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전통 은거 정원의 공간 구성 요소 및 특징에 관한 연구

        민신러 ( Xinle Min ),황용섭 ( Hwang Yongseup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진리가 명예와 이익과 모순될 때 진리를 위해 과감히 명예를 버리는 사람들을 중국 고대에서 은사라고 불렀다. 또한 은사들의 생활방식을 은거라고 부른다. 현대 사회는 생활 리듬이 지나치게 빠르고 여러 가지 스트레스로 인해 사람들의 마음은 들떠 있으며 정의와 도덕적 기준에 대해 점차 무감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명리를 위해 도덕적 진리를 간과하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고에서는 은사들의 생활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간디자인 측면에서 고대에서 진리와 명리 간의 갈등에 대해 균형 잡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으로부터 출발하여 은거 정원 공간의 특성, 특히 공간 구성 요소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은거 정원의 전통적 가치를 발굴하고 현대 사회의 생활공간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중국 역사에서 은거를 위해 지은 정원은 일반적으로 생활공간으로 활용되었는데 당(唐)나라 (AD618-AD907)부터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범위는 이 시기부터 고대 역사에서의 마지막 왕조인 청(淸)나라(AD1644-AD1912)까지 설정하고, 현존하는 자료 중 구성요소의 특성을 상세하게 기술한 11곳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선정한 정원에 대해 공간의 구성요소 특성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은거 정원에서 흙산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수상 경치는 자연조건에 따라 구성하였으며, 건축 양식과 외관은 자연스럽고 소박하게 표현하였다. 건축 재료는 짚과 대나무를 대량 사용하였다. 식물의 종류는 고결한 품격 또는 은사를 상징하는 의미를 지닌 식물을 주로 사용하였다. (결론) 흙산은 자연경관을 이루는데 자연스럽고 자연에 대한 추억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정원 주인들이 자연을 지향하는 바를 구현하고 있다. 정원 주인들이 자연을 숭상하고 소박한 것을 추구하기 때문에 수상 경치는 인공적으로 다듬은 흔적을 최소화하고 자연의 최초 형태를 최대한 보류하여 건축물은 자연스럽고 소박하게 표현하였다. 그중에서 대나무 집과 초당은 은신처를 상징하고 있으며 대나무는 이상적인 인격을 의미한다. 매화는 집념과 끈기를 상징하고 소나무는 강인함을 상징한다. 연꽃은 청렴과 순수함을 의미하고 국화꽃은 '은사'를 상징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ancient China when the truth conflict with fame and wealth, the people who choose to adhere to the truth and give up fame and wealth were called 'hermit'. The mode of life of ’hermit‘ is called ’live in seclusion‘. The rapid pace of modern social life and severe air pollution make people become impetuous and numb in psychology so that more and more people ignore the morality and truth for the sake of fame and wealth. The study of seclusion is necessary because it allows us to find a way to balance the two in area of spatial desig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s the theoretical basis of chinese traditional hermit culture and garden art, through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seclusive garden space, finally finding out the design elements which may apply to the modern space in the future.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is from the Tang Dynasty (ad618-ad907), when seclusion in gardens became popular, to Qing dynasty (ad1644-ad1912), which is the last dynasty of ancient China . The 11 places that their four elements of Chinese traditional garden have been clearly described in detain in the existing literatures, were set as the research obj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elements of selected seclusive garden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non-seclusive gardens were concluded. (Result) The proportion of earth mountains in seclusive gardens is very high; the construction of waterscape were constructed in adapting to local conditions; the architectural style, appearance and structure are very natural and simple. Garden’s construction materials are mainly thatch and bamboo; Plants that are symbols of noble character were largely planted in the seclusion gardens. (Conclusion) The mountain made of earth is the closest to the natural landscape compared with other type of mountain so it can arouse the user's memory of the natural mountains and rivers, which is also a manifestation of the seclusive garden owners' yearning for nature. The owners of reclusive gardens are opposed to luxury and ostentation and advocate the garden philosophy of nature and simplicity.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waterscape greatly reduces the traces of artificial carving and retains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landscape. Bamboo houses and thatched cottages symbolize seclusion. Bamboo is also the embodiment of the ideal personality of ancient literati. The plum blossom symbolizes persistence; the pine and cypress symbolize fortitude; and the lotus symbolizes incorruptness; The chrysanthemum is called ‘hermit’ among flowers.

