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이코닉 건축을 활용한 장소브랜딩에 대한 소프트 시스템 방법론적 해석

        양지윤 ( Yang¸ Ji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관광산업의 팽창과 관광객 유치의 경쟁 속에서 한때 번영하였지만 쇠락한 지역들이 이미지를 부흥하려는 방법으로 아이코닉 건축이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아이코닉 건축은 대중의 외면을 받고 문을 닫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이코닉 건축을 활용한 장소 브랜딩에 대하여 소프트시스템 방법론적으로 해석하여 개념적 모델을 정립을 통해 향 후 활용 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먼저 문헌 조사하여 아이코닉 건축의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그 특징에 대해서 추출하였다. 그리고 소프트 시스템 방법론을 사용하여 사례조사를 통해 본질정의 (Root definition)를 수행하고 아이코닉 건축을 활용한 장소브랜딩의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결과) 아이코닉 건축은 지역주민의 자긍심을 높여주고 관광객에게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여 지역 부흥을 위해 장소브랜딩의 하나로 주변 관광지와 연계될 수 있도록 민간 혹은 지역 정부에 의해 건립된다. 국제 디자인사나 지역회사에 의해 설계되며 특화된 공법을 실현하기 위해 엔지니어 회사와 협력하여 건설된다. 주로 노후화된 시장이나 중공업이나 철강업, 광업, 제조업이 쇠락한 지역에 전략적인 상징이 되기 위해 건립되어 장소 브랜딩 아이덴티티로서 역할을 한다. 핵심적인 위치에서 조망 가능하며 지역성을 반영하여 지역의 새로운 비전을 은유적으로 상징하여 혁신적인 조형을 이룬다. 건축의 기능은 미래의 비전을 조형성과 함께 효율적으로 뒤 받침 할 수 있는 필수적인 것으로 상시운영 된다. (결론) 개념적 모형을 통한 제안사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정부는 선행적으로 지역이미지를 이루고 있는 지역의 자원, 문화, 역사를 고려해 핵심가치를 선별하고 새로운 비전을 우선하여 타겟 지역 이미지를 선정한다. 둘째, 지역 정부는 건축의 조망이 가능한 핵심 위치를 선정한다. 셋째, 지역 정부는 건축에 비전과 일치하는 필수적 기능을 부여하고 상시로 운영될 수 있도록 운영사를 선정하여 연속성 있는 이미지의 발신이 가능하게 한다. 넷째, 설계자는 지역의 정보를 연상시킬 수 있는 지역성과 지역의 새로운 비전을 은유적으로 반영하여 혁신적인 조형을 디자인한다. 아이코닉한 외관을 완성하기 위해서 혁신적인 조형성을 제시하며 엔지니어링사 및 시공사와 협업한다. 다섯째, 미디어와 협업하여 효과적으로 대중과 커뮤니케이션 될 수 있도록 하고 주변 관광지와 연계하여 이미지를 형성시키며 상시적인 이벤트로 지역민들에게 상징으로 자리잡도록 관리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conic architecture is used as a place brand identity as a way to revive the image of the declining regions, aiming the expansion of the tourism industry and competing to attract tourists. However, Some of the iconic architecture has been neglected by the public, causing wasting public budg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conceptual model of iconic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place branding using Soft systems methodology, which can b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iconic architecture in the future. (Method) The method of the study was first investigated in the literature of iconic architecture were examined to find it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Rich picture' was drawn followed by 'Problem situation'. Thus, 'Root definition' was derived through case studies using 'CATWOE' analysis. Based on prior steps, the conceptual model of place branding using iconic architecture was presented. (Result) The iconic architecture is built by private company or local governments to increase the pride of local residents and provide new sights for tourists. it is connected with nearby tourist attractions and served as one of place branding identity for regional revival. It is designed by an international or local architect and is built in cooperation with an engineer company to realize specialized construction methods. It is mainly built to become a strategic symbol in an aging market, an area where heavy industry, steel, mining, and manufacturing are in decline. It can be viewed from a prime location and reflects regionality to metaphorically symbolize the new vision of the region by innovative shape. The function of architecture is essential to efficiently support the vision of the future along with shaping. (Conclusions) The agenda was made from conceptual model is as below. First, the local government selects the core value by considering the resources, culture, and history of the region that forms the regional image, and selects the target region image by prioritizing the new vision. Second, the local government plans a prime location. Third, the local government assigns essential functions that match the vision to the architecture and selects an all time operator therefore, the brand communication is contiguously enable. Fourth, architects design innovative shape by metaphorically reflecting the local vision and the new vision of the region, which can reminiscent of local information by the public. Fifth, Media collaborating is essential to form an image in connection with nearby tourist spots, and managing it as a symbol for local people as a regular event. Therefore, iconic architecture eventually can become the symbol of the region and forming image of the region.

