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양 pH가 배추(Brassica rapa ssp. campestris)의 영양성분과 기능성분에 미치는 영향

        이조은,왕평연,김경연,김성한,박수형,황용수,임용표,이은모,함인기,조만현,안길환,Lee, Jo-Eun,Wang, Pingjuan,Kim, Gyung-Yun,Kim, Sung-Han,Park, Su-Hyoung,Hwang, Yong-Soo,Lim, Yong-Pyo,Lee, Eun-Mo,Ham, In-Ki,Jo, Man-Hyun,An, Gil-Hwan Korean Society of Horticultural Science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3

        비닐하우스의 낮은 pH 토양(pH6.2)과 노지의 높은 pH 토양(pH7.6) 의 pH 차이가 배추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3종 배추의 기능성 성분과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낮은 pH 토양에서 재배된 배추는 높은 pH 토양에서 재배된 배추에 비하여 펙틴, 조단백질, 비타민 C, 비타민 E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으며 회분과 무기질(Ca, Fe, Na, Mn) 또한 높았다. 그러나 환원당, 셀룰로오스, 조지방의 함량은 낮은 pH 토양의 배추가 높은 pH 토양의 것 보다 40-50% 낮았다. 글루코시놀레이트의 일종인 gluconasturtiin(18.33 vs. $1.16nmol{\cdot}g^{-1}$ wet weight)과 gluconapin(145 vs. $2nmol{\cdot}g^{-1}$ wet weight) 은 높은 pH 토양의 배추에서 낮은 pH 것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본 연구 결과 낮은 pH 토양에서 재배된 배추는 펙틴의 함량이 높고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낮아 조직감이 좋으며 단백질, Ca, Fe, vitamin C와 E의 함량이 높아 영양성분이 향상 되었으나 높은 pH 토양에서 재배된 배추는 환원당과 글루코시놀레이트의 함량이 많아 맛과 항암성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The contents of functional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13 cultivars of Chinese cabbage (CC, $Brassica$ $rapa$ subspecies $campestris$)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effects of soil pH of the greenhouse (pH 6.2) and outdoor (pH 7.6). The CC cultivated on pH 6.2 (CC-6.2) soil contained significantly increased amounts (2-9 fold) of pectin, crude protein, vitamin C and vitamin E compared to the counterpart (CC-7.6). The contents of ash and the minerals (Ca, Fe, Na, and Mn)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CC-6.2. However, CC-6.2 contained 40-50% lower contents of reducing sugars, cellulose and crude fat than CC-7.6. CC-7.6 contained more glucosinolates, gluconasturtiin (18.33 vs. $1.16nmol{\cdot}g^{-1}$ wet weight) and gluconapin (145 vs. $2nmol{\cdot}g^{-1}$ wet wt), than CC-6.2. In conclusion, CC-6.2 had an improved texture (high pectin and low cellulose) and nutritional value (high in protein, Ca, Fe, vitamin C, and E), whereas the CC-7.6 had better taste (high in reducing sugars) and anticancer functionality (high in glucosinolates).

      • KCI등재

        Kristeva의 발생텍스트 관점으로 본 아이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이조은(Lee, Jo-Eun),조희숙(Jo, Hea-Soo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유아들이 만들어낸 상상적 내러티브를 하나의 생동하는 텍스트로 보고, 이를 Kristeva의 발생텍스트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반 30명의 아이들이 상상적 내러티브를 지어내어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판을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에서는 상징적인 언어 체계와 질서를 넘어서서 역동적인 몸짓, 리듬과 운율, 침묵과 표정 등을 통해 방출되는 기호적 코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아이들의 이야기판에서는 다층적인 의미를 생성해가는 상호텍스트성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아이들의 다양한 이야기가 생성되는 공간은 계속해서 경계를 무너뜨리고 넘나들며 변화하는 역동적인 공간이었다. 넷째, 아이들의 상상적 내러티브는 고정되지 않은 채 비선형적이고 역동적으로 흘러가는 중심 잃은 시간성을 특징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이 만들어내는 상상적 내러티브 속에는 아이들만의 특별하고 역동적인 소재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아이들의 이야기를 보다 역동적인 의미 생성의 과정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으며, 무한한 변화와 생성이 허락되는 창조적인 유아교육과정을 이루어나가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viewes the imaginative narratives created by young children as lively texts, and explores them in terms of Kristeva"s concept of genotext. For this purpose, 30 five-year-old children were selected to greate storytelling stage with imaginative narratives for their friends. As a results, semiotic chora released through dynamic gestures, rhythms and cadences, silence and facial expressions that go beyond the symbolic language system and order were found in the imaginative narratives of children. Second, inter-textuality that generates multi-layered meanings were found in the storytelling stage of the children. Third, the space in which the various stories of the children were generated was a dynamic place that constantly breaks down boundaries to engage in transformation. Fourth, the children"s imaginative narratives were characterized by a kind of temporality that was not fixed but was nonlinear, dynamic, and centerless. Lastly, many distinctive and dynamic themes unique to children were found in the imaginative narratives created by the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need to look at children’s storytelling as a process of developing dynamic meaning and to construct creat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at allows infinite change and creation.