      • KCI등재

        AIP를 위한 노인공동체 주거 유형에 관한 연구

        장주영 ( Chang Jooyoung ),황용섭 ( Hwang Yongseup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노인 1인 가구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다른 가구 구성대비 경제·건강·소외·무위 문제에 취약하여 사회·경제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노인공동체 주거는 노인에게 익숙한 환경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 거주하고자 하는 욕구(AIP)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서, 노인에게 안정적인 주거의 제공과 함께 지역 사회 참여를 높여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 시대 노인의 AIP 실현할 수 있는 주거 대안으로서 노인공동체 주거의 공간적·사회적 환경 요인들을 분석하여 이를 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노인의 특성과 국내 노인주거 실태를 알아본다. 둘째, 노인과 공간공유 및 생활교류를 하는 개별 단위주택과 집합주택, 단지 또는 마을을 대상으로 한다. 셋째, AIP를 위한 주거환경의 공간적·사회적 분류기준을 도출하여 유형화한다. 넷째, 연구자가 제시한 유형화에 따라 연구 목적에 적합한 사례들을 분석한다. (결과) 노인공동체 주거를 건축 공간적 측면에서‘주택 형태’, 생활방식 측면에서의‘거주방식’ 운영 및 관리 측면에서의‘관리 주체’,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지원 서비스’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주택 형태’는 주로 공동주택 형식으로서 독립적인 개인 생활을 보장받으면서 공동시설을 공유하는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거주방식’은 독립적인 개인 생활공간을 보장받으면서 공동시설을 공유하는 형태가 많았는데, 특히 노인 전용은 전문기관이나 지역 사회에서 연속돌봄을 받는 경우가 뚜렷하게 많았다. ‘관리 주체’는 연령통합형의 경우‘자체관리형’, 노인 전용의 경우 ‘위탁관리’와 ‘혼합형’이 형태가 많았다. ‘지원 서비스’는 사회활동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는데, 이는 노인공동체 주거 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동체 의식의 공유이며 이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공동체 활동을 통해 노인의 사회적 참여를 높여 건강한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 노인공동체 주거는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필수적인 주거 대안으로서 인식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노인공동체 주거계획 시 노인의 특성과 욕구를 고려하여 노인에게 익숙하거나 원하는 지역에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며 살 수 있도록 AIP 개념을 기본으로 해야 하고 노인의 사회적 참여를 위한 공동체 활동과 연속적인 돌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함께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노후에 원하는 지역에서 자신이 원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며 살 수 있는 주거 선택의 폭을 넓혀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의 삶과 고령 시대 노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국가와 민간업체 및 개인이 함께 참여하여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노인공동체 주거의 활성화를 위해 유형 개발, 유형별 계획방안 등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world enters an aging society, a growing population of senior single-person households is accelerating. Due to their vulnerability in terms of income, health, and life compared to other households, socioeconomic measures are urgently required. The senior community housing is an alternative method to satisfy the senior’s need for AIP, which not only provides the housing stability but also reaches self realization by increasing the local society involvement. This study aims to generate the standard typ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ocial and spatial elements of the senior housing. (Research Method) To begin wit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atus of the contemporary Korean senior housing. As the second step, the main target group is designated as a single house, community housing, housing complex, and community. Then the social and spatial categorization are identified for AIP. Finally, the appropriate cases are analyzed by the own justified standard types. (Result) This study classified the senior housing as ‘dwelling type’ for architectural space; ‘residence type’ for lifestyle; ‘management authority’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support service’ for sustainability. As a result, first, the multi-family house accounts for a majority dwelling type which can share common facilities while guaranteeing privacy. Similarly, sharing common facilities with independent private space is a common type, especially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needs continuous care by specialized institution or community in the senior only residence. With regards to management authority, an age-integrated type is self-operated while trust management and mixed type for the senior only residence. Social activities are accounted for the major support service because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senior community housing to share a sense of belonging and increas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seniors through various community activities ultimately, they can live healthier. (Conclusion) The senior community housing for AIP shall be recognized as a new alternative for the aging society. For planning senior community housing, the AIP concept is essential to maintain seniors’ lifestyle in their preferred or familiar place with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 and desires. Moreover, such plans should consider a physical environment to accomplish continuous cares and community activities for their social engagement. A housing style based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s. Moreover, the government, private companies, and individuals n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o conduct detailed revitalization plan such as type development and planning, ultimately to expand the choice of housing where the seniors maintain healthier lifestyle and happiness in their favorite area.

      • KCI등재

        예술작품으로서 파빌리온 건축을 통한 전시공간의 확장에 관한 연구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민희 ( Minhee Lee ),황용섭 ( Yongseup Hwang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예술의 개념이 확장되면서 다원화되고 복합적인 현대미술의 흐름에 따라 전시공간 또한 작품을 감상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전시공간 자체가 작품이 되고, 작품이 전시공간이 되는 등 20세기 현대미술의 대표적 전시공간의 모습인 화이트 큐브 전시형태를 넘어서 다양한 장르의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현대미술 전시공간 개념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전시공간과 더불어 새로운 형태의 전시공간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미술 전시공간 개념의 변화 속에서 미술과 건축의 결합에 따른 파빌리온 건축의 등장과 관람자가 마주하는 공간경험에 대한 새로운 유형의 전시공간의 확장을 연구함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시공간의 개념의 변화와 예술작품으로서의 파빌리온 건축의 개념을 정립하고, 뉴욕현대미술관(MoMA)의 건축프로젝트인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국제 네트워크를 맺고 있는 칠레 산티아고의 컨스트럭토(Constructo), 로마 국립 21세기 현대미술관(MAXXI), 터키 이스탄불 근대미술관(Istanbul Modern), 한국의 국립현대미술관(MMCA)를 통해 파빌리온 특성과 유형을 토대로 최근 경향을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 대상으로는 2014년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참여하게 된 국립현대미술관의 2014년-2016년 시행되었던 파빌리온을 연구대상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관점의 분석을 통해 공간적 해석과 표현요소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과) 이러한 요소들을 통하여 사례를 분석한 연구결과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은 현대미술과 건축의 만남을 통하여 이들의 접점에서 미술작품을 일상의 공간으로 가져오며 예술과 삶의 긴밀한 관계를 재고하게 한다. 예술작품으로서의 파빌리온이 전시공간의 확장을 보여주는 요소를 네 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새로운 공간경험에 대한 요구로 인한 파빌리온의 기능적 확장. 둘째, 관람적 특성의 변화에 따른 관람객 참여중심 공간으로의 체험적 확장. 셋째, 예술작품으로 인정되기 시작한 파빌리온에 대한 예술성에 따른 미학적 확장. 넷째, 물리적 공간을 넘어 개념적 접근을 통한 장소성의 확장을 들 수 있다. (결론) 현대미술에서의 파빌리온 건축프로젝트는 관람객 활성화와 더불어 새로운 현대미술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과 같은 예술작품으로서의 파빌리온 건축의 도입은 이것을 작품으로 바라보게 하며 감상의 대상을 전시공간 자체로 변화하게 했다. 오늘날의 전시공간의 의미는 공간의 경험 또한 작품의 일부가 되며 전시공간의 확장을 가져오게 한다. 이와같이 예술작품으로서의 파빌리온 이 새로운 전시공간의 시각으로 접근하는 후속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cept of what constitutes “art” has expanded in recent years, and the trends in contemporary art have become more diversified and complex. As such, exhibition space has also become an essential element in appreciating art. Exhibition spaces become a work of art in their own right, and the artwork becomes the exhibition space. Various genres of exhibitions beyond the general form of the white cube are being held to represent 20th century contemporary art in the context of its site of exhibition. Within this transformation, new forms of exhibition spaces are appearing in accordance to changes in the concept of what constitutes a contemporary art space. This study surveys the expansion of new exhibition spaces,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art pavilions that combine art and architecture, and the spatial experience of audiences. (Method)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 of pavilion architecture as a work of art and emphasizes possible changes to these spaces by analyzing current trends based on the attributes and features of pavilions like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Istanbul Modern, MAXXI (Rome, Italy), and Constructo (Santiago, Chile), which form an international network around the "Young Architect Program" of MoMA (New York, USA).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spatial interpretation of audience members, and the expressive methods of designing exhibition spaces through different perspectives of analysis on the pavilions arranged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2014 to 2016), the first institution in Asia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Results) The "Young Architect Program" brings works of art into everyday spaces through the rendezvous of contemporary art and architecture. Doing so also enables recollection on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life. The pavilion exhibition space can be classified as a work of art according to three elements: the functional element of site-specificity and public concern, ability to use the space variably; aesthetic perspective of appreciating art spatially as the space itself is recognized as a work of art; and spatia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narrative,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ivity of each pavilio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at the pavilion construction project in contemporary art expands the audience while suggesting a new concept of contemporary art. The introduction of pavilion architecture as works of art, as in the Young Architect Program, has changed the exhibition space into both a work of art and the subject being viewed. The significance of exhibition spaces today includes the use of these spaces for creating a bond between the art and one`s spatial experience of it. On this account, a follow-up study is necessary to position the pavilion as the newest genre of exhibition space.

