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십미패독산(十味敗毒散)가미방 (정안탕(正顔湯))으로 호전을 보인 지루성 피부염 치험 5례 증례보고

        김은진,류동훈,정아람,Kim, Eunjin,Ryu, Donghoon,Jeong, Aram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21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35 No.3

        Objectives Seborrheic dermatitis is a chronic superficial eczematous dermatitis characterized by the redness and dry or greasy squama. This case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 of Shi Wei Ba Du-San gamibang (Jeongan-tang) for seborrheic dermatitis by retrospective methods. Methods From June 1, 2016 to January 31, 2020, 5 patients with seborrheic dermatitis were treated with Jeongan-tang for 3 months at Oriental Medicine Clinic. We analyzed information and body conditions of 5 patients. Redness, squama, and skin discomfort such as itching were assessed in 5 patients by using VAS (Visual Analogue Scale) score. We evaluated the symptom change by photographs and VAS score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Results At first, the frequency of flushing and redness was decreased. Secondly, the scaly skin was change to normal state and itching sensation was lessened. After the treatment, the total VAS score was decreased. Conclusions Jeongan-tang can be effective in seborrheic dermatitis, and it also can be helpful to regenerate the skin condition as well.

      • KCI등재

        조선회화를 활용한 치유적 미술관 활동의 가능성 탐색: 단원미술관 檀園雅會-200년만의 외출 展에서 김홍도 작품을 중심으로

        김은진(Eunjin K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3

        본 연구는 조선 회화 특히, 18C 조선의 문예부흥을 이끌었던 화가 김홍도의 작품을 활용하여 치유적 미술관 활동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의 미술관은 교육 기관으로써의 기능을 넘어서 현대인의 마음과 몸을 건강하게 돌볼 수 있는 치유적 공간으로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 김홍도는 주로 풍속화가로 잘 알려져 있지만, 산수화 뿐 아니라 초상화, 영모화, 화조화, 도석인물화에 이르는 거의 모든 화목에서 뛰어난 화가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안산에 소재한 단원 미술관에서 2019년 10월에 개최한 檀園雅會-200년만의 외출展에 출품된 김홍도의 산수화 및 도석인물화를 중심으로 현대인의 몸과 마음을 돌볼 수 있는 치유적 미술관 활동을 개발하고 그것을 성인 및 청소년과 아동에게 적용하여 그 활용 가능성을 탐색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선회화의 특징과 미술관의 치유적 잠재력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檀園雅會-200 년만의 외출 展’과 연계한 치유적 미술관 활동,‘선비가 되어 그림 속을 노니다’를 개발하였다. 이를 성인 및 청소년, 아동을 대상으로 직접 적용해 보고 대상별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회화 특히 김홍도의 작품을 활용해 아동과 청소년, 성인에 이르기 까지 미술관에서 자기를 발견하여 더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구체적인 예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therapeutic art museum programs by using the works of Hongdo Kim, who led the Renaissance of th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during the 18th century. Currently, art museums act not only as a n educational institution, but also as a therapeutic location for the modern people to care for the health of their body and mind. Although Kim is well known as a folk artist, there should be a new approach to study his works as he was also a great artist in not only landscapes, but also portraits, Yeongmohwa and flower and bird paintings. This study developed therapeutic art museum programs for the mind and body of the modern people based on the landscape and the Taoist figure paintings by Kim that were exhibited during the 檀園雅會 – Excursion after 200 Years Exhibition of Danwon Art Museum in Ansan, held in October 2019, and investigated the possibilities of the programs by testing them on adults, youth and children. The study first identified the potential therapeutic effects of art museu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with prior studies, and then developed the therapeutic art museum program called “Wandering within the Paintings as Scholars” connected to the 檀園雅會 – Excursion after 200 Years Exhibition. The program was applied to adults, youth and children a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ies of the program by analyzing the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s by the type of participan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come a new opportunity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paint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artwork by Hongdo Kim, for children, youths and adults to find themselves within the art museum and lead healthier live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adults, so that they can discover their inner selves and live a healthier life.

