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에서의 Unbranding 규제 방안

        이상희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4 Law & technology Vol.10 No.1

        언브랜딩이라 함은 브랜드를 없애거나 그 사용 을 선택적으로 줄이고 이전의 상표를 연상하기 힘 든 새로운 상표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대 체로 언브랜딩은 구브랜드 자체의 부정적인 연관 성이 긍정적인 연관성을 넘어서는 경우 또는 순수 하게 부정적인 의미만 가지고 있어 자산이 아닌 부 담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언브랜딩을 하는 것은 기업의 경영상 전략으로 상표권자의 자유이다. 하지만, 언브랜딩은 때때로 크게 2가지의 소비자 혼동을 야기한다. interbrand 혼동과 intra-brand 혼동이 그것이다. interbrand 혼동이라 함은 언브랜딩 기업의 신브랜드가 타 기업의 브랜드와 비슷하여 소비자의 혼동을 일 으키는 경우를 말하고, intra-brand 혼동이란 신브 랜드가 타 기업의 브랜드와 동일 유사하지는 않지 만, 언브랜딩 전의 구브랜드와 후의 신브랜드가 실 제로는 동일한 기업의 것이라는 사실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힘든 경우, 즉 언브랜딩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지 않았던 소비자가 신브랜드 로 인해 동 기업의 것임을 모르고 그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혼동을 지칭한다. inter-brand 혼동의 경우에는 꼭 언브랜딩에 의 해서가 아니라도 원래 브랜드가 존재하지 않다가 맨 처음으로 만들어진 상표가 타 기업의 상표와 동 일∙유사한 경우 그 혼동에 대해 규제해왔던 것과 마찬가지로 상표법상 상표권 침해 또는 부정경쟁 방지법으로 규제되어 왔다. 즉, inter-brand 혼동에 대해서는 상표법상 상표권 침해 또는 심사관의 등 록거절 및 상표등록무효심판, 부정경쟁방지법 제2 조제1호가목 내지 다목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그에 비해 intra-brand 혼동은 간과되어 왔고, 이에 대해 규제하는 것이 타당한지, 타당하다면 어떤 현 행법으로 어느 정도 규율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 가 거의 전무하다. 그러므로 이 글은 언브랜딩으로 인한 소비자의 혼동 중 intra-brand 혼동에 대한 규 제의 필요성 및 정도에 논의의 초점이 있다. inter-brand 혼동에 비해 intra-brand 혼동이 간과되어왔던 것은 intra-brand 혼동은 interbrand 혼동과 달리 타 기업의 상표권을 직접 침해 한 것이 아니기에 간접적으로 끼칠 부정적인 영향 을 상정하기가 쉽지 않고, 그렇다보니 기업의 입장 에서도 intra-brand 혼동에 대한 규제를 적극적으 로 요청할 경제적 유인이 약했으며, 정보가 많지 않은 소비자의 입장에서도 기업의 언브랜딩 전략에 대해 일일이 인지하기 힘들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intra-brand 혼동은 소비자로 하여금 혼동 을 일으켜 합리적인 소비를 할 자유를 침해하고, 기 업의 입장에서는 intra-brand 혼동을 일으킨 소비 자의 선택 왜곡으로 부당하게 고객을 빼앗기는 등 부정경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검색 비용 을 증가시켜 시장 질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이렇듯 소비자, 시장, 타 기업에 직∙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면, intrabrand 혼동도 inter-brand 혼동처럼 규제의 필요 성은 인정된다 다만, 기업은 상표 변경의 자유가 있고, interbrand 혼동과 달리 intra-brand 혼동은 다른 기업 의 상표권을 직접 침해하는 것이 아니고, 아파트명 칭변경금지처분이 문제되었던 판례에서 적시되었 던바 있듯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intra-brand 혼 동은 시장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즉, 그 규제 정도 에 있어서는 두 가지 혼동의 차이점 등을 고려하여 intra-brand 혼동은 inter-brand 혼동보다는 좀 더 엄격한 요건 하에 규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intra-brand 혼동을 규제하는 경우에는 언브랜딩 으로 인해 단순히 구브랜드와의 연관성을 인식할 수 없어 소비자 오인 가능성을 불러일으킨다는 것 만으로는 부족하고, 언브랜딩한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아무런 실질적인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 하고 단순히 눈속임의 수단으로 브랜드만을 변경 하여 긍정적인 가치를 획득하려 하는 경우에 한해 규제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규제 필요성 및 정도에 대한 논의를 전 제로, intra-brand 혼동을 규제할 수 있는 현행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inter-brand 혼동을 규 제하는 상표법상 상표 침해는 ① 경쟁관계에 있는 타 기업, ② 언브랜딩한 기업, ③ 소비자의 3주체를 전제로 하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intra-brand 혼동에는 적용될 수 없으나, 상표법 제7조제11호‘상품 의 품질을 오인하게 하거나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 가 있는 상표’에 해당한다 하여 상표법상 등록 거 절 제도는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정경쟁방 지법 제2조제1호바목‘상품의 품질, 내용, 제조방 법, 용도 또는 수량을 오인하게 하는 선전 또는 표 지’로 볼 수 있다. 이는 경쟁자 보호 보다는 소비자 를 보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조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해 경쟁자만이 민사적 구제를 받을 수 있고, 소비자는 청구권자가 아니어서 특허청장 또는 시도지사 등의 시정권고 또는 고발을 기대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표시공정화법 제3조 허위 또는 기만 광고 로 보아 미국의 FTC에 대응하는 공정거래위원회 의 시정조치 명령 등으로 규제할 수 있다. 브랜드가 소비자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는 점을 고려할 때, 외관상 변경할 브랜드명에 부합하는 실 체적∙유형적 변경이 없음에도 단순히 눈속임의 수단으로 브랜드만을 변경하는 경우‘실질적인 품 질 등이 언브랜딩 하기 전의 구브랜드와 동일하다 는 사실을 숨기는 것’, 즉‘기만’적인 표시에 해당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허위 또는 기만 표 시에 대해 공정거래원회의 시정조치 명령 뿐만 아 니라 소비자단체는 공정거래위원회에 일시중지명 령을 요청하거나 민사적인 무과실 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 밖에 최근 신설된 소비자기본법 제10조제2 항의 기준 위반 여부를 검토해 볼 수 있다. 