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VLBI 구현을 위한 네트워크 모델 설계

        송민규,변도영,김현구,오세진,한석태,노덕규,이보안,Song, Min-Gyu,Byun, Do-Young,Kim, Hyun-Goo,Oh, Se-Jin,Han, Seog-Tae,Roh, Duk-Gyoo,Lee, Bo-Ahn 한국천문학회 2005 天文學論叢 Vol.20 No.1

        e-VLBI was invent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VLBI (Very-Long-Baseline Interferometry) system by transmitting the data via high speed network. Korean VLBI Network (KVN) has a plan to construct e-VLBI system named e-KVN. High speed backbone network and efficient network model are essential to implement successful e-VLBI system. This paper introduces a network model based on PC cluster technology. The present status of high speed backbone network in Korea is overviewed. We suggest that the network link via Korea Advanced Research Network (KOREN) is one of feasible way for e-KVN. We also describe the principles of e-VLBI and protocol for network transmission such as VSI-E (VLBI Standard Interface - Electronic), 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and RTCP (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 프로피버스 기반의 KVN수신기 제어 인터페이스 구현

        송민규,변도영,제도흥,이정원,강용우,위석오,정문희,강지만,Song, Min-Gyu,Byeon, Do-Yeong,Je, Do-Heung,Lee, Jeong-Won,Gang, Yong-U,Wi, Seok-O,Jeong, Mun-Hui,Gang, Ji-Man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22/43/86/129GHz로 구성되는 KVN 4채널 수신기시스템의 제어 및 모니터링에 있어 데이터의 신속 정확한 전송 및 효율적인 시스템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수신기 등의 프런트 엔드 시스템을 통해 입력되는 천체신호를 실시간 처리하기 위해서는 그를 구성하는 각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구현은 물론 아날로그/디지털/시리얼 인터페스 간 적절한 조합이 구현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KVN은 프로피버스를 KVN수신기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기반 인터페이스로 선택하였다. 프로피버스의 이점으로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그 중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시스템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가장 큰 장점으로 들 수 있다. 우리의 경우 KVN 수신기의 제어 인터페이스 구성에 있어 이러한 장점을 십분 활용하였다. 본 포스터에서는 프로피버스의 개요 및 특성에 대한 소개를 기반으로 분산 환경의 시스템 항목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구현된 KVN수신기의 제어 인터페이스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분산 환경에 최적화된 프로피버스 기반의 M&C 시스템 구현

        송민규 ( Min Gyu Song ),제도흥 ( De Heung Je ),변도영 ( Do Young Byun ),이정원 ( Jung Won Lee ),정문희 ( Moon Hee Chung ),강지만 ( Ji Man Kang ),위석오 ( Seog Oh Wi ),강용우 ( Yong Woo Kang ) 대한설비관리학회 2012 대한설비관리학회지 Vol.17 No.4

        Traditional control & monitor system is operated on local environment and its use is limited. Therefore, it is so difficult to interface each instrument and device as well as design optimized control & monitoring systems. But based on the advances in computer and instrument technology, the paradigm of control & monitoring is changing to module based integrated systems. In the field of industry and research, integrated control & monitoring system is becoming more and more necessary. In this paper, we discuss ways to configure each component system in distributed environment, and furthermore, design the integrated interface for managing and processing of received data from each instrument. To achieve this, we utilize profibus as a basis for implementing integrated control & monitoring interface and, practically applied this interface to KVN (Korean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er network) receiver system.

      • KCI등재후보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을 위한 ActiveX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설계

        송민규(Song Min-G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7 No.6

        ActiveX는 컴포넌트 간 통신을 위하여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기술로서 COM 기반의 분산 애플리케이션 모델이 발전된 형태에 해당한다[1]. ActiveX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과정에서 코드의 재사용 및 객체 링크를 지원하므로 개발자는 이를 통해 여러 객체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통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효율성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분산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위주의 프로그램을 손쉽게 작성할 수 있다[2]. 그동안 Visual C++, Visual Basic 개발 환경에서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던 ActiveX는 프로그램 개발의 효율성으로 인하여 제어 및 계측 분야에서도 현 재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ActiveX 기술을 활용하여 원격에서 시스템 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웹 브라우져와 미디어 플레이어를 ActiveX 컨트롤의 형태로 구현하여 제어와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할 것이며 인스트루먼트 컨트롤을 위한 드라이버로서 VISA(Virtual Instrument Standard Architecture)를 활용할 것이다. Microsoft’s ActiveX corresponding to the advanced type of COM based distributed application model is made available for the use of component communication[l]. ActiveX supports reuse of code and object linking, so developers can integrate many objects into application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development. Also, Integration of seperated application makes easy to develop customized program[2]. ActiveX, formerly used to develope communication application in Visual C++ or Visual Basic, has the efficiency of programming and is widely used in the M&C(Monitoring and Control) of instruments. In this paper, we will implement M&C application capable of remote operating, and besides, develop web browser and media player in the form of Activex control in order to control and monitor program remotely.

