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보 프라이버시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관한 실증연구

        이동진,김정식 한국인사관리학회 2010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0 No.2

        지식정보화 시대에 조직은 외부환경의 불확실성에 반하여 조직자산의 안정성을 위협할지도 모르는 구성원들에 대한 감시와 통제의 필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조직내 근로자들은 그들 자신의 정보 프라이버시(information privacy) 침해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고 볼 수 있다. 물론 조직의 입장에서는 이와 같이 조직과 개인 간 갈등관계를 보여주고 있는 연구들에서 조직에 의한 구성원들의 엄격한 통제는 개인차원에서의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를 약화시킬 수 있으며 조직에게 혜택을 안겨다 주는 종업원들의 재량적 행위를 제약할지 모른다고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의 자유와 프라이버시가 강조되고 있는 서구권 상황에서 검정되고 제시되고 있는 조직 내 정보 프라이버시 척도를 국내 상황에서 타당화한 이동진·김정식(2010)에서의 측정모형을 이용하여 조직 내 구성원들이 느끼고 있는 내재적 동기와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고찰하며, 따라서 정보 프라이버시 척도의 법칙론적 타당도(nomological validity)를 검정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조직 내 정보 프라이버시와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선행연구에서의 이론적 틀과 분석결과에 준거할 때 이동진.김정식(2010)의 척도의 타당도를 지지하고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정보를 둘러싼 조직의 효율성과 종업원들의 절차적 공정성 지각 간에 문제제기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던 가운데 집단주의 정서가 강했던 기존의 한국적 상황이 이미 개인화 성향으로 되어 가는 추세로 접어듦에 따라 조직 내 정보프라이버시에 관한 실증 연구의 필요성을 점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검정되고 있는 조직 내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간 관계를 토대로 실무적 차원에서 가장 관심이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조직 내 정보 프라이버시의 결과변수(organizational outcome)와의 관계를 검정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인적자원체계 특성이 지식집중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이동진(Dong-Jin Lee) 한국인사관리학회 2011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5 No.4

        As the industrial society moves to the post industrial society, and then to the knowledge society, people pay attention to organizations with intangible assets. Therefore, in order to explicate a management system of organizations based on intangible assets, we pursue to HR system of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which is measured by empirically developed knowledge intensiveness of work in organizations.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LM analysis shows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mean of knowledge intensiveness, and in the slopes of collaboration of work across organizations when regressed on gender, age, education and career in each organization. Second, the next step in the HLM analysis shows that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system characteristics on the levels of work collaboration was stronger in organizations with flexible work system, organic compensation system and activity based development sytem. These results imply,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work collaboration in knowledge intensive work, in order to more parsimonious scale of knowledge intensity. Second, it must be supported by compensation strategy based Burns & Stalker(1961)’s organic theory, and organic compensation system must be supported by culture, HRM systems included on employee selection system, career development, and so on, in order to elevate knowledge intensiveness in organization. Therefore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multi-level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intensiveness, employee attitudes at individual focus and HR systems at organizational focus. 산업사회에서 지식중심사회로 바뀜에 따라 지식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증대되고, 이와 동시에 조직과 작업수행에서도 지식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지식기반조직에 대한 관심도 본격화되었다. 본 연구는 작업자가 인식하는 작업의 지식집중성의 측정모형인 지식집중도(perceived knowledge intensiveness)와 지식기반조직의 HR체계에서 작업체계, 보상체계 그리고 개발체계 특성에 관해 검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조직내 작업의 지식집중도 구성요인 중 이동진(2008, 2009), 이동진ㆍ이영면(2010)에서 강한 요인으로, 또는 외생변수(예측 변수)로 검정되고 있는 작업협동성이 유연한 작업체계, 유기적 보상체계 그리고 활동중심 개발체계 특성을 갖는 조직일수록 그렇지 않은 조직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선행연구들에서 주장되고 있는 지식기반조직의 HR체계 특성이 본 연구의 표본을 토대로 실증적으로 발견됨으로써 지식집중도의 법칙론적 타당도 (nomological validity) 검정의 의의를 가지며, 따라서 지식집중도에 대한 타당도가 더 한 층확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검토된 지식기반조직의 HR체계 특성에 준거할 때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식기반조직의 경영체계는 구조적 상황이론가 Burns & Stalker(1961)가 제시하고 있는 유기적 조직이론(organic model)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해주고 있다. 따라서 향후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실증결과와 연계하여 보다 간명한 지식집중도 개발과 함께, 본 연구에서 고려되고 있지 않은 지식기반조직의 문화 및 구성원 태도를 고려하는 선발, 유기적 상호작용과 협동에 기초하는 충원, 경력개발, 인사고과 등이 포함되는 HR체계 특성과 지식집중도에 관해 다층분석함으로써 지식기반조직의 경영체계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심도 있고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식집중도 구성요인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이동진,이영면 한국인사조직학회 2010 인사조직연구 Vol.18 No.2

