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깅 공간으로의 몸체 동작 리타겟팅

        송재원(Jaewon Song),노준용(Junyong Noh)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4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논문에서는 대상이 되는 디지털 캐릭터가 기존 애니메이션 파이프라인에서 사용되는 수준의 복잡한 리깅을 가졌더라도, 해당 리깅의 리깅 공간(Rig-space)에 모션을 리타겟팅 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새로운 리타게팅 방법을 활용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방식으로 리깅된 서로 다른 캐릭터의 리깅 공간과 캐릭터 관절 값 공간(Joint Parameter Space)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원본 모션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효율적으로 리타게팅을 수행 할 수 있는 비선형적 최적화기법을 제안한다. 이로 인하여 애니메이터는 모션 캡쳐 등으로 얻어진 원본 모션을 수정할 때, 기존의 키프레이밍 작업과 동일한 리깅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직관적이면서도 빠르고 쉽게 모션을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애니메이터가 선호하는 작업 방식을 관찰한 후, 해당 과정을 최적화 과정에 반영함으로써 애니메이터가 수정하기에 매우 용이한 형태의 리타겟팅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retarget a source motion to the rig-space parameter for a target character that can be equipped with a complex rig structure as used in traditional animation pipelines. Our solution allows the animators to edit the retargeted motion easily and intuitively as they can work with the same rig parameters that have been used for keyframe animation. To acheive this, we analyze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ource motion space and the target rig-space, followed by performing non-linear optimization for the motion retargeting to target rig-space. We observed the general workflow practiced by animators and apply this process to the optimization step.

      • KCI등재

        4족 동물의 광학식 모션 캡처 프로세스와 디지털 4족 캐릭터에 대한 리타겟팅 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

        송재원(Jaewon Song),유미(Mi You),김정희(Junghee Kim),양준식(Junsk Yang),노준용(Junyong Noh)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5

        본 논문은 4족 동물에 대한 광학 방식의 모션 캡처 프로세스와, 캡처된 4족 동물 모션 데이터의 디지털 캐릭터에 대한 리타겟팅 파이프라인에 대해서 다룬다. 사람과 같은 2족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 모션 캡처는 영화 및 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 사실적인 모션을 획득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미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4족 동물 모션 캡처는 그 수요와 중요성에 비하여 관련 자료 및 캡처와 관련된 노하우가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의 사람을 대상으로 한 모션 캡처에 비해 4족 동물 모션 캡처는 캡처 환경, 캡처 슈트, 마커의 부착, 캡처 동작의 종류 등에서 큰 차이점을 보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실제 4족 동물 캡처를 진행하며 해결했던 문제점 및 개선방향 등을 중점적으로 분석, 기술하여, 향후 4족 모션 캡처를 실행함에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렇게 캡처된 데이터가 실제로 디지털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데 활용될 수 있도록, 모션 캡처 데이터를 디지털 캐릭터에 옮겨 주는 리타겟팅 파이프라인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optical motion capture process of quadruped characters and motion retargeting pipeline for digital quadruped character. Human motion capture technologies are already widely used in the movie and animation industry for creating natural human-like character motion.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and demand, quadruped motion capture is rarely performed yet. Quadruped motion capture process is very different from human motion capture, such as capture environment, marker attachment and captured motion itself. In this paper, we will analyse our quadruped motion capture process to provide effective methodology of motion capture about quadruped animals. Furthermore, we will discuss about motion retargeting process that how the motion data is used for the digital quadruped characters effectively.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구성주의적 수행평가 워크숍에 참여한 예비 화학교사의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에서 고려된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 및 연계의 특징

        이재원 ( Jaewon Lee ),류고운 ( Goeun Ryu ),강석진 ( Sukjin Kang ),노태희 ( Taehee Noh ),강훈식 ( Hunsik K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4

        이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적 수행평가 워크숍에 참여한 예비 화학교사가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와 구성 요소 사이 연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8명의 예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은 3주간의 구성주의적 수행평가 워크숍 후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하였다. 예비교사의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을 조사하기 위해 발성 사고법을 사용하였고, 활동을 녹음 및 녹화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개별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의 구상 단계에서는 과학 평가, 교수 전략, 학생, 내용에 관한 지식이 거의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고, 구체화 단계에서는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이 주로 나타났다. 조별 논의 과정에서는 과학 평가, 교수 전략, 학생에 관한 지식의 비율이 거의 같았다. 그러나 과학교육과정에 관한 지식과 하위 요소 중 과학 과정 지식을 고려한 경우는 드물었다. PCK 구성 요소 사이의 연계는 개별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의 구상 단계에서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을 중심으로 나타났고, 구체화 단계와 조별 논의 과정에서는 학생에 관한 지식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교육과정과 내용에 관한 지식이 다른 PCK 구성 요소와 연계되는 경우는 적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components and their integrations in the processes of developing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ve performance assessment workshop. Eight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three weeks of the constructivist performance assessment workshop, they developed their own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The think-aloud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ir developing processes. Their activities were recorded and videotap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CK component considered in the planning step showed similar frequencies for assessment, instructional strategies, students, and subject matter components. In the embodying step, assessment component was most frequent. In the discussion step, the frequencies for assessment,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students components were similar. However, curriculum component and the subcomponent of science process skill were rarely used. The integrations among the PCK components were found to be centered o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component in the planning step and the students component in the embodying and discussion step. However, curriculum and subject matter components were rarely integrated with other PCK compon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핵 물리에서의 QCD 병렬화

