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초·중·고등학교 홈페이지의 생물 교육 정보에 관한 활용 실태 분석

        김유정,김현섭,김종균,박영철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8 과학교육연구 Vol.29 No.1

        인터넷은 세계적인 흐름과 정보를 필요로 하는 수요의 증가에 편승하여 교육 정치, 문화 등 사회 전반적으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학교 홈페이지는 인터넷 자체에 대한 교육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인터넷을 활용한 과학 교육은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 할 수 있으며, 학습자 스스로 교육 내용과 방법을 구성할 수 있는 열린 과학 교육의 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 초·중·고등학교 홈페이지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은 원격 교육을 통한 효과적인 교육, 특히 생물 교육을 위해 종합적이고 분석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재 국내 학교 홈페이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사용자들의 관심도와 그 활용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게 본 연구의 목적이다. 각 학교 홈페이지의 평가 기준에 의한 점수를 분석한 결과, 초등 학교의 경우 모든 학교가 50점 미만의 점수를 얻었고, 50점 이상의 학교는 중학교가 약 14.3%, 고등 학교가 15%로 나타났다. 선정된 학교를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가장 많은 학교가 있었고, 그 외엔 부산, 광주, 경기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초·중·고등학교 홈페이지는 대부분 학교 소개에 국한되어 있으며, 학습자의 참여도 대부분 하루평균 1회에서 2회로 사용 빈도가 활발치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사의 학습자들에 대한 보습, 지도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의 효율성을 뒷받침하는 정보 교환 장소는 형식적인 게시판 정도에 불과하였으며 관련된 정보 역시 학습자들의 활용에 효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 정보의 경우, 초등학교는 F, G, L학교만이 과학 관련 자료를 싣고 있었다. F학교는 자연에 대한 유익한 자료들이 연결되어 있지만 구성력이 없으며 그 대부분이 외국 자료이고, G학교는 동식물에 관한 자료만 얻을 수 있었고, L학교는 과학 관련 정보가 빈약하였다. 중학교는 C, Q, R, T, U학교만이 과학 관련 자료가 연결되어 있었다. C학교는 홈페이지에서 직접 관련 자료로 이동 할 수 없는 불편한 점이 있었고 과학 관련 자료도 비체계적이어서 학습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없다. 자료 역시 대부분 외국 자료이므로 외국어에 능숙하지 못한 학습자들의 활용에 어려움이 따른다. T학교의 경우, Oomph!에 연결되어 과학 관련 자료를 얻을 수 있는데, 이 학교는 국내 중학교 중 가장 많은 자료가 수록되어 있었으며 분야별로 체계적이지는 못했지만 비교적 외국 자료가 적어 학습자들의 교과 활동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는 E, F, I, J, L, N, S, T학교가 과학 관련 자료가 연결되어 있었다. B학교는 보물창고란에 물리에 10개의 사이트, 화학에 14개, 생물에 17개, 지구과학에 15개가 연결되어 국내 고등 학교 중 가장 많은 자료를 올려놓고 있지만 보물창고란 모두 외국 자료이므로 외국어 해독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들의 정보 이용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와 S, T학교는 분야별로 세분되지는 않았지만 개인 또는 대학에 있는 생물 관련 학과와 연결해 놓는 등 국내 학생들의 정보 활용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었다. J학교 생물부에서 주요활동으로 하는 실험 내용과 외국 자료를 실어 놓았으나 그 지식은 일부 분야에 국한되어 있고 조직화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국내 초·중·고등학교 홈페이지의 생물 자료는 몇 개의 학교가 연결되어 있으나 체계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전문 지식이 없으며 외국 자료가 많아 국내 학습자들의 교과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홈페이지의 생물 교육 정보 자료의 질적 향상을 위해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necessity of the Internet has been increasing more and more in the educational, political, cultural and social areas due to the increasing need for information. Homepages established by each school can be used for Internet education. In particular, science education through Internet will induce posi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provide learners with opportunities for self-directed learning. Therefore, diagnosis and analysis through systematic and analytic research of problems of homepages created by prelimin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highly needed to promote efficient education, particularly in the biology education fiel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school homepages in turns of user's concerns and appearances based on analyzed results. Based on the analysed results using evaluation tools, all primary schools got under 50 points, and only 14.3% of middle schools and approximately 15% of high schools got over 50 points out of a possible 100 points. In respect to regional homepage distribution, Seoul placed first in the number of schools. Pusan, Kwangju and Kyunggi Province followed. The role of most school homepages surveyed was limited to introducing their schools, and learners visit these sites only one or two times a day, and not enough educational information was revealed to be efficient. Teacher's instruction regarding homepages was found to be ineffective. In addition, info-exchange place supporting information exchange efficiency was limited to formal bulletin boards, and information relating to learning also turned out to be unhelpful to learner's usage. In the case of the primary school, only F, G and L schools uploaded data connected with science especially in the field of biology. In F school, although it links with useful data about nature, those data appear to be unsystematic and link too many foreign data. G school only provides data relating to zoology and botany, and L school loads very little science-related data. In the case of the middle school, only C, Q, R, T and U schools have data relating to science. C school has a defect in direct linking with related data in homepage. Also, users incapable of foreign language skills can not make use of the data because it is unsystematic and written in a foreign language. But T school links "Oomph!" so that student can obtain some data relating to science. This school retains more Korean data than the other domestic middle school homepages though it is unsystematic. In the case of the high school, E, F, I, J, L, N, S and T school homepages link with science data. B school loads more data than the domestic high schools, which links with 10 physics sites, 14 chemistry sites, 17 biology sites, 15 earth science sites. However, the "Treasure box" sector is composed of foreign data, which is unhelpful to learners who are not good at foreign languages. Though I, S and T school homepages do not classify the data by each field, they link with private or domestic university biology sites, so students can use them. J school loads foreign data and the text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its biology section, but they are unsystematic and limited. In conclusion, few domestic school homepages link with data relating to biology. Those data are unsystematic, have no specialized knowledge and contain too much foreign data, so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using them for domestic learn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biology instruction information through homepages based on analysis of homepage problems for both users and owners.