      • KCI등재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우스운 이야기":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이조은 ( Jo-eu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유아들이 친구들에게 우스운 이야기를 들려주는 상황을 관찰하고 탐색함으로써 이를 분석해보고 그 의미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B시에 위치한 Y유치원의 만 5세학급 유아들을 대상으로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총 107개의 이야기 사례를 자료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들은 우스운 이야기를 위해 일반적으로 금기시되는 소재들을 자주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평소 높은 지위나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되는 인물들을 이야기 속에서 그 지위를 하락시키고 웃음거리로 만듦으로써 웃음을 유발하였다. 그리고 셋째, 예측할 수 없는 비논리적인 이야기 전개를 통하여, 넷째, 반복되고 확장되는 이야기 구성을 통하여 보다 큰 웃음을 주고자 하는 시도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두려움의 대상을 이야기 속에서 희화화시킴으로써 공포감을 해소하고 웃음의 반전으로 이끌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들의 순수한 웃음이 갖는 가치, 그리고 그 웃음을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 우스운 이야기의 가치에 대한 인식의 재고가 이루어지고, 이와 관련한 다양한 탐구와 논의가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mplications from children``s telling humorous stories to their friends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 situation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eyed children attending at the 5 year-old class of Y kindergarten located in B city. From the survey, data regarding 107 stories that those children have often been telling to friends as their classmat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lling humorous stories to their friends, children often used subjects that have usually been tabooed. Second, children made friends burst into laughter by degrading or ridiculing characters, who have often been highly or importantly recognized, in stories. Third, children delivered humorous stories to their friends in unexpected and non-logical ways. Fourth, children tried to make friend enjoy more laughter by expanding stories while reiterating them. Finally, children led their friend to remove fear and replace it with fun by having things fearful funnily satirized in stories.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make recognized how valuable pure laughter is to children and, especially, how valuable sharing humorous stories with others are, promoting further researches and discussions of those stories.

      • KCI등재

        유아의 그림책 속 인물 이해 탐색: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이조은 ( Jo Eun Lee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아가 그림책 속 등장인물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알아보고자, K시 H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25명에게 글 없는 그림책, 「Frog goes to dinner」를 보고난 후 그림책 이야기를 재화하도록 하였다. 먼저, 유아들은 등장인물의 외형적 특성을 이해함에 있어서, 인물의 겉모습이 상대방과의 공유된 지식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굳이 말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라고 여겨 대부분 생략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인물의 움직임과 이동을 포함한 행동에 대해 다양한 의성어와 의태어를 사용함으로써 생동감 있는 묘사를 시도하였으며, 등장인물들을 구분하지 못하여 인물 간 혼동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등장인물의 내면적 특성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유아들은 전후 맥락을 활용하여 인물의 감정을 추론해내는 모습을 보였으며, 그림의 세부적 단서를 통해 등장인물의 말이나 대화를 창조해 냄으로써 자신이 파악한 인물의 생각이나 감정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끝으로, 유아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기준을 가지고 그림책 속 등장인물을 자기 나름대로 만들어갔다. 즉, 유아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인물의 범주에 사람과 동물 이외에 사물을 포함시킴으로써 물활론적 사고를 나타냈으며, 이야기 속 주인공을 찾고 이해하기 위한 자기 나름의 기준을 확립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가 총체적인 유아의 이야기 이해과정 및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와 효율적인 문학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reschoolers comprehend the characters of picture books. Twenty-five five-year-old preschoolers attending a kindergarten in the city of K, restate the characters with their own words after reading a picture book,「Frog goes to dinner」. Preschoolers were semi-structurally interviewed one-on-on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choolers about the external looks and behavior of the characters were as follows: First, they omit describing figures of the characters, considering that unnecessary, because they thought they already shared the knowledge with one another and consequently didn``t consider it necessary to mention that. Second, they made use of a wide variety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o describe the movement and behavior of the characters. Third, they were confused about the characters as they didn``t clearly discriminate among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s, especially that of the adult male characters. And then how the preschoolers understand the inner feelings or intention of the characters was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y inferred the emotion of the characters by considering the preceding and following contexts, and they mentioned the consequences of their feelings together. It implied that they have an ability to infer emotions and feelings of others and understand caus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y imagined what the characters would say to themselves or to each other based on the clues they found in the pictures, which showed how they understood the ideas or feelings of the characters. Finally, the preschoolers created the characters in their own way by their own unique standard. They were found to have an animist thinking, since they put objects in the category of characters, and this is differentiated from the standard of adults in general. At the same time, the preschoolers set their own unique standard to find and understand the main character in the picture book not only by taking their own experience but by taking the cover, title and plot into account.

