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스니아 난민 문제 현황과 난민 정책에 관한 연구

        김철민(Kim Chulmi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20세기 이후 들어와 국제 사회의 여러 곳에는 내전과 정치적 불안 그리고 경제적 어려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른 난민 문제 발생이 빈번해 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더불어, 현재 한반도 지역을 비롯해 대량 난민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높은 지역들 또한 계속해서 급증하고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선 보스니아를 주요 사례로 선택해 발칸유럽에서 발생한 대량 난민의 발생 배경과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법적 정당성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UNHCR와 EU 등 국제사회가 선택한 대응 전략은 무엇이었고, 그 실효성은 어떠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1989년 동유럽의 민주화 이후 보다 많은 민족 문제와 다양한 민족갈등이 촉발되고 있는 발칸유럽의 여러 국가들 중, 본 논문의 주요 사례로 선택한 보스니아는 1992년 3월부터 시작된 약 3년 8개월간의 장기간 내전으로 인해 대량 인종 학살과 대규모 난민 문제를 직접 경험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본 논문에선 우선 보스니아에서의 난민 발생 배경을 사회주의 유고 연방 붕괴와 이후 발생된 내전의 확대에서 비롯되었음을 설명하고, 그 내용과 전개 과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보스니아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개입 및 국제법적 정당성을 내전 종결을 위한 ‘데이턴 합의안’의 내용과 UNHCR 개입 및 난민 구호 정당성에서 찾고자 한다. 이와 함께, 유고지역 및 보스니아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대응 전략 취지와 전반적 내용을 UNHCR의 ‘임시 보호(Temporary Protection) 정책’ 수립과 이에 대한 EU의 공조 및 정책 적용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refugee populations and the legitimacy of international law as a resolution for the refugee problem is studied with focus on Bosnia. Subsequently, the corresponding strategies employ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UN and UNHCR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practicality and efficacy. Countries in Eastern Europe have experienced various national problems and conflicts with the advent of democratization and liberalization beginning in 1989. For this study, Bosnia was selected among the countries of Eastern Europe due to its relatively recent experiences involving mass ethnic massacres for example, and the exploding refugee problem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the civil war which lasted 3 years and 8 months(ending in March 1992).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n the Chapter II,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refugee situation in Bosnia is explained in terms of it originating from the collapse of the Federation of Socialist Yugoslavia. The subsequent civil war is discussed as is the progression of the conflict. In the Chapter III, the legitimacy of international law as a resolution for the refugee problem in Bosnia is analyzed, with specific reference to the Dayton Agreement, which brought about the end of the civil war. The intervention of the UNHCR for the refugee relief is also examined. In Chapter IV, the correspond strategi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s solutions to the refugee problem in Bosnia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Temporary Protection Policy of the UNHCR. Moreover, mutual assistance efforts and application of policies between the UNHCR and EU are investigated.

      • 객체 개념을 이용한 분산 처리 환경의 구축

        김철민(ChulMin Kim),유광현(HwangHyun Yoo),조유근(YooKun Cho) 한국정보과학회 198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6 No.2

        다수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된 분산 UNIX 환경은 구성 요소가 다양하고 시스템 구조가 복잡해 시스템의 관리와 사용이 어렵고, 더우기 각 노드의 경계로 인해 사용자가 분산 처리 환경을 설정하고 관리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유연한 분산 처리 환경의 지원 방안을 제시한다. 이 분산 처리 환경은 객체 개념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고 그 구성과 관리에 있어 사용자의 관점을 중시하여 설계하였다. 이러한 분산 처리 환경의 구성을 위해 시스템은 프로세스들을 논리적으로 객체화하고 그 상호작용 영역을 동적으로 관리하며, 이러한 기능으로 사용자들이 자신의 필요에 따라 분산 처리 환경의 영역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게 지원한다.

      • KCI등재

        이동수단에 따른 도시공원 접근성 분석

        김철민(Kim, Chulmin) 한국지역개발학회 2022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4 No.2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transportation mode on park accessibility in Seoul, using the 2SFCA model. Using navigation data, it estimates park accessibility using travel time by the transportation modes such as walking, bicycle, and public transport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park service coverage varies, depending on the transportation modes. However, the expansion of the park service coverage is not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improvement of park accessibility. In addition, the index of urban parks accessibility, provid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overestimated by 37.2% compared to park accessibility by walking based on 2 SFCA model. Lastly, it identifies the priority areas for requiring parks due to the weak accessibility of transportation modes. Therefore, policy makers and urban planners should consider a reevaluation of park accessibility to some parks. Additionally, they should adopt various strategies for accessibility improvement.