      • KCI등재

        플레이스 브랜딩의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로서의 건축

        양지윤 ( Jiyun Yang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여행의 증가와 장소들 간의 관광 산업의 경쟁으로 플레이스 브랜딩의 개념이 생겨나게 되었다. 전통적인 브랜딩 방식을 장소에 적용시키려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플레이스 브랜딩의 다학제적인 특성과 복잡한 구성요소 속에서도 공간계획과 건축이 사용되는 시도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런 환경 속에 건축의 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징의 의미를 가지는 건축이 장소의 이미지를 만드는 촉매적 역할을 하는 아이덴티티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가설로 제시한다. 다시 말해, 플레이스 브랜딩에서 건축의 전략적인 사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자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해 이론적으로 플레이스 브랜딩의 개념과 플레이스 브랜딩 내이미지와 아이텐티티로서 건축의 역할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가설을 도출한 후, 그 사례조사를 통해 증명하는 것으로 한다. 영국의 웨일즈 밀레니엄 센터와 서울의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의 사례조사를 진행하였다. (결과)웨일즈 밀레니엄 센터를 통해서 먼저 카디프 수변공간의 웨일즈문화를 대변하면서 국제적으로 뛰어난 건물을 원했던 카디프항 개발 회사(CBDC)의 전략을 확인하였다. 그 비전이 장소의 역사와 문화, 아름다움에 더 깊은 애착이 있는 해당 장소 출신인 건축자인 조나단 아담스에 의해 형태, 소재, 문화적으로 고려되고 실현되어 결과적으로 아이덴티티로서 건축된 디자인을 살펴보았다. 동대문디자인 플라자 역시 세계적인 명소가 되고 싶다는 서울시의 의도가 유명 건축가인 자하 하디드에 의해 역동적이고 새로운 형태의 스타일의 건축으로 표현되어 지역의 상징이 되고 있다. (결론)플레이스 브랜딩은 기존 전통적인 상품브랜딩과의 다른 복합적인 요소가 있고 장소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이며 이미지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장소는 이미지를 가지며 Linch의 연구와 Boisen& Terlouw & Gorp의 연구에서 건축이 장소의 인지가 되며, 랜드마크적 요소로 상징적인 이미지가 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건축 자체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상징이므로 이미지를 형성 할 수 있다는 점도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디자인을 도구로 한전략적인 건축의 사용이 플레이스 브랜딩 내에서 새로운 메시지를 전달하는 아이덴티티로 사용될 수 있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는 가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영국 웨일즈 밀레니엄 센터의 사례와 서울의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사례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두 사례는 열망하는 이미지가 건축에 투영 된 것을 실증하였다. 건축이 아이덴티티로서 전략적인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것이다. 해당 장소가 부흥되고 관광 산업이 활발해지는 환경 속에 건축은 플레이스 브랜딩 내에서 방문자에게 이미지를 발신하고 촉매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었다. 향후 더 많은 사례를 통하여 비전과 아이덴티티형성, 이미지인지 등을 세밀화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Frequent travel and competition between places for tourism have brought about the concept of place branding.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al branding practices to places is increasing. Within the multidisciplinary aspects of place branding, using architecture in spatial planning has become a popular practice. In this scenario, the role of architecture needs to be redefined. In this article, a hypothesis has been made that symbolic architecture can be used as a catalyst for identity. In other words, the strategic use of architecture in place branding is studi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trategic use of architecture in place branding. (Method)The scop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place branding and the role of architecture in creating an image and identity, and the method involves a literature review, drawing a hypothesis based on the study of theories, and examining it through a case study. The Wales Millennium Centre in the UK and the Seoul Dongdaemun Design Plaza & Park in Korea have been selected. (Results)In the case of the Wales Millennium Centre, the Cardiff Bay Development Corporation had a vision for waterfront regeneration which was `internationally outstanding and unmistakably Welsh.` The vision was actualized in form by architect Jonathan Adams who, having been born in Wales, had a strong attachment with the area`s history, culture, and beauty; the center has since become an identity of the area. In the case of the Dongdaemun Design Plaza & Park, it reflected the vision of the Seoul municipal government, which was looking to build an architecture that would become internationally famous for tourism. Zaha Hadid designed the dynamic and modern form with her unique style of architecture, and it became a symbol of the area. (Conclusions)Place branding i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branding in many aspects, and it is multidisciplinary and complicated. It is a tool to elevate the image of a place. Through the research of Linch as well as Boisen, Terlouw & Gorp, it is observed that architecture is a symbol used in spatial cognition, and landmarks create symbolic images that communicate messages. The hypothesis was that the strategic use of architecture can play a catalyst role in place branding to communicate identity. The cases of the Wales Millennium Centre and Dongdaemun Design Plaza & Park demonstrate that the desired vision of the future of the place can be encoded in its architecture. Architecture can communicate strategic messages about identity. It plays a catalyst role in place branding and showcases an image to visitors in the hope that interest in the place will be revived and tourism will increase. The author suggests a detailed subsequent research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 identity, and perception.

