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양 pH가 배추(Brassica rapa ssp. campestris)의 영양성분과 기능성분에 미치는 영향

        이조은,왕평연,김경연,김성한,박수형,황용수,임용표,이은모,함인기,조만현,안길환,Lee, Jo-Eun,Wang, Pingjuan,Kim, Gyung-Yun,Kim, Sung-Han,Park, Su-Hyoung,Hwang, Yong-Soo,Lim, Yong-Pyo,Lee, Eun-Mo,Ham, In-Ki,Jo, Man-Hyun,An, Gil-Hwan Korean Society of Horticultural Science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3

        비닐하우스의 낮은 pH 토양(pH6.2)과 노지의 높은 pH 토양(pH7.6) 의 pH 차이가 배추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3종 배추의 기능성 성분과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낮은 pH 토양에서 재배된 배추는 높은 pH 토양에서 재배된 배추에 비하여 펙틴, 조단백질, 비타민 C, 비타민 E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으며 회분과 무기질(Ca, Fe, Na, Mn) 또한 높았다. 그러나 환원당, 셀룰로오스, 조지방의 함량은 낮은 pH 토양의 배추가 높은 pH 토양의 것 보다 40-50% 낮았다. 글루코시놀레이트의 일종인 gluconasturtiin(18.33 vs. $1.16nmol{\cdot}g^{-1}$ wet weight)과 gluconapin(145 vs. $2nmol{\cdot}g^{-1}$ wet weight) 은 높은 pH 토양의 배추에서 낮은 pH 것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본 연구 결과 낮은 pH 토양에서 재배된 배추는 펙틴의 함량이 높고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낮아 조직감이 좋으며 단백질, Ca, Fe, vitamin C와 E의 함량이 높아 영양성분이 향상 되었으나 높은 pH 토양에서 재배된 배추는 환원당과 글루코시놀레이트의 함량이 많아 맛과 항암성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The contents of functional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13 cultivars of Chinese cabbage (CC, $Brassica$ $rapa$ subspecies $campestris$)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effects of soil pH of the greenhouse (pH 6.2) and outdoor (pH 7.6). The CC cultivated on pH 6.2 (CC-6.2) soil contained significantly increased amounts (2-9 fold) of pectin, crude protein, vitamin C and vitamin E compared to the counterpart (CC-7.6). The contents of ash and the minerals (Ca, Fe, Na, and Mn)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CC-6.2. However, CC-6.2 contained 40-50% lower contents of reducing sugars, cellulose and crude fat than CC-7.6. CC-7.6 contained more glucosinolates, gluconasturtiin (18.33 vs. $1.16nmol{\cdot}g^{-1}$ wet weight) and gluconapin (145 vs. $2nmol{\cdot}g^{-1}$ wet wt), than CC-6.2. In conclusion, CC-6.2 had an improved texture (high pectin and low cellulose) and nutritional value (high in protein, Ca, Fe, vitamin C, and E), whereas the CC-7.6 had better taste (high in reducing sugars) and anticancer functionality (high in glucosinolates).