      • KCI등재

        도시형 소공인 개념, 현황 및 지원정책에 관한 소고

        김철민 ( Chulmin Kim ),정중영 ( Joongyoung Jeong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6 中小企業硏究 Vol.38 No.3

        본 연구는 소공인의 개념을 정의하고 소공인 현황 및 추세를 통계청 자료에 기반하여 재정리하였으며, 정부의 소공인 관련법률 제정추세와 주요 지원정책 현황을 살펴본 후 이러한 현황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향후 정부의 소공인 지원정책에 관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2014년을 기준할 때, 도시형 소공인은 업체수 측면에서 전체 제조업의 80.6%, 종사자수 측면에서 25.2%를 차지하고 있어 제조업 생태계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공인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영세성으로 인하여 기술 및 경영관리 상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한정된 수요 및 취약한 마케팅 역량 등으로 인하여 시장개척이나 확대가 어렵고, 가격경쟁력과 브랜드가치 창출능력이 부족하며, 열악한 작업환경 및 불안정한 임금구조 등으로 인하여 숙련기술인력 확보 및 기술전수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공인 산업을 혁신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소공인이 몰락하면 뿌리산업의 생산구조가 붕괴되어 결과적으로 산업 전체의 위기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공인 지원정책을 통한 경제활성화는 매우 중요한 정책과제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공인 지원정책 대안을 여섯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소공인 일자리 미스매치(mis-match)의 해소를 위한 지원정책, 둘째 소공인 마케팅 특화지원기관의 설립, 셋째 수출 중심의 소공인지원정책, 넷째 협동조합 활성화 지원정책, 다섯째 소공인 자체브랜드 개발 및 판매망 확대 지원정책, 여섯째 작업환경 개선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지원은 소공인들의 성장을 위한 필요조건이 불과하다. 소공인들에게 만연한 패배주의를 극복하고 자신감과 도전감에 기반한 기업가정신으로 재무장하고 협업을 통해 상생할 수 있다는 의식전환이 시급하다. 그리고 기술혁신 및 경영혁신을 위한 자발적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정부가 소공인 경영을 지원할 수는 있어도 대신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This paper tries to derive and suggest the effective government`s policy for revitalizing the micro manufacturing industry as well as defining its concept, analyzing its statistics and current government law and policy. It occupies 80.6 percent and 25.2 percent of the whole manufacturing industry in terms of the number of company and employee in 2014 year, and thus has an important role in manufacturing ecosystem. However, because the micro manufacturing industry is very petite, there are various drawback on the technology and management innovation. Especially, the poor demand and marketing competence make the new market development and brand value creation difficult. Also this industry has experienced difficulty for securing the stable work force and instructing its technology because of the poor work environment. The collaption of this industry can cause the crisis for the whole manufacturing industry. Therefore, economic revitalization through supporting this industry is very important issue for the Korean government. This paper suggests the effective supporting policy as a settlement of the work force miss-match, establishment of the specified marketing supporting institute, export driven policy, reinforcement of the support for the cooperative association, support of the own brand development, and innovation of the factory facility. However, this suggestion is only the necessary condition for the growth of micro manufacturing industry. Its own innovation effort armed with the entrepreneurship is the most important because the government could only support the business but can not stand in for the business.

      • KCI등재후보
      • 2SFCA 기반 서울시 생활 SOC 서비스 수준 측정: 생활공원을 중심으로

        김철민(Chulmin Kim) 한국지역개발학회 2022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Urban parks have various impacts on people living in urban spaces. Literature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is discrimination in services in urban parks, by race, religion or income level. They calculated the service level of park based on administrative boundary or distance coverage. This study measures the service level of the park based on the travel time using 2SFCA model. Because people tend to estimate distance based on travel time rather than travel distance. To measure the service level of local parks, we used travel time data of walk and bicycle that provided by Mapbox API. In conclusion we found that estimation of service level of administrative boundary was overestimated compared to 2SFCA method. Within the range of 10 minutes the level of walking and bicycle is equal. This means that the 10-minute walk reached the maximized point of park service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we used travel time which is not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 중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체육교사의 경험과 의미