기준이 아직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향후 그 기준을 정함에 있어 위의 논의를 고려하여 언브랜딩으로 인한 intra-brand 혼동의 규제 필요성에 따른 규제 정도 에 대해 명확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Unbranding is the practice of eliminating or selectively reducing the use of a brand and create a new one which does not remind consumers of an old brand. Unbranding occurs in general, when negative associations of existing brand outweigh the positive ones and an old brand represents a liability rather than an asset. Firms can select unbranding as a business strategy. But, unbranding sometimes causes two kinds of confusion.; inter-brand confusion and intra-brand confusion. Inter-brand confusion is the consumer’s confusion between the new brand of unbranding firm and similar brand of the other entity. Intra-brand confusion means the case that consumers are difficult to realize the owner of the old brand before unbranding and the owner of the new brand after unbranding is the same entity. That is, consumers who do not want to take the goods and services of unbranding firm get to use its offerings without knowing the same entity. Inter-brand confusion has been regulated by the Trademark Act and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like restriction on original brand which is similar to other firm’s brand without unbranding.; infringement of trademark right, an examiner’s decision to reject trademark registration, invalidation trial on trademark registration under Trademark law, article 2(1)(a)&(c) under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By comparison, intra-brand confusion has been relatively ignored. The argument over the validity and degree of imposing regal controls is quite rare.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necessity and extent of control over intra-brand confusion. The reason intra-brand confusion is missed rather than inter-brand confusion is that any single competitor may lack the financial incentive to request restriction on intra-brand confusion actively, because there is not a direct infringement of other firm’s trademark right and it is hard to presume indirect damage. Moreover, consumers who do not have much information are difficult to catch the deceptive mark in detail. Thus, intra-brand confusion causes infringe consumer’s right to consume reasonably and results in unfair competition, for example other firm’s can be deprived of their potential customers because of distortion of consumer’s decision-making. In addition, it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market by increasing search cost. From the viewpoint of all things above, it requires that intra-brand confusion should be regulated. However, firms have a right to alter their brand, intra-brand confusion does not bring out a direct infringement of the trademark right unlike inter-brand and can be resolved by the market itself by the long shot as mentioned in cases dealing with the administration measure about prohibition on changing apartment brands. So, intra-brand confusion should be regulated under stricter legal condition than restriction on inter-brand confusion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ntra-brand confusion should be policed only when firms try to get good impression by deceptive unbranding which is nothing but means of trickery without taking step to repair their pubic image or substantial change on their offerings beyond the likelihood of consumer confusion. On the basis of above statement, this Article is going to examine the law being able to regulate intra-brand confusion. First, Trademark Act can not address intra-brand confusion because of the structural limitation that trademark infringement requires three parties; ① competitor, ② unbranding firm, ③ consumer. Though, to prevent intra-brand confusion, registration refusal as trademarks which are liable to mislead or deceive consumers as to the quality of the goods under Trademark law, article 7(10) can be applied. Also, it can be considered as a mark leading public to misunderstand their quality under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article 2(1)(f).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tect consumers than competitors. Nevertheless, only competitors can claim responsibility. Thus, consumers cannot help relying on corrective recommendation of the commissioner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r city mayor, because consumers do not have standing. In addition, corrective measures may be issued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about false or deceptive labeling under Fair Labeling and Advertising Act, article 3. Considering that brand is an important factor to affect consumer’s decision, unbranding as means of trickery with no substantial and tangible change can be the‘ deceptive’mark which hides the fact that the entity before and after unbranding is the same. Consumer organizations may request the Fair Trade Commission to issue an order to temporarily suspend labeling or advertising in writing and receive compensation for such damages. Besides, we can review the violation of the standard under Framework Act On Consumers, article 10(2) created recently. The standard is not arranged yet, but when the standard is form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clearly establish the degree of restriction on intrabrand confusion in accordance with the need to regulate.

