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퍼지 의사결정 나무를 이용한 네트워크 증거 분석

        이용 ( Yong-hyun Lee ),이승용 ( Seong-yong Lee ),김동국 ( Dong-kook Kim ),노봉남 ( Bong-nam Noh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1

        컴퓨터의 생활 전반에 걸친 영향으로, 컴퓨터는 우리 생활 속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하나의 정보 매체로 자리 매김 되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산망 침해 행위, 전자기록 위·변조, 각종 음란물 유통, 바이러스 제작 유포 등 많은 위험들이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 그래서 컴퓨터를 사용한 범죄 행위를 탐지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각종 범죄 행위는 인터넷을 통한 범죄가 늘고 있어, 네트워크 정보를 통한 포렌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하지만, 매일 많은 양의 패킷을 분석하는 것은 많은 전문 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패킷분석을 통하여 네트워크 포렌식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SCOPUSKCI등재

        (Bi<sub>1?2</sub>Na<sub>1?2</sub>)<sub>1-x</sub>Ca<sub>x</sub>TiO<sub>3</sub> 세라믹스의 압전 특성 및 상전이 거동

        이용,조정호,김병익,최덕균,Lee, Yong-Hyun,Cho, Jeong-Ho,Kim, Byung-Ik,Choi, Duck-Kyun 한국세라믹학회 2008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5 No.5

        $(Bi_{1/2}Na_{1/2})TiO_3$-based ceramics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as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s. In this study,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and phase transition behaviors of BNT based solid solution $(Bi_{0.5}Na_{0.5})_{1-x}Ca_xTiO_3$ ($X=0.01{\sim}0.25$) were investigated. The morphotropic phase boundary(MPB) zone which BNT is transformed from rhombohedral to cubic structure was appeared by adding $CaTiO_3$ with 0.12 mol by the measurement of permittivity and X-ray diffraction. The behavior which ferroelectric BNT with adding $CaTiO_3$ was changed to antiferroelectric and paraelectric state was confirmed by the measurement ofhysterisis loop and depolarization temperature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s $CaTiO_3$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was decreased.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were highest at 0.01 mol of $CaTiO_3$ concentration. The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K_t$) and mechanical quality factor($Q_m$) were 42% and 254, respectively.

