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선천성 다수 영구치 결손 환아의 증례보고 : CASE REPORT

        백병주,신정근,김재곤,양연미,김성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1

        선천성 치아 결손(congenital missing teeth)은 1개 이상 치아의 선천적 결손으로 hypodontia라고도 불리며 인간에서 가장 흔한 치아 발육 이상이다. 그러나 6개 이상 영구치가 결손되는 severe hypodontia, 또는 oligodontia의 경우는 0.3~0.4%의 매우 낮은 유병율을 보인다. 이환치는 제3 대구치, 상악 측절치, 하악 제2 소구치 순으로 빈발한다. 원인은 정확하게 알려진 바는 없고 외배엽 이형성증, 다운 증후군과 같은 전신질환이나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연관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선천성 치아 결손이 존재하면 비이환치의 위치 이상이나, 악골 발육 감소, 심미적, 기능적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조기발견을 통한 해당 유치의 보존이 중요하며 이러한 상황의 개선을 위해 한 사분악 당 최소의 저작 단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교정적, 보철적으로 포괄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전신질환이 없는 다수의 영구치 선천 결손 환아에 대한 보고로써 이들은 교정치료와 간격유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내원하고 있다. Congenital Missing Teeth(Hypodontia, oligodontia) is the developmental absence of one or more teeth. It has been reported as being the most common anomaly of dental development in human, relatively common in the permanent dentition. In a recent review, Vastardis has quoted incidence ranges of 1.6%~9.6% in the permanent dentition. Brook has quoted a prevalence of 3.5~6.5% in most populations, with severe hypodontia, defined as the absence of six or more teeth, having a prevalence of 0.3~0.4%. The most commonly affected teeth are third molars, followed by maxillary lateral incisor, and second premolars. The etiology is unknown, several hypotheses include trauma, nutritional deficiency, infection, metabolic abnormalities, systemic disease and genetic influence. The multiple congenital missing is commonly associated with specific syndrome or severe systemic abnormalities such as cleft lip & palate and Down's syndrome. These cases present that children have multiple congenital missing teeth in the permanent dentition, without any systemic disease. Management of this condition must be considered orthodontic and prosthodontic treatment comprehensively. In these cases, children were treated by space maintainer or orthodontic appliance and follow-up checked.

      • Ⅲ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골의 특성

        백현숙,경희문,성재현 慶北大學校 齒科大學 1991 慶北齒大論文集 Vol.8 No.2

        The study was desing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raniofacial structures between normal occlusion and Angle's Class Ⅲ malocclusion. The lateral cephalograms were obtained from 36 males and 39 females with class Ⅲ malocclusion, and 39 males and 35 females with normal occlus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The maxilla of Class Ⅲ malocclusion sample was more retruded than that of normal occlusion sample. · A wide variation was observed in the measured position of the maxilla relative to SN plane and FH plane. · Thirty percent of Class Ⅲ sample had retruded maxilla(SNA<79.4°) The measurement of the distance from point A to the nasion perp. line exhibited quited different findings with 58% of the Class Ⅲ sample exhibiting a retrusive maxilla(A to Na perp. line < -1.0). · The mandible of Class Ⅲ malocclusion sample was more protruded than that of normal occlusion sample. · Fifty to seventy percent of Class Ⅲ molocclusion sample showed mandibular protrusion. ·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maxillary base inclination between Class Ⅲ malocclusion sample and normal occlusion sample, but mandibular base inclination(FMA) was larger in Class Ⅲ molocclusion sample. · Anterior cranial base length of Class Ⅲ malocclusion sample was shorter in male than that of normal occlusion sample, but posterior cranial base was shorter in female. · Mandibular body length of Class Ⅲ molocclusion sample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normal occlusion sample. · Maxillary body length of Class Ⅲ malocclusion sample was shorter than that of normal occlusion sample. ·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addle angle between both sample. · Gonial angl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Class Ⅲ malocclusion sample. · Basal reference planes(SN plane, FH plane) were considerably influenced on the evaluation of facial structures. · According to finding above, Charateristics of craniofacial structures in Class Ⅲ malocclusion were retruded maxilla, protruded mandible, short maxillary length, large mandibular length, high mandibular plane angle and large gonial angle

