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진주담치 ( mytilus edulis ) 중의 렉틴성분에 관한 연구 ( 1 )

        박종옥,김희숙 ( Jong Ok Park,Hee Sook Kim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7 BMB Reports Vol.20 No.3

        A lectin from the mussel, Mytilus edulis, was isolated and purified by using DEAE-cellulose and affinity chromatography on N-acetyl-D-galactosamine-Agarose. The purification acheived was 6,628 fold from 20,000 g homogenate with a yield of 58.1%. Its isoelectric point was around pH 7.8 and its molecular weight was estimated to be about 18.000 daltons by Sephadex G-75 gel filtration an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mussel lectin was stable below 35℃. The lectin agglutinated rabbit erythrocytes strongly and showed the broad specificity to human blood groups. The hemagglutinating activity of the lectin was inhibited by sugars; galactose and its derivatives, and cations; EDTA, Hg^(++), and Mg^(++). This lectin seemed to have no carbohydrates.

      • SCOPUSKCI등재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의 식행동, 식생활관련 소비자교육 현황·역량,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차이

        박종옥,Park, Jong Ok 한국영양학회 201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2

        연구목적은 베이비붐세대와 그의 자녀 세대인 에코세대를 대상으로 세대 간의 식행동, 식생활관련 소비자교육 현황 및 역량, 그리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세대 간 차이를 고려한 식생활관련 소비자교육 측면에서의 함의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 식품소비행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총 2,474명 (베이비붐세대 1,304명 52.7%, 에코세대 1,170명 47.3%)을 대상으로 분석하되, 남성, 여성을 구분하여 세대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식행동으로, 집/집에서 만든 도시락으로 식사를 하는 빈도는 베이비붐세대가 에코세대보다 높은 반면, 단체급식, 카페 베이커리, 편의점, 배달 테이크아웃으로 식사를 하는 빈도는 에코세대가 더 높았다. 지난 일주일 동안 함께 한 식사동반자로써 가족은 남녀 공통으로 아침, 점심, 저녁 모두 베이비붐세대가 에코세대보다 높은 반면, 친구 동료와 함께한 식사빈도는 남녀 공통으로 아침을 제외한 점심, 저녁 시 에코세대가 베이비붐세대보다 높은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혼자 식사를 하는 빈도는 남녀 모두 두 세대 간 대부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음주빈도는 여성 집단에서, 외식빈도는 남녀 모두 에코세대가 더 높았다. 식생활관련 소비자교육 현황 분석결과는 남녀 모두 세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소비자교육 경험률은 매우 낮아, 식품관련 소비자교육 경험자는 전체의 1.6%, 정부주최 식품관련 홍보행사 혹은 소비자단체의 식품관련 행사 경험자는 전체의 1.1%, 1.6% 수준을 각각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참여 경험이 식생활에 주는 도움 정도는 전체 응답자의 경우 5점 리커트의 3.54점 수준을 보였으며, 식품관련 소비자교육에 대한 태도는 5점 리커트의 3.55점 수준을 보였다. 식생활 관련 1순위 정보원은 베이비붐세대가 주위사람인 반면, 에코세대는 방송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블로그 혹은 SNS를 1순위 정보원으로 선택한 경우는 남성, 여성 모두 에코세대가 베이비붐세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정부 혹은 소비자단체의 홈페이지를 정보원으로 선택한 경우는 두 세대 모두 거의 없었다. 식품구입 시 정보이용역량은 여성의 경우, '식품구입 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음' 측정문항에서만 에코세대가 베이비붐세대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 이외의 측정문항은 남녀 모두 세대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강한 식생활 역량은 지식수준의 경우 남녀 모두 세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실천수준은 남녀 모두 베이비붐세대가 에코세대보다 매우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한 식품 (국내산, 지역산, 친환경, 안전한 식품)에 대한 관심도는 남녀 모두 베이비붐세대가 에코세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가격이 비싸더라도 구입하겠다는 구매실천의지는 남녀 모두 세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개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중 남녀 모두 건강추구 라이프스타일은 베이비붐세대에서 에코세대보다 유의하게 강하게 나타난 반면, 간편추구, 맛 품질추구 라이프스타일은 에코세대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경제적 (가격)추구와 소량구매추구 라이프스타일은 세대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dietary behaviors, dietary life consumer education related situation competencies, and dietary lifestyles between baby-boom and echo generations by gender.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16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and 2,474 subjects (baby-boom generation 1,304; echo generation 1,170) were selected. Results: The baby-boom generation more frequently ate meals at home with family than the echo generation, whereas the echo generation had meals more frequently at cafeterias, cafes, bakeries, convenience stores and with friends or colleagues than the baby-boom gener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etary life related consumer education were observed between generations, and experience with food related consumer education and food related promotional/events was very low in general. Baby-boomers received their primary dietary information from surrounding people, whereas the echo generation received it from broadcasting. The information use competence was lower for the baby-boom generation (3.29) than echo generation (3.35), although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Healthy dietary life competenc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hereas the baby-boom genera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practice competence than the echo generation. Additionally, the baby-boom generation was more likely to pursuit health and less likely to be concerned with convenience and taste quality than the echo generation. Conclusion: The frequencies of meal eating places, drinking, and eating-out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enerations, while the participation ratios of food related consumer education/events, attitudes toward education, and information use competence did not. Additionally, knowledge regarding healthy dietary life competencies did not differ, whereas practice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Among dietary lifestyles, the baby-boom generation showed higher pursuit of health and lower pursuit of convenience and taste quality than the echo generation.

