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 체육수업의 ‘배움’과 ‘도움’에 대한 경험적 분석

        곽은창(Eunchang Kwak),배민우(Minwoo Bae),문희수(Heesu Mu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이 중·고등학교 체육수업을 통해 경험한 ‘배움’과 ‘도움’의 요소들을 사실적으로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와 H시에 소재하고 있는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1,257명(남학생: 633명, 여학생: 624명)이 최종 선정되었다. 자료수집은 Flanagan(1954)에 의해 고안된 주요사건기록(Critical Incident Report)을 본 연구에 맞게 ‘배움’과 ‘도움’에 대한 개방형 문항 각 1개씩과 성별을 물어보는 폐쇄형 문항(1개)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각 문항에 따라 성별로 나누어 공통되거나 비슷한 내용들을 서로 합쳐 소영역으로 분류하고, 이후 대표할 수 있는 주제를 찾아 중영역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각 영역별로 분류하기 전 표본의 10%를 활용하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89%로 나타났다. 자료분석 결과, 중·고등학교 체육수업을 통해 배운 내용으로는 ‘심동적 영역’,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 순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체육수업에서 배운 것이 없다고 한 학생들도 11.71%(f=181)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체육수업을 통한 도움에 대한 응답은 총 1,978개로 나타났으며, ‘심동적 측면에 도움’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기타’, ‘정의적 측면에 도움’, ‘인지적 측면에 도움’ 순으로 나타났다. 이때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한 응답(f=210, 10.62%)이 ‘인지적 측면에 도움’(f=195, 9.86%)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사가 제공하는 학습내용과 신체활동이 학생들에게 배움과 도움의 경험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평생체육으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 역할이 되는 ‘배움’과 평상시 삶으로 연결되는 실천의 장으로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체육수업을 제공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lements of ‘learning’ and ‘assistance’ experienced by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cond-grade students attending five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1,257 students(boys: n=633, 50.4%; girls: n=624, 49.6%) were finally selected. Critical incident techniqu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learning’, ‘assistance’(one open-ended question), and gender(one closed-type question). Data analysis was classified into small-domains by combining the same or similar contents. The subjects that can be represented were found and classified into the middle-domain and finally the large-domain. Reliability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10% of the sample before classification by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ntents learned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ppeared in the order of ‘psychomotor domain’, ‘affective domain’, and ‘cognitive domain’, and 11.71%(f=181) did not learn anything. And there were 1,978 responses that they received assistance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assistance in the psychomotor domain’ takes the largest proportion. Next, ‘others’, ‘assistance in the affective domain’, and ‘assistance in the cognitive domain’ appeared in order, and the response that it was not helpful(f=210, 10.62%) was found to be more than that of ‘assistance in the cognitive domain’(f=195, 9.86%). It suggests that learning content and physical activity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can give students an experience of learning and assistance. Therefore, based on the three goal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uld provide practical an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for lifelong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내용발달이 초등학생의 수영 기능학습과 정보기억량에 미치는 영향

        곽은창(Kwak, EunChang),주병하(Joo, ByungHa),권동구(Kwon, DongG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점진적이고 체계적인 내용발달이 초등학생의 평영 기능 학습과정보기억량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A도시 스포츠 센터에 등록한 70명의 초등학생들이다. 연구 기간은 2015년 9월부터 12월까지이며, 실험 처치는 1주일에 두 번씩 4주 동안 총 8회 수업을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집단별 행동 분석을 위해 Kruskal Wallis Nonparametric test와 성별 비교를 위해 Mann Whitney test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수영 기능학습은 내용발달 집단이 전통집단에 비해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둘째, 정보기억량은 내용발달집단이 전통집단에 비해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평영 기능 학습에서 내용발달을 통한 교수-학습방법이 운동 기능 및 정보기억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되었다. 따라서 체육수업에서 내용발달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gressive and systematic content developmen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reast function learning and information memo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0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rolled in the A City Sports Center.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5,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eight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wice a week. Kruskal Wallis Nonparametric test was used for group behavior analysis and Mann Whitney test was used for gender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wimming skill learning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content development group than traditional group. Second, the information memory showed higher improvement than the traditional group. In conclusion, it has been proven that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content development can improve exercise function and information memory in breast function learning. Therefore, active use of content development is requir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 KCI등재