      • KCI등재후보

        소아의 최대개구량에 관한 연구

        백병주,김상훈,양연미,김재곤 大韓小兒齒科學會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4

        최근에 측두하악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는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측두하악장애는 저작근, 측두하악관절 및 그와 관련된 구조물의 많은 임상증상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측두하악장애로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는 여성이 많으며, 각 연령별 분포에서 보면 10대 후반에서 20대 후반에 호발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호발연령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측두하악장애의 조기진단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지며, 본 논문에서는 진단의 한 방법으로 간편하면서 쉽게 시행할 수 있는 최대개구량을 측정하였다. 최대개구량에 관한 여러 보고가 있지만, 소아기의 전 연령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조사된 보고는 희귀하다. 이에 저자는 4세부터 13세까지 1775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최대개구량을 측정하였으며, 최대개구량과 연련, 신장, 체중에 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악관절장애 진단의 기초적인 참고자료로 이용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는 4세에서 13세까지의 1775명(남자943명, 여자832명)을 대상으로 최대개구량과 연령, 신장, 체중의 상관관계에 관한 비교분석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4세에서 12세까지의 연령군중 4세, 8세, 12세의 평균 최대개구량을 보면 남자의 경우 각각 40.16mm, 47.32mm, 50.54mm였고, 여자의 경우 각각 39.79mm, 44.85mm, 48.09mm였다. 2.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개구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남자가 여자보다 큰 측정치를 보였다. 3. 신장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개구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5cm 이상 115cm 미만을 제외하고는 남자가 여자보다 큰 측정치를 보였다. 4.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개구량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군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큰 측정치를 보였다. 5. 최대개구량과 연령, 신장, 체중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신장이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Recently, tempormandibular disorder(TMD) shows an tendency to increase every year. TMD is a collective term embracing a number of clinical problems that involve the masticatory musculature, temporomandibular joint(TMJ) and associated structures, or both. TMD, viewed in distribution of age, often occurred from late teens to late twenties. But recently, the age of occurrence tends to be lower. Accordingly, early diagnosis of tempormandibular disorder is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maximum mouth opening which is simple and easy to carry out as a way of TMD diagnosis. In this study, the maximum mouth opening was examined for 1,775 children from 4 to 12 years of age. We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ximum mouth opening with the age, height, and weight.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maximum mouth openings of 4, 8, and 12 year of age were respectively 40.16mm, 47.32mm, 50.54mm for male, 39.79mm, 44.85mm, 48.09mm for female. 2. The maximum mouth opening increased with age, and the values were greater in male than in female. 3. The maximum mouth opening increased wit height, and the values were greater in male than in female except between 105cm and 115cm. 4. The maximum mouth opening increased with weight, and the values were greater in male than in female.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ximum mouth opeing with the age, height, and weight was all significant and heigh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 KCI등재