      • KCI등재

        서울·경기지역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 유형 특성에 관한 연구

        장주영 ( Chang Jooyoung ),황용섭 ( Hwang Yongseup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초고속 고령화로 심각해지는 우리나라의 고령자 주거문제 해결을 위해, 고령자의 AIP를 위한 주거 대안으로서 사회서비스가 지원되는 서비스 지원주택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을 유형화하고 서울과 경기지역의 실제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서비스 지원주택의 유형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고찰을 통해 AIP의 개념과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주택 현황과 서비스 지원 종류 및 현황을 파악하고,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고령자 대상으로 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노인복지주택, 의료안심주택, 고령자복지주택(공공실버주택), 공동체 주택을 포함한다.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의 유형화를 위해 가장 먼저 정부 지원 여부에 따라 ‘고령자 공공서비스 지원주택’과 ‘고령자 민간서비스 지원주택’으로 분류하였고, 입지형태에 따라 ‘도심지 형’, ‘도심근교형’, ‘전원휴양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고령자의 거주형태에 따라 ‘독립거주형’, ‘공동거주형’으로 분류하고, 서비스 지원공간 배치에 따라 ‘통합형’, ‘분리형’, ‘혼합형’으로 분류한다. 셋째,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의 유형들을 통합하여 총 18가지로 코드화한다. (결과) 첫째, ‘고령자 공공서비스 지원주택’은 ‘UPI’, ‘OPI’, ‘UPS’로 전체 18개 타입 중 3개 타입의 유형들로 나타났고, ‘고령자 민간서비스 지원주택’은 ‘UPI’, ‘UPS’, ‘UCI’, ‘OPI’, ‘OPS’ ‘RPI’, ‘RPS’로 전체 18개 타입 중 7개 타입의 유형들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많이 나타난 유형으로는 ‘고령자 공공서비스 지원주택’의 경우 입지 유형별로 ‘도심근교형’, 거주형태는 ‘독립거주형’, 서비스 지원공간은 ‘통합형’, 그리고 유형화 코드 중 ‘OPI(도심근교/독립거주/통합)’ 유형이 가장 많았다. ‘고령자 민간서비스 지원주택’의 경우, 입지유형별로 ‘도심형’, 거주형태는 ‘독립거주형’, 서비스 지원공간은 ‘통합형’, 유형화 코드 중 ‘UPI(도심/독립거주/통합)’ 유형이 가장 많았다. 그다음 순으로 전체 22개소 중 ‘UPS(도심/독립거주/분리)’와 ‘OPI(도심근교/독립거주/통합)’유형이 각각 4개씩 나타났다. (결론) 서울·경기 지역의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 28개소를 분석한 결과, 공공서비스 지원주택의 경우 도심근교에 위치하면서 독립거주가 가능하고 서비스 지원공간이 같은 건물에 통합된 형태인‘OPI’유형이, 민간서비스 지원주택의 경우 도심에 위치하면서 독립거주가 가능하고 서비스 지원공간이 같은 건물에 통합된 형태인 ‘UPI’유형이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국내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의 유형별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Given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housing problems of senior citizens is becoming a major concern in Korea. Hence,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n service-supported housing that supports social services as a housing alternative for the AIP. “Service-supported housing for the senior” was categorized, and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we examined the tangible characteristics of service-supported housing. (Metho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AIP, the current status of rental housing for the Senior, types of service-supported, and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included domestic welfare housing for the senior, medical safety housing, senior welfare housing, and Senior community housing. Rental housing for senior citizens who supported the service was classified as “rental housing supporting public service for the senior” and “rental housing with private service support for the senior”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support as well as classified as “urban-type,” “outskirt-type,” and “rural-type.” It was also classified as “independent residential” and “communal residential”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e of the senior and as “integrated,” “separated,” and “mix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service support spaces. Finally, the types of rental housing for the senior with service support were integrated and coded into a total of 18 types. (Results) First, “public service support housing for the senior” was “UPI,” “OPI,” and “UPS,” which were 3 out of the 18 types. “Private service support housing for the senior” was “UPI,” ”UPS,” “UCI,” “OPI',” “OPS,” “RPI',” and “RPS,” which were 7 out of the 18 types. Second, in the case of “public service support housing for the senior,” the most common type was the “outskirts type” by location, “independent residence type” by residence, “integrated type” by service support space, and 'OPI’(Outskirt/Private residence/Integration) among the classification codes. ’ was the most common type. In the case of “private service support housing for the senior,” the “urban type” by location, “private residence type” by residence, “integrated type” by service support space, and “UPI (Urban/Private Residence/Integrated) type among the typification codes. Next, out of 22 locations, ‘UPS(Urban/Private Residence/Separation)’ and ‘OPI(Outskirt/Private residence/Integration)’ type appeared four each. (Conclusion) Twenty-eight housing services for the senior citiz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Public service housing is located in the urban allows private living, and the service support space is integrated into the same building, i.e., “OPI.” In the case of private service support housing, the “UPI” type was the most common. Based on these results,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each type of housing for senior citizens in Korea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가 매개하는 상호작용 공간의 오브제 경향에 관한 연구