      • KCI등재

        장소 브랜딩 관점의 아이코닉 건축 유형에 관한 연구

        양지윤 ( Jiyun Y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아이코닉 건축은 현재 시대의 마케팅 관점에서 전략적으로 세워지고 있으며, 이질적이며 독특한 외관이 즉각적이고 상징적 인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관광지가 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고 있는 장소에서 아이코닉 건축은 마케팅 전략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소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향후 연구에 선행하여 아이코닉 건축의 유형을 분류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첫째, 장소 브랜딩 커뮤니케이션, 아이덴티티와 이미지, 장소 브랜딩 유형에 대한 문헌 검토를 수행하여 장소 브랜딩 아이덴티티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전문가 설문을 위한 12 가지 사례를 선정하였다. 셋째, 사례를 기반으로 전문가의 설문을 이용하여 장소브랜딩 관점의 아이코닉 건축의 사례를 분류 하여 결론적으로 세 가지 아이코닉 건축유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기존 이미지를 사용하는 유형은 자연요소와 문화요소에서 많은 응답을 받은 반면, 기존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외부 디자인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고 문화요소와 인프라 요소가 높은 응답을 받았다. 즉, 장소 이미지를 사용할 때는 장소 문화의 독특한 지역요소가 강조되고 장소 이미지가 사용되지 않을 때, 미술 문화와 시설이 중요하였다. 기존의 이미지를 재창조 한 사례는 예술 문화와 장소 문화의 속성이 모두 중요하게 응답되어 기존 장소 문화를 예술 문화로 강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 장소 브랜딩 관점의 아이덴티티로서 아이코닉 건축의 유형은 이미지 원용형, 이미지 변용형, 이미지 생성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미지 원용형 아이코닉 건축은 지역고유의 문화 및 환경에 순응하는 지역 본연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지역의 랜드마크가 됨을 목적하며 아이코닉 건축 아이덴티티가 된다. 기존 이미지에 부합하면서도 새로운 디자인과 기능으로 기존 이미지를 신규 이미지로 쇄신한다. 이미지 변용형 아이코닉 건축은 쇠퇴하거나 부정적인 지역의 이미지를 변용하여 새로운 이미지로 대중이 인식할 수 있도록 지역의 랜드마크가 됨을 목적하며 아이코닉 건축 아이덴티티가 된다. 아이코닉 건축의 기능과 외관디자인 그리고 공간에서 행해지는 예술문화가 기존의 이미지를 변화하여 새로운 지역의 비전을 전달하여 부흥을 이끌 수 있도록 한다. 이미지 생성형 아이코닉 건축은 퇴색되었거나 소진된 지역의 이미지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아이코닉 건축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아이덴티티를 창조하는 것이다. 아이코닉 건축의 기능과 외관디자인 그리고 공간에서 행해지는 예술문화가 새로운 이미지와 비전을 생성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conic architecture has been strategically erected for the purpose of marketing in the present age. The heteromorphic appearances and unique style of iconic architecture produces an instant iconic image. For places that seek to become tourist destinations, iconic architecture is one of marketing strategies employed to attract tour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iconic architecture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and to enhance place competitiveness. (Method)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literature review of each of the following topics is conducted: place branding communication, image and identity, and place branding type. The factor of place branding identity was discovered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Second, 12 case studies were selected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iconic architecture. Third, these 12 cases were classified using an expert questionnaire. Three types of iconic architecture were then derived from the results of said questionnaire. (Results) The case studies using existing images received many responses in nature and in spatial culture. Conversely, exterior design is the most important type, with artistic culture and infrastructure having a high function at no-use of existing image cases. In other words, when using the image of the place, it is important that the unique local elements of nature and place culture are highlighted and that the attributes of the artistic culture and of the facilities are emphasized when the existing image is not used. Case studies reinventing the existing image of the place seem to strengthen the existing culture with artistic culture, as the attributes of artistic culture and spatial culture are both deemed important. (Conclusions) The study identified three types of iconic architecture for the purposes of place branding: image intension type, image reinvention type and image rebirth type. The image intension type of iconic architecture aims to become a landmark in the place, using images of the area that conform to the local culture and environment in order to create an iconic architectural identity. Exterior design and artistic culture are reflected in its iconic architecture as a whole, while representing and renewing the existing image with fresh new designs and functions. The image reinvention type iconic architecture aims to become a landmark in which the public to perceive a new image, using an altered and recreated image in spite of a declining or negative image of the place. The function, the exterior design, and the artistic culture in the space change the existing image and convey the vision of the new area to lead a revival. The image rebirth type of iconic architecture is image-creating, with a strong design focus on iconic architecture, rather than faded or depleted images. Exterior design, art and culture aim to convey the vision of the place and create new sights for the tourism industry.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한 가로 경관의 간판개선사업 수용자 인식조사