        세 가지 교수-학습 전략에 의한 예비 체육교사의 과제제시 전개 능력 차이 분석

        문희수(Heesu Mun),곽은창(Eunchang Kwak),한욱진(Wookjin Han),배민우(Minwoo Ba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제시 교수-학습 전략에 따라 나타나는 예비 체육교사의 과제제시 전개 능력과 인식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하는데 있었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00대학교 2019-2학기 ‘체육지도이론과 실제’ 수업을 수강한 24명의 예비교사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교수-학습 전략에 따라 ‘과제제시 부분지도형(A)’ 집단, ‘과제제시 전체지도형(B)’ 집단, ‘과제제시 학생주도형(C)’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과제제시 전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 학기 동안 총 5번의 수업시연과 3번의 지도 및 피드백이 제공되었다.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영상, 수업계획서와 자기보고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집단 간의 과제제시 전개 능력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eparate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실시하였다. 자기보고서와 심층면담은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는데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A, B집단의 교사주도형 전략보다 C집단의 학생주도형 전략에서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교사주도형 전략인 A, B집단의 예비교사들은 ‘교사의 일방적인 교수법’과 ‘동료들과 의견을 공유할 수 없었던 점’에서 아쉬움을 나타낸 반면, 학생주도형 전략인 C집단의 예비교사들은 ‘처음에는 다소 느리거나 과정이 매끄럽지는 않았지만 학생이 주체가 되어 토론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제제시에 관한 교수행동을 학습할 때는 수업시연을 이용하여 학생중심적으로 탐색-실천-반성 과정을 거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pre-service PE teacher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on task presentation skill level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4 students who took the ‘PE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class at K university in Y city. All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teaching-learning conditions: (A) partial teacher-centered task presentation; (B) overall teacher-centered task presentation; (C) student-centered task presentation. For the data collection, the pre-service teachers" task presentation behaviors were videotaped and evaluated with QMTPS(Qualitative Measures of Teaching Performance Scale), and the learning guidance, self-reports,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eparate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Test to compare the level of task presentation of the groups. The opinions of pre-service teachers’ th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ere analyzed through self-reports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group C was the most effective group than group A and B. Preservice teachers in groups C showed that despite slow start and awkward learning process at the beginning process students had positive learning experience. Preservice teachers in group A and B indicated that lack of students’ interaction and sharing opinions was disappointing an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was not effective than they expected. This study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task presentation skill level can be enhanced the most through student-centered teaching-learning strategy.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교과 수업지식 함양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김철민(ChulMin Kim),곽은창(EunChang Kwa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과정을 반성하면서 습득한 수업 지식의 가치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00교육대학교에서 2016년도 1∼2학기 ‘체육과교육Ⅱ’ 수업에 참여한 3학년 108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과정 경험에 대한 반성일지와 동료 피드백 자료를 수집하여 Spradley(1979)의 영역분석과 분류분석 방법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다양한 교과 지식을 분석하며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과제제시와 피드백 제공의 문제점을 보이며 가르침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셋째, 학습자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었다. 넷째, 학습지를 개발과 적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체육수업을 위한 수업환경 조직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경험과 반성에서 나타난 수업지식 함양의 가치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였으며, 실천 중심의 예비교사 교육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velopment and beliefs of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eacher training program. Subjects were 108 junior college students who enrolled in two‘Teaching Physical Education’classes in 2016. For the data collection, reflective journal and the peer feedback on pre-service teachers were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CK and the value of reflection. Date were analyzed using domain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proposed by Spradley(1979).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teachers could navigate to develop a creative activity program through contents knowledge analysis. Second, experienced difficulty in teaching that over the problem of task and feedback presentation. Third, realized the importance of children characteristic understanding. Fourth, found a problem in process handou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Lastly, tried to optimize the classroom environment. It is discussed with reference about the valu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and reflection, and suggested PCK based education.

      • KCI등재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과제제시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분석