      • KCI등재

        Quantitative comparison of mRNA expression of glucosyltransferase(GTF) between xylitol-resistant(X^(R)) and xylitol-sensitive(X^(s)) mutans streptococci

        Kim, Chong-Chul,Lee, Mi-Na,Kim, Young-Jae,Lee, Sung-Hoon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1

        Since the long-term exposure of mutans streptococci to xylitol is known to select for xylitol-resistant(X^(R)) natural mutants, the occurrence and survival of such X^(R) strains were performed in batch culture method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tiation and quantification of mRNA expression of the gtf genes of X^(R) and X^(S) mutans streptococci. Using a real-time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expression of each gtf was determined. In X^(R) strains, the relative levels of transcription of gtfB and gtfC were decreased while that of gtfD was increased, suggesting the presence of independent promoters. It also suggested that mutation related to production of glucosyltransferase occurred under the exposure of xylitol could explain the caries-preventive mechanisms of xylitol. 자일리톨에 장기간 노출된 mutans streptococci는 자일리톨에 내성이 발현되어 자일리톨 내성균주가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mutans streptococci에서 자일리톨 내성균주와 감성균주의 gtf 유전자 발현량을 각각의 유전자별로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gtf 발현을 조사한 결과 gtfD는 증가한 반면. gtfB와 gtfC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각 유전자의 독립된 조절기전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자일리톨에 노출된 mutans streptococci에서의 glucosyltransferase와 연관된 유전자변형이 자일리톨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의 작용기전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수평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견인 : 증례 보고