        김철민(Chulmin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 중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체육교사의 다양한 경험과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00대학교 사범대학 예비체육교사 5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작성한 교육실습 반성일지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radley(1980)의 영역분석과 분류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체육수업을 참관하며 온라인 수업에 서투른 교사들, 수업 참여에 수동적인 학생들, 개인 활동 중심의 수업, 비대면 수업에서 학생평가의 어려움, 안전이 목적이 되어버린 대면수업을 보면서 체육수업 운영의 아쉬움을 느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비대면 수업실연을 통해 창의적인 학습교구 활용하기, 학습자와 공감하기 위한 소통의 장 만들어가기, 인지적·정의적 가치를 높이는 수업하기,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환경 조성하기의 과정을 경험하며 비대면 체육수업을 위한 수업지식을 함양할 수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열정을 발견하고 교사 신념의 형성과 책임감 함양을 통해 체육교사로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미래 교육을 위한 대면·비대면 체육수업 운영 방안, 교육실습 운영기관 및 담당교사의 전문성 제고, 학교급에 따른 교육실습 연구, 교육실습 운영 기준 및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eaching practice during the covid-19. For this purpose, 50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ir’s teaching practice reflection journals wer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radley"s (1980) domain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The result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felt a miss in the class by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is is because teachers who are not good at online classes, students who are passive in-class participation, classes focused on individual activities, difficulty in evaluating students in non-face-to-face classes, and face-to-face classes focused on safety. Second,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able to build up PCK for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s is because they experienced the process of using creative learning tools, creating a place of communication to empathize with learners, teaching classes that increase cognitive and justice values, and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for non-face-to-face classes. Third,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elt happy through the experience of teaching students and build confiden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this reason, pre-teachers were able to gain the strength to solidify their career plans. Third,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elt happy through the experience of teaching students and build confiden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this reason, they were able to gain the strength to solidify their career plans.

      • 개방형 LBS 기반 모바일 Poll 시스템 개발

        김철민(Chulmin Kim),박기창(Kichang Park),김병기(Byungki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A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과 휴대 단말기 등의 진화에 따라 위치기반 서비스(LBS)가 인터넷을 통해 가장 성장성이 높은 새로운 서비스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LBS 핵심 기반 기술의 성장에 비해 그와 관련된 응용 서비스 및 콘텐츠의 개발 사례는 미비한 상태여서 LBS 산업의 활성화와 균형 있는 발전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특화된 무선 설문을 제공하는 새로운 LBS 기반 응용 서비스를 제시하고, 응용 서비스의 이동통신사 간 다양한 휴대 단말기의 지원과 호환을 위하여 무선 인터넷 표준 플랫폼 WIPI를 활용한 시스템을 제안하다. 제안된 시스템은 설문양식과 사용자를 관리하는 서버와 사용자 단말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며 LBS와 연동하여 특정 지역에 맞는 특화된 설문을 제공한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교과 수업지식 함양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김철민(ChulMin Kim),곽은창(EunChang Kwa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과정을 반성하면서 습득한 수업 지식의 가치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00교육대학교에서 2016년도 1∼2학기 ‘체육과교육Ⅱ’ 수업에 참여한 3학년 108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과정 경험에 대한 반성일지와 동료 피드백 자료를 수집하여 Spradley(1979)의 영역분석과 분류분석 방법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다양한 교과 지식을 분석하며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과제제시와 피드백 제공의 문제점을 보이며 가르침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셋째, 학습자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었다. 넷째, 학습지를 개발과 적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체육수업을 위한 수업환경 조직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경험과 반성에서 나타난 수업지식 함양의 가치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였으며, 실천 중심의 예비교사 교육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velopment and beliefs of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eacher training program. Subjects were 108 junior college students who enrolled in two‘Teaching Physical Education’classes in 2016. For the data collection, reflective journal and the peer feedback on pre-service teachers were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CK and the value of reflection. Date were analyzed using domain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proposed by Spradley(1979).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teachers could navigate to develop a creative activity program through contents knowledge analysis. Second, experienced difficulty in teaching that over the problem of task and feedback presentation. Third, realized the importance of children characteristic understanding. Fourth, found a problem in process handou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Lastly, tried to optimize the classroom environment. It is discussed with reference about the valu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and reflection, and suggested PCK based education.

      • 전기자동차 난방시스템용 최적제어 기술개발

        김철민(Chulmin Kim),이원석(Wonsuk Lee),남강우(Kangwoo Nam),장용수,조용주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2 No.11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optimal control of heating system for the battery electric vehicle. Heat pump system is widely studying the heating system of the battery electric vehicle due to small power consumption and effectively heating in the cabin. In this study, the main heating system for the battery electric vehicle is to develop the heat pump system and the auxiliary heating system is to use the high voltage PTC heater in order to assist the performance of heating on an extremely low temperature. In addition, heat rays for seat is controlled automatically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main heating system. This work get results that the maximum performance of heating system is satisfied at ambient -20 degre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heating system is reduced at ambient 0 degree on automatic heating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