        양지윤 ( Jiyun Yang ),정주애 ( Jooae Jeong ),박진애 ( Jinae Park ),황용섭 ( 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도시의 가로에서 간판은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광고매체가 아니라 거리 이미지를 결정하는 경관을 형성하며, 이는 사적 소유물인 간판이 공공재로 확장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이런 중요성으로 간판 디자인과 개선에 관하여 전문가 기반의 질적 연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량적 데이터 중심의 연구는 다소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하여 간판개선사업의 최종적 수용자라 할 수 있는 일반 시민들의 사업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우수하게 평가되는 지역들에 대한 주요 요인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대상 범위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간판개선사업 및 자생적으로 간판 문화를 형성하여 인지도를 확보한 지역 등을 포함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간판개선 사업의 대중적 인식을 먼저 전체적으로 분석한 후 인지도 상위 지역을 추출하여 3개의 사례지를 선정하고 세부 분석한다. 대중적 인식의 분석을 위해 빅데이터 연구방법의 하나인 텍스트마이닝을 사용하였으며 SNS데이터를 중심으로 데이터수집 및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공통적으로 ‘맛집’ 텍스트가 상위에 등장하며, 이와 관련된 텍스트가 깊은 관계성을 보여 대중들은 요식업 관련 측면에서 간판개선사업을 인식하는 측면이 강하였다. 특히 능서면은 세종대왕의 왕릉이 위치한 지역으로 ‘세종’이 높은 중심성을 가졌다. 모든 영문 간판이 한글로 대체되어 해당 공간이 변화한 특이점에 비추어 볼 때, 대중들은 지역의 특별한 장소성이 강조될 때 간판개선사업에 대해 쉽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작업’과 연관 텍스트의 등장으로 대중들은 간판과 관련한 대대적이고 전반적인 변화를 통하여 간판개선사업을 인식하고 있었다. 추가로 진행된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대중의 인식 속에서 도출된 인지도 상위 지역이 간판개선사업이 잘된 우수 지역이라는 점이 검증되었다. (결론) 대중은 여러 홍보 매체를 통하여 간판개선사업을 인식하고 있으며 추진 주체인 정부와 한국옥외광고센터, 시민과 주민 그리고 상권과 업체 모두 인식하고 있었다. 간판개선사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서 주목할 점은 문화에 기반을 두어 도시 경관 디자인을 개선하는 사업이라는 인식이 존재하고, 도시 경관 개선에 있어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는 점이다. 그리고 대중은 총체적인 자신의 경험을 중심에 두고 간판을 인식하였다. 간판개선사업이 지역의 장소 정체성과 관련되거나, 이러한 정체성을 만들어 나가는 작업의 하나로 작동할 때 매우 성공적으로 대중들에게 인식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Sign is not a mere advertisement media which simply delivers information, but it forms landscape which determines street image on the streetscape of modern society. That makes the sign more significant, expanding from private property to public goods. Although sign design & improvement is often qualitatively studied by experts, study based on quantitative data supporting it is somewhat deficient.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recognition of general citizen who can be the final customer of Sign Improvement Business(SIB) to understand main factors of regions which are evaluated to be excellent. (Method) The target scope of study includes SIB of central government & self-governing body and well recognized region which autogenously forms sign culture. The study method first analyzes public recognition of SIB, than closely analyzes three main cases by extracting regions listed at top of recognition. For analysis of public recognition, text mining, one of big data study methods was used and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mainly around SNS data. And expert research is excuted to verify the data. (Result) ‘Famous restaurant’ text appeared at the top of list in common. Since its relevant texts show deep relativity, the public definitively tend to recognize SIB in the aspect related to restaurant business. Since Neungseo-myeon is region where the mausoleum of King Sejong is located, Sejong is quite central in that region. In the light of peculiarity where all English signs are replaced by Hangeul and thus relevant space is changed, the public easily recognize SIB when special locality of region is emphasized. Due to the appearance of ‘work’ and relevant text in common, the public recognized sign improvement business through full scale and overall change related to sign. Through expert questionnaire which was additionally implemented, it is verified that the region of top recognition drawn in the recognition of the public is excellent region where SIB is well managed. (Conclusions) Through several publicity media, the public recognize SIB, the government as principal of enforcement and Korea Out of Home Advertising Center, citizen, resident, commercial circle and business entity. What should be noted in the recognition of the public on SIB is that the recognition of business which improves streetscape design on the basis of culture exists and it has positive image with respect to streetscape improvement. Then, the public recognize sign mainly on their overall experience. In case that SIB is related to identity of regional place or it operates as one of such works which make such identity, it is recognized by the public very successfully.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활용한 아이코닉 건축 디자인 방향성 도출에 관한 연구