      •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Lectin from the Mussel, Mytilus edulis (I)

        박종옥,김희숙,Park, Jong-Ok,Kim, Hee-Sook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7 한국생화학회지 Vol.20 No.3

        진주담치의 homogenate로부터 음이온교환수지와 친화력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렉틴성분을 분리정제하였다. 이 렉틴성분은 전기영동상에서 주변 하나의 띠로 나타났으며 분자량은 약 18,000 dalton이었고 monomer로 생각된다. 이 렉틴은 토끼 적혈구를 강하게 응집시켰으며 사람혈액형에 대하여는 특이성이 낮았고 그중에서 A형 적혈구를 잘 응집시켰다. 이 렉틴의 적혈구응집활성은 galactose 및 galactose의 유도체에 의해 저해되었으며 EDTA, $Hg^{++}$및 $Mg^{++}$ 등의 양이온에 의해서도 저해되었다. 이 렉틴은 당을 함유하지 않은 단백질로 나타났으며 열에 불안정하였다. A lectin from the mussel, Mytilus edulis, was isolated and purified by using DEAE-cellulose and affinity chromatography on N-acetyl-D-galactosamine-Agarose. The purification acheived was 6,628 fold from 20,000 g homogenate with a yield of 58.1%. Its isoelectric point was around pH 7.8 and its molecular weight was estimated to be about 18,000 daltons by Sephadex G-75 gel filtration an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mussel lectin was stable below $35^{\circ}C$. The lectin agglutinated rabbit erythrocytes strongly and showed the broad specificity to human blood groups. The hemagglutinating activity of the lectin was inhibited by sugars; galactose and its derivatives, and cations; EDTA, $Hg^{++}$, and $Mg^{++}$. This lectin seemed to have no carbohydrates.

      • KCI등재

        신의대(Sasa coreana Nakai)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투여 흰쥐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박종옥(Jong-Ok Park),장혜원(Hye Won Jang)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8