        법랑질형성부전증에 대한 증례보고

        백병주,김상훈,이승익,김재곤 大韓小兒齒科學會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4

        법랑질형성부전증은 주로 법랑기의 기능불량으로 야기된 법랑질의 형태이상을 말하며, 치아의 중배엽은 정상이기 때문에 완전한 외배엽성 이상이다. 법랑질형성부전증은 유치와 영구치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빈도는 1:14,000 혹은 1:16,000정도이다. 법랑질형성부전증은 다양한 임상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 형성부전증(hypoplastic), 석회화부전증(hypocalcified), 성숙부전증(hypomatruation)등으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 법랑질 형성부전증 환자들은 심미성, 치아의 냉온에 대한 과민반응, 교합면의 마모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형성부정증에서는 비교적 위의 문제가 경미하나, 석회화부전증에 있어서는 더욱 심각하다. 치료방법으로는 먼저 유전적 상담이 선행돼야하며, 전치부 심미성의 해결을 위한 composite resin veneer나 jacket crown을 이용하고, 구치부에 있어서는 S-S crown을 이용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본 증례는 전북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3명의 법랑질형성부전증 환아의 임상검사 및 치료과정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Amelogenesis imperfecta is defined as a genetically determined effect affecting enamel formation and may be associated with other ectodermal or systemic disorders. It is entirely an ectodermal disturbance, since the mesodermal components of the teeth are basically normal. The presentation of diverse clinical manifestations in 1:14,000 to 1:16,000. Classification of the AI types considers mode of inheritance and clinical manifestations. The most widely accepted classification system recognize three major groups; i, e., hypoplastic(thin enamel), hypocalcified(primary mineralization defect), hypomaturation(defect in enamel maturation). The treatment is that at first, genetic counseling must be practiced, and in anterior teeth, composite resin veneer or jacket crown for esthetics, and in posterior teeth, stainless steel crown or gold onlay.

      • 한국産 황어의 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1. 産卵習性 및 初期生活史

        조재권,오성현,노병율,한경호,성기백,박준택 麗水大學校 産業基術硏究所 1999 産業基術硏究所 論文集 Vol.8 No.-

        강원도 양양군에 위치한 남대천과 전라남도 섬진강에 분포하고 있는 황어의 종료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産卵習性과 初期生活史에 관하여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황어의 産卵期는 자연상태에서 3∼6月이고, 産卵은 흐르는 하천의 자갈 밑에 하였으며, 受精된 卵은 작은 자갈의 표면에 붙어있었다. 알의 크기는 2.70∼3.20㎜(평균 3.00㎜)로 油球는 없었다. 孵化는 평균 사육수온 10.60℃에서 受精 後 300시간부터 시작되었으며, 312시간만에 완료되었다. 孵化 直後의 仔魚는 전장 6.35∼6.87㎜(평균 10.67㎜)로 난황이 거의 흡수되어 後期仔魚期로 접어들며, 입과 항문이 열려있었다. 孵化 後 7∼9일째 後期仔魚는 전장 11.35∼12.30㎜(평균 11.65㎜)로 등지느러미가 생길 부분이 융기하기 시작하였다. 孵化 後 12∼13일째 개체는 전장 12.65∼13.15㎜(평균 12.80)로 이때부터 Daphnia sp.와 Brachionus plicatilis를 攝餌하였으며, 성장이 다소 빨라졌고, 脊索의 끝부분은 45°위로 굽어져 있었다. 孵化 後 43∼45일째의 개체는 전장이 19.55∼22.85㎜(평균 21.95㎜)로 모든 지느러미 줄기가 정수에 달하여 稚魚期로 이행하였다. 孵化 後 50∼52일째의 稚魚들은 전장이 21.54∼27.35㎜(평균 24.55㎜)로 몸의 형태, 체색 및 옆줄이 완전하게 형성되어 成魚에 닮아 있었다. The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sea rundace, Tribolodon hakonensis were studied. Spawning of T. hakonensis occurs enmasse on bottoms of stream with a spawning season of March to June. The eggs are attached to the under surface of the gravel. The eggs riped were demersal and adhesive, and their diameter were 2.70∼3.20㎜(mean 3.00㎜). Hatching was started at 300 hours after fertilization at mean water temperature 10.60℃. Newly-hatched larvae were 6.35∼6.87㎜ in total length(TL, Mean 6.65㎜), and mouth and anus were not yet opened. 4∼5 days old larvae transformed to postlarva stage and they were 10.25㎜∼11.15㎜ in TL (mean 10.67㎜). As yolk sac were nearly absorbed, mouth and anus were opened. In 7∼9 days after hatching, total length 11.35∼12.30㎜(mean 11.65㎜). The part of the fin-fold at dorsal fin became high. 12∼13 days old larvae were 12.65∼13.15㎜ in TL(mean 12.80㎜), and they fed Daphnia sp. and Brachionus plicatilis actively. In this time the growth rate slightly increased and tip of notocord was flesed on upward. Aggregate numbers of all fin rays were completed at over 19.55∼22.85㎜ in TL(43∼45 days after hatching), at which time the larvae reached the juvenile stage. 50∼52 days old larvae(21.54∼27.35㎜ in TL) were similar in body from, lateral line and color with adult.