        양지윤 ( Yang Ji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아이콘 프로젝트’, ‘텍스트랜드마크 건축’으로도 불리는 건축사업은 장소브랜딩에서 장소브랜딩 아이덴티티로 사용되고 있다. ‘빌바오 효과’를 기대하며 중동 및 중국 등 개발도상국의 재개발 지역에 영감을 주고 스펙타클한 건축의 건립을 가져왔다. 하지만 일부는 대중이 찾지 않아 방치되어 지역 재정에 막대한 부담을 주는 역효과를 불러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빅데이터 연구방법인 텍스트마이닝으로 장소 브랜딩에서 아이덴티티로 사용되는 아이코닉 건축의 디자인 방향을 도출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부산 해운대 지역에 적용하여 봄으로서 향 후 대중이 공감하는 아이코닉 건축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초석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로 장소 브랜딩에서 아이코닉 건축과 해운대지역에 관하여 문헌 조사를 시행하였다. 둘째로, 핵심 분석범위를 설정하고 마이닝 적용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로, 텍스트마이닝을 실시하여 아이코닉 건축 디자인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때, 텍스트의 수집 및 분석 언어는 한국어로 한정하였다. (결과) 위치는 ‘해운대’가 가장 압도적 빈도로 도출되었다. 역사 및 자원은 ‘해운대 해수욕장’, ‘달맞이 언덕, ‘송정’, ‘동백섬’, ‘바다’의 텍스트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산업 및 문화는 ‘정보’, ‘디자인’, ‘축제’, ‘여행’, ‘호텔’, ‘영화’, ‘초고층’, ‘아세안’, ‘페스티벌’, ‘벡스코’, ‘센텀2지구’의 텍스트가 출현하였다. 활동 및 추구에서는 ‘산책’, ‘레스토랑’, ‘거리’, ‘생각’, ‘수영’, ‘해수욕’, ‘전망’, ‘사진’, ‘여행’, ‘축제’, ‘공연’, ‘영화’, ‘최고’, ‘재미’, ‘느낌’, ‘편안’, ‘가치’, ‘흥미’, ‘필요’의 텍스트가 높은 중심성을 나타내었다. 사람 및 시간 카테고리에서는 ‘아이’, ‘친구’, ‘가족’, ‘외국인’, ‘여름’, ‘겨울’, ‘저녁’, ‘아침’, ‘성수기’, ‘가을’이 핵심 텍스트로 나타났다. 참고주제는 군집분석을 통해 9가지로 정리되었다. (결론) 대상지의 선정은 해운대구 내에서도 가장 인지도가 높은 해운대 해변에서 조망이 가능한 위치로 선정한다. 대중에게 가장 인지도가 높은 역사와 자원인 해양자원과, 언덕 지형, 섬의 지역성을 아이코닉 건축에 반영하여 인지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지역의 비전인 세계적인 영화/축제 문화와 첨단 정보를 은유적으로 상징 할 수 있도록 하여 보는이로 하여금 다층적인 해석을 통해 풍부한 의미를 갖도록 한다. 기능적으로는 핵심적인 활동인 해변을 수영 및 산책하며 방문하여 흥미와 재미를 줄 수있는 영화, 축제, 공연과 같은 컨텐츠로 비전과 일치함과 동시에 건축의 경험을 가지고 프로그램과 의미를 전달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운영적으로는 사계절 인기있는 관광지임으로 공적인 지위를 갖기 위해서는 상시적으로 운영한다. 핵심적인 중요도를 가진 것으로 도출된 아이가 있는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편의시설을 제공하며 외국인 여행객 지원 시설을 갖춘다. 마지막으로 혁신적인 외관으로 조형하여 주목도를 높인다. 이때, 군집분석에 도출된 주제를 참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Iconic Project” and “Landmark Architecture” are being used as destination branding strategies to support tourism. It has inspired redevelopment in areas such as the Middle East and China, and has brought about the construction of spectacular architecture. However, some of these architectural works are not favored by the public, and are neglected or have turned out to be a burden on local finan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a design direction for designing iconic architecture, which is intended to support destination