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관절함몰형 종골 골절에 대한 다공성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이용한 수술적 치료

        최의성,김용민,김동수,손현철,박경진,조병기,박지강,유준일,Choi, Eui-Sung,Kim, Yong-Min,Kim, Dong-Soo,Shon, Hyun-Chul,Park, Kyoung-Jin,Cho, Byung-Ki,Park, Ji-Kang,Yoo, Jun-Il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0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4 No.1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operative treatment using porous hydroxyapatite for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of joint depression typ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The period to union was calculated to evaluate the osteoconductivity of porous hydroxyapatite used as bone graft substitute. The measurement of Bohler angle, Gissane angle and the degree of articular surface depression was performed through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diographs. The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hindfoot score of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d scale of the Creighton-Nebraska health foundation (CNHF). Results: Bohler angle and Gissane angle had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operative average $10.4^{\circ}$, $117.8^{\circ}$ to average $22.6^{\circ}$, $113.5^{\circ}$ immediate postoperatively, and had maintained to average $21.2^{\circ}$ and $114.4^{\circ}$ at the last follow-up. The degree of articular surface depression had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operative average 4.8 mm to 1.5 mm at the last follow-up. All cases achieved bone union, and the interval to union was average 12.8 weeks. AOFAS score was average 85.2 points at last follow-up. There were 7 excellent, 10 good, and 3 fair results according to the CNHF scale. Therefore, 17 cases (85%)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Conclusion: Plate fixation using porous hydroxyapatite seems to be one of effective treatment methods for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of joint depression type, because of supporting the reduction of subtalar articulation by augmenting bony defect and facilitating bone formation. Further evaluation about long-term radiological changes and histological analysis on hydroxyapatite implantation site should be required.

      • Bipolar radiofrequency system 사용 중 발생한 Tip의 분리 - 증례 보고 -

        최의성,박경진,김용민,김동수,손현철,박지강,배승환,Choi, Eui-Sung,Park, Kyoung-Jin,Kim, Yong-Min,Kim, Dong-Soo,Shon, Hyun-Chul,Park, Ji-Kang,Bae, Seung-Whan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1

        Recently, devices using radiofrequency energy have been developed for arthroscopic soft tissue ablation, cauterization and shrinkage. After ACL reconstruction operation, articular metallic foreign body was found in the post-operative radiographs. It was proven to be the tip of bipolar radiofrequency system after foreign body removal. After that we experienced 2 more cases during the acromioplasty procedure. We requires attention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tip from the body in the arthroscopic surgery using bipolar radiofrequency system. 최근 관절경 시술시 절제, 지혈, 수축(Shrinkage)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고주파 에너지를 이용한 bipolar radiofrequency system이 사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방사선 사진상 관절 내 금속성 이물질을 발견, 이물질 제거술을 시행하여 bipolar radiofrequency system의 probe에서 분리된Tip을 제거하였다. 이후 견관절 견봉성형술 과정에서 Tip의 분리를 2예 추가적으로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자가 연골세포 이식술 이후에 발생한 이식부의 골 형성 병변 - 증례 보고 -

        최의성,박경진,김용민,김동수,손현철,조병기,박지강,이형준,이옥준,Choi, Eui-Sung,Park, Kyoung-Jin,Kim, Yong-Min,Kim, Dong-Soo,Shon, Hyun-Chul,Cho, Byung-Ki,Park, Ji-Kang,Lee, Hyung-Joon,Lee, Ok-Jun 대한관절경학회 201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4 No.1

        연골 손상에 대한 수술적 치료 방법 중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은 자신의 연골 세포를 실험실에서 배양하여 이것을 다시 관절 내의 연골 결손 부위에 이식하여 증상이 있는 전층의 연골 또는 골 연골 손상을 치료하는 술식이다. 저자들은 자가연골 세포 이식술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이식부의 골 형성 병변이 있는 1 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is a widely used technique for treating cartilage defect or osteochondral lesion, which is the method of transplantation of self chondrocytes after cultivation in the laboratory. We experienced the rare case of heterotophic ossification in the recipient site of the knee after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So we want to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s.