      • KCI등재

        『금강의 화환』(Vajrāvalī)에서 관정(灌頂)에 대한 아바야카라굽타의 해석

        이용(Lee Yong-Hyun) 한국인도학회 2012 印度硏究 Vol.17 No.1

        본 연구는 인도 후기밀교를 대표하는 학승의 한 사람인 아바야카라굽타의 주저『금강의 화환』(Vajr?val?) 속에서 설해진관정 의례들을 간단히 고찰한다. 특히 인도 후기밀교에서 고도로 발전한 다양한 관정 의례들을 종합하기 위해서, 아바야카라굽타는 우선 만다라들을 적절히 선택한 뒤 관정 의례들을 적절히 배열했다. 그리고 금강지 부처(혹은 금강살타)는 이러한 모든 의례들을 활성화시키는 근본원리로 작용하고 있다. 이 세 가지 요소들은 아바야카라굽타로 하여금 요가 탄트라와 요기니 탄트라에 속하는 만다라들과 그 부속적인 만다라의례들을 종합하게 한 원동력이 되었다. 『금강의 화환』에서 이룩된 관정을 포함한 아바야카라굽타의 의례 체계는 인도불교가 멸망할 때까지 큰 영향을 가지고 있었다. 그 주된 이유로서는『금강의 화환』이 모든 불교 만다라들과 부속된 만다라 의례들에 두루 적용될 수 있는 실용성 때문이었다. 이러한 광범위한 종합을 달성하기 위해서 아바야카라굽타는 특히 ‘의례의 순서’들을 새롭게 고안했다. 아바야카라굽타의 독창적인 해석은 관정, 특히 그 중에서도 ‘아차랴를 위한 관정’과 본 관정의 후속의례들에서 뚜렷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우선 탄트라 불교 전반에 있어서의 관정의 의미를 검토한다. 그런 뒤『금강의 화환』에서 배열된 관정 의례들의 순서에 따라 ‘아차랴를 위한 관정’과 세 가지의 고차적인 관정들과 본 관정의 후속의례들을 차례로 간단히 고찰한다. 마지막으로『금강의 화환』의 근본 원리로서 모든 관정 의례들을 활성화시키는 금강지 부처(혹은 금강살타)의 중요성을 검토한다.이 근본 원리는 큰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비밀의 관정’과 ‘반야의 지혜에 대한 관정’이라는 성적 의례들의 중요성을 감소시키는 것처럼 보인다. This study briefly explores the consecration ceremony prescribed in Abhay?karagupta’s Vajr?val? (VA), his magnum opus. In order to synthesize various consecration rituals that were highly developed particularly in late Indian Tantric Buddhism, Abhay?karagupta first elaborately chose ma??alas and elaborately arranged consecration rituals. Also, Vajradhara (or Vajrasattva) underlies the VA and activates all of its rituals. In the VA, These three factors are responsible for synthesizing ma??alas and their ma??ala rituals belonging to yogatantras and yogin?tantras. The Vajr?val? system was very influential even until the end of Indian Buddhism. One of the principal reasons for this was its practicability which could be applied to all Buddhist ma??alas and their ma??ala rituals. Abhay?karagupta innovated a ‘sequence of rituals’ (prakriy?) for achieving such a great synthesis. Abhay?karagupta’s original interpretations can be clearly seen in the consecration ceremony, particularly in the ‘master consecration’ and the post-initiatory rituals.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meaning of the consecration ceremony in the entire range of Tantric Buddhism. Then, the ‘master consecration,’ the three higher consecration rituals, and the post-initiatory rituals are briefly explored according to their sequence in the VA.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centrality of Vajradhara that activates all consecration rituals as the underlying principle of the VA. Also, this underlying principle seems to reduce the importance of sexual rituals such as the ‘secret consecration’ and the ‘consecration of the knowledge of the insight’ that may provoke a great controversy.

      • KCI등재

        경남지역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 및 분포

        이용,심수용,김진원,이정란,박기웅,이증주,Lee, Yong Hyun,Shim, Soo Yong,Kim, Jin-Won,Lee, Jeongran,Park, Kee Woong,Lee, Jeung Joo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18 Weed & Turfgrass Science Vol.7 No.3

        본 연구는 2017과 2018년에 토양검정법을 이용하여 경남 지역의 논에서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생과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12년도 제초제 저항성 잡초조사의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경남지역 각 시 군의 논에서 조사된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발생율은 1.0%에서 66.8%로, 발생면적은 876 ha에서 49,008 ha로 크게 증가하였다. 경남지역의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 면적은 울산시(8.4%), 합천군(8.3%), 함안군(7.9%), 고성군(7.9%), 하동군(7.3%), 진주시(7.2%), 창녕군(7.0%), 김해시(6.4%), 밀양시(5.5%), 부산시(4.9%), 의령군(4.6%), 남해군(4.3%), 고성군(4.2%), 창원시(3.8%), 거제시(2.9%), 양산시(1.8%), 산청군(0.9%) 및 통영시(0.4%)순이였고, 함양군에서는 제초제 저항성 잡초가 발생되지 않았다. 가장 우점한 제초제 저항성 잡초는 물달개비였으며, 그 다음으로 논피, 미국외풀, 올챙이고랭이, 여뀌바늘, 알방동사니, 벗풀 및 마디꽃 순으로 발생하였다. 제초제 저항성 물달개비는 경남지역의 대부분의 시 군에서 발생하였으나, 저항성 벗풀과 마디꽃은 김해시에서만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는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확산을 방지하고 효율적 관리 방안을 수립하는데 이용할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ALS inhibiting herbicide-resistant weeds and to estimate the appeared areas of resistant weeds in the paddy fields of Gyeongnam province of Korea in 2017 and 2018 using a soil assay method. Compared with the 2012 survey,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fested ratio of ALS inhibiting herbicide-resistant weeds increased from 1.0% to 66.8% and the infested area increased from 876 ha to 49,008 ha. The infested area of ALS inhibiting herbicide-resistant weeds was estimated in Ulsan-si (8.4%), Hapcheon-gun (8.3%), Haman-gun (7.9%), Goseong-gun (7.9%), Hadong-gun (7.3%), Jinju-si (7.2%), Changnyeong-gun (7.0%), Gimhae-si (6.4%), Miryang-si (5.5%), Busan-si (4.9%), Uiryeong-gun (4.6%), Namhae-gun (4.3%), Geochang-gun (4.2%), Changwon-si (3.8%), Geoje-si (2.9%), Yangsan-si (1.8%), Sancheong-gun (0.9%) and Tongyeong-si (0.4%), and the herbicide resistant weeds was not occurred in Hamyang-gun. The most dominant ALS inhibiting herbicide-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s were Monochoria vaginalis, followed by Echinochloa oryzicola, Lindernia dubia, Scirpus juncoides, Ludwigia prostrata, Cyperus difformis, Sagittaria trifolia and Rotala indica. ALS inhibiting herbicide-resistant M. vaginalis, L. dubia, and E. oryzoides occurred throughout Gyeongnam province, and ALS inhibiting herbicide-resistant S. trifolia and R. indica were only found in Gimhae-si. Therefore,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to estimate population dynamics of ALS inhibiting herbicide-resistant weeds and provide proper management practices in the paddy fields of Gyeongnam provinc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산 꼬리가루깍지벌레속의 재정리 (노린재목: 가루깍지벌레과)

