group; 5 of 10 patients (50%) had successful outcomes in the high AC/A ET group. Conclusions: In our series, five patients (83%) obtained successful results in the tonic convergence excess ET group compared with 50% in the high AC/A ET group. Augmented BMR recession can be safely performed in esotropic patients with tonic convergence excess. J Korean Ophthalmol Soc 2018;59(5):465-470

      • KCI등재

        북한의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 움직임 분석에 관한 연구

        이민우(Minwoo Lee),이춘주(Choonjoo Lee)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8 한국군사학논집 Vol.74 No.3

        North Korea keeps developing nuclear weapon as well as various types of missile launchers, such as Transporter Erector Launcher(TEL), submarine launcher, and solid-fueled missile launcher to evade detection during launch preparation. As a defensive response to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South Korea is continue researching and developing its own Kill-Chain, Korean Air and Missile Defense(KAMD), and Korean Massive Punishment and Retaliation(KMPR). However, South Korea’s Kill-chain system has a limitation on North Korea’s mobile missile launchers if real-time target information is not provid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 TEL pattern analysis which models TEL movement to improve this limit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on strike location tracking and efficient military operation by proposing model which provides estimation on TEL movement pattern and subsequential strike location tracking.

      • KCI등재후보

        PPL 배치형태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민우(Minwoo Lee)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7 아태경상저널 Vol.9 No.2

        간접광고(PPL: Product Placement)는 영화나 드라마 속에서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고 의도적으로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들을 노출시키는 형태의 광고이다. 방송심의 규정에서는 PPL은 자막으로 표시되거나 의도적인 제품노출이 아니라 드라마에서 필요한 소품과 배경에 한해서만 간접적으로 제품이 등장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 속에서 자주 노출되는 PPL의 의미와 유형을 알아본다. 그리고 드라마 속에 배치된 브랜드를 중심으로 드라마 속 PPL의 사례와 문제점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하여 PPL 배치형태와 브랜드 친숙도에 따라 브랜드 회상도, 브랜드 태도, 브랜드 구매의도 등에 어떠한 영향를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배치 형태와 브랜드 친숙도는 브랜드 회상도, 브랜드 태도, 브랜드 구매의도 등에 상호작용효과를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PPL(product placement) is a type of advertisement that exposes certain products or brands by intentionally paying a certain fee in a movie or drama. In the broadcasting deliberation regulations, the PPL allows products to appear only indirectly in the backgrounds and backgrounds needed for the drama, rather than being displayed as captions or intentional product exposures.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and types of PPL that is frequently exposed in drama. And we discuss the cases of PPL in the drama and the problem centered on the brand placed in the drama. Finally, we examined the effects of PPL layout type and brand familiarity on brand recall, brand attitude, and br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experiments.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placement style and brand familiarity interact with brand recall, brand attitude, and brand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조선 초기 科田의 世傳 문제와 수신전·휼양전의 개정

        이민우(Lee Minwoo) 한국사학회 2019 史學硏究 Vol.0 No.135

        과전법 제정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에 하나는 고려 말 개인 간에 무분별한 토지의 사적인 승계를 바로잡는 것이었다. 과전법에서 원칙적으로 자격을 상실한 다른 사람의 토지를 체수하는 방식을 통해 토지의 수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까닭은 바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이었다. 그럼에도 관직자들은 고려 말 이래의 관행에 따라 여전히 과전을 가족관계내에서 승계하기를 원하였다. 과전법은 체수를 원칙으로 하면서도 세전의 가능성을 부정하지 않는 절충적 면모를 지니고 있었다. 과전 체수의 원칙과 사실상의 전수 사이의 긴장은 과전법 제정 당시부터 존재해왔으며, 조선 건국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과전을 자손들에게 승계하고자 하는 요구가 점점 커졌다. 태종대 이루어진 수신전․휼양전에 대한 개정은 관직자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과전 승계의 폭을 크게 확장하는 방향으로 귀결되었다. 과전법에 나타난 과전의 승계에 대한 절충적인 면모가 결국 세전을 사실상 허용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고려시대의 관념과 관행이 조선 건국이라는 격변과 큰 폭의 제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끈질기게 지속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체수의 원칙이 훼손되거나 무효화하지는 않았으며, 제도 개혁은 수신전․휼양전이라는 유교적 가치를 담지한 제도의 외양 안에서 현실의 가족관계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The Gwajeonbeop was eclectic in that it did not deny the possibility of successes in family relationships, even though the principle was hand-over. The tension between the principle and the reality has exist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Gwajeonbeop, and as time passed since the founding of Joseon, the demand for successes in family relationships grew. The revision of the Susinjeon and Hyulyangjeon in King Taejong period resulted in the direction of accepting the demands of the officials and greatly expanding the width of succession. The process in which the eclectic aspects in the Gwajeonbeop eventually changed in the direction that allowed the succession in family relationships means that the custom and idea about land in Goryo persisted despite the upheaval of the founding of the Joseon and the radical changes in the institution of land. Nevertheless, the principle of hand-over did not deteriorate or invalidate, and the reform of the system was carried out in the exterior of the system bearing the Confucian values.

      • KCI등재

        HybridFTW를 사용한 효율적인 k-NN 검색

        이민우(Minwoo Lee),문양세(Yang-Sae Moon),김진호(Jinh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40 No.6

        시계열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유사 검색에서 동적 타임 워핑(dynamic time warping: DTW) 거리를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DTW 거리는 유사 검색에서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지만, 계산이 복잡하여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DTW 거리의 효율적 계산 방법으로 FastDTW와 FTW가 제안되었고, 최근 이 두 방법의 장점을 취한 HybridFTW가 제안되었다. HybridFTW는 FastDTW의 허용 범위 제한을 통한 빠른 계산의 장점과 FTW의 미리 버림의 장점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접근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FTW와 FastDTW의 장점을 각각 분석하고, 이들의 장점을 취한 HybridFTW의 개념을 설명한다. 그런 다음, HybridFTW를 k-NN 검색에 사용하기 위한 주요 절차를 다섯 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그리고, 이들 다섯 단계를 사용하여 HybridFTW 기반의 k-NN알고리즘을 새롭게 제안하고, 그 정확성을 정리로서 제시하고 증명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실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FastDTW와 FTW를 기반한 알고리즘보다 최대 20배까지 성능을 향상시킴을 보인다.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 efforts on computing the DTW(dynamic time warping) distance efficiently in similarity search on time-series databases. The DTW distance is known to offer the high accuracy in similarity search, but it has a critical problem in supporting the large database due to its high computation complexity. For the fast computation of the DTW distance, FastDTW and FTW have been proposed recently, and HybridFTW has also been proposed to adopt both of their advantages. HybridFTW is a hybrid approach that combines the advantage of FastDTW, which provides the fast computation through the limitation of allowable ranges, and the advantage of FTW, which exploits the early abandon effect.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 the computation procedure of FastDTW and FTW in detail and present the concept of HybridFTW by taking both of their advantages. After then, we propose a HybridFTW-based k-NN algorithm. For this, we first explain five major steps to implement the HybridFTW-based k-NN search in detail. We next propose a formal k-NN algorithm exploiting HybridFTW and prove its correctness through a formal theorem. Experimental results for real and synthetic data sets show that the proposed k-NN algorithm improves the search performance by up to 20 times over k-NN algorithms based on FastDTW and FT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