      • KCI등재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보존적 치료의 임상적 결과

        최의성(Eui Sung Choi),박상준(Sang J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2

        목적: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보존적 치료의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 중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49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모두 자기공명영상장치를 통하여 파열을 확인하였다. 남성 39명, 여성 10명이며, 평균연령은 37.6세였고, 부분 파열 16예, 완전 파열은 33예였다. 보존적 치료는 장하지 석고붕대를 6주간 시행 후, 대퇴사두근 및 슬괵근의 등장성 운동을 시행하였다. 결과: 49예 중 통증과 불안정감으로 인하여 3예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보존적 치료를 지속한 46예에서 최종 추시(평균 12.9개월) 시 30도 슬관절 굴곡상태에서 Telos 기기를 이용한 전방 스트레스방사선 검사상 양측 전방전위의 차이로 슬관절 불안정성을 평가하였고, 그 수치는 평균 2.74±1.36 mm (0.51-7.46 mm), Tegner 활동도 점수는 평균 6.30±0.92점(3-8점),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점수는 평균 84.7±13.11점(51.7-97.7점)이었다. 결론: 자기공명영상상 급성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확인된 경우, 적절한 환자군에서는 보존적 요법으로도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는 정도의 기능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conservativ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0 to May 2013, 49 patients with acute ACL injury who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 were selected as subjects. All ruptures were diagnos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ixteen patients had partial ruptures and 33 patients had complete ruptures. The average age was 37.6 years; males were 39, and females were 10.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ed a long leg cast for 6 weeks and isotonic exercise for quadriceps and hamstring. Knee joint instability was evaluated with the side-to-side difference using the Telos device. Tegner activity scor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ubjective score, and range of motion in the joint were assessed in all patients. Results: In the final follow-up, the mean value of the Tegner activity score was 6.30 points (3-8 points), and the mean value of the IKDC score was 84.7 points (51.7-97.7 points). The mean value of side-to-side difference using the Telos device was 2.74 points (0.51-7.46 points).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acute ACL injury diagnosed by MRI can be treated conservatively in appropriate patients, with favorable resul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TightRope(R)를 이용한 관절경적 치료 -예비 보고-

        최의성 ( Eui Sung Choi ),박경진 ( Kyoung Jin Park ),김용민 ( Yong Min Kim ),김동수 ( Dong Soo Kim ),손현철 ( Hyun Chul Shon ),조병기 ( Byung Ki Cho ),박지강 ( Ji Kang Park ),이현철 ( Hyun Chul Lee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3

        목적: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로 진단된 12예의 환자에서 TightRope(R) (Arthrex, Inc, Naples)를 이용한 관절경적 고정술을 시행했으며 이에 대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인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내원한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 환자 중 Rockwood 분류 V인 12예를 대상으로 TightRope(R)를 이용하여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0.4 (25∼63)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0 (8∼16)개월이었다. 수술 전후 방사선학적 평가는 견봉 쇄골 관절의 전후 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건측과 비교하였으며, 임상적 평가는 Constant score 및 KSS (Korean Shoulder Score)에 따라 통증, 기능, 관절운동범위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12명의 환자 모두에서 수술 3개월 후 직장으로의 복귀가 가능했으며 최종 추시 시 Contant score는 평균 98.4점이었으며 KSS는 평균 97.8점이었다. 수술 후 및 추시상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10예에서 해부학적 정복이 확인되었으며 2예에서 초기 수술 시의기술적 오류 및 적응증 오류로 인한 재탈구가 발생하여 증례에서 제외하였다. 10명의 환자가 기능적과 미용적인 면에서 만족을 하였다. 결론: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 있어서 TightRope(R)를 이용한 관절경적 치료는 수술 초기의 기술적 오류만 극복한다면 고정물의 파쇄에 의한 합병증의 발생이 낮으며 재원기간이 짧고 조기 재활 및 우수한 미용적 결과로 인해 충분히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he arthroscopic treatment using TightRope(R) (Arthrex, Inc, Naples, FL) for management of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patients with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Rockwood type V are underwent the arthroscopic acromioclavicular joint reconstruction using TightRope(R) between March, 2008 and March, 2009. The average age was 40.4 years (range 25∼63 years) and mean follow-up was 10 months (range 8∼16 months). The shoulders were evaluated using parameters include radiologic measurements by comparing the clavicle posteroanterior and lateral radiographs with the con- tralateral one. Clinical evaluation was made for pain, function, and range of joint motion by Constant score and KSS (Korean Shoulder Score). Results: All twelve patients returned to their work without pain in 3 months after operation. The average Constant score and KSS score was 98.4 (range 97∼100) and 97.8 (range 97∼100) at the last follow-up. Because of technical error and indication error, two patients showed failures of TightRope(R) fixation on the coracoid side and the acromioclavicular joint was redislocated, so these cases were excluded. 10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functional results and cosmetic appearance. Conclusion: Considering its less morbidity, less hospitalization, excellent cosmesis, early rehabilitation, this new technique offers an attractive alternative in acromioclavicular joint stabilization if the early technical error would be overcome.

