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운영을 위한 교수전략 탐색 : 학습자 경험분석을 중심으로

        임이랑(Lim, I-Rang),김주연(Kim, Jooyeon),황지원(Hwang, Ji-won),박다솜(Park, Dasom)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경험분석을 토대로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운영을 위한 교수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서울 지역 S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1학기 비대면 수업에 대한 82명의 학습경험 에세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역적 내용분석 3단계(준비-조직화-보고)에 따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헌분석을 토대로 분석틀을 재구성하고, 순환적인 자료분석 과정을 거쳐 6개 영역, 16개 범주로 구성된 최종 범주화 매트릭스를 확정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 6개 영역(수업준비, 수업내용, 수업운영, 수업자원, 상호작용, 평가 및 과제)에서 43개의 교수전략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셋째, 내용분석 결과를 토대로 비대면 수업에서의 4가지 교수자 역할(수업설계자, 가이드 제공자, 동기부여자, 피드백 제공자)을 도출하고, 수업단계별 교수자 역할 체크리스트(27개 문항)를 개발하였다. 논의 및 결론: 도출된 교수전략과 체크리스트는 대학의 비대면 수업 현장에서 교수자의 수업설계를 지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lectures in the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Method: From a university in Seoul, eighty-two students’ essays reflecting their learning experiences of the non-face-to-face lectures delivered for the spring 2020 semester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ree main phases including preparation, organization, and reporting of the deduc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First, the analytic framework for classifying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in non-contact learning environment was construct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Second, 43 teaching strategies in 16 categories placed under 6 primary types of segments: class preparation, classroom management, contents, materials, interactions, evaluation, and assignmen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tic results of students’ essays. Third, specialized for the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four principle roles of teachers as course designer, guide provider, motivator, feedback-giver were presented and a hand-on teacher self-evaluation checklist as a guide to each phase of a course was developed. Conclusion: The developed strategies and checklist could play significant rol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structional designs in the non-face-to-face teaching environment.

      • KCI등재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에서 대면과 비대면 수업 상황 비교 연구 : 교수자와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임이랑(Lim, IRang),간진숙(Kan, Jin Sook),김주연(Kim, Jooyeon),김연희(Kim, Yeonhee)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에서 대면과 비대면 수업 상황 비교를 통해 플립러닝 수업운영 방식에 따른 효율적인 운영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플립러닝 수업경험이 있는 학습자(203명) 및 교수자(22명)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 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습자는 플립러닝 수업운영 방식(대면/비대면)이 다르더라도 학습활동 양상이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교수자의 피드백 방법에 있어서 는 유형 간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습자 인식조사 결과 8개의 플립러닝 수업 만족요인(시/공간 편의성, 학습능률향상, 교수⋅학습법, 본 수업 활동용이, 소통용이, 학습이해도 향상, 반복학습, 자기주도적 학습)과 4개의 불만족요인(환경적 요소 한계, 학습이해력 한계, 소통의 부족, 학습량 과다)이 도출되었으 며, 플립러닝 수업 운영방식에 따른 학습자의 인식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수자 인식조사 결과 6개의 운영상의 특징(학습동기유발, 문제풀이, 적용활동, 피드백, 소통촉진, 추수지도)과 6개의 운영상의 어려움(소통, 강의시간 운용, 강의환경, 콘텐츠 제작환경, 교육연수, 규정)이 도출되었으며, 플립러닝 수업 운영방식에 따라 세부내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유형별 지원방안에 대한 함의와 추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ive strategies in comparison with instructional designs: the face-to-face and online in-class instructions of flipped learning.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developed and the perceptions of 22 instructors and 203 students were examined. The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found that several commonalities pertaining to learning aspects were derived from the students’learning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instructional designs. However, the dissimilarity was found in the manner in which the instructors provided their feedback. Second, 8 satisfaction determinant factors, such as space-time convenience, improvement of learning performance, teaching-learning method, facilitation of in-class activities, facilitating of communication, enhancing students’understanding, repeated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derived from the learners’ perception analysis. In addition, learners perceived 4 main aspects as dissatisfaction determinant factors: environmental obstacles to learning, limit of understanding, lack of communication, and an excessive amount of learning. Irrespective of instructional designs, no majo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arners’ perceptions. Third, instructors commonly perceived that flipped learning classes involved 6 implemental characteristics: motivation of learning, problem-solving, application activities, feedback, facilitating communication, and follow-up instruction. Furthermore, 6 difficulties on were also registered: implementation, communication, class operation time, instructional environment, the training program, and regulations. However, some differences in details were found based on the class designs. In conclusio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mplementing flipped learning classes and following studies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학사경고경험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중요도-수행도 분석