      • KCI등재

        친구들에게 들려주는"무서운 이야기":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이조은 ( Jo Eun Lee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현장에서 유아들이 자발적으로 친구들에게 ‘무서운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어 하는 상황을 포착하고 이를 관찰함으로써,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가 어떠한 양상으로 구현되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13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부터 6월까지 총39회에 걸쳐 유아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녹음 및 관찰하였으며, 이야기꾼이 된 유아가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무서운 이야기를 녹음한 자료를 토대로 유아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야기꾼 유아들은 무서움을 유발할 수 있을만한 시간과 공간을 설정하였는데, ‘옛날 옛날에’로 이야기를 시작하여, 귀신이 나오는 시간을 12시로 설정하며, 공간적으로 위험하고 두려운 장소를 묘사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주변의 익숙한 사물의 기이한 현상을 이야기하였고, 무서운 동물이나 자극적이고 잔인한 소재를 찾고 사용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이야기를 더 무섭고, 더 극적으로 만들어 내려는 의도로, 목소리 크기를 조절하거나 다양한 흉내말을 사용하기도 하였고, 침묵과 정적으로 긴장감을 조성하기도 함으로써 무서움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야기 창출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인지구조 및 전략체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유아 내면의 존재론적 문제들을 극복하도록 돕는 무서운 이야기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더불어, 사람과 사람이 모여 함께 이야기를 공유하는 풍요로운 이야기 문화를 되살리기 위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young children develop and tell imaginative narratives to their friends by capturing and observing moments that those children are willing to tell fearful stories to their peers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observed and tape-recorded 13 five-year-old children telling fearful stories to their friends throughout 39 sessions from April to June 2014. By investigating the recorded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young story tellers were developing narrativ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decided on their own that a particular time and space may involve fear in and of itself. For example, they set 12 p.m. as the time of a ghosts appearance while starting a story with the words ‘once upon a time’ and depicted a dangerous and dreadful place a the space of that appearance. Second, those children provided narratives about extraordinaries found in familiar things around them. And they structured stories with characters such as dreadful animals or things stimulative and cruel. Third, the young narrators sometimes changed the volume of their voice or mimicked and sounded a variety of unique words in order to make stories feel more fearful or dramatic. At other times, in contrast, they used silence to raise tension and maximize fear. Hopefully, this study helps us better understand young children’s cognitive structure and strategies in creating storylines and to make widely recognized the potential of fearful stories in solving ontological problems that young children may have inside. In association, it seems recommendable to go on discussing how to restore and enrich a culture where people get together to share narratives.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이조은 ( Lee Jo-eun ),김태경 ( Kim Tae-kyung ),조희숙 ( Jo Hea-soo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인간의 신념체계와 인식을 알아보기에 적합한 은유 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림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부산, 경남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예비유아교사 144명으로, 수집된 자료를 은유분석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범주화 및 수치화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은 개방적 읽기, 교육적 효과, 간접경험, 그림책의 자체적 특성, 흥미유발, 창의적 구성, 놀이, 포괄성, 교훈성, 단순성의 총 10개의 유형으로 범주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들이 그림책의 효용성 및 교육적 효과를 넘어서서 그림책 고유의 본질적 가치를 인식할 필요성이 있으며, 그림책이 유아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성인과 아이들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폭넓은 연령층의 독자들을 아우를 수 있는 예술적 문학작품임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교육의 방향성 및 유아문학 활동과의 연계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picture books with the metaphoric analysis method which is suitable for determining people`s belief systems and perception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urveyed 14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attending colleges or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The data from the survey were organizationally categorized and statistically quant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for metaphor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picture book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10 categories as follows: open read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indirect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stimulation of interest, creative composition, playfulness, comprehensiveness, instructiveness and simplic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perceive the fundamental values of picture books beyond their efficacy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discussed how teacher education should be in terms of direction and how it should be associated with children`s literature activities to help thos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that picture books are not only for young children, but a from of literary art which is for people of all ages including adults.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워킹맘` 이미지 분석

        이조은 ( Lee Jo-eun ),김한을 ( Kim Han-eul ),김혜령 ( Kim Hye-ryeong ),조희숙 ( Jo Hea-soo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여성의 모습으로, 직장을 다니며 자녀를 양육하는 `워킹맘`의 이미지가 그림책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워킹맘을 주요 인물이자 주제로 하는 그림책, 『이상한 엄마』, 『엄마는 회사에서 내 생각해?』, 『오늘도 마트에 갑니다』, 『회사괴물』 4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림책의 글과 그림을 통해 나타나는 워킹맘의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그림책에서는 워킹맘에 대한 다소 부정적 시선이 드러났지만 이를 극복해가는 긍정적인 변화도 함께 볼 수 있었으며, 워킹맘으로서 역할 갈등을 느끼는 모습, 그리고 조력자를 필요로 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림책이 갖는 사회적인 영향력과, 영유아의 발달에 대한 가치를 고려했을 때 워킹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지속적인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Nowadays, more mothers tend to have a job while raising their children, often called `working m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image is working moms have in picture 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4 picture books that focus on working moms as a main character, 『The Weird Mom』, 『Mom! Do You Ever Think of Me at Work ?』, 『I`m Going to the Mart Today as Usual』 and 『Working Monster』. Thus, this study analyzed how working moms are depicted in the texts and illustrations of those picture book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picture books analyzed in this study present a negative view on working moms and depict women as having role conflicts or needing help.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the social influences and values of picture book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uggests that a better understanding of working moms as well as continuous attention and support for them are needed.