      • KCI등재

        3D Dental-CT를 이용한 상악 매복 과잉치의 진단 : 증례보고

        김재곤,김수경,양연미,백병주,김성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1

        과잉치는 법랑기(enamel organ)가 치배형성을 지속하거나 과도한 세포증식을 함으로써 발생한다. 과잉치는 상악 전방부에서 종종 발견되며, 유치열기와 혼합치열기에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과잉치는 형태에 따라서 보충치(supplemental tooth)와 흔적치(rudimental tooth)로 나눌 수 있다. 보충치는 정상 절치와 크기 및 형태가 유사하나, 흔적치는 비정삭적인 형태와 작은 크기를 갖고 있다. 보충치는 영구 측절치 부위에서 호발하며 정상 전치와 유사한 형태와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발치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3증례는 상악 전방부에 정상 전치 형태의 과잉치를 갖는 증례들이다. 모든 증례에서, 치근단, 교합,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등의 기존 방사선 사진 촬영 외에 3Dimensional Dental-Computed Tomography(3D Dental-CT)를 촬영하여 진단하였다. 기존 일반 방사선 사진들(conventional radiographs)과 3D Dental-CT를 비교시, 일반 방사선 사진들은 2차원적인 영상만을 제공하여 상의 해석에 있어서 술자의 주관이 개입되는 한계가 있다. 반면 3D Dental-CT는 과잉치의 정확한 위치와 형태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좀 더 보존적인 수술을 시행하고, 수술 시간과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유용하다. 그러므로 일반 방사선 사진 촬영 후 과잉치의 위치가 불분명하고 인접 영구치의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3D Dental-CT를 이용한 진단이 고려된다. Supernumerary teeth are teeth which result from the continued budding of the enamel organ of the preceding tooth or from excessive proliferation of cells. They are most often found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And they can be responsible for a variey of irregularities in the primary and transitional dentition. There are two morphological types of supernumerary teeth: supplemental and rudimentary. Supplemental teeth have normal shape and size. In contrast, rudimental teeth have abnormal shape and smaller size. Supplemental supernumerary teeth are most common in permanent lateral incisor area. Its extration must be decided more carefully with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normal teeth, because it has nomal shape and size. We reports 3 cases of the normal incisor shaped teeth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In all cases, we used the 3D Dental-CT as well as the conventionl plain film such as periapical, occlusal, and panoramic ridiograph. Consequently, 3D Dental-CT was valualble to figure out the exact position and morphology of supernumerary teeth, to do more conservative surgery, and to reduce surgery stress and time.