      • KCI등재

        서버 기반 컴퓨팅을 활용한 씬-클라이언트 아키텍쳐 설계 및 구현

        송민규(Min-Gyu So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3 No.5

        네트워크 및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컴퓨팅 서비스 방식에도 상당한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 1960년대 메인프레임으로 출발하였던 컴퓨터 시스템은 1980년대 출시된 PC를 거쳐 이제는 서버 기반의 컴퓨팅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는 씬-클라이언트(Thin-Client)로 진화하고 있다. 씬-클라이언트 컴퓨팅방식에서 네트워크는 애플리케이션 전달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며 클라이언트는 원격에서 서버 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팅 자원을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씬-클라이언트 아키텍쳐 구현을 위한 한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와 분산 컴퓨팅 기술을 제시하였고 그를 위한 기술로서 COM(Component Object Model)과 PYRO(PYthon Remote Objects)를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씬-클라이언트의 개념과 원리를 시작으로 그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응용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씬-클라이언트의 아키텍쳐를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In the field of computing service, there is a copernican revolution indebted to development of network & computer technology. Computer system, which is set to mainframe in the 1960"s, is advancing torwards to the paradigm of server based computing, so-called thin-client. In thin-client computing, network is the platform which is responsible for transfer of application, so that client execute application installed on server. It is also possible that each system share the computing resource connected with network. In this parer, we suggest component & distributed computing technology as a meas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n-client architecture hence, make the best use of COM(Component Object Model and PYRO (PYthon Remote Objects). We talk about the concept and mechanism of thin-client at the beginning, and propose the design of network architecture for the implementation thin-client.

      • KCI등재

        시각 음성인식을 위한 영상 기반 접근방법에 기반한 강인한 시각 특징 파라미터의 추출 방법

        송민규(Song Min Gyu),Thanh Trung Pham,민소희(So Hee Min),김진영(Jing Young Kim),나승유(Seung You Na),황성택(Hwang Sung Taek)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0 No.3

        음성 인식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잡음 환경하의 음성 인식은 여전히 어려운 분야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음성 정보 이외에 시각 정보를 이용한 시각 음성인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시각 정보 또한 음성과 마찬가지로 주위 조명 환경이나 기타, 다른 요인에 따른 영상잡음이 존재하며, 이런 영상잡음은 시각 음성 인식의 성능 저하를 야기한다. 따라서 인식 성능 향상을 위해 시각 특징 파라미터를 어떻게 추출하느냐는 하나의 관심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HMM기반 시각 음성인식의 인식 성능 향상을 위한 영상 기반 접근방법에 따른 시각 특징 파라미터의 추출 방법에 대하여 논하고 그에 따른 인식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을 위해 105명에 화자에 대한 62단어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히스토그램 매칭, 입술 접기, 프레임 간 필터링 기법, 선형마스크, DCT, PCA 등을 적용하여 시각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에 의해 추출된 특징 파라미터를 인식기에 적용하였을 때의 인식 성능은 기본 파라미터에 비해 약21%의 성능 향상이 됨을 알 수 있다. In spite of development in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speech recognition under noisy environment is still a difficult task.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ers has been proposed different methods where they have been used visual information except audio information for visual speech recognition. However, visual information also has visual noises as well as the noises of audio information, and this visual noises cause degradation in visual speech recognition. Therefore, it is one the field of interest how to extract visual features parameter for enhancing visual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visual feature parameter extraction based on image-base approach for enhancing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HMM based visual speech recognizer. For experiments, we have constructed Audio-visual database which is consisted with 105 speackers and each speaker has uttered 62 words. We have applied histogram matching, lip folding, RASTA filtering, Liner Mask, DCT and PCA.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ecognition performance of our proposed method enhanced at about 21% than the baseline method.

      • KCI등재

        모바일 환경에서의 시각 음성인식을 위한 눈 정위 기반 입술 탐지에 대한 연구

        송민규(Song Min Gyu),Thanh Trung Pham,김진영(Jin Young Kim),황성택(Hwang Sung Taek)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9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9 No.4

        음성 인식 기술은 편리한 삶을 추구하는 요즘 추세에 HMI를 위해 매력적인 기술이다. 음성 인식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여전히 잡음 환경에서의 성능은 취약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요즘은 청각 정보 뿐 아니라 시각 정보를 이용하는 시각 음성인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시각 음성인식을 위한 입술의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시각 음성인식을 위해서는 정확한 입술의 탐지가 필요하다. 우리는 입력 영상에서 입술에 비해 보다 찾기 쉬운 눈을 이용하여 눈의 위치를 먼저 탐지한 후 이 정보를 이용하여 대략적인 입술 영상을 구한다. 구해진 입술 영상에 K-means 집단화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들 중 가장 큰 영역을 선택하여 입술의 양 끝점과 중심을 얻는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is attractive technique in trend these day that seek convenient life. Although many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for ASR but the performance is still not good in noisy environment. Now-a-days in the state of art in speech recognition. ASR uses not only the audio information but also the visu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lip detection method for visual speech recognition in mobile environment. In order to apply visual information to speech recognition, we need to extract exact lip regions. Because eye-detection is more easy than lip-detection, we firstly detect positions of left and right eyes, then locate lip region roughly. After that we apply K-means clustering technique to devide that region into groups, than two lip corners and lip center are detected by choosing biggest one among clustered groups. Finally, we have show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the experiments based on samsung AVSR datab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