        김일석 ( Ilsuk Kim ),황용섭 ( 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오브제는 인지 가능한 객체 및 대상으로 감각적 행위적 체험을 일으키며, 오브제가 놓인 장소를 다감각적으로 상호작용시킨다. 현대공간디자인에서 미디어는 디지털 테크놀러지에 의해 표현된 것으로 디지털로 확장된 오브제성을 갖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호작용 공간은 디지털 방식으로 확장된 오브제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호작용 미디어가 설치된 상호작용 공간이 오브제의 확장으로서 디지털 방식의 오브제가 놓인 공간이라는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호작용 공간이 디지털 객체의 공간화 경향, 디지털 반응의 체험화 경향, 디지털 센서의 장치화 경향이 있음을 연구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상호작용 공간이 갖고 있는 오브제 특징과 경향에 관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오브제의 개념을 고찰하고, 상호작용 공간이 갖는 오브제의 특징을 확인함으로써 상호작용 공간의 오브제 경향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고찰을 통하여 오브제 개념과 오브제의 확장개념에 대하여 연구한다. 그리고 상호작용 공간의 오브제성 반응적 신체 체험, 센서의 기술 대응, 장치적 객체 공간으로 구분하여 논증하고,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사례는 공간적으로 설치되는 상호작용 미디어를 중심으로 하여 세 가지 속성인 감각, 물질, 객체 속성으로 구분하고 반응적 신체 체험, 센서의 기술 대응, 장치적 객체 공간의 세 가지 경향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 상호작용 공간은 미디어가 갖는 오브제적 속성에 의해 감각적, 물질적, 객체적 오브제 속성을 갖는다. 상호작용 공간의 감각적 속성은 신체적 체험성을 갖게 하여 반응적 신체 체험의 특징을 갖게 한다. 물질적 속성은 디지털 방식의 기술적 구조에 의해 센서의 기술 대응 특징을 갖게 한다. 그리고 객체적 속성은 미디어가 공간적으로 매개되어 장치적 객체 공간의 특징을 갖게 한다. 상호작용 공간은 디지털 방식에 의해 상호작용을 만들며 반응적 신체 체험, 센서의 기술 대응, 장치적 객체 공간 특징을 갖는데, 이러한 세 가지 특징에 의해 상호작용 공간은 디지털화된 오브제 경향을 갖는다. 그리하여 상호작용 공간은 세가지 특징에 의해 디지털 객체의 공간화 경향, 디지털 반응의 체험화 경향, 디지털 센서의 장치화 경향을 갖는 공간이 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상호작용 공간은 디지털화된 오브제의 속성을 갖고 디지털 테크놀러지에 의해 표현된 것으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확장된 오브제성을 갖는다. 오브제 경향을 갖는 상호작용 공간은 디지털 테크놀러지가 활용된 공간적 오브제로 감각행위적 신체체험을 체험자에게 제공하며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오브제 경향을 갖는 공간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Objects cause sensory behavioral experiences to perceivable objects, and interact sensibly with the place where objects are placed. In contemporary spatial design, media is represented by digital technology and has digitally extended objectivity. In this respect, the interaction space has a digital object of extended objectivity.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interaction space in which interactive media is installed is a space where digital object is placed as an extension of the object. Also, the interaction space tends to have a spatial tendency of digital objects, a tendency to experience digital reaction, and the tendency of a digital sensor to be a device.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objects in interaction space. This required first studying the concepts of “object” and “object tendency” in an interaction space, as well as checking the actu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in an interaction space. The concepts were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 analyzed the cases of object space reactive object experience, sensor technology response, and device object space. Cases were divided into three attributes―sensory, substance, and object attributes―and focused on three types of interactive physical media: reactive physical experience, sensor response, and device object space. (Results) Interactive spaces have sensory, material, and object properties, depending on the object attributes of the media. The sensory attributes of the interaction space have a physical experiential nature and thus have a characteristic reactive body experience. The material properties are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sensor by means of a digital technical structure. And the object attribute gives the media the characteristic of the device object space by being spatially mediated. Interactive space creates interaction by digital methods, and has reactive physical experience, sensor technology correspondence, and device object space characteristics. Interaction space has a digitized object tendency by these three characteristics. Thus, it is confirmed that the interaction space is a spatial space of digital objects, a tendency to experience digital reactions, and a device-oriented space for digital sensors by three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e interaction space is represented by digital technology with the properties of a digitized object, and has analog-to-digital object extensions. The interaction space with an object tendency is a space that has the object tendency to provide the experiential interaction with the spatial object using digital technology.