      • KCI등재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계 수복재의 특성

        김상훈,백병주,김재곤,양연미,박정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3

        본 연구에서는 구강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불소방출성을 보이는 콤포짓트 레진계 수복재의 내구성과 불소방출성을 조사하기 위해 4종의 콤포머와 1종의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을 실험재료로 선택하고 5℃와 55℃ 수중에서의 열순환 처리 후의 인장강도, 열순환 처리 후 칫솔에 대한 작용력 1.5N으로 100,000회 칫솔질을 시행하였을 때의 표면조도 및 불소치약 칫솔질 후 37℃ 수중에서의 불소이온 용출 양상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장강도는 TC(Tetric^(ⓡ) Ceram)군에서 32.3 MPa, CF(Compoglass F)군에서 16.8 MPa이고, TC군과 DF(Dyract^(ⓡ) flow)군 및 CF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칫솔질 마모시험 후의 표면조도 Ra는 TC군에서 0.287, FT(F2000)군에서 1.516이고, FT군과 나머지 시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칫솔질 마모시험 후의 표면에서는 필러의 돌출과 탈락 양상이 관찰되었다. 4. 불소치약 Perio Alpine Herb로 칫솔질 한 후 콤포머는 초기에 높은 용출을 보인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용출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의 TC군에서는 초기단계부터 낮으면서도 지속적인 용출을 보였다. 5. 불소치약 Perio Alpine Herb로 칫솔질 한 후 1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불소이온 용출량은 CF군에서 2.064μg/cm², TC군에서 0.1119μg/cm²이고, CF군의 용출량이 나머지 시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fluoride-releasing resin composite restorative materials. Four commercially available compomer materials (Compoglass F: CF, Dyract^(ⓡ) AP: DA. Dyract^(ⓡ) flow:DF, F2000: FT) and one fluoride-releasing composite resin (Tetric^(ⓡ) Ceram: TC)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materials. Rectangular-shaped tensile test specimens were fabricated in a teflon mold giving 5 mm in gauge length and 2 mm in thickness. Disk-shaped specimens were fabricated in the split teflon mold with diameter of 15mm and thickness of 1 mm. After curing for an hour, specimens were immersed in deionized water at 37℃±1℃ for 30 days. All specimens were thermocycled for 10,000 cycles with 15 seconds of dwelling time in each 5℃ and 55℃ water baths. Toothbrush abrasion test was conducted under a load of 1.5 N and the abraded surfaces were examined with surface roughness tester (SV-3000, Mitutoyo Co, Japan) and SEM (JSM-5800, JEOL, Japan). Fluoride recharging was done by toothbrushing for 3 min. using a fluoride toothpaste (Perio Alpine Herb, LG Household & Health Care, Korea).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ghest tensile strength value of 32.3 MPa was observed in TC group and the lowest value of 16.8 MPa was observed in CF group. The tensile strength of TC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F and DF groups (P<0.05). 2. The lowest Ra value of 0.287 was observed in TC group and the highest value of 1.516 was observed in FT group. The Ra value of F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P<0.05). 3. The abraded surfaces revealed the increase of surface roughness due to the protrusion and missing of filler particles. 4. The release of fluoride of compomers after tooth brushing by Perio Alpine Herb was initially large and then followed by small and continuously. But it remains small and constant in fluoride-releasing composite resin of TC. 5. The highest value of fluoride release after toothbrushing by Perio Alpine Herb was 2.064 μg/cm² in CF group and the lowest value was 0.119μg/cm² in TC group. The amount of fluoride release of CF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P<0.05).

      • KCI등재

        SECKEL 증후군 환자의 증례보고

        김추성,김재곤,백병주,양연미,정진우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1

        Seckel 증후군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으로 태내에서의 성장지연에 따른 출생 후의 소인증, 심한 소두증을 나타내며, 큰눈과 돌출된 코, 후퇴된 하악을 동반한 새 모양의 안모가 특징적이다. 다른 임상증상으로는 관절의 결함, 내반족, 드문드문 난 모발, 비뇨생식기의 이형성, 정신지체, 혈액학적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Seckel 증후군의 구강 내 소견으로는 부정교합, 법랑질 저형성증, 일부 치아의 선천적 결손, 우상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증례는 Seckel 증후군을 보이는 두 증례에서 발육부전, 새 모양의 안모, 비뇨기과적 기형, 치아의 저형성과 부정교합 등 다양한 전신증상과 구강 내 증상들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Seckel syndrome is an autosomal recessive disorder characterized by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and post-natally by dwarfism, severe microcephaly, bird-headed profile with receding chin, prominent nose, joint defects, clubfoot, sparse hair, malformation of genitourinary tract and rectum, mental retardation and hematological disorders. There is also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blood cells. Dental anomalies of Seckel syndrome are crowded teeth with malocclusion, enamel hypoplasia, absence of some teeth and taurodontism. This report described the oral and maxillofacial manifestations of children associated with Seckel syndrome. Children with Seckel syndrome have several dental and skeletal irregular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dental and med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and review the literatures of Seckel syndr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