      • KCI등재

        두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관절경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

        최의성(Eui-Sung Choi),박경진(Kyoung-Jin Park),김용민(Yong-Min Kim),김동수(Dong-Soo Kim),손현철(Hyun-Chul Shon),조병기(Byung-Ki Cho),배승환(Seung-Hwan Bae)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1

        목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이 있는 견관절 외상성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서 두 가닥의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 나사못를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 술을 시행한 환자 중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평균 추시 기간 22.3개월, 범위 13~47개월)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13예, 여자 4예였고, 우측이 14예 좌측이 3예였다. 평균 연령은 24세 (범위 17-42세)였다. 수상 시에서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2년 (범위, 10개월-4년 1개월)이었다. 수술 방법은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 나사못을 골편이 떨어진 관절 와에 고정한 후 하나의 봉합사를 골편을 둘러싸 고정 시킨 후 또 다른 봉합사를 이용하여 주변 관절 낭을 떠서 고정한 골편을 둘러 싼 후 봉합하였다. 술 후 결과는 Rowe의 평가 방법과 KSS 평가지수를 이용하였고 관절 와의 결손부위와 골편은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후 최종 추시상 Rowe 견관절 평가지수는 평균 54점 (범위 23~71점)에서 83.4점 (71~90점)으로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고, 전체적으로 우수 13예 (76%), 양호 3예 (18%), 보통 1예 (6%)였다. KS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71점 (범위 49~82점)에서 수술 후 92.5점 (범위 82~94점)으로 향상하였다. 최종 추시상 통증이 지속되는 예는 없었으며, 추시기간 동안 재 탈구된 예는 없었다. 수술 후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이 시행되었던 6예에서 골 유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성에 대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은 우수한 임상결과와 낮은 재발율을 보이고, 합병증이 낮아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치료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rthroscopic Bony Bankart repair using a One Anchor Double Fixation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 Seventeen patients with a Bony Bankart lesion were treated using the One Anchor Double Fixation Technique (OADF Technique). There were 13 males and 4 females. The average age was 24 years (range 17-42).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2.3 months. One 3.0 mm suture anchor with doubly loaded sutures was inserted into the glenoid rim. One suture strand was passed the around the small bony fragment and tied first. Another suture strand was passed through the capsule and tied over the bony fragment. The result was measured using Rowe’s evaluation index & KSS score. The glenoid defect & bony fragment were measured by 3D-CT scan. Results: Rowe’s evaluation index on the final follow-up showed an overall improvement from an average of 54 (range, 23-71) to 83.4 (range 71-90). Of the 17 cases, 13 were excellent, 3 were good, and 1 was fair. KSS scores showed improvement from an average of 71 (range 49-82) to 92.5 (range 82-94). There were no cases where pain continued to the final follow-up, and no cases being re-dislocat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For six cases, we confirmed the bony healing of the bony Bankart lesion by CT. Conclusion: Bony Bankart lesion repair using this new method achieves excellent clinical results with low recurrence rates and is considered another choice for bony Bankart lesions.