        신의대(Sasa coreana, Nakai, 대나무 일종) 추출물이 혈청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0%의 콜레스테롤 첨가식이로 유발된 고지혈증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를 이용하였다. 실험동물들은 4 종류 투여군으로 나누었으며 고콜레스테롤 투여군(HC)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3 종류의 대나무추출액을 첨가한 투여군(HCW, HCM 및 HCH)을 실험군으로 하였다. 대나무추출액은 헥산, 메탄올 및 물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농축,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대조군(HC 대조군)에 비하여 대나무추출물을 첨가한 모든 투여군(HCW, HCM 및 HCH 투여군)에서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은 별로 크지 않았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HC 대조군에 비하여 대나무추출물 첨가 투여군에서 18.5-23.7% 및 15.7-18.6% 감소하였으며 특히 메탄올추출물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항동맥경화 인자로 알려진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대나무추출물 투여군에서 HC 대조군에 비하여 17.2-21.9% 정도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대나무추출물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HC 대조군에 비하여 동맥경화 지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HC group : 2.96±0.08, HCM group : 1.48±0.02, HCW group : 1.69±0.04, HCH group : 1.84±0.01). 또한 혈청중의 중성지질 함량 및 인지질 함량도 메탄올추출물 투여군에서 가장 낮았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로 부터 대나무 추출물, 특히 메탄올추출물이 혈청지질의 개선효과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고지혈증이나 심장순환기계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neui-Dae (Sasa coreana Nakai, a kind of bamboo) extracts on the improvement of serum lipid composition by using rats fed a hypercholesterol diet for 4 weeks. The experiment animals were administered with the following diets; high cholesterol diet group (HC diet) as a control and three supplemented groups with high cholesterol diets (HCW, HCM or HCH diet). Three kinds of extracts were prepared by orderly extraction with hexane, methanol, and water. We measured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total cholesterol, LDL- and H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in the serum of rats in thre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s and feed intakes between the HC control group and the extract supplemented groups.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in the serum of extract supplemented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fed with HC diet only. Serum HDL-cholesterol level, which is known as an antiatherosclerosis factor, was higher in all groups supplemented with bamboo extract by 17.2-21.9% compared to the HC control group. All groups supplemented with bamboo extracts showed the lowering effect of atherogenic index compared to the HC control group (HC group: 2.96±0.08, HCM group: 1.48±0.02, HCW group: 1.69±0.04, HCH group: 1.84±0.01). Furthermore, serum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HCM diet compared to the HC control di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neui-Dae bamboo extract, especially methanol extract, has improving effects on hyperlipidemia of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 KCI등재

        그림책창작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박종옥(Park, Jong-ok),신지현(Shin, ji-hyun)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a picture book creation art therapy program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chosen among the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of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ho below-averag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scores on pre-tes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only,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120 minutes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measurement tools included a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and a career decision scale. Quantitative changes were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d qualitative changes were analyzed through the completed career picture boo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icture book creation art therapy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this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Third, the career expression picture book had qualitative change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s of university students. Thus, this program is clinically valuable to improve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s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will be widely applied to help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창작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교 3, 4학년 재학생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점수가 평균 이하에 해당하는 자들로 총 14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 7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에 한하여 주 2회 120분씩 총 12회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검사, 진로결정수준 검사를 사용하였고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lcoxon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양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완성된 진로표현 그림책을 통해 질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창작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그림책창작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셋째, 그림책창작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완성된 진로표현 그림책에서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질적인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 임상적으로 가치가 있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으로 널리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헤어스타일 행동과 TV홈쇼핑 헤어제품 구매행동 및 소비자 만족도의 영향관계

        박종옥 ( Jong Ok Park ),박은준 ( Eun Jun Park ) 한국미용학회 2015 한국미용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haviors and TV home hair products hairstyle buying behavior and customer satisfaction. While liv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as set up to target consumers who ever purchased a TV home hair products. District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section 209 was analyzed by SPSS 20.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reason of this out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V home shopping TV shopping results using a convenience, and the place is mostly used at home, watching time is 9:00 to 12:00, the average daily viewing time is 1 hour 2 hours between the preferred promotion Sympathy for the Devil is the highest. Second, hairstyle behavior, TV home shopping hair product purchase behavior, you know the results of five kinds of behavior factors haircut levels of satisfaction, TV home shopping hair product purchase behavior are five factors were derived. Customer satisfaction is the average of the five items were used. Third, hairstyles hair product purchase behavior and TV home shopping behavior and know the result partly of the Influence of customer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influence. It is needed to build a marketing strategy for the promotion of TV home hair products that it can vary depending on the satisfaction of buying behavior and consumer behavior haircut, hairstyle, if approached by considering the behavior and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establishing a revolutionary strategy the food that we could do. Also hope to establish a development and revenue growth of hair products in the beauty industry through a study aimed at hair products can help consumers.