      • KCI등재

        시니어의 AIP를 위한 주거환경 계획특성 연구

        장주영 ( Chang Jooyoung ),황용섭 ( Hwang Yongseup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전 세계 유례없이 빠르게 고령화와 저출산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우리나라는 2025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시니어주거 환경에 대한 연구가 더욱 절실한 입장이다. Aging in place는 노인이 오랫동안 자신이 살아왔던 집이나 지역사회 내에서 여생을 보내게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령화가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면서 시니어주거환경의 기본 개념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IP를 가능하게 하는 시니어 주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특성을 파악하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시니어주거 공간디자인에 있어 초기 계획 시 고려할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문헌고찰을 통하여 노인의 특성, AIP와 노인주거의 개념 비교·분석함으로써 AIP를 위한 시니어 주거환경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국내외 시니어주거 사례들을 추출한 계획특성 요소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도심형 공공임대주택으로서 1인 및 부부 세대가 주로 거주하는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사례들이 노인의 AIP 개념을 도입한 주거환경에 충족하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시니어주거 공간디자인 계획 시 필요한 요소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과) 이에 본 연구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크게‘기능적’, ‘물리적’, ‘사회적’, ‘서비스 지원’의 네 가지 특성과 각각의 세부요소를 도출하였다. ‘기능적 특성’으로는 ‘안전성’, ‘접근성’, ‘이동성’, ‘식별성’이 나타났고, ‘물리적 특성’으로는 ‘쾌적성’, ‘친환경성’, ‘지속가능성’이 나타났다. ‘사회적 특성’으로는 ‘사회성’, ‘공동체성’이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서비스 지원특성’으로는 ‘서비스 지원성’과 ‘관리 용이성’이 나타났다. 둘째, 사례분석 결과 AIP를 위한 시니어 주거환경의 4가지 특성 중‘사회적 특성’이 가장 높은 특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특성별로 ‘기능적 특성’에서는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 조성을 위한‘안전성’과 ‘접근성’이 높게 나타났고, ‘물리적 특성’에서는‘쾌적성’이, ‘사회적 특성’에서는 사회적 교류가 일어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사회성’이‘서비스 지원특성’에서는 다양한 공동생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지원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시니어주거 공간디자인을 하는데 있어 AIP 개념을 적용한 주거환경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 계획 시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Republic of Korea is experiencing an unprecedented rapid aging and low birth rate in the world. As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in 2025, it is required to study the elderly housing. ’Aging in place’ refers to allowing the elderly to spend the rest of their lives at home or community where they have lived for a long time. As world population gets older, the designs for elderly are applied as a basic concep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s that affect the elderly housing environment that enables AIP, and suggest points to consider in preparing alternatives for elderly hous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Research method) This study is under the conditions that a living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centering on the value of AIP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aged population. First, the factors of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for AIP wer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 concept of AIP and elderly housing by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elderly hous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elements of planning characteristics. The targets of analysis were the public urban rental housing, where single and married households mainly reside. Third, it was analyzed whether the cases satisf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AIP for the elderly and discussed the required elements in planning the future residential space design for the elder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ur characteristics, such as 'functional', 'physical', 'social', and' service support' and their respective detailed elements were derived. More specifically, 'safety', 'accessibility', 'mobility', and 'identification' were shown as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 , and 'comfort', 'eco-friendly', and 'sustainability' were indicated as the physical characteristic. “sociality” and “community” represent the social characteristics. Lastly, 'service supportability' and 'ease of management' appeared as the service support. Second, ca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social characteristics'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characteristics. Third, 'safety' for creating a safe and convenient environment and 'accessibility' were high i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e continuous service and residential mobility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comfortable’ was high. 'Sociality', which provides space for social exchang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rvice support characteristics. In the 'Service Support Characteristics', the 'Service Supportability' that can provide various joint life services was highly shown.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basic data when planning a spa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pplying the concept of AIP in designing the residential space for the elderly.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은거 정원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독락당(獨樂堂)과 독락원(獨樂園)의 비교를 중심으로-