        문제영(Jeyoung Moon),곽은창(Eunchang Kwak),배민우(Minwoo Ba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질적 교수행동 분석(QMTPS)을 통해 체육 교사들의 과제제시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중학교 체육 교사 5명으로, 경력별로 분류하여 40차시의 과제제시 관련 교수행동을 녹화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질적 교수행동 측정 도구(QMTPS)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는 92%로 나타났다. 교사와의 심층면담 내용은 전문가 집단 회의를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과제제시 시 학생의 주의집중 비율이 높지 않으며, 경력이 적은 교사일수록 주의집중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설명에 대한 이해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모호하거나 상투적이었으며 설명방법에 대한 계획성과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교사들은 효율적인 동작시범 방법에 대한 지식의 부족과 시범의 질적 측면을 간과하고 있었으며 학습단서의 체계적인 계획과 활용 능력도 부족하다고 밝혔다. 또한 과제제시 방법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부족하고, 교원양성과정과 현직교사 재교육 과정에서 과제제시에 대한 전문적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제제시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와 실천적 경험이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할 이유와 필요성을 논의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spectives and quality of task presentation of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ive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employed for the qualitative teaching behavior analysis. Two 5-years experienced teachers, two 6-15 years experienced teachers and one more than 16 years experienced teachers were served a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For the data collection, total 40 classes were videotaped by the research assistants.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Measurement Teacher Performance System(QMTPS) and reliability was set at. 92. Interview was conducted to explore more in-depth information on their task present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students tend not to pay attention to teachers’ task presentation. The less experienced teachers, the less QMTPS scores. Low level of students’ attention and less perspectives on task presentation were found in this study.. Checking students’ understanding on the task was not clear and stereotyped. Understanding on the effective demonstration and the quality of it also need to be improved. Cues were not actively utilized during the process of teaching. All teachers indicated that their knowledge on task presentation was very poor and not much specified education was provided during thei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This study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need to be specifically trained on task presentation in the teacher education training programs.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and experiences on task presentation for inservice teachers.

      • KCI등재

        중학생이 바라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교육적 가치 탐색

        김철민(ChulMin Kim),곽은창(EunChang Kwak),주병하(ByungHa Jo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6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중학교 교육과정 내 창의적 체험활동 중 스포츠동아리 활동으로 운영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대하여 중학생들이 바라본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수도권 소재 중학교에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2, 3학년 학생 6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학기 중(4∼6월) 3회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분석과 분류분석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은 구성원 간 검토와 동료 점검을 통해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과제활동 경험의 가치’와 ‘지도자의 전문성에 대한 가치’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학습과제 활동 경험의 가치에서는 다양한 활동에서 나만의 능력 찾기, 게임의 전략과 전술 이해하기, ‘남녀학생 우정 다지기’등으로 분석되었다. ‘지도자의 전문성’에 대한 교육적 가치는 ‘정확한 시범과 피드백 제공’, ‘수업운영의 확고한 신념’, ‘학생의 마음 이해하기’, ‘상담을 통한 고민 해결’등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교과의 목적에 따른 수업운영과 지도자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논의하였으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교과활동으로서 가치를 높이기 위한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ducational values of School Sports Club experience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ix middle school students who joined the sport club activ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Data collection was committed based on in-depth interview of middle school stud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omain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proposed by Spradley(1979). Member check and peer review were conducted for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two domains. Value of learning experience’and ‘understanding the strategies and tactics of the game’were inductively determined by data analysis. In the values of learning experience, finding one’s own ability from various activities’and ‘forming a friendship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rough team activity’were most valuable experiences in sport club activities. An accurate demonstration and feedback’, ‘firm believes of class management’, ‘deep consideration for students’, and ‘counselling career’were related to the value of instructors’ expertise. This study provided som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following research on the issues of school sports club and special activities.