        김미니,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4

        본 증례는 수평 변위 매복과 치근 만곡을 가진 상악 중절치를 폐쇄 노출법을 이용한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영구 전치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였다. 상악 영구 전치가 수평으로 매복된 경우,가급적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촉진,시진,방사선 사진 등을 이용한 적절한 치료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상악 영구 전치의 매복이 조기에 적절히 치료되지 못하면 정중선의 변위,인접치의 이동에 의한 맹출 공간의 감소,치조골 높이의 차이 뿐만 아니라,이로 인한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소아 심리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매복치의 치료는 매복치의 형태,위치,상태에 따라 다양하나,주기적 관찰 방법,상부 연조직과 경조직을 단순히 제거하여 맹출을 유도하는 방법,외과적 노출 후 매복치를 교정적으로 견인하는 방법,치아 이식술,발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이중 이번 증례에서 시행한 매복치의 교정적 견인은 매복치의 치축이 정상 맹출로와 일치되지 않으며,주기적인 관찰 후 더 이상의 맹출이 기대되지 않을 때 시행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으로 매복의 심도,치아의 발육단계,만곡의 부위와 정도,수술방법과 견인방향 등을 고려하여 치료의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Maxillary central incisor impactions occur infrequently. Their origins include various local causes, such as odontoma, supernumerary teeth, space loss, and disturbances in the eruption path, also trauma and apical follicular cysts. Impacted teeth can cause serious dental and aesthetic difficulties as well as psychological problems especially in anterior regions. Although the impaction of maxillary incisor occurs less frequently than that of the maxillary canine. it is of concern to parents during the early mixed dentition stage because of the uneruption of the tooth. Forced eruption of impacted teeth should be considered in young patients because this technique can lead to suitable results from a periodontal, occlusal, and esthetic perspective at an earlier stage better than with other treatment options. This report presents the surgical and orthodontic treatment of cases with horizontally impacted and dilacerated maxillary central incisors. For each patient. we used the closed eruption method. placed an attachment on the impacted tooth on surgery, and fully closed the flap. Traction was applied immediately. The impacted tooth erupts through the healed tissue in a manner resembling normal eruption.

      • KCI등재

        상악 제2유구치와 상악 제1대구치의 치관 형태: 치아계측학적 연구

        김지인,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4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imary crowns usually resemble their succeeding permanent teeth. However, maxillary second primary molars resemble ipsilateral first permanent molars. Accordingly in this study, odontometric data of the two teeth was obtained, then analyzed to verify the morphological relationship and sex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eth. Dental study casts were examined for their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width of the crowns, diameter of each cusps, and intercuspal distances. Photographs of the crowns were taken to measure the angles between each cusp tip.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boys, PrI, PaI, DBC angle, and MBC angle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eth(p>0.05), and moderate level of correlations were observed. 2. In girls, crown index, DBC angle, and MBC angle of the two teeth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and moderate level of correlations were recognized. 3. Measurements tha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eth in both boys and girls were DBC angle and MBC angle(p>0.05). In DLC angle,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p<0.01). 4. Most of the measurements showed sex differences, except DBC angle, which did not show any sex difference in both teeth(p>0.05). 유치 치관의 기본적인 구조는 대개 계승 영구치를 닮는다. 그러나 제2유구치는 계승 영구치인 제2소구치보다 오히려 제1대 구치와 더 유사한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에서 상악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의 치아계측학적 자료(odontometric data)를 얻어 두 치아의 형태와 크기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남녀간의 차이점 유무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남아 150명, 여아 150명 총 300명의 모형을 이용하여 상악 제2유구치와 상악 제1대구치의 근원심 치관 폭경, 협설측 치관 폭경, 각 교두의 직경, 교두정간 거리를 계측하였고, 치관의 교합면 사진을 촬영하여 각 교두정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아에서 Protocone index, Paraconeindex, Distobuccal cusp(DBC)각, Mesiobuccal cusp(MBC)각은 상악 제1대 구치와 제2유구치 사이에 통계적 유의차가 관찰되지 않았고(p>0.05), 중등도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2. 여아에서 crown index, Distobuccal cusp(DBC)각, Mesiobuccal cusp(MBC)각은 상악 제1대구치와 제2유구치 사 이에 통계적 유의차가 관찰되지 않았고(p>0.05), 중등도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3. 남, 여 모두에서 Distobuccal cusp(DBC)각, Mesiobuccal cusp(MBC)각은 두 치아 사이에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고(p>0.05), Distolingual cusp(DLC)각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관찰되었다(p<0.01). 4. 대부분의 계측치에서 남녀 차이를 나타냈지만, Distobuccal cusp (DBC)각은 상악 제1대구치와 제2유구치 모두에서 남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KCI등재