      • 자연어 처리와 텐서플로를 통한 언어표현 수치화 및 데이터 매칭에 대한 연구

        김은진 ( Eunjin Kim ),김지혜 ( Jihye Kim ),김치훈 ( Chihun Kim ),배채은 ( Chaeeun Bae ),김영종 ( Youngjo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1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은 각자 자신의 맞춤형 생활을 원한다. 특히 쇼핑이나 강의 등 직접 사용한 자의 후기에 따라 구매를 하는 경우에는 선택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머신러닝의 속성 범주화로 사용자에게 꼭 맞는 제품과 강의를 연결 할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중등예비교사의 창의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의 효과

        김은진(Eunj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3

        본 연구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에서 중등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창의역량 강화와 학업도전 변화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예비교사 94명이 한 학기 동안 융합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하였다. 설문지는 지은림, 주언희(2012)가 개발한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도구와 배상훈 외(2015)의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의 학업도전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BM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의역량에서는 ‘고차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호기심’,‘ 감수성’, ‘과제집착력’, ‘사회 가치추구’, ‘협동 및 배려’가 유의미하였다. 학업도전에서는 ‘고차원 학습’과 ‘학습전략’이 유의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융합교육, 융합수업을 일반화하여 수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융합수업설계, 지도안 작성, 실천연구와 반복적인 융합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며 수정·보완 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nhancing creative competency and changes in academic challenge for the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purpose, 94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project learning through the preparation of the convergence instruction and the class demonstration during one semester.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e measurement of creative leader competence and K-NSSE for academic challenge. Analysis of data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18.0 program for the corresponding sample t test. The creative competency included ‘higher mental thinking’, ‘problem solving’, ‘curiosity’, ‘sensitivity’ ‘task commitment’, ‘the pursuit of social value’, and ‘co-operations and considerations’. This results was significant(p< .05). Academic challenge, high-order learning domain and learning strategies domain were significant(p< .05). Based on this, in order to generalize the convergence education and convergence lesson, it is necessary to design various convergence lessons and practice study to make a plan and practice it.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for the necessity of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effects after repeated convergence less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동료멘토링을 활용한 중등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과 동료멘토링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

        김은진(Eunj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중등 예비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동료멘토링을 활용하여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자기효능감 요인들 즉, 상황경험, 간접경험, 언어적/사회적 설득, 감성적/생리학적 상태의 향상과 동료멘토링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멘토와 멘티로 구성된 팀활동과 멘티의 수업시연 및 동료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터뷰와 성찰저널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요인들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료멘토링의 인식에 대한 결과 분석에서 멘티의 경우 멘토들의 조언을 통해 상호작용과 소통을 통해 다양한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한 교육실습 및 실무경험의 기회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mproving the teachers’ self-efficacy for pre-secondary music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the improvement for teachers’ self-efficacy for pre-secondary music teachers and the pre-secondary music teachers’ perception about peer mentoring. In this study performed the interview and analyzed the in self-reflection journal in order to identify the improvement effect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the participants’ perception change in the peer mentoring. A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change in participant’s perception about peer mentoring the mentors had the opportunity to review previous learning contents and practice experiences while developing their team activity and for the mentees. Mentees said that they were given various help from the mentors’ advices and their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with mentors. From these results, it could identify that there was positive change in participant’s perception about the peer mentor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at it would need to require some chances for pre-secondary music teachers to be given some educational practice and field experience utilizing various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improve their self-efficacy and the perception of peer mentoring.

      • KCI등재

        창의·융합형 중등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수업 혁신 요소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PBL)에서 중등예비교사의 성찰일지 분석

        김은진(Eunj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에서 중등예비교사들의 성찰일지를 분석하여 인식변화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예비교사 30명이 계절학기 4주간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참여하였으며, ATLAS.ti 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찰일지 내용에서 한국교육평가원에서 개발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수업 혁신 지원 방안’ 연구보고서의 수업 혁신 요소의 의미가 도출되는지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등예비교사들은 교사의 시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수업지도안 작성부터 시연까지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교수방법의 중요성 인식, 새로운 경험, 상호작용 등에 관한 인식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융합형 중등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수업 혁신 연구의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perception by analyzing self-reflection journal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PBL. For this purpose, 30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PBL for 4 weeks of summer semester.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elf-reflection journals using ATLAS.ti 8 and the meaning of the teaching innovation factors was derived from the self-reflection journal cont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re-service teachers’ solved the problem from the teacher’s perception. Through the PBL process,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was changed such as new teaching-learning method, recognition of important of teaching method and interaction. Based on this, this implie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eaching innov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creativity-convergence.