      • KCI등재

        소비자교육을 위한 중년기 소비자의 성별, 비만도별 외식 행동,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및 건강한 식생활역량의 차이 분석

        박종옥(Park, Jong Ok) 한국영양학회 201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1

        일생 중 중년기에 해당되는 연령 40 ~ 5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성별, 비만도별 일반적 특성, 외식, 음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건강한 식생활역량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위해 2016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체중조절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도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남녀 모두 비만도가 높을수록 관심도가 높은 특성을 보였다. 실제 식사량 조절경험 역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남성은 비만수준이 높을수록 식사량 조절경험이 많은 반면, 여성은 과체중군이 가장 많았고 오히려 비만군이 가장 낮았다. 둘째, 외식, 음주와 비만과의 관계는 남성의 경우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식빈도, 월평균 지출비용, 1회 지출비용 수준은 남성이 여성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 중 월평균 지출비용, 1회 지출비용은 남성의 경우에만 비만군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음주빈도 역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성의 경우에만 비만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역시 비만군이 정상군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남성의 경우 외식유형 중 저녁을 포장마차 등 길거리음식으로 이용하는 횟수가 여성보다 더 높으며 비만군이 정상군 보다 더 높다는 결과 역시 남성의 외식 및 음주 특성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남성과 여성 모두 유사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비만도에 따라 차이를 보인 것은 남성의 경우, 건강 및 고급추구와 가격추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등 2개 요인이며, 여성의 경우는 고급추구와 안전 추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등 2개 요인이다. 그리고 남녀 모두 정상군이 비만군보다 해당 라이프스타일의 성향을 더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한 식생활 역량’ 수준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지식, 실천 수준 모두 높았으며, 비만도에 따른 차이는 여성의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즉, 여성 중 정상군은 비만군에 비해 건강한 식생활 역량의 지식, 실천 수준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실천부분이 비만도와의 관련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differences in eating-out, dietary life styles, and healthy dietary competencies among middle-aged consumers according to obesity status and gender for implications of consumer education.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16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and 3,022 subjects (mail 1,388; female 1,634) who were middle-aged adults were investigated. Analysis of variance with Scheffé test, t-test, χ2-test, and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v.24. Results: Males showed less interest in diet than females. For both males and females, higher BMI degre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interest in diet. For frequency, monthly average consumption expenditure, one-time cost for eating out, and drinking frequency, males showed higher levels than females. Especially for the male group, higher obesity status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eating out and drinking. Dietary lifestyles of males and females turned out to be very similar. For the male group, normal weight group was more likely to show ‘health and high quality pursuit dietary life-style’ than the other groups. For females, the normal weight group were more likely to show ‘health and high quality pursuit dietary life-style’ and ‘safety pursuit dietary life-style’ than the other groups. The level of ‘healthy dietary competence’ for female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for males. For the femal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obesity status, and practice was more important than knowledge in determining a healthy dietary life. Conclusion: For dietary life-related education for obese middle-aged consumers,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less eating-out and drinking and less overeating while eating-out based on the results that eating-out, drinking, and overeating in the obesity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ormal group.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value of dietary life and diverse foods, based on the results that the obesity group was less likely to be have healthy dietary lifestyles and consume less diverse foods than the normal group.