        성장기 아동의 single tooth scissors bite의 교정 치료: 증례 보고

        김지인,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4

        A scissors bite in the posterior teeth occurs when the upper teeth are positioned totally buccal to the lower teeth in centric occlusion, either unilaterally or bilaterally. This malocclusion can result from either excessive width of the maxilla or deficient width of the mandible, or sometimes combination of the both. Scissors bite, when left untreated without a proper dental intervention, interferes with the normal mandibular growth leading to a state where consequent disharmony in dental arch width evokes occlusal disturbances. Therefore, early preventive orthodontic treatment is necessary in patients with scissors bite. Scissors bite rarely involves anterior and posterior sites concuttently across the dental arch but usually affect single tooth. Even in the single tooth scissors bite cases, more likely to be met in the clinical fields, immediate dental intervention is indicated because continuous occlusal forces that exacerbate the already adverse axis of the posterior teeth. In this case study, patients with single tooth scissors bite, each 7, 14, 12, and 16 years old, were each treated with criss-cross elastic, fixed appliance, removable appliance, and miniscrews. With the proper selection of appliances appropriate to each specific cases, good treatment outcome can be achieved without resulting any side effects. 중심교합위의 상태에서 편측 혹은 양측으로 상악 구치부의 치아가 하악 구치부의 협측으로 위치한 경우를 scissors bite라 고 한다. 이는 상악의 폭경이 크거나 하악의 폭경이 좁은 경우 발생한다. Scissors bite의 경우 방치하게 되면 하악의 성장이 방해받게 되고 그 결과, 악궁 폭경의 부조화가 심해져 저작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기 차단 교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실제 임상에서는 여러 치아의 scissors bite보다 최후방 구치 혹은 그 외 하나의 구치만의 single tooth scissors bite(STSB)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STSB의 경우도 방치하게 되면 저작력으로 인하여 구치의 각도가 더욱 악화되므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STSB를 보이는 7세, 14세, 12세, 16세의 환자에게 각각 criss-cross elastic, 고정성 장치, 가철성 장치, miniscrew를 사용하여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였다. 각 환자의 증례에 적합한 장치를 잘 선택하여 사용한다면 치아를 정출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고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Effects of Extrusion Conditions on Pasting Properties of Potato and Potato : Wheat Flour Mixture

        Cha, Jae Yoon,Cho, Yong-Jin,Kim, Chong-Tai,Kim, Chul-Jin,Ng, P. K. W.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03 산업 식품공학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xtrusion process of fresh potato and to study the effects of extrusion condition on the pasting properties of extruded potato products. The blend of pressed potato and wheat flour and pressed potatoes were extruded at different die exit temperatures (110-160℃) and screw speed of 100 rpm using a twin-screw extruder with conveying, high and low shear screw configuration. The viscosity-related parameters, such as peak viscosity, through, final viscosity, peak time, and pasting temperature of the feed materials and extruded products, were studied using a rapid visco analyzer (RVA). Their water solubility index (WSI) and water absorption index (WAI) were also studied. The peak viscosity, through, final viscosity, and peak time of pressed potato extrudates and potato-wheat flour mixture extrudates decreased as die exit temperature increased. The WSI and WAI of potato products increased as die exit temperature increased. When high shear screw configuration was used, the values of viscosity-related parameters were lower than those when low shear screw configuration was used. The potato-wheat flour mixture products obtained different degrees of depolymerization from fresh potatoes and wheat flour depending on die exit temperature and screw configur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 소아의 성장 발육 평가 자료 제작에 관한 연구