      • KCI등재
      • KCI등재

        Maurice Sendak의 3부작을 통해 본 방(room)의 공간적 의미 탐색

        이조은 ( Lee Jo-eu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Maurice Sendak의 3부작을 중심으로 그림책 속 아이의 방이 갖는 공간적 의미를 탐색해보았다. 그가 인간의 삶과 정신세계를 담고 있다고 소개한 바 있는 세 권의 그림책은 모두 아이(맥스, 미키, 아이다)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각 인물이 자신의 방으로부터 출발하여 환상의 공간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방으로 돌아오는 구조의 플롯을 가진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세 작품을 통해 아이의 방이라는 공간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먼저 『괴물들이 사는 나라』에서 맥스의 방은 경계가 해체되는 이질성과 복수성의 공간으로 볼 수 있으며, 『깊은 밤 부엌에서』 속 미키의 방은 신체의 변이를 통한 생성과 창조의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끝으로 『잃어버린 동생을 찾아서』에서 아이에게 방은 주체를 찾아가고 확장하는 공간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그림책 속 유아의 방을 복합적이며 역동적 생성과 창조를 거듭하는 공간으로서 바라봄으로써 그림책 공간을 단순한 물리적 배경이상의 의미가 있는 대상으로 새롭게 이해해보고자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the child's room in picture books centered on Maurice Sendak's trilogy. All three picture books that he introduced as containing human life and spiritual world appeared as the main characters of children (Max, Mickey, and Ida), and each child started from his/her room and moved to a fantasy space and returned to their room agai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child's room through the three works, Max's room in the "Where the wild things are" can be seen as the space of heterogeneity and plurality in which the boundary is disassembled. Next, in the "In the night kitchen", Mickey's room is a space of creation and generation through the mutation of the body. Finally, the child's room appears to be a space to find and expand the subject in "Outside over there". In this wa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space in the picture book as a complex, dynamic and creative space beyond a simple physical background.

      • KCI등재

        모바일메신저를 통한 부모-교사 소통의 의미와 양상: 카카오그룹 활용을 중심으로

        이조은 ( Jo Eun Lee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카카오그룹이라는 모바일메신저를 활용한 교사와 학부모의 소통 과정을 12개월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참여 어머니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Y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의 만 5세 학급의 담임교사와 학부모가 카카오그룹이라는 매체를 통해 소통한 내용을 살펴보고, 어머니들과의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어머니들은 카카오그룹을 통해 시간적으로 보다 쉽고 빠르게 교사와 소통할 수 있다는 점, 사진 등 보다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자녀의 어린이집 생활을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점, 자녀의 사진을 즉각적으로 공유받고 수집할 수 있다는 점을 이야기하였다. 또한 가정에서 자녀와 대화할 수 있는 이야기 거리가 생기고, 다른 가족들과도 소통하며 자녀교육에 함께 관심을 갖고 참여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어머니들은 이러한 소통 방식이 교사에게 업무적 부담이 되지는 않을지에 대해 우려하였고, 또 자녀가 스마트폰을 접하고 자주 보게 되는 계기가 되지는 않을지에 대해 걱정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함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부모 간에 경험하는 소통의 어려움을 극복하며,부모 및 가정에서 아이를 중심으로 함께 연합하는 긍정적 소통의 장을 형성하게 되는 하나의 보완적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치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s about teacher-parent communication through a mobile messenger like the Kakao Group for 12 months. For this purpose, the study deeply examined how the teacher and parents of children attending the 5-year-olds’ class at A Nursery located in Y City wer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obile medium, and interviewed parents to know their perceptions about that way of communi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arents said that the Kakao Group allows them to communicate more easily and quickly with teachers and obtain information that help accurately understand how their kids live at the nursery. They also said that they can download their kids’ pictures from the Kakao Group and keep them personally. And parents responded that the mobile messenger provides things about which they can talk with their kids, encourages communication with other families and promote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hild education. Meanwhile, parents concerned that communication through the mobile messenger might inhibit teachers’ professional practices. They were also worried that communication in such way might stimulate their kids to frequently use smart phones. Based on these finding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bile messenger may not only help overcome challenges which teachers and parents face in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also contribute to forming an environment in which parents make positive communications that are child-centered.