        이용,서수정,Lee, Yong-Hyun,Suh, Soo-Jung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1

        한국의 대나무류에 다리가 퇴화한 꼬리가루깍지벌레속의 Antonina nakaharai Williams and Miller 대나무꼬리가루깍지벌레(신칭)가 발생함을 확인하고, 한반도에 분포하는 꼬리가루깍지벌레속 3종 동정에 필요한 검색표를 함께 정리하였다. The legless mealybug, Antonina nakaharai Williams and Miller (Hemiptera: Pseudococcidae) is recorded from bamboos (Poaceae) in Korea. An identification key to adult females of three species of Antonina from the Korean Peninsula is also provided.

      • 투기적 병렬 그래프 감축을 위한 대치과정이 지연된 람다 연산식

        이용학(Yong-Hack Lee),전서(Suh-Hyun Cheon)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6 No.1

        병렬 그래프 감축 모델에 있어서, 투기적 연산(speculative evaluation) 모델은 병렬성을 증가 시키지만 불필요한 연산으로 인해 자원을 낭비할 수 있다. 투기적 태스크가 람다 연산식을 WHNF(Weak Head Normal Form)로 감축할 때, 대치과정은 그래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많은 복사과정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투기적 태스크는 나중에 불필요한 연산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이러한 투기적 태스크에서 발생한 다른 모든 투기적 태스크들을 종료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불필요하게 된 복사과정으로 인한 기억 공간을 재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 본 논문은 WHNF 또는 HNF로 감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대치과정으로 인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대치과정이 지연된 람다 연산식 형태(DSF : Deferred Substitution Form)를 제안한다. 이 형태는 대치과정을 필수적 태스크(mandatory task)가 수행할 때까지 지연시키기 위한 람다 연산식 형태이다. 대치과정이 지연된 람다 연산식 형태로의 감축을 수행하는 투기적 태스크에서, 대치과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래프의 크기가 증가하지 않고 또한 복사과정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산식에 대한 대치과정이 지연된 람다 연산식 형태로의 감축이 불필요하게 된 경우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아울러 병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산 모델을 제안한다. In a parallel graph reduction system, speculative evaluation can increase parallelism but waste the machine resources by evaluating expressions which may eventually be discarded. When a speculative task reduces a lambda expression to WHNF (Weak Head Normal Form), substitution can lead to unbounded growth of the graph size and requires many copy operations. This speculative task may be unnecessary. In that case the performance is affected by the overheads to terminate all tasks to be propagated from the speculative task and to refresh the memory cells to be allocated for copy operation. We propose a lambda form called DSF(Deferred Substitution Form) in which substitution is deferred until a mandatory task will evaluate substitution. In the speculative task to DSF, since there is no substitution, it does not grow the graph and require copy operation. Therefore the overhead can be decreased when the expression reduced to DSF is eventually unnecessary. In addition, we propose an evaluation model for DSF to increase the parallelism.