        김영재,이신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2

        성장기 환자를 다루는 소아치과 분야에서 환아의 성장과 발육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아 성장 측정 도표는 현 시대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오래된 것이거나 혹은 의과적 용도에 맞추어져 있어서 소아치과 분야에 적용하기에는 연령이 극히 제한적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4년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시행하고 대한인간공학회에서 주관한 2004년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보고서를 토대로 현실성있고 유용한 성장 곡선 및 성장 속도 곡선을 제작하는 과정을 소개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를 처리하고 재배열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료의 변이를 사분위수를 기본 골격으로 하고 1, 5, 95, 99 백분위수를 추가하여 남·여별 키·몸무게 성장 곡선을 제작하였고 이와 아울러 기하 평균에 기초한 성장 속도 곡선도 제작하여 체성 성장 관찰 도표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생성된 성장 발육 평가 자료는 성장 발육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성장 발육과 관련, 소아치과 환자·보호자와의 의사소통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Knowledge of growth and development is essential for pediatric dentistry treating growing patients. The data from the pediatric growth curve being used today does not reflect the growth transition of modern times, nor does it match the age range required for dental purposes. The present study, therefore, aims to introduce the process of producing a growth curve and growth rate curve based on data which represents a more accur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ituation. The original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from 5th nationwide survey. SIZE KOREA 2004 study carried out by the Technology and Standards Policy Division. Department of Technology and Standards Planning.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Processing and rearranging the produced data with variations divided into the three quartiles and the 1st, 5th 95th and 99th percentiles were included to produce a growth observation chart according to sex, height and weight differences. In the same way, a growth rate curve based on the geometric mean value was produced. The resulting growth charts can be used as an index for growth and development, and used for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pediatric dentist, patients or their parents.

      • KCI등재

        Ⅲ급 부정교합 환자의 교정치료 경과에 따른 저작근 근활성도 및 교합 접촉점 변화에 관한 연구

        김종범,손동수,김종철 大韓小兒齒科學會 199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19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maximal contraction of the masticatory muscles and the occlusal contact points before and after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class Ⅲ malocclusion children.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21 children with class Ⅲ malocclusion, 17 normal occlusion children and 13 treated children. The class Ⅲ malocclusion children were treated with FR-Ⅲ. The EMG signal from the masseter and the anterior temporal muscle group was recorded by the Bioelertric Processor EM2, and the occlusal contact point was evaluated by the T-Scan syst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anterior temporal muscle ac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occlusion children and the class Ⅲ malocclusion children, but the masseter muscle activity of the normal occlusion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lass Ⅲ malocclusion group(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th muscle activity, but in the normal occlusion group, the activity of the masseter muscl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nterior temporal muscle(P<0.01). 3. In the both muscl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 4. In the occlusal contact point, the normal occlusion group was more recored than the class Ⅲ malocclusion group(P<0.005). 5. After treatment the muscle activity in the both muscle grpup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anterior temporal muscle showed greater decreasing than the masseter muscle(Ant. temporal muscle: P< 0.005, Masseter muscle: P<0.05). 6. After treatment the occlusal contact point was decreased, but not statistical difference level(P=0.059).

      • 10~12세 남자아동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성분 비교

        김정기,박승한,변재철,김규호,조영주,허용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d blood lipids level in male childrens. Aged are 10-12 years. There are participated in obese, athletes, and general male childrens. We evaluated the underwater weighing body compositions, plasma triglyceride (TG), serum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levels. in this study, the underwater weight and body density were highest in athlete group compared other groups. The percent body at was higher in obese children than other groups. Furthermore, plasma TG level was higher in obese children group than the other two groups. Serum TC, LDL-C concentration were higher in obese children group than the other two groups. Also, Serum HDL-C level was high in obese children group compared other two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