        민신러 ( Min Xinle ),황용섭 ( Hwang Yongseup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화는 한국과 중국에 급속한 경제성장과 물질의 풍요로움을 가져다준 반면에, 전통문화의 상실은 현대인들에게 공허함과 불안감을 안겨주기도 하였다. 학식이 풍부하고 도덕을 겸비한 선비 은사들이 은거 정원 조성에 참여하기 때문에 정원은 문화적 정취를 담고 있고 이상을 투영하고 있다. 따라서 선비 은사들의 은거정원에 대한 연구는 현대 공간디자인 차원에서 의미 있는 접근이 될 것이며, 문화 상실로 인한 현대인들의 정신적 공허함과 성급함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현대 디자인에 대한 적용을 통하여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전통적 문화 가치를 재건하는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은거 정원인 독락당(獨樂堂)과 독락원(獨樂園)의 비교를 통하여 사상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공간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여 그 특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화적 연관성이 강한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은거 정원인 독락당(獨樂堂)과 독락원(獨樂園)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은거정원의 정의를 살펴보고 한국과 중국 전통 정원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바탕으로 양국의 대표적인 은거 정원인 독락당과 독락원을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독락은 겸손하고 중용(中庸)적이며 정치적 뜻을 이루지 못하지만 적극적인 태도로 인생을 대하려는 의미를 포함한다. 모두 인가가 드물고 경치가 좋은 조용한 곳에 위치하지만, 독락원은 도시 안에 위치하고 독락당은 도시 밖에 있다. 정원에서 했던 일상활동과 주요 용도는 거의 비슷하지만 공간 성격이 다르다. 정원 주인의 유교적 지향과 도교 및 불교적인 사상을 나타낸다. 공간 구성요소의 특징에 대한 공통점은 다른 선비들이 지은 정원보다는 소박하고 자연스럽다. 독락원의 건축자재가 인공 자재 사용 등 더욱 풍부하고 건축 양식도 더욱 다양하지만, 독락당은 주로 자연 요소를 사용하고 있다. (결론)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첫째, 한국과 중국의 은거 정원은 세상으로부터의 단절이 아닌 거리두기를 통해 자연과 소통하고 삶의 여유를 추구하는 생활 방식이 공간적으로 구체화된 형태이다. 둘째, 은거 정원은 거주의 장소로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실체적 활동이 존재했다. 셋째, 한국과 중국의 은거 정원은 고도의 정신적 활동의 산물이며, 동시에 이를 추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간이다. 넷째, 은거 정원은 건축적으로 다양한 실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 전통 건축이 가지는 원칙적 질서 위에 거주자의 철학과 지향이 반영된 다양한 재료들이 가미 되었으며, 일반 주거와 다른 공간 구성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공간적 실험이 시도 되었다. 은거 정원이 주류의 삶이 아닌 한걸음 떨어져 관조하는 삶으로서의 여유를 만드는 장소였다는 점에서 현대 공간디자인에 의해 계속해서 연구되고 재해석 되어질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While the globalization has brought rapid economic growth and material affluence to Korea and China, the loss of traditional culture has also caused psychological emptiness and anxiety to modern people. The seclusion garden contains cultural atmosphere due to the participation of hermit scholars in the creation of seclusion gardens, who combine ability with political integrity. Thus the study of the seclusion garden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space and can help solve the mental emptiness and haste of modern people due to cultural los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rive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modern spac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seclusion gardens Dokrakdang(獨樂堂) and Dokrakwon(獨樂園) in Korea and China. (Method) Dokrakdang and Dokrakwon, the representative seclusion gardens of Korea and China with strong cultural ties, were studied. The method of research first defined the definition of seclusion garden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f Dokrakdang and Dokrakwon, based on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of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gardens. (Result) 'Dokrak' includes the meaning of Humility and moderation and express the owner of the gardens' positive attitude when achieve their political idea were difficult to achieve. (1)Two gardens are located in a quiet and unfrequented place. However the Dokrakwon is located inside the city, the Dokrakdang is located outside the city. (2)The main uses of the garden are almost the same, b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3) The cultural elements in garden space reflect the Confucian ambition and Taoist and Buddhist thinking of garden owners (4)The feature of spatial elements are firstly, the form of architecture in gardens are simpler and more natural than gardens built by other non-seclusive scholars. Dokrakwon's building materials are more abundant and its architectural styles are more diverse. Dokrakdang mainly uses natural elements (5)The hidden of space and the connection of nature are very important for both gardens. (Conclusion) firstly, the seclusion gardens of Korea and China are not totally cut off from the world but concrete form of the lifestyle of communicating with nature and seek leisure in life. Secondly, the seclusion gardens are residence where many activities were happened. Thirdly, the seclusion gardens in Korea and China are the products of high spiritual activities and spaces that were created to pursue righteousness. Fourthly, the seclusion garden played a role as a venue for conducting architectural experiments. The seclusion gardens need to be continued to be studied and reinterpreted into modern spatial design due to it is a place that made for leisure through giving more attention to the life that away from the mainstream life.

      • KCI등재

        공공디자인에서 지면밀착형 사인 활용에 관한 연구

        전성숙 ( Seongsuk Jeon ),박성룡 ( Seong-ryong Park ),황용섭 ( 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률이 높아지며 스마트폰 관련 교통사고가 5년 전에 비해 두배 이상 증가했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보행자들의 보행습관을 크게 바꿔놓은 것이다. 이 변화는 보행자들이 스마트폰에 시선을 빼앗겼을 뿐 아니라 중요한 정보들을 놓침과 동시에 안전마저 위협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행자들은 사인을 통해 목적지로 향하는 방법을 탐색 및 결정한다. 그 일련의 과정에서 사인은 보행자에 길 찾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다른 여러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정보의 적절한 수용은 도시민이 도시를 이용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방법이며, 이 점에서 현대 도시공간은 언제나 시대에 맞는 적절한 디자인 대책을 요구해왔다. 이런 사회현상은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사인 시스템의 새로운 활용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측면에서 새로운 보행 환경에 적합한 지면밀착형 사인의 적절한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먼저 공공디자인에서 사용되는 사인의 개념과 종류를 파악하고, 새로운 보행 환경에 적합한 사인 체계로서의 지면밀착형 사인의 개념을 제언한 뒤 체계화하여 분류 및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지면밀착형 사인이 활용된 통합적 사례들을 조사 및 분석해 기대효과 및 가치들에 대해 소개한다.(결과)지면밀착형 사인은 첫째로 통합정보디자인으로서의 디자인 다양화에 기여하고 정보전달을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되며, 둘째로 기존 입체적 사인 물들을 정돈해 도시경관을 개선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로는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공공재로서의 폭 넓은 활용이 예상된다. 시각적으로 낮은 곳에 위치하는 만큼 스마트폰 사용자, 보행자, 휠체어 이용자, 어린이, 노인까지 총 망라할 수 있는 활용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면밀착형 사인은 접근성과 설치 및 안전 관리에 유리함을 가진다. (결론)디자인 영역에서 사인이 중요한 연구로 여겨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지면을 활용한 사인에 집중한 연구가 부재하다는 것은 사인에 대한 고정관념의 반증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지면밀착형 사인 역시 결국은 사인의 한 형태라는 점에서 향후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사인이 가진 본질적 측면보다 지면을 활용한 한정된 종류의 활용 측면을 제시한 점은 한계로 남지만 이 연구를 필두로 시대와 행동양식의 변화에 맞춰 사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진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smartphone use while walking increased, and traffic accidents related to smartphones increased to more than twice the rate of five years ago. This demonstrates that the spread of smartphones has greatly changed pedestrians` walking behavior. This change means that they miss important information, which threatens their safety, because they are distracted by smartphones while walking. Pedestrians explore and decide how to reach destinations through signs. In this process, signs play the role of conve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them, including that about roads. Therefore, proper reception of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for citizens in city life. In this respect, a proper design policy that keeps pace with the times is necessary in modern urban spaces. This social phenomenon indicates a need for study on a new, applicable sign system in public designs.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design,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propose an appropriate method for using signs near the ground, which is suitable for the new walking environment. (Method)This study first reviews the concepts and types of signs used in public design, puts forward an idea for ground-attached signs as a suitable sign system for the new walking environment, and then categorizes and proposes the system. Last,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cases where ground-attached signs were used and explains the expected effects and values in an integrated manner. (Result)First, ground-attached sig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 diversified design as an integrated information design and to maximize information conveyance. Second, the existing cubic signs will be re-arranged, and thus the urban landscape will improve. Third, ground-attached signs will be used in various ways and areas as public goods from the viewpoint of universal design. Since they are positioned visually low, they can be more easily noticed by smartphone users, pedestrians, those using wheelchairs, children, and senior citizens. Last, ground-attached signs have some advantages in accessibility, installation, and safety management. (Conclusion)Although signage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area for design research, no studies have been attempted regarding ground-based signs, which evidences that researchers are constrained by stereotypes about signs. Now that ground-attached signs are also one of the types, additional studies will be compelled to follow. Although the present study admits that it is limited to a certain type of a sign (ground-positioned sign) instead of examining the essential nature of signs, it also finds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is the beginning of a new perspective on signage from which a variety of studies are expected to follow to keep abreast with changing trends and lifestyles.