branding, not only considering experts opinions but also public perception. (Method) First,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place branding and iconic architecture focusing on conceptual models to set the framework of the study. Second, the core analysis range was set to apply big data analysis and text mining for the public perception. Third, text mining was conducted and applied for Haeundae area, Busan, South Korea to derive the iconic architecture design direction. At this time, the language for text collection and analysis was limited to Korean. (Result) Regarding the location category, “Haeundae,” the beach, was the most frequent term followed by “Dalmaji Hill,” “Songjeong,” “Dongbaek Island,” and “sea”. In the industry and culture category, the terms “information,” “design,” “festival,” “travel,” “hotel,” “movie,” “Sky capture,” “ASEAN,” “festival,” “BEXCO,” and “Centum 2 District”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at order. In the activities and desire category, “walking,” “restaurant,” “thinking,” “swimming,” “sea bathing,” “viewing,” “photography,” “travel,” “festival,” “performance,” “movie,” “best,” “fun,” “feel,” “comfort,” “value,” “interest,” and “need” showed high centrality. In the people and time category, “child,” “friends,” “family,” “foreigners,” “summer,” “winter,” “dinner,” “morning,” “high season” and “autumn” were the key terms. Reference topics were organized into nine categories through cluster analysis. (Conclusion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ext mining, the design direction for iconic architecture for Heaundae area is as followed. It should be viewed from Heaundea beach. The exterior design should reflects core value of the area, the maritime resources to enable cognitive connection. It should symbolize the global film/festival culture and high-tech information industry metaphorically, allowing viewers to have a rich meaning through multi-layered interpretation. Functionally, the content such as movies, festivals, and performances are recommended. Thus, it should be used while swimming and walking around the beach, matching area vision and conveying programs and meanings with architectural experiences. It should be daily operated in order to have a public status. In terms of accommodations, facilities for families with children and foreign tourists should be provided. Finally, it should sculpted with an innovative form to raise attention. At this time, the subject theme derived from cluster analysis can be referred to.