      • KCI등재

        다양한 과제제시 조건이 초등학생의 표현활동 동작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서유(Seoyoo Kim),곽은창(Eunchang Kwa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제시하는 다양한 과제제시의 조건이 표현활동 동작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도봉구 S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3, 4학년의 5개 학급 중에서 움직임의 기본운동능력 검사를 통해 운동수행에 이상이 없는 학생 3학년(남:32명, 여:28명), 4학년(남:23명 여:17명)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으로는 간단명료한 설명과 부분동작시범을 제공한 (A)집단, 전체동작시범만을 제공한 (B)집단, 장황한 과제설명과 부분동작시범을 제공한 (C)집단, 간단명료한 구두설명 및 부분 동작시범과 전체동작시범, 학습단서와 리허설을 제공한 (D)집단,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은 통제집단(E)으로 구성되었다. 각 집단에는 20명씩 무선배정된 학생들이 표현활동 세 가지 동작에 대한 과제제시를 제공받았으며 제공받은 즉시 준비된 장소에서 표현활동 세 가지 연결 동작을 수행하고 비디오카메라 앞에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과제제시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표현활동 세 가지 동작수행의 정확성, 연결성과 과제제시에 대한 정보기억력을 집단(Kruskal Wallis Nonparametric Test)과 성별 간(Mann Whitney Test)에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표현활동 학습에서 학생의 학업성취는 간단명료한 구두설명과 부분동작시범, 전체동작시범, 학습단서와 리허설을 제공한 (D)집단이 동작의 정확성, 연결성과 정보기억량에서 타 집단에 비해 우수한 성취를 보였다. 그러나 남녀 간의 성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표현활동 수업에서 간단명료한 구두설명과 부분동작시범, 전체동작시범, 학습단서와 리허설을 포함한 과제제시를 제공받는 것이 표현활동 동작수행 학습에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 한 표현활동의 경우 성별 간의 차이가 없으므로 남녀 간의 차별이나 기회의 제공이 제한될 이유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ive different conditions of task presentation upon elementary students’ initial attempts to perform the expressive movement activities. Subjects were one hundred 3rd (n=60, 32 males and 28 females) and 4th (n=40, 23 males and 17 females) grade elementary studen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iv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five task presentation conditions were control group - no task presentation, verbal only, overload verbal explanation with partial demonstrations, and verbal explanation with full demonstrations, summary cures, and verbal/visual rehearsal.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tudents’ scores on measures of 1) accuracy in performing the expressive movement activities, 2) use of appropriate movement process characteristics (i.e., form) 3) information subjects remembered about the expressive movement activities. Separate videotapes were made of a teacher delivering each of the five experimental conditions of task presentations. The videotape was the method used for administering the designed treatment to each subject. After watching the assigned tape, each subject was videotaped making expressive movement activities and was interviewed afterwards. Results from analysis of students’ performing accuracy and movement process characteristics, as well as interview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condition of a verbal explanation with full demonstrations, summary cues, and verbal/visual rehearsal resulted in the best student performance on each of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No gender effects were found in the study.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내용발달이 고교생의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기능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민영(Kim, Minyoung),곽은창(Kwak, Eunchang),주병하(Joo, Byung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점진적인 내용발달이 고등학생들의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기능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G도시와 J도시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2학년 6개 학급에서 총 147명의 학생들이었다. 하이클리어 의 정확도와 동작 분석을 통해 집단별 학업성취도를 확인하였다.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정확도 분석을 위하여 One-way ANOVA와 t-검증이 이용되었고 집단별 동작의 질적 분석을 위하여 Mann Whitney가 이용되었다. 본 연구결과 내용발달집단이 전 통교수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하이클리어 정확도에서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다. 동작 수행의 질적 분석 결과에서도 내용발달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하이클리어 동작 수행의 질적인 면에서 바람직한 동작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수준별 비교에 서는 내용발달집단의 학생들이 전통교수집단의 학생들보다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특히 내용발달집단의 하기능 학생들이 운동기능의 학업성취도가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기능 학습시 내용발달을 적절히 전개할 때 보다 효과적인 지도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tent development on high school students’ badminton high clear skill learning.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6 classes(11th grade, n=147) in three groups from two high school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different treatment groups: the content development group, the traditional teach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Learning achievement test was analysed to behavior analysing and high clear accuracy. In order to test learning achievement, an analysis of physical movement quality and accuracy of high clear skill was tested. One-way ANOVA, t-test, Mann-Whitney and test were all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mong the content development group, the traditional teach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ontent development group’s high clear accurac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and their quality of movement performance was also the highest. In conclusion, when we provide proper content development in our classes, our teaching skill will also improve badminton high clear skills.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신체통증과 자세습관 실태분석