      • KCI등재후보

        수석교사제의 법제화 과정에 나타난 정책갈등 분석

        이상희,김재웅 한국교육정치학회 2012 敎育政治學硏究 Vol.19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licy conflict process in the policy-making of Master Teacher Policy. The target period was from the year 2000 when the issue about Policy was raised to 2011 when the policy was formally legalized. Literature review about policy conflict and the Master Teacher Policy, investigation of government reports, minuets of National Assembly and newspapers, as well as interview with a few people involved in the Master Teacher Policy were utilized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The latent conflict between Korea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s(KTFA) and Korea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KTU) was rooted in the announcement of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in 2000, which involved the idea of Master Teacher Policy. The KTFA was in the position of 'pro' for the policy, while the KTU was sharply against the policy. The manifest conflict was found in the series of five times motion of the bill for the Policy by the Congressmen. The KTU argued the Policy for Invited Principals be introduced, while the KTFA was in the reverse. The policy conflict was settled in 2011 by the legalization of both bills for Master Teacher Policy and Policy for Invited Principals. This was possible due to the active intervention of the political parties who wanted to gain support from both teachers' groups, which implies that policy conflict in education might not be solved by the education groups themselves. 이 연구는 수석교사제의 법제화 과정에서 나타난 교원단체간 정책갈등의 전개과정을 잠재적 갈등, 갈등의 표출, 갈등의 해소 등 3단계로 설정하고 갈등 양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정책갈등 전개과정의 분석 대상 시기는 수석교사제의 이슈 형성이 시작된 2000년부터 수석교사제가 입법화된 2011년까지이고, 연구방법으로 정책갈등 관련 및 수석교사제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 정부 보고서, 국회 회의록 및 언론 보도자료 조사, 수석교사제 관련 인사에 대한 심층면접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직발전종합방안(2000년)이 발표되면서 수석교사제를 지지하는 교총과 교장공모제를 지지하며 수석교사 도입을 반대하는 전교조의 상이한 입장차이로 말미암아 잠재적 갈등이 시작되었다. 두 단체의 갈등은 수석교사제 법제화가 결정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후 국회에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총 5회에 걸쳐 법안발의가 되면서 본격적으로 갈등이 표출되었으며, 결국 2011년 수석교사제와 교장공모제가 모두 입법절차를 마치면서 그 동안의 정책갈등이 해소되었다. 이는 정책 갈등이 고조된 시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치권의 개입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또한, 이는 교육정책갈등이 교육 분야 내부의 집단만으로는 해결이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