      • The efficacy of medium-dose ultraviolet A-1 phototherapy on lichenoid purpura

        ( Jiyun Jang ),( Myeonghyeon Yang ),( Joonhee Kim ),( Minsoo Jang Keesuck Suh ) 대한피부과학회 2017 대한피부과학회 학술발표대회집 Vol.69 No.2

        Background: Lichenoid purpura (LP) is a variant of pigmented purpuric dermatosis (PPD) that is characterized by rust macules or papules mainly on the legs and histologically by a dense, band-like dermal inflammatory cell infiltrate with extravasated red blood cells. Recent data suggests that LP may be a precursor of mycosis fungoides (MF), with similar histologic features. Medium-dose ultraviolet A-1 (UVA-1) is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MF. From this perspective, medium-dose UVA-1 phototherapy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LP.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medium-dose UVA-1 phototherapy on LP.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1 patients diagnosed with LP at one institution. Medium-dose (65J/㎠) regimens of UVA-1 were employed. The therapeutic efficacy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clinical examination before and after the last treatment. Results: The patients were between 26 and 77 years of age with mean age of 49.1 years. All the patients developed gold to brownish papules, or plaques on the lower extremities and one patient also developed skin lesions on the abdomen. Among the 11 patients, two patients achieved complete remission and nine patients achieved partial remission. Mean numbers of irradiations of UVA-1 was 14.5 sessions, and no recurrence was observed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26.4 months. Conclusion: Medium-dose UVA-1 phototherapy may be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LP.

      • The effectiveness of high-dose ultraviolet A-1 phototherapy on acute exacerbated atopic dermatitis

        ( Jiyun Jang ),( Myeonghyeon Yang ),( Joonhee Kim ),( Minsoo Jang ),( Keesuck Suh ) 대한피부과학회 2017 대한피부과학회 학술발표대회집 Vol.69 No.2

        Background: Atopic dermatitis (AD) is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characterized by pruritus and a chronic course of exacerbations and remissions. High-dose ultraviolet A-1 (UVA-1) phototherapy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acute exacerbated AD, however, there was no previous case study in Asians. We present a retrospective review of our experiences with high-dose UVA-1 phototherapy.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high-dose UVA-1 phototherapy on acute exacerbated A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1 patients with acute exacerbation of AD. High-dose (100J/㎠) regimens of UVA-1 therapy were employed.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clinical examination before and after 5th, 10th, and last sessions of treatment. Results: The patients were between 7 and 29 years of age with mean age of 19.2 years. The SCORAD index (scoring of AD) of 11 patients were between 41 and 89.5 with mean score of 64.2. Among the 11 patients, seven patients showed complete remission and four patients showed partial remission. The mean SCORAD index was reduced from 64.2 (before treatment) to 23.3 (after 10th session of treatment). Mean numbers of irradiations with UVA-1 was 10.5 sessions, and no recurrence was observed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nine months. Conclusion: High-dose UVA-1 phototherapy can be a well-tolerated and effective alternative treatment for acute exacerbated 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