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공구 사용 근로자의 수근관증후군 실태조사 결과

        Hyunjin Park,Woohyun Chun 대한인간공학회 2013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5

        Objective: 본 연구는 경기남부지역에서 종사하고 있는 식당조리원, 단순조립작업자 등 수공구 사용작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근관증후군 실태조사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예방 대책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Background: 산업재해통계에 따르면 근골격계질환자 중 수근관증후군은 2008년부터 별도의 코드가 분류되어 발표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533명이 발생하는 등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단순노무 종사자, 식당조리원 등 수공구를 사용하는 취약직종에 대한 실태 파악이 미흡하고, 예방 대책 제시가 어려운 실정이다. Method: 경기남부지도원에서는 5년간 발생한 전국 수근관증후군 질환자를 분석하여 재해다발 상위 업종 중 5개업종(수송용기계기구제조업(을), 식료품제조업, 기계기구제조업, 화학제품제조업, 음식및숙박업)을 선정하였으며, 수근관증후군 및 근골격계질환자 등이 발생한 사업장 100개소에 대하여 수근관증후군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Results: 취약직종의 세부 작업 중 조리작업자 중 세척 작업에 대한 육제적 부담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육체적 부담정도는 약간 힘든 정도(4.6점)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인에 해당하는 작업은 일일 평균 2시간 이상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가장 불편한 위험요인으로는 반복작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로자의 증상호소 신체부위는 손/손목/손가락, 허리, 어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Conclusion: 본 연구의 결과는 경기남부지역에서 종사하고 있는 단순노무 종사자, 식당조리원 등의 수근관증후군 취약직종에 대한 실태 분석을 토대로 현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예방대책을 제시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세부 직종 및 작업별 실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한강에서 분리된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ESBL) 대장균의 내성 연구

        홍현진,천정녀,이연희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3 자연과학연구논문집 Vol.15 No.-

        Compared to the number of study with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s (ESBLs)producing clinical isolates, environmental ESBL-producers have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To investigate environmental ESBL-producing Escherichia coli, twenty-two cephalothin-resistant E.coli were isolated from Han-river in Seoul, Korea. These isolates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cephalothin, and gentamicin and fourteen isolates among these were resistant to norfloxacin, too. All of these isolates produce AmpC and CMY, OXA, or TEM as determined by isoelectric point focusing gel electrophoresis and PCR. One isolate (No. 57-214) producing AmpC and OXA was resistant to all antibiotics (ampicillin, cephalothin, norfloxacin, gentamycin, cefotaxime, ceftazidime) tested in this study. Six isolates including isolate No. 57-214 could adhere to T24 human bladder cells and these isolates were not related to each other as shown with RAPD. ESBL을 생산하는 임상 균주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데 비해 환경 균주에 대한 연구는 널리 진행되고 있지 않다. 환경에서 분리한 ESBL을 생산하는 E.coli를 연구하기 위해 서울의 한강에서 22개의 cephalothin 내성 E.coli를 분리하였다. 한강에서 분리한 22균주 모두 ampicillin, cephalothothin 그리고 gentamicin에 내성이었고, 이중 14 균주가 norfloxacin 에 내성이었다. PCR을 통하여 모든 균주가 AmpC와 CMY, OXA 또는 TEM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들의 pI는 isoelectricfocusing을 통해 측정하였다. 특히, AmpC와 OXA를 생산하는 No.57-214는 본 실험에 사용한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다 (ampicillin, cephalothin, norfloxacin). 이들 균주들은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를 이용하여 연관도를 분석한 결과 각각 모두 다른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인물 개체 분할을 위한 맥락-의존적 비디오 데이터 보강

        전현진,이종훈,김인철,HyunJin Chun,JongHun Lee,InCheol Kim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2 No.5