      • 실버마케팅 전략으로서의 색채활용에 관한 연구 - 모바일 폰 인터페이스 요소중 색채활용을 중심으로 -

        이상희,김덕용 한국색채디자인학회 2006 한국색채디자인학 연구 Vol.2 No.2

        Old people's perceptivity goes dull and their sense gets down as they get older and older. We recognize by seeing more than 80%, so it is so important to check the change of eyesight caused by aging. I tracked the mobile-phone interface used by old people and analysed what they nee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a guideline of the interface suitable for the old based on their visual peculiarity and color sensation theory. To pick out the general difficulties which the old have in using mobile-phone, I conducted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 of old people by the way of F, G, and I in older than 65, and did the second survey of 30 old persons to get quantitative results from the 1st survey. The problems made from the 2nd survey are as follows. I would like to separate those problems above into three items by the point of function and structure. 1. A story of function. 2. LCD screen. 3. Keypad background color. I took the 3 items into color theory of the old's features, visual sensation, and color recognition, and made out prototype of a reform measure. We get to know by the surveys that the design of the new interface with theory in satisfying users is much better than it of the present interface. It was verified that we could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terface design by a color effect in the factors of the interface. I expect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to all kinds of electronic goods with LCD panel such as MP3, washer, and microwave-oven, not only mobile-phone. In the future, we will see the machines of information technology with complex functions and various interactive media. The needs of users will also assume diverse aspects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media. Under this condition, we need the conception of a general design which doesn't have exception groups. I suggest that it be the next subject of research to do color plan by the design that the people at a disadvantage are brought together into main stream by.

      • KCI등재
      • KCI등재

        노동쟁의 조정대상 확대 논의 검토

        이상희 한국사회법학회 2021 社會法硏究 Vol.- No.43

        노동쟁의 조정제도 활성화와 노사자치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노동쟁의 조정대상에 대한 확대가 주장된다. 원칙적으로 권리분쟁은 현행법상 단체교섭대상 내지 조정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할 근거가 있지만 집단적 노사관계 분쟁사항은 근거가 없다. 지배력설 등을 근거로 원청기업이 하청소속 근로자들에 대해 부당노동행위 주체로서의 사용자로 확대하는 것은 법적 합리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를 근거로 단체교섭의 당사자로서의 사용자로 확대하는 것은 하청소속 근로자에 대한 근로계약 형성 가능성 근거에 비추여 신중할 필요가 있다. 지배력설 등의 법리도 지나치게 개방 내지 탄력적으로 운영될 우려가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조정대상 확대로 노동위원회 조정제도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노사갈등 비용을 줄이고 집단적 노사자치를 제고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방이 조정을 신청하면 상대방이 이에 응해야 하는 시스템에서 원칙적으로 조정대상이 아닌 권리분쟁을 조정대상으로 하거나 당사자인지 논란이 되는 자를 단체교섭의 당사자로 나오라고 하는 것은 일방을 약하게 하여 노사자치에 도움이 안 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There is an assertion that the scope for mediation of labor disputes must be expanded as a way to revitalize the labor dispute mediation system and improve labor-management autonomy. In principle, rights disputes have legal basis to be excluded from collective bargaining or mediation under the current law, but collective disputes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have no legal basis. Based on the dominance theory, it may be legally reasonable for the prime contractor to be expanded to employers as the subject of unfair labor practices against the subcontracted workers. However, expanding, on the basis of this, to employers as parties to collective bargaining needs to be cautious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concluding labor contracts for subcontracted workers. There is also a concern that laws such as the dominance theory could be operated in excessively open or flexible ways. Expanding the subjects for mediation might activate the labor committee's mediation system leading to the reduction of labor-management conflict costs and the improvement of collective labor-management autonom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n a system in which the other party must participate in mediation when one party applies for mediation, participation as a party to rights disputes or collective bargaining, not as a party to mediation, weakens the party and may not be beneficial in labor-management autonomy.