      • KCI등재
      • KCI등재

        헤바즈라 탄트라의 상징체계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이용(Lee Yong-Hyun) 한국인도학회 2010 印度硏究 Vol.15 No.1

        본 연구는 불교해석학의 입장에서 인도 후기밀교와 티베트불교에서 극히 높은 평가를 받아온『헤바즈라 탄트라』를 간단히 고찰한다. 불교해석학은 비록 서양의 해석학적 전통들과는 세부적으로 전혀 다르지만, ‘텍스트에 대한 해석’을 주제로 삼는다는 점에서는 대략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불교의 경우 해석의 대상인 텍스트는 경이나 탄트라 등 성전을 의미한다. 이 해석의 전통은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에서의 발전을 거쳐 인도 후기밀교에서 가장 고도로 발전했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대승불교에서 성립한 불요의(不了義)와 요의(了義)의 2대 기준은 후기밀교의 불교해석학에 있어서도 그 토대가 되고 있다. 불요의는 잠정적인 의미인 반면, 요의는 궁극적인 의미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불요의와 요의의 적용에 있어서 대승불교와 후기 밀교의 사이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승불교에 있어서 요의는 축어적인 반면, 불요의는 액면 그대로가 아니라 그 숨어 있는 참된 의미를 찾아야 한다. 이와는 반대로 후기밀교에 있어서는 미요의가 축어적인 반면, 요의는 상징적인 것으로 그 숨어 있는 참된 의미를 찾아야 한다. 또 하나의 중요한 차이점은 의미의 일면성에 대한 이중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승불교에 있어서는 어떤 문장이 불요의와 요의의 양쪽을 의미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후기밀교에 있어서는 불요의와 요의의 양쪽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불교해석학은 불요의와 요의를 중심으로 인도 후기밀교에 와서 꽃을 피우고, 창의적인 주석의 토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헤바즈라 탄트라』는 후기밀교의 많은 요기니 탄트라들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성전들 중의 하나이다. 일견 악마적인 표현들로 가득 찬 그 참된 의미는 오로지 권위 있는 주석서들을 통해서만이 접근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주석서들이 불요의와 요의 등 불교해석학을 토대로 하고 있는 점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러나『헤바즈라 탄트라』에는 불요의와 요의 대신에 후기밀교의 2대 수행법인 ‘생성의 단계’와 ‘완성의 단계’가 그 해석의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생성의 단계’를 설한 진술은 불요의에 속하지만 ‘완성의 단계’를 설한 진술은 요의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헤바즈라 탄트라』에는 요의가 반드시 축어적이 아니라는 일반론에 대한 반증도 존재하고 있다. 또한 『헤바즈라 탄트라』는 소위 ‘탄트라 코드(sandhy?bh???)’로 유명한 성전이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오래 동안 탄트라 코드 혹은 ‘비밀스런 언어’와 ‘의도적인 언어(sandh?bh???)’ 중 어느 쪽이 올바른 어휘인가에 대한 논쟁이 있어왔다. 본 저자는 두 가지의 예를 들어 탄트라 코드가 올바른 어휘로 추측하고 있다. This study briefly explores the Hevajra Tantra which has been highly evaluated in Indo-Tibetan Buddhism. Although Buddhist Hermeneutics is quite different from Western Hermeneutics in many respects, both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terms of interpretations of texts. In the case of Buddhist Hermeneutics, texts as the objects of interpretation amount to scriptures such as S?tras and Tantras. It was culminated in later Indian Esoteric Buddhism after a long period of its developments in Therav?da and Mah?y?na Buddhism. For example, the "provisional meaning" (ney?rtha) and the "definite meaning" (n?t?rtha), which were developed in Mah?y?na Buddhism, became the basis of Buddhist Hermeneutics in later Indian Esoteric Buddhism. There ar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h?y?na Buddhism and later Indian Esoteric Buddhism concerning the provisional and definite meanings. In Mah?y?na Buddhism, while the definite meaning should be taken literally, the provisional meaning should be interpreted for finding out the true hidden meaning. In later Indian Esoteric Buddhism, however, while the provisional meaning should be taken at face value, the definite meaning is symbolical and should be interpreted for also finding out the true hidden meaning. Another difference lies in the shades of meaning, that is, a single meaning versus a double meaning. In Mah?y?na Buddhism there are few pronouncements that have both the provisional and definite meanings, but in later Indian Esoteric Buddhism, many pronouncements have both meanings. Buddhist Hermeneutics had its heydays in later Indian Esoteric Buddhism and became the basis of creative commentaries. The Hevajra Tantra, along with the Laghusa?vara Tantra, is one of the most celebrated yogin?tantras. Its true meanings, however, can be approached only through authoritative commentaries because of its many demonic expressions. Needless to say, these commentaries are base on Buddhist Hermeneutics. In the Hevajra Tantra itself, however, instead of the provisional and definite meanings, the "generation stage" (utpattikrama) and the "completion stage" (utpannakrama), which are the two most important practices in later Indian Esoteric Buddhism, seem to be the basic double standards of interpretation. Thus, pronouncegments which explain the process or realm of the generation stage should belong to the provisional meaning. On the contrary, pronouncements which explain the process or realm of the completion stage should belong to the definite meaning. In the Hevajra Tantra, however, there are disproofs against the general theory that informs us of the definite meaning as necessarily being non-literal. Also, the Hevajra Tantra is famous for the "Tantric coded language" (sandhy?bh???). However, scholars have debated as to either the Tantric coded language or the "intentional language" (sandh?bh???) is the originally correct form. We suppose that the former is correct by putting forward a couple of evidence.