      • KCI등재

        기업휴게시설 명상공간의 디자인 특성 연구

        김주아 ( Jua Kim ),이돈일 ( Donil Lee ),황용섭 ( 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사회에서의 휴식은 근무 시간과의 명확한 구분을 통해 만들어지는 개념이었고 공간의 구분 역시 이에 적합한 형태였다면, 현대 기업 환경에서의 휴식은 보다 복합적이고 자유로운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업무 중 가지게 되는 휴식의 형태 역시 단순한 육체적 재충전을 벗어나 정신적인 측면, 즉 스트레스 등에 대한 대응을 고려하는 형태로 전환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신적 대응의 구체적 형태의 하나로서 명상이라는 행위를 기업 휴게시설 측면에서 주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업무 환경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휴게공간의 형태에 주목하고, 기업의 휴게시설에서 새롭게 요구되어지고 있는 명상공간의 디자인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다양한 선행 연구에 대한 조사를 통해 기업 환경의 시대적 변화과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휴게시설이 가지는 중요한 특징들을 고찰한다. 둘째, 현대 기업의 휴게공간에서 등장하고 있는 명상공간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러한 새로운 현상의 시대적 흐름을 파악하고 명상공간의 개념과 특징을 이해한다. 셋째, 기업 휴게공간의 명상공간에 대한 주요 사례들을 수집하여 명상공간에서 나타나는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주요한 경향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기업 휴게시설의 명상공간의 디자인이 가지는 개념과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주요기업 10곳의 평균값을 분석한 결과, 공간에서 주된 요소만 구성되어 운영이 용이한 점으로 명료성이 가장 높았으며, 불필요한 기능과 불편한 요소가 배제된 배치계획으로 접근성과 편의성이 비교적 높았다. 하지만 공간이 서로 다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공간이 제공하는 활동과 기회들이 다양하지 못해 다양성 요소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명상공간에 대해 이질적인 거부감은 없으나 시설환경에서 친근감이 느껴지기 어려웠다. 또한 유연한 환경으로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과 상호작용을 통한 공감대 형성이 어렵고, 유지관리의 측면, 다양한 요소의 통일감 부족으로 편안하지 않다는 점에서 유대감과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결론) 새롭게 요구되는 명상공간에 대한 적절한 계획이 현재의 업무환경변화에 따른 휴게시설의 디자인 방향이며, 디자인 측면에서 명상공간이 가져할 조건은 효율성, 접근성, 명료성, 편의성, 다양성 측면의 물리적인 환경요소와 편안함, 균형감, 친근감, 쾌적함, 유대감의 심리적 환경요소를 반영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공간의 선택가능성과 시설환경의 색채, 공간배치, 위생적인 환경조성 및 유지관리로 지속가능한 공간이 되도록 계획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많은 기업의 근무자들이 업무와 대인관계로 인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심적, 신체적으로 편안하고 행복감을 가져 일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이것이 기업의 생산성도 높여 그것이 다시 더 높은 수준의 복지향상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기를 기대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concept of rest has been clarified and the division of spaces has traditionally been distinct. In the modern working environment, the concept of rest is more complex and focused on stress responses. Meditation, a form of self-awareness of one`s own thoughts and movements, has become popular within corporate facilities and areas for meditation can be seen in corporate lounges or break room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 of resting spaces as they change the work environment, and aims to examine the design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typical meditation space. (Method)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changes in design of corporate environmen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before examining common features used in lounge facilities. Second, this study hopes to clarify the concept of a meditation space, determin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spaces, and understand trends within this relatively new phenomenon. Third, this study collects specific examples of meditation spaces included in corporate lounges and other rest areas, analy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used in these spaces. Finally, the author discusses findings and presents the importance of both concept and meaning in the designing of meditation spaces for corporate break rooms. (Result) Results of an internal and external analysis of ten different corporate meditation spaces shows that clarity is rated highest, due to ease of operation.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re also high, thanks to a successful layout that excluded unnecessary functions and inconveniences. However, diversity was the lowest rated, since the space was appropriate for a limited number of activities and opportunities, and thus failed to meet the needs of multiple groups. The meditation spaces studied also lacked any sense of heterogeneity, making it difficult to feel familiarity in these facility environments. Finally, fellowship and efficiency were low because it is often difficult to form a consensus through fre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causing discomfort with the lack of unity. (Conclusions) Design choices made have the potential to change the work environment if meditation spaces are thoughtfully planned. Characteristics of meditation spaces should reflect its physical elements (efficiency, accessibility, clarity, convenience, diversity), psychological considerations (comfort, balance, affection, agreement, fellowship),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se spaces should also be sustainable and considerate of various types of users. This study suggests that providing meditation spaces in corporate lounges decreases employee reports of stress, both in regards to work stress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mproves work efficiency by providing an employee area that encourages mental and physically comfort. Further, increased efficiency is often linked to an increase in productivity, which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ocal economy and lead to improvements in the welfare of neighboring communities.