        비디오 개체 분할은 비디오를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 각각에 대해 관심 개체 분할을 수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해당 비디오를 구성하는 프레임 시퀀스 전체에 걸쳐 개체들에 대한 정확한 트래킹을 요구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은 기술이다. 특히 드라마 비디오에서 인물 개체 분할은 다양한 장소와 시간대에서 상호 작용하는 복수의 주요 등장인물들에 대한 정확한 트래킹을 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드라마 비디오 인물 개체분할은 주연 인물들과 조연 혹은 보조 출연 인물들 간의 등장 빈도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 일종의 클래스 불균형 문제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생 드라마 비디오들을 토대로 구축한 인물 개체 분할 데이터 집합인 MHIS를 소개하고, 등장인물 클래스 간의 심각한 데이터 불균형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비디오 데이터 보강 기법인 CDVA를 제안한다. 기존의 비디오 데이터 보강 기법들과는 달리, 새로운 CDVA 보강 기법은 비디오들의 시-공간적 맥락을 충분히 고려해서 목표 인물이 삽입되어야 할 배경 클립 내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더 현실적인 보강 비디오들을 생성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비디오 데이터 보강 기법인 CDVA는 비디오 개체 분할을 위한 심층 신경망 모델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MHIS 데이터 집합을 이용한 다양한 정량 및 정성 실험들을 통해, 제안 비디오 데이터 보강 기법의 유용성과 효과를 입증한다. Video instance segmentation is an intelligent visual task with high complexity because it not only requires object instance segmentation for each image frame constituting a video, but also requires accurate tracking of instances throughout the frame sequence of the video. In special, human instance segmentation in drama videos has an unique characteristic that requires accurate tracking of several main characters interacting in various places and times. Also, it is also characterized by a kind of the class imbalance problem becaus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main characters and that of supporting or auxiliary characters in drama video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human instance datatset called MHIS, which is built upon drama videos, Miseang, and then propose a novel video data augmentation method, CDVA, in order to overcome the data imbalance problem between character classe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video data augmentation methods, the proposed CDVA generates more realistic augmented videos by deciding the optimal location within the background clip for a target human instance to be inserted with taking rich spatio-temporal context embedded in videos into account. Therefore, the proposed augmentation method, CDVA,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deep neural network model for video instance segmentation. Conduct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eriments using the MHIS dataset, we prove the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video data augmentation method.

      • 한강(중랑천)의 오염도 측정

        이계남,이은정,천청녀,하미선,홍현진,이연희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2 자연과학연구논문집 Vol.14 No.-

        한강의 오염도 측정을 위한 생물학적 지표로 대장균의 계절별 분포도를 측정하여 한강의 오염도를 예측하고, 상수원 및 레저용 수질에 적합한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0년 4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일년동안 매달 1-2회 한강 지류인 중랑천에서 대장균을 분리하였다. 우리나라의 수질 규격으로 식수원의 일반세균 규격은 100 CFU/㎖ 이고 대장균의 기준은 원수의 경우 50 CFU/㎖. 정수된 후에는 음성이어야 하며, 레저용수의 대장균 기준은 음성이고, 하수처리장의 경우 ㎖당 1,000개 이하이다. 본 실혐의 결과는 1년 동안의 중랑천의 수질이 상수원이나 레저용으로 부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4월과 1월에는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아 상수원이나 레저용수로 적합할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세균의 기준치인 100 CFU/㎖을 크게 벗어나 상수원이나 레저용으로 사용하기 부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과 1월을 제외하고는 대장균이 검출되어 상수원이나 레저용으로 적합지 못한 것 으로 나타났고, 특히 9월과 10월에는 하수처리장의 기준치인 1,000 CFU/㎖에 비해 각각 1.140 CFU/㎖과 1.030 CFU/㎖ 이 검출되어 보다 엄격한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항생제내성 세균의 환경중 분포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여 항생제 내성 대장균의 분포경향을 관찰하였다. Cephalothin 내성 대장균은 5월 이후로 증가되어 9월에 최대치를 보이다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norfloxacin 내성 대장균은 2000년 5월부터 9월까지 발견되었다가 그 이후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강의 수질을 보전하기 위해서 중랑천 주변의 생활하수 및 축산폐수의 하수 처리를 엄격히 하여 수질을 보전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In order to measure the contamination level of Han River, Escherichia coli, the biological indicator for the pollution, was observed to check the quality of water whether it is proper as the source for drinking water or recreational impoundment. Surface water of Joongrang stream, a branch of Han River, was collected monthly from April 2000 to March 2001. Guideline of E. coli for drinking water or recreational impoundment is negative and for sewage is less than 1,000 CFU/㎖. All year round, Joongrang stream was not proper for drinking water or recreation. CFUs of total bacteria were exceeded the guideline for source of drinking water, even though E. coli was not detected on April and January. Except these months, E. coli was detected especially during a period from September to October and CFUs of E. coli detected in Joongrang stream were 1,140 CFU/㎖ and 1,030 CFU/㎖ exceeding the guideline for sewage treatment. When CFU of antibiotic-resistant E. coli were coun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the misuse or overuse of antibiotics to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ephalothin-resistant E. coli were present all around the year except April and Febraury. And norfloxacin-resistant E. coli were detected from May to September. This showed that the Joongrang stream must be treated before it entered to the mainstre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