      • KCI등재

        Heterotopic Bone Formation in Patient who Underwent a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the Inlay Method and Posterolateral Corner Sling with a Tibia Tunnel

        Yong Seuk Lee(이용석),Young Bok Jung(정영복),Ho Joong Jung(정호중),Se Jin Park(박세진),Chang Hyun Nam(남창)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6

        변형된 inlay 방법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 및 후외측 재건을 실시한 환자 중 후외측 관절막에 수술적 제거가 필요했던 이소성 골화가 생긴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근위 경골부 직접 타박상을 6개월 전에 받았으며 내원 당시에 허혈성 소견은 없었고, 다른 부위의 외상도 없었다.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술 후 4개월에 0-30도의 관절 운동 범위를 나타내었다. 방사선 사진에서는 특이 소견이 없었고, 관절경적 유착 박리술을 시행하였으며 0-120도의 관절 운동범위를 얻을 수 있었다. 술 후 6개월에 후방 관절막에 이소성 골화 소견이 있었으며 술 후 12개월에 성숙된 이소성 골을 제거 하였다. 그후 재발은 없었으며 술 후 42개월째에 0-140도의 관절운동범위를 보였다. We describe a case of posterolateral capsular heterotopic ossification requiring a surgical excision after a PCL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the modified inlay method and PLCS (posterolateral corner sling) with a tibia tunnel. A 21-year-old female patient had suffered a blunt proximal tibial direct trauma 6 months earlier. She did not experience limb ischemia or a pulse deficit before she visited our out patient clinic. She had not suffered any trauma in other sites, and showed a range of motion of 0 to 30° at 4 months after surgery. There was no specific finding on the X-ray images. Arthroscopic adhesiolysis was performed and her range of motion increased to 0 to 120°. However, 6 months after the initial operation, she showed ankylosis and heterotopic ossification at the posterior aspect, which was surgically removed at 12 months postoperatively. After the second surgery, there was no recurrence and she showed a 0 to 140° range of motion at postoperative 42 mon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