      • KCI등재

        교육대학원생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증진 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김은진 ( Eunji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음악교육대학원생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증진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대학교 음악교육대학원의 <음악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수업을 수강한 3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25명의 서면인터뷰와 10명의 대면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설문지를 바탕으로 인터뷰 질문을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van Manen(1990)이 제시한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활동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4-5명이 한 팀으로 총 9팀이 구성되었으며, 팀 활동을 통해 수업 주제를 설정하였다. 교수방법과 교수매체를 활용한 음악과와 타 교과가 연계한 융합 수업지도안을 작성 후 수업시연 및 토론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그 결과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증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교육대학원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증진 효과에 효과가 있는 수업방법으로 더욱 다양한 영역에서의 연구가 필요한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rovement effects of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students’ SDL and CPS abilities through PBL. To this end, 38 students at a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in the ‘music education studied of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 of guidance’ class. Learners were observed in class, and interviewed in written(25 students)/face to face(10 students) for confirm the improve effects of their SDL and CPS abilities. For this study, the interview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kills” develop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of this study were carried as follows. First of all, a total of nine teams of 4-5 team members were formed. Secondly, through team activities students set the theme of the team project. Third, created a teaching plan for the convergence of music and other subjects, using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edia. Finally, this study finished with class demonstration and discussion. As a method of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proposed by van Manen(1990). As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e improve effects of SDL and CPS abilities. To the follow this research PBL is a teaching method that is effective in enhancing SDL and CPS abilities of graduate students in education.

      • KCI등재

        사회혁신을 촉진하는 디자인 워크숍의 도구 개발 및 활용

        김은진(EunJin Kim),이용기(Yong-Ki Le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4

        농촌과 소도시의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도시에서 도시 재생이나 농촌 체험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경 체험의 프로그램 일환으로 디자인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목표는 촉진 도구가 참가자의 창의성을 지원하고 사고를 시각화하여 미래의 방향을 발견할 수 있는지, 디자인 워크숍이 사회문제 해결에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도구가 새로운 솔루션 생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워크숍을 설계하고 프로세스의 각 단계 4가지 도구를 사용하였다. 도구는 '아이스 브레이킹', '나를 발견하기', '해바라기 아이디에이션', '나와 도시'이다. 그 결과 첫째, 참가자들은 촉진 도구를 통해 창의적 사고를시각화하고 미래의 방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참가자들은 사고의 전환,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공감형성,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의 다각적 관점의 경험을 통해 기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셋째, 도구는 참가자의 자기 성찰을 촉진하고 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디자인 워크숍에서 참가자들은 디자인 방식에 대한 접근에 초기 어려움이 있었지만, 촉진자의 도움을 받아 해결되었다. 디자인 방법에 쉽게 접근할 수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워크숍과 촉진 도구 사용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혁신 워크숍 추진에 필요한 도구를 이해하고 개선하며, 새로운 도구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데 가치가 있다. Many cities are implementing projects such as urban regeneration or rural experience to address the problem of population decline in rural areas and small cities. In this study, a design workshop was held as part of the rural experience program in Mungyeong.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facilitation tools can support participants' creativity, what role design workshops play i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whether facilitation tools can aid in the creation of new solutions. We held a workshop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nd used four different tools for each step of the process. The tools are called 'Ice Breaking', 'Myself Discovery', 'Sunflower Ideation', and 'Me and the City'. As a result, the tools enabled the participants to visualize and discover future directions for solving existing social problems. Secondly,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open up and see new possibilities through a change of thinking, the formation of empathy with people from various backgrounds, and through the experience of multilateral perspectives from various people. Thirdly, the tools promote the self-reflection of the participants and affect their emotional development. In the design workshop, participants had initial difficulties approaching the design method but resolved it with the help of facilitators. In order to make design methods easily accessible, more research on design workshops and the use of facilitation tools is needed. This research is useful for understanding and improving the tools required to promote social innovation workshops, as well as for suggesting development directions for new tool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교육패러다임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은진(Eunj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9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패러다임과 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53명이 한 학기 동안 팀 토의 중심 수업으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자료인 토의 보고서는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교육은 정보통신기술, 윤리관, 융합교육, 창의성, 인성교육, 협업으로 예비교사는 이와 같은 교육을 위해 융합교육, 지역연계학습, 거꾸로 학습, 혼합학습 등의 학습자 중심 학습과 평가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교사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은 융합적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정보처리 역량, 공감 및 이해 역량, 창의적 교수 및 교수설계 역량, 협업 및 의사소통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예비교사양성을 위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for education paradigm and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r this study 53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instruction during one semester. The study result was to analyze the discussion reports of pre-service students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s a result, the pre-servic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school needs to change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assessment metho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econdly, the result of the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was the integrated curriculum reconstruction, information processing, empathy and understanding, creative teaching and instructional design,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hange of education paradigm for pre-service teacher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