        임이랑(Lim, I-Rang),김연희(Kim, Yeonhee),조성희(Cho, Sung-hee),김주연(Kim, Jooyeo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인식하는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대학생활적응 지원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서울․경기 지역 4개 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303명의 응답자료를 IPA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대학생활적응의 중요도와 수행도는 19개 문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사경고경험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의 중요도는 6개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수행도는 17개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집중개선영역에 위치한 문항들이 일반학생과 학사경고경험있는 학생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활적응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수행도를 점검하는 계기를 제공하였으며, 향후 대학생활적응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high priority attributes for support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by identifying their perceived need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Method: The data collected from 303 college students of fou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as analyzed through IPA. Result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students’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all of the 19 items. Second, according to students experience being on academic prob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6 items of the importance of college adapt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17 items of the performance indicator. Third, items belonging to the ‘Concentration here’ quadrant were present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ence being classified on academic probation. Conclusion: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significant attributes in term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d provided the preliminary data for the future interventions to support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 KCI등재
      • 도시림이 여름철 도시 미기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주연(Jooyeon Moon),임철희(Chul-Hee Lim),송철호(Cholho Song),이우균(Woo-Kyun Le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5

        도시의 녹지공간은 열섬현상 완화, 이산화탄소 흡수원의 기능 등과 같은 환경적 편익과 더불어 시민들에게 정신적, 육체적 공간 제공을 통한 기타 사회적 편익을 제공한다. 도시림이 제공하는 편익을 정량화하기 위한 연구는 많이 되어 있는 실정이나,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도시림의 온도저감 기능에 집중하여 도시림이 국소지역의 미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려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25개 구 중 면적당 인구밀도가 가장 높고 공원조성 비율이 낮은 동대문구를 선정하여 도시림이 여름철 주변 지역 미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실측기온자료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 구도선 기반 사진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황주연(Jooyeon Hwang),임동섭(Dongsup Lim),백두원(Doowon Paik)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본 연구에서는 선이 사용된 사진으로 구성된 DB 에서 선의 특징 값을 고려하여 구도가 유사한 사진을 검색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검색 방법에 사용되는 구도 유사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실제로 사람이 유사한 사진을 결정할 때 어떤 특징 값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도 유사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검색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제안 검색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Precision 과 Recall 을 평가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line composition based searching system which retrieves compositionally similar photo from the DB of the linecompositional photos. To develop the measure of compositional similarity, we carried out a survey to find which feature is discriminative for retriev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developed the measure of compositional similarity and it was applied the proposed searching system. We also show the results of the recall and the precis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 Paradoxical expression of p16 in eccrine porocarcinoma that developed synchronously with basal cell carcinoma

        ( Tae Lim Kim ),( Young Wook Ko ),( Won Seon Koh ),( Jeong Eun Kim ),( Jooyeon Ko ),( Young Suck Ro ) 대한피부과학회 2018 대한피부과학회 학술발표대회집 Vol.70 No.1

        Eccrine porocarcinoma (EP) usually develops in a longstanding eccrine poroma and is found after progression. P16 is a tumor suppressor protein that decelerates cell cycle. Due to its paradoxical overexpression in some malignancies, it is used as a marker for early detection of cancers. A 77-year-old woman presented with blackish ulcerative plaque on forehead and bluish to grayish nodule on left temporal scalp. Serous discharge and bleeding accompanied on the forehead for 10 months. The temporal lesion was incidentally found during physical examinatio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from the forehead showed basaloid tumor islands with peripheral palisading and peritumoral lacunae. A biopsy from the temporal scalp showed a protruding tumor mass downward in continuity with epidermis. The tumor cells were homogenous poroid cells that are positive for epithelial membrane antigen (EMA). The mitotic figures, enlarged hyperchromatic nuclei, infiltration to surrounding tissue, and necrosis were focally observed. Additional stain for p16 protein revealed overexpression on cytoplasm of the tumor cel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diagnosis of synchronous BCC and EP of the head were made. Herein, we report a rare case of EP that concurred with basal cell carcinoma (BCC) diagnosed with p16 st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