      • KCI등재

        유아들의 놀이에 나타난 사회적 전략 탐구: "얼음땡" 놀이를 중심으로

        이조은 ( Jo Eun Lee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놀이 중 하나인 ‘얼음땡’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사회적 전략에 대해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인 Y어린이집 만 5세 반 13명의 유아들은 매일 오전 산책을 나가 자유롭게 뛰어노는 시간을 갖는데, 이 때 자발적으로 가장 많이 하는 놀이가 ‘얼음땡’ 이었다. 유아들은 만 3~4세반 때부터 수년 간 함께 얼음땡 놀이를 즐기는 동안, 다양한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사회적 전략을 사용해왔다. 이에 본 연구자는 2015년 1월 12일부터~2월 4일까지 유아들이 얼음땡 놀이를 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이를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유아들의 사회적 전략 사용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들은 친구와 팀워크를 발휘해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도 하고, 둘째, 잔꾀나 속임수를 사용하여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놀이를 이끌어가기도 하였다. 또한 셋째, 또래 간 발생한 문제에 대해 논쟁하며 갈등을 해결하기도 하였고, 넷째, 반복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토론을 통해 함께 규칙을 만들어나가는 경험을 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유아들은 다양한 사회적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전통놀이를 수정하거나 확장해 나가며 또래들과의 놀이를 즐기는 가운데 사회적으로 성장해나갈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young children’s social strategies found in ‘Eoleumtaeng’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traditional play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3 five-year olds attending Y Nursery who usually had free play sessions outdoor every morning, when they most often enjoyed ‘Eoleumtaeng’voluntarily. Since they were at 3 or 4-year olds’ classes, those children had enjoyed the traditional play in which they experienced various interactions and used social strategies. From Jan. 12 to Feb. 4, 2015, this author observed and videotaped the children’s playing Eoleumtaeng’, and examined their social strategie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young children were not only enjoying the traditional play together with peers, but also socially developing themselves by using lots of different social strategies such as doing teamwork with peers to achieve shared goals, relying on tricks to make that play more advantageous to them, achieving shared goals through teamwork with peers, making that play more advantageous to them, making arguments to draw out a solution to peer conflicts, and solving conflicts through argument with peers and making discussions to establish rules that regulate reoccurring problems.

      • KCI등재

        친구들에게 들려주는"무서운 이야기":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이조은 ( Jo Eun Lee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현장에서 유아들이 자발적으로 친구들에게 ‘무서운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어 하는 상황을 포착하고 이를 관찰함으로써,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가 어떠한 양상으로 구현되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13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부터 6월까지 총39회에 걸쳐 유아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녹음 및 관찰하였으며, 이야기꾼이 된 유아가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무서운 이야기를 녹음한 자료를 토대로 유아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야기꾼 유아들은 무서움을 유발할 수 있을만한 시간과 공간을 설정하였는데, ‘옛날 옛날에’로 이야기를 시작하여, 귀신이 나오는 시간을 12시로 설정하며, 공간적으로 위험하고 두려운 장소를 묘사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주변의 익숙한 사물의 기이한 현상을 이야기하였고, 무서운 동물이나 자극적이고 잔인한 소재를 찾고 사용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이야기를 더 무섭고, 더 극적으로 만들어 내려는 의도로, 목소리 크기를 조절하거나 다양한 흉내말을 사용하기도 하였고, 침묵과 정적으로 긴장감을 조성하기도 함으로써 무서움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야기 창출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인지구조 및 전략체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유아 내면의 존재론적 문제들을 극복하도록 돕는 무서운 이야기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더불어, 사람과 사람이 모여 함께 이야기를 공유하는 풍요로운 이야기 문화를 되살리기 위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young children develop and tell imaginative narratives to their friends by capturing and observing moments that those children are willing to tell fearful stories to their peers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observed and tape-recorded 13 five-year-old children telling fearful stories to their friends throughout 39 sessions from April to June 2014. By investigating the recorded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young story tellers were developing narrativ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decided on their own that a particular time and space may involve fear in and of itself. For example, they set 12 p.m. as the time of a ghosts appearance while starting a story with the words ‘once upon a time’ and depicted a dangerous and dreadful place a the space of that appearance. Second, those children provided narratives about extraordinaries found in familiar things around them. And they structured stories with characters such as dreadful animals or things stimulative and cruel. Third, the young narrators sometimes changed the volume of their voice or mimicked and sounded a variety of unique words in order to make stories feel more fearful or dramatic. At other times, in contrast, they used silence to raise tension and maximize fear. Hopefully, this study helps us better understand young children’s cognitive structure and strategies in creating storylines and to make widely recognized the potential of fearful stories in solving ontological problems that young children may have inside. In association, it seems recommendable to go on discussing how to restore and enrich a culture where people get together to share narr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