      • KCI등재후보

        가락창작을 위한 단계별 수업방안 연구

        박종옥 ( Jong Ok Park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7 예술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가락 창작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중학교 1, 2, 3학년의 가락 창작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지도안과 학습지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동시에 실제 중학교 1학년 과정의 200명의 학생에게 일부를 적용하여 보았다. 지도안과 학습지는 중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토대로 외형적 틀과 구체적 내용을 이루었다. 가락 창작을 위한 단계는 세 단계로 1) 가락의 흐름과 구성, 2) 가락의 발전과 변화, 3) 가락의 형식이다. 첫째, 가락의 흐름과 구성 부분에서는 기초적인 가락의 형태를 학습하는 것으로 차례가기 가락, 뛰어가기 가락과 물결모양, 산모양, 계곡모양 등의 가락과 비화성음이 첨가된 가락을 익힌다. 둘째, 가락의 발전과 변화 부분에서는 2마디의 가락을 4마디로 확대 시키고 이것을 반복, 변형하여 8마디 곡을 창작한다. 셋째, 가락의 형식 부분에서는 한 도막 형식과 두 도막 형식의 틀을 학습, 창작하고 더 나아가 변주와 가사에 의한 가락 짓기를 시도한다. 위의 단계를 기초로 연구자가 개발한 지도안과 학습지를 활용한 현장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락창작 수업을 실시한 200명의 적용 대상자 중에서 차례가기 가락창작 11명(5.5%), 뛰어가기 가락창작 33(16.5%)의 총 44(22%)명을 제외하고 효율적인 창작활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창작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가락 창작을 위한 체계적인 지도안 구성과 수업에서의 학습지의 사용은 학생들에게 음악적 개념을 쉽게 이해하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가락 창작에 대한 부담감을 줄였다. 더 나아가 학습지의 사용으로 인하여 학습자 스스로 가락 창작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창작에 대한 자신감 및 흥미도를 증가시켜 학업 성취도를 행상시킬 수 있었다. 셋째, 가락 창작 수업에 대한 피드백이 가능하였다. 학습지를 이용한 가락 창작은 학습자의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와 음악적 기초 지식에 대한 선수 학습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발견하고 학생들의 창작 능력에 대한 평가와 흥미, 태도, 가치관 등을 평가할 수 있다. 교수자는 이를 기초로 수업에 대한 반성을 할 수 있어 다음 수업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지도안과 학습지는 중학교 학생들이 가락 창작 수업을 진행하는데 학습 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수업방안을 이루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서양음악 풍의 한정된 가락 창작 활동으로 다루어졌고 충분한 현장적용을 실행하지 못해 지도안과 학습지의 활용에 대한 보다 신빙성 있는 효율성을 검증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전통 음악 풍의 가락 창작과 현장적용에 의한 수업방안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ed for creative melody and to develop a teacher`s guide and work sheet that can be readily adapt to the activity of creative melody for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 middle-school students.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study has been applied to actual 200 students attending in the first year middle-school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iddle-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 the structure of the teacher`s guide and work sheet had detailed contents and appropriate form. There are three steps in creative melody, first, the flow and structure of the melody, second, the development and variation of the melody, and third, the type of melody. The first step, which is the flow and structure of the melody, is to study the basic type of melody and to be familiar with step and skip melody and wave pattern, mountain pattern, valley pattern etc,. and also have familiarity with non-harmonic tone. Second step, in the development and variation of melody, the melody of two measurs is increased to four measures, and by repetition and transformation, melody of 8 measures is created. Third step, the type of melody, 8 and 16 measures frame is studied and created and furthermore, creating melodies from variations and lyrics is being attempted. The teacher`s guide and work shee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applying them in the field have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mong the 200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melody study, with the exception of the 11 students(5.5%) studying creative step melody and the 33 students(16.5%) studying creative skip melody with the over all of 44 students(22%), effective creative activity was possible. Second, improving the students skill in creativity was possible. The systematic structure of the curriculum for the creative melody and the by using the study-book in class not only helped the students to easily understand the musical concept but because it exhibited detailed and systematic method, it reduced the anxiety in creative melody. Furthermore, the use of work sheets have enabled the learner to create melodies on their own and also, by elevating confidence and interest in creativity,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increased. Third, in the creative melody class, feedback was possible. The creative melody used by the study-book helped understand the learner`s comprehension of the class contents and learning skills of basic musical knowledge. In addition, the errors that occurred during the study could be obtained and the student`s own assessment of their creative skills, their interest, behaviour, values could be evaluated. From the basis of this reflective study, basic data can be obtained for the next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