      • KCI등재

        최근 노동관계법 이슈가 산업인력에 미치는 영향과 과제

        이상희 한국공학교육학회 2015 공학교육연구 Vol.18 No.1

        통상임금 확대 소송, 근로시간단축 추진, 사내하도급 근로자 보호법 제정 추진, 60세 정년연장 의무화의 전격 결정 등은 각각임금상승 효과를 동반하기도 하지만, 짧은 기간내에 중첩적으로 추진될 경우 급격한 임금상승이 초래된다. 그런데 통상임금을확대하는 정기상여금은 주로 대기업에서 발견되고, 근로시간단축으로 인한 소득감소는 중소기업에서 더 많이 발생하고, 사내하도급근로자와 직영근로자 간 임금격차는 대기업에서 많으며, 순수 호봉 내지 연공제도 대기업 정규직에 많이 발견된다. 따라서 주요노동이슈의 돌직구적인 추진은 대기업 부문의 급격한 임금상승을 초래하고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임금이 하락한 중소기업에서는산업인력 수급난이 가중되어 산업경쟁력에 치명적일 수가 있다. 주요 노동이슈 처리시 급격한 임금상승 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임금조정 방안 모색이 필요하고, 임금상승을 동반하는 주요 이슈를 패키지딜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The recent increase of wages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lawsuits on ordinary wage expansion and the reduction of workinghours. This may enlarge the wage gap between enterprise and small business, and thus worsen the insufficient supply of workforceto small busines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rategies to control the increase of wages in order to resolve the difficultyin the industrial workforce supply and to enforce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Cefotaxime 처리를 통한 칼라 기내 식물체의 오염 감소 효과

        이상희,김영진,양환래,김종보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1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a micropropagation protocol for multiplication of calla ‘Gagsi’ by using shoots as explant. The callus was induced on Murashige and Skoog (MS) basal medium containing cefotaxime antibiotics (25, 50, 100 mg/L). Also, MS basal medium with NAA 0.5 mg/L and BA 1.0 mg/L was used. The callus induction and browning rates were compared by treatment supplemented cefotaxime 25, 50 and 100 mg/L in basal MS medium. The callus induction rate was 10.5 % and browning rate was also, 10.5 % on the MS containing 25 mg/L. In the MNB containing cefotaxime, the callus induction rate was 34.5 % and browning rate was 27.0 %. The cefotaxime experiment has been widely used in previous studies. It is thought that it will help establish the mass multiplication system by positively affecting the growth and browning reduction of calla plants. 본 실험은 칼라 ‘Gagsi’ 품종의 줄기를 절편체로 사용하여 칼라의 대량증식 시스템을 확립하고자 진행이 되었다. 실험은 cefotaxime 항생제 (25, 50, 100 mg/L)가 포함된 Murashige와 Skoog (MS) 기본 배지를 사용하였다. 캘러스 유도는 MS 기본 배지에 NAA 0.5 mg/L, BA 1.0 mg/L 등의 식물 호르몬을 첨가한 배지가 사용되었다. 기본MS 배지에 cefotaxime 25, 50, 100 mg/L 농도가 첨가 된 배지에서 비교한 결과 캘러스 유도율은 25 mg/L 농도에서 10.5 %가 나와 가장 효율이 높았고 갈변율은 10.5 %로 가장 낮았다. 캘러스 유도 배지인 MNB에 cefotaxime 25 mg/L을 첨가한 배지에서 캘러스 유도율은 34.5 %, 갈변율은 27.0 %가 나타났다. 항생제인 cefotaxime은 이전에 식물 조직 배양 실험에서도 사용되었고, 실험 결과 칼라 식물 생장을 촉진시키는 효과와 오염 및 갈변을 억제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량 증식 시스템 개발에 기여를 할 수 있고 농가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