      • KCI등재

        '언니'에서 '친구' 되기

        이조은(Jo Eun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한 유아가 만 5세반에 다시 한 번 재원하게 된 특수한 상황에 처하여, 또래관계 형성 및 적응 문제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면서 시작되었다. 몇 년 간 자신을 ‘언니’ 또는 ‘누나’라고 부르던 동생들과 ‘친구’로서의 관계를 새롭게 형성하게 된 지은이의 사례에서 그 적응 과정과 의미를 이해하고자 단일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3월부터 12월까지 10개월간 어린이 집에서의 일과를 지은이가 또래들과 상호작용하고 관계 맺는 것을 중심으로 참여관찰하고, 지은이와 지은이 어머니와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지은이는 또래들로부터 관심과 인정을 받기 위해 노력하였고, 또한 언니로서의 면모로 또래 들에게 군림하려는 리더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때로는 언니에서 친구가 되기 위한 과정에서 호칭이나 관계에 관한 시행착오를 겪기도 하였다. 본 연구가 지은이와 같이 특수한 상황에서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 나는 유아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rose from a particular situation in which a 6-year-old child had been retained in a preschool class for 5-year-olds and experienced problems adjusting to new peer relationships. As she was faced with forming new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children in the group, I collected data on J.``s peer relations during 10 months of participant observation. The following observations were made. J. tried hard to get attention and recognition from her peers. Sometimes, however, she showed leadership behavior in which she tried to gain control over her younger classmates. She occasionally went through a process of trial and error with the other children concerning how to address each other, according to the Korean age- and gender-based system of personal titles, and how to relate to each other as she tried to make friends with them. It is hoped that the study will provide basic material helpful towards understanding situations in which children are expected to from new relationships, in a particular context for particular reasons, and towards helping them to adjus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아들의 놀이에 나타난 사회적 전략 탐구: "얼음땡" 놀이를 중심으로

        이조은 ( Jo Eun Lee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놀이 중 하나인 ‘얼음땡’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사회적 전략에 대해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인 Y어린이집 만 5세 반 13명의 유아들은 매일 오전 산책을 나가 자유롭게 뛰어노는 시간을 갖는데, 이 때 자발적으로 가장 많이 하는 놀이가 ‘얼음땡’ 이었다. 유아들은 만 3~4세반 때부터 수년 간 함께 얼음땡 놀이를 즐기는 동안, 다양한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사회적 전략을 사용해왔다. 이에 본 연구자는 2015년 1월 12일부터~2월 4일까지 유아들이 얼음땡 놀이를 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이를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유아들의 사회적 전략 사용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들은 친구와 팀워크를 발휘해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도 하고, 둘째, 잔꾀나 속임수를 사용하여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놀이를 이끌어가기도 하였다. 또한 셋째, 또래 간 발생한 문제에 대해 논쟁하며 갈등을 해결하기도 하였고, 넷째, 반복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토론을 통해 함께 규칙을 만들어나가는 경험을 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유아들은 다양한 사회적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전통놀이를 수정하거나 확장해 나가며 또래들과의 놀이를 즐기는 가운데 사회적으로 성장해나갈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young children’s social strategies found in ‘Eoleumtaeng’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traditional play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3 five-year olds attending Y Nursery who usually had free play sessions outdoor every morning, when they most often enjoyed ‘Eoleumtaeng’voluntarily. Since they were at 3 or 4-year olds’ classes, those children had enjoyed the traditional play in which they experienced various interactions and used social strategies. From Jan. 12 to Feb. 4, 2015, this author observed and videotaped the children’s playing Eoleumtaeng’, and examined their social strategie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young children were not only enjoying the traditional play together with peers, but also socially developing themselves by using lots of different social strategies such as doing teamwork with peers to achieve shared goals, relying on tricks to make that play more advantageous to them, achieving shared goals through teamwork with peers, making that play more advantageous to them, making arguments to draw out a solution to peer conflicts, and solving conflicts through argument with peers and making discussions to establish rules that regulate reoccurring problem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