        사재원 ( Jaewon Sa ),노병준 ( Byeongjoon Noh ),김희곤 ( Heegon Kim ),최동휘 ( Dongwhee Choi ),이성주 ( Sungju Lee ),정용화 ( Yongwha Chung ),박대희 ( Daihee Park ),조충호 ( Choong-ho Ch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격자 양자 색역학(Lattice Quantum ChromoDynamics; Lattice QCD)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중력, 전자 기력, 약한 핵력, 그리고 강한 핵력 등의 기본적인 상호작용 중 강한 핵력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한 핵물리 분야의 이론이다. 이 물리 역학은 몬테 카를로(Monte Carlo) 기법을 이용하여 대규모 수치 연산을 필요로 하고, 수행시간 단축을 위하여 병렬처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격자 양자 색역학에서 요구되는 대규모 수치 연산에 대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성능가속기에 최적의 작업부하 분배를 통한 이기종 병렬처리 방법을 제안하고 성능가속기만을 사용한 방법과 제안 방법의 성능을 비교한다.

      • KCI등재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이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교과교육학지식에 미치는 영향

        노태희 ( Taehee Noh ),양찬호 ( Chanho Yang ),이재원 ( Jaewon Lee ),유지연 ( Jiyeon You ),강훈식 ( Hunsik K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5

        In order to explore the influences of coteaohing through mentoring up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this case study deeply investigated the change processes in the aspec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wo beginning teachers planned, performed and reflected together their science instructions for science-gifted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during four 3-hour classes. Since the second instruction, pre-, during-, and post-mentoring were conducted, we collected various data related to teachers` planning processes, videotaped all coteaching science classes, and wrote field notes. We also record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the whole process of mentoring. All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dicated that coteaching through meutoring positively changed the teachers` PCK. Above all, we found that coteaching and mentoring strategies generated a significant synergy effect through a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 teachers developed deep practical knowledge about the enrichment cuniculum, which placed more emphasis on developing cognitive and/or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students. The teachers also improved their knowledg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students and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ppropriate for developing them. Moreover, practical knowledge about assessment domains and methods used in science-gifted education were improved. Knowledge on science content necessary for effective inquiry instruction was also improved.

      • KCI등재

        용해와 용액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 조사

        노태희 ( Taehee Noh ),이재원 ( Jaewon Lee ),양찬호 ( Chanho Yang ),강석진 ( Sukjin Kang ),강훈식 ( Hunsik K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2

        이 연구에서는 구인 모델링 방식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용해와 용액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현행 교육과정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용해와 용액 개념 이해의 가설적 발달 경로인 초기 구인 구성도를 설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순위정렬 선다형 평가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82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다분 문항반응이론의 모형 중 부분 점수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구인 구성도를 수정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교육과정에서 학년에 따른 용해와 용액 개념의 제시 순서는 대체로 학생들의 학습발달과정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 정착점과 용액에서 입자의 균일 분포 개념,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해는 구인 구성도를 통해 이론적으로 예상한 수준과 달랐다. 수정된 구인구성도에 따라 초·중등학생의 용해와 용액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을 도출하였다. 하위정착점인 수준 1은 용해와 용액을 입자 관점에서 인식할 수 있으나 다양한 오개념을 지니는 수준으로, 수준 2는 용액에서 입자의 균일 분포 개념을 이해하는 수준으로, 수준 3은 용해도와 입자의 보존 개념을 이해하는 수준으로 설정되었다. 또한, 수준4는 입자간 인력을 인식할 수 있으나 다양한 오개념을 지니는 수준으로, 상위정착점인 수준 5는 입자간 인력과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는 수준으로 설정되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 learning progression focusing on 5th to 9th graders’ performances with dissolution and solution concepts using the construct modeling approach. We designed a construct map describing hypothetical pathways of the concept development of dissolution and solution by analyzing both National Science Curricula and related studies. A conceptions test consisting of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826 students. A revised construct map was derived from analyses of the results based on the partial credit model, a branch of polytomous item response theory. The sequence of dissolution and solution concepts presented in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was found to correspond with the learning progression of the students. However, the lower anchor, the concept of the homogeneity of particles in solu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solubility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expected levels of the construct map. After revising the construct map, we proposed a learning progression for dissolution and solution concepts with five levels: Students of level 1 (the lower anchor) recognize the particles in the solution but misunderstand various concepts; Students of level 2 understand the homogeneity of particles in solution; Students of level 3 understand solubility and the conservation of particles during dissolution; Students of level 4 partially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particles; and Students of level 5 (the upper anchor)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particles and the factors affecting solu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