      • KCI등재

        반제품을 통한 공간디자인 액티비즘에 관한 연구

        안은혜 ( Eunhae Ahn ),김주연 ( Jooyun Kim ),황용섭 ( 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연구배경 및 목적)모더니즘 시대부터 의식되어진 사회적 디자인은 오늘날 일상 속에 디자인의 역할과 개입이 커지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공간 디자인 분야에서도 윤리 의식을 가진 디자인을 꾸준히 이어나가고 있지만, 올바른 방향과 구조적 방법에 대해서는 사회의 다원적 성향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디자인 액티비즘은 사회적 역할을 행동으로 유도하고, 긍정적 대안을 제시하는 새로운 디자인 방법으로 부상했다. 본 연구는 디자인 액티비즘을 통해 20세기 고도의 소비주의와 문화 동질화에 반하여 사회의 가치기준을 재정비하고 사람과 공간과의 관계성을 다시 바라보고자 한다. 이에 대안으로서 반제품 디자인을 연구하여 사람들이 각자의 자신만의 공간을 스스로 형성해가거나, 혹은 다수의 협업적 행위를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획일적 가치 한계를 넘어서는 공간 디자인 구조를 완성해 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첫째, 디자인 액티비즘이 발생하게 된 이유와 그 흐름에 대해 알아보고, 문헌 고찰을 통해 최근의 연구 경향과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반제품의 범위를 제품 영역의 부속품으로 한정시키지 않고 제품, 가구, 공간 등으로 확장시켜 유형화한다. 확장된 개념인 반제품 공간 디자인을 심리적, 구조적, 미학적 특징으로 나누어 이해한다. 셋째, 반제품 공간이 디자인 액티비즘으로 실현 가능한지 살펴보고자 관련된 사례를 조사하고,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알아본다. 이를 통해 반제품 디자인이 나아가야하는 전략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결과)반제품 디자인을 통한 참여와 행위는 개인과 집단 안에서 사회 대안적 방법들로 모색될 수 있다. 공간을 형성해 가는 과정이 주어졌을 때, 개인 스스로의 정체성 확립과 공동체와의 공감대 형성을 개선시켜 준다. 참여 과정에서 형성된 인공물에 대한 애착은 지속가능으로 이어지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해체와 조립의 변화 가능성은 경제적이고 이동의 자유를 주지만 전문성과 품질의 한계로 시장 안에서 제시하는 것이 수월해 보이지 않는다. 그럼에도 앞선 체계와 교육이 병행되었을 때에는 모든 계층을 위한 디자인으로의 가능성을 가진다. 이는 모든 비전문가들에게도 공평한 기회를 주며 보다 쉽게 참여 행위로 유도한다. 이러한 특징은 개인의 작은 행위를 통해 사회 전체의 변화를 가져온다. (결론)개인의 감정에 대한 위로와 개인성 극복의 목소리는 더 이상 누군가가 완성시킨 것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최선이 아니라는 의미를 가진다. 디자이너는 선택할 물건보다 선택의 폭을 디자인 해주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이는 과거 서로 비슷한 결과물에 대한 극복의 방안이자 이상적 형태의 기준에 대한 재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가능성은 실험을 통한 검증 및 지속적인 심화 연구가 필요함을 밝힌다. 본 연구는 더욱 빠르게 변화하며 다양한 문제를 안고 가는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사회적 디자인 구조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Social design, recognized since modernism, is gaining attention as the role and involvement of design have increased in daily life. In the spatial design field, design with ethics remains, however,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of society hampers the correct direction and structural method. As such, design activism is enticing society to take action as a new design method that provides a positive alternative. Against the excessive consumerism and cultural homogeneity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rearranges social value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pace through design activ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lete a spatial design structure that overcomes standardized value by forming individual space after reviewing the design of semi-finished products and by cooperating with the majority. (Method)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activism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econd, this study categorizes the scope of semi-finished products and recognizes the psychological, structur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expanding the concept of a semi-finished model, such as space, furniture, or products. Third, this study examines the feasibility of semi-finished products as design activism and researches relevant cases and performed roles. By doing so, this study considers the future strategy of semi-finished design. (Results)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through semi-finished design can be sought by social and alternative methods among individuals or group. Once the process to form space is provided, forming a consensus with the community and solidifying its identity can be improved. Attachment to artifacts, which is formed during the participating process, can be a sustainable alternative. Additionally, the possibility of dissolution and assembly gives economic advantage and freedom of movement. However, suggestions to the market are difficult due to expertise and quality limitations. Nonetheless, if the preceding system is paired with education, this design enhances the possibility for all classes, offers fair opportunities to all non-experts, and promotes participatory behavior. This characteristic facilitates change in society by individual``s insignificant action. (Conclusions)Concern for an individual``s emotion and overcoming individuality imply that selecting completed products is not the best option. Designers must consider designing a width of choice, and not just the chosen product. This action can be considered as resetting the standard ideal type and overcoming similar results from the past. However, all possibilities must be proven by experiment and continuing and extensive research.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it suggests a new social design structure in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with diverse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