      • KCI등재

        국균증에 의해서 발생한 슬개골전 점액낭염 -1례 보고-

        최의성 ( Eui Sung Choi ),박경진 ( Kyoung Jin Park ),김용민 ( Yong Min Kim ),김동수 ( Dong Soo Kim ),손현철 ( Hyun Chul Shon ),임세혁 ( Se Hyuk Im ),이옥준 ( Ok Jun Lee ) 대한슬관절학회 2006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8 No.2

        Prepatellar bursitis usually arise from repetitive stimulation, trauma, inflammatory disease, infection and so on. Although prepatellar bursitis is common, there has been no reported case that caused by Aspergillosis. A chronic prepatellar bursitis case was referred to us after management with conventional methods for a long time. We managed this case with surgical excision and biopsy revealed that the bursitis was caused by Aspergillosis. It is thought that when a prepatellar bursitis does not respond to treatments, fungal infection such as Aspergillosis should be suspected.

      • KCI등재

        소아 전방 십자인대 견열 골절에서 생체 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고정 방법

        최의성(Eui-Sung Choi),박경진(Kyoung-Jin Park),김용민(Yong-Min Kim),김동수(Dong-Soo Kim),손현철(Hyun-Chul Shon),조병기(Byung-Ki Cho),김동환(Dong-Hwa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6

        소아 전방 십자인대 견열 골절의 수술적 치료는 관절경적 수술 술기와 개방적 수술 술기로 나눌 수 있으며, 개방적 술기는 수술 후 심한 통증, 재활의 지연 등의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관절경적 수술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절경적 견열 골절 정복술 시 견열 골편의 고정을 위하여 주로 강선, K-강선, 유관나사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성장판 손상의 가능성과 고정물 제거술을 위한 추가적 수술의 필요성 등의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고정물로서 봉합 나사못(suture anchor)은 수술 술기의 어려움은 있지만, 성장판 손상의 가능성이 미미하고 재수술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론적 장점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의 전방 십자인대 견열 골절의 관절경적 수술 수기에서 생체 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Surgical treatment for the pediatr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avulsion fracture consists of arthroscopic treatment and open surgery. Recently, arthroscopic treatment has been commonly performed rather than open surgery because of less post-operative pain and faster rehabilitation. In arthroscopic treatment, K-wire and cannulated cancellous screws are the main instruments used for fixation of avulsion fracture, but these instruments have the risk of causing damage to the growth plate and an additional surgery to remove the fixation is needed. In spite of the technical difficulty, the suture anchor is used to overcome the risk of damage to the growth plate and the need for an additional surgery The authors report good results using bio-absorbable suture anchor in arthroscopic treatment for pediatric ACL avulsion fracture.

      • KCI등재

        젊은 여자환자에서 발생한 특발성 칼슘 피로 인산염 침착질환

        최의성(Eui-Sung Choi),박경진(Kyoung-Jin Park),김용민(Yong-Min Kim),김동수(Dong-Soo Kim),손현철(Hyun-Chul Shon),조병기(Byung-Ki Cho),이현철(Hyun-Chul Lee)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2 No.1

        목적: 칼슘 피로 인산염 침착질환은 노인에게서 호발하며 젊은 성인에서의 발병은 극히 드문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대상 및 방법: 젊은 성인에서 발병한다면 혈색소증,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저인산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윌슨병, 갑상선 기능저하증, 통풍 등과 관련될 수 있으므로 젊은 성인에서 발병하는 다관절성 칼슘 피로 인산염 침착질환은 대사성 질환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 저자들은 대사성 질환이 없는 25세 젊은 여성에서 발병한 특발성 칼슘 피로 인산염 침착질환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urpose: Calcium pyrophosphate dihydrate crystal deposition disease(CPPD) is a disease of the elderly and extremely rare in young individuals. If young people develop CPPD crystal deposition disease, it may be associated with metabolic diseases, such as hemochromatosis, hyperparathyroidism, hypophosphatasia, hypomagnesemia, Wilson’s disease, hypothyroidism, and gout. Materials and Methods: Therefore, in young-onset CPPD crystal deposition disease, an investigation of any predisposing metabolic conditions is warranted. Conclusion: We report a case of a young female patient who presented with idiopathic CPPD crystal deposition disease at 25 years of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