        배민우(Minwoo Bae),곽은창(Eunchang Kwa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6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이 겪고 있는 신체통증, 인지 자세와 실제 자세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안산시에 소재한 S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651명(남학생: 292명, 여학생: 3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회수 못한 인원과 불성실한 인원을 제외한 총 617명(남학생: 277명, 여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통증과 통증원인, 인지자세여부를 개방형과 폐쇄형 문항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실제 취하는 자세를 관찰하기 위해 목과 허리에 통증정도가 10에서 6이상의 정도를 느끼고 있는 학생 중 올바르다고 인지하고 있는 A그룹 8명(남학생: 4명, 여학생: 4명)과 올바르지 않은 것으로 인지하고 있는 B그룹 8명(남학생: 4명, 여학생: 4명) 총 16명을 대상으로 관찰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폐쇄형 문항은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문항들은 각 질문에 따라 성별로 나누어 귀납적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실제 자세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신체부위별 자세 패턴분석표에 따라 Mann-Whitney 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첫째, 61.9%의 학생들이 허리와 목에 가장 많은 통증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남·여학생들 모두 통증의 원인을 자세습관 때문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올바르다고 인지한 A그룹에서는 실제 자세에서 자세모양과 빈도, 굴곡이 인지 자세와 다르다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올바르지 않다고 인지한 B그룹의 학생들이 취하는 자세모양은 실제 자세와 인지 자세가 비슷하였지만 실제 자세에서 빈도와 굴곡이 인지 자세보다 더 심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자세개선을 위해서는 스스로 몸에 대한 자기관찰과 인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체육교과에서 자세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기가 병행된 실천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physical pain, the perspectives of posture and actual posture of high school students. Subjects were 651(male: 292, female: 359) freshmen in S high school in Ansan City, Kou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total 617(male: 277, female: 340) students by closed and open ended questionnaire. Sixteen students who suffered pain scale 6 to 10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groups based on their pain and their actual posture. Their actual posture in the classes were videotaped and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to explore their perspectives on the postu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t analysis and t-test. Actual posture were analyzed by posture pattern analysis using Mann-Whitne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61.9% students reported waist and neck were the most painful parts in their body. They all perceived that their pain come from habitual posture problems. Students in good posture group showed discrepancy between their posture perception and actual posture. Students in bad posture group showed not much difference between their posture perception and actual posture, however, their actual posture was worse than they expected. This study recommend actual perceiving and commitment is necessary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students’ practical perspectives and experience on actual posture commitment, physical education class should play a key role in school setting.

      • KCI등재

        교수단서의 양적 조건이 중학생의 하이클리어 기능수행과 정보기억량에 즉각적으로 미치는 영향

        문희수(HeeSu Mun),곽은창(EunChang Kwa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별 교수단서의 양적 조건이 중학생의 운동수행과 정보기억량에 즉각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H도시 B중학교 3학년 4개 학급에서 기본운동능력 검사를 통해 운동기능수행에 이상이 없는 100명의 학생(남: 41명, 여: 5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교수단서를 3개 제공한 (A)집단, 교수단서를 5개 제공한 (B)집단, 교수단서를 7개 제공한 (C)집단과 통제집단(D)으로 구성하였다. 각 집단별 학생들은 자신에게 배정된 과제제시를 제공받은 직후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동작을 10회 수행하고 정보기억량을 측정하기 위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 간의 동작수행과 정보기억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Separate Kruskal Wallis Test를 사용하였으며, 각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두 집단씩 Mann Whitney Test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배드민턴의 하이클리어 학습에서 학생의 기능향상은 교수단서의 양과 상관없이 단서를 제공받은 집단이 단서를 제공받지 못한 집단보다 효과적이었다. 구체적으로 교수단서의 개수에 따라 학생들의 동작수행과 정보기억량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작수행에 있어서는 교수단서를 5개 제공한 B집단이 가장 좋았으나, 정보기억량은 교수단서를 7개 제공한 C집단이 가장 좋았고, B집단이 다음으로 높은 정보기억량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가장 효과적인 집단은 동작수행이 가장 높고, 정보기억량도 C집단과 근소한 차이인 B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절한 교수단서의 양을 5개로 제공하는 것이 학생들의 동작수행능력과 정보기억량에 가장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추후 대상자 연령, 기능수준, 과제성격에 따른 차이는 여전히 명확히 밝혀진 바 없어 후속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our different numbers of cues on motor skill performance and cognitive information in th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one hundred(41 males and 59 females) third grade students who were selected based on skill test at B middle school in H city. All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conditions: (a) same verbal explanation with demonstrations and 3 cues; (b) same verbal explanation with demonstrations and 5 cues; (c) same verbal explanation with demonstrations and 7 cues; (d) Control - no task presentation. Variables analyzed were the high clear performance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students remembered. After watching the assigned video tape, each subjects performed badminton high clear 10 times, and was interviewed afterwards. All performances were recorded by 2 video cameras installed at front and sid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video camera and a microphone to measure the amount of information immediately after the skill performance. Data were analyzed using Separate Kruskal Wallis Test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and the information memory ability of the group. In addition, two groups were compared using the Mann Whitney Test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roviding any types of cues was better than providing no information at all for students’ skill learning. The group B was the highest on skill performance, and the group C was the best and the group B showed the next highest on information memory information.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experimental condition of same verbal explanation with demonstrations and 5 cues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nd information memory ability. Thus, this study reveals that providing appropriate number of cues is an critical for students’ motor performance and information memory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