        The world is shifting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knowledge society, where people pay attention to organizations with intangible assets. In order to explicate the management systems of organizations based on intangible assets, this paper find empirically a theoretical structure of knowledge intensiveness, which knowledge intensity scales of works in organizations.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claim to produce qualified products and/or services, and even generate new and unique knowledge. Organizations as diverse as law and accounting firms, management consultancy companies, engineering consultancy companies, advertising agencies, research and development units, pharmaceuticals, and high tech companies as typical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But the notion of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and related concepts such as knowledge intensive work is, of course, not unproblematic. Since all organizations and work involve knowledge, what qualifies as a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or non-(or less)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 and non-knowledge intensive work, is rarely self evident. We regard knowledge based organizations as units performing knowledge intensive work, and then refer to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intensive work are as follows. First, works of knowledge based organization are required on the expertise. Second, the core part of works are performed by experts having expertise. Last, as expertises are consisted of formalized and informal knowledge, knowledge works are required on dialogues, consensuses, persuasions and negotiations based on human and social relationship. Thus, works in knowledge based organizations are going on through manipulating and orchestrating of individual thoughts and languages, and these works are referred to knowledge intensive work. Using these conceptual definition, we refer to the knowledge intensity of work as essential characteristics to works it self and work performing are needed on expertises, and then classify components of knowledge intensiveness of work to knowledge ambiguity required on work, client connectivity and collaboration of work, and results ambiguity of work, which order follows 'input→throughput→output' of knowledge intensive work. This classification of concepts in knowledge intensive work are focused on level of work units, thus in order to fit between level of theory, level of measurement, and level of analysis, we measure knowledge intensiveness of works based on performers, and go to the statistical analysis at work level.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empirically not supported to concept based model, which ar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mponents of knowledge intensiveness in frame of 'input→through→output' paradigm. Rather, empirically supported that the best fitting structural model and the second best one have each exogenous(predictor) variables, which one is work collaboration and the other is client connectivity, these are throughput in knowledge intensive work. Of course, endogenous(criteria) variables are knowledge ambiguity and results ambiguity of work, which orderly input and output of knowledge intensive work. Throughput of knowledge intensive work were stronger factors than input, output components from the Lee(2008)'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in path analysis results, regressional relationship between result and knowledge ambiguity is weak relatively to others. This may reveal that how a strong culture based on an acceptance of ambiguity(e.g., in roles, power relations, organizational routines and practices etc.) promote(moderate) development of relationship between result and knowledge ambiguity of work, which insisted by Kӓrreman et al.(2004), Robertson et al.(2003) and Willmott(1993). Last, exogenous variable of the best fitting model is work collaboration in multi-industry, but in contrast exogenous one is client connectivity in just professional service sectors.... 지식사회의 형성과정에서 전문지식서비스산업이 급속하게 확대됨에 따라 무형자산을 강조하는 지식기반조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그러나 지식기반조직은 대량생산체계를 갖춘 전통적 산업조직과 상호배타적 산업에 속하는 전통적 전문인력조직과 혼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조직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우선 산업범주를 초월하여 지식기반조직 여부를 판가름하는 조직 내 작업의 지식집중성에 대한 척도로서 지식집중도에 대한 개발과 탐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그에 대한 이론구조를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진(2008, 2009a)에서 작업의 지식집중성을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인식하는 개인속성으로 개념화하고, 측정 및 분석한 요인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분석결과, 첫째, 지식집중도 구성요인의 구조적 관계는 지식작업의 '투입→과정→결과요소' 순으로 연역적으로 추론하였으나 실증적으로는 과정요소에 해당되는 협력성과 고객연계성을 예측(외생)변수로 하는 구조모형이 가장 양호한 모형적합도를 보였다. 둘째, 결과모호성과 지식모호성 간 인과관계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고는 있으나 영향력이 다른 구성요인들 사이의 관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이 결과들은, 첫째, 지식집중작업에서는 과정요소의 지식집중성이 결과 및 투입요소를 예측하는 본질적 요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작업자들이 모호성에 대해 느끼는 불편함으로 인해 결과모호성과 지식모호성 간 인과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본다면, 지식집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수준에서의 태도와 조직수준에서의 문화, 구조 그리고 HR체계가 지식집중도 구성요인 사이의 인과관계에 각각 예측변수효과와 상황효과를 미칠 것으로 추론된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지식집중도 구성요인 중 협력성과 고객연계성에 초점을 둔 보다 간명한 지식집중성 척도 개발과 함께, 개인수준의 지식집중도와 태도변수, 그리고 조직수준의 구조, 문화 그리고 HR체계 특성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여러 수준으로 이루어진 지식기반조직에 대한 체계적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국 불법행위법상 비재산적 손해배상과 그 한계

        이동진 한국민사법학회 2014 民事法學 Vol.66 No.-

        When does American tort law compensate non-pecuniary loss? In this article, those cases rendered by American courts, in which damages for non-pecuniary loss were awarded,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 direct and independent harm cases, direct and parasite harm cases, indirect harm cases (loss of consortium and parasite harm), and infringement of constitutional right cases, and the schemes or tests for the compensability of non-pecuniary loss in each category are analyzed in tur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American tort law recognizes different types of non-pecuniary losses, that is dignitary harm as a normative loss, pain and suffering as a physical and factual loss, and pure emotional harm as a non-physical and factual loss; the scope of compensable non-pecuniary loss depends on the cause of action or type of tortious act; more strict requirements should be met for the so-called parasite non-pecuniary damages; the nature of loss of consortium is confusing in American tort law as well as in other jurisdictions; no damages are presumed for the infringement of constitutional rights.

      • KCI등재

        매매계약이 해제된 경우 미등기 매수인이 한 임대차의 운명 - 대법원 2008. 4. 10. 선고 2007다38908, 38915 판결 -

        이동진 한국민사법학회 2014 民事法學 Vol.68 No.-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in a recent decision (rendered on 10. April 2008, case number: 2007Da38908, 38915) that a leaseholder who had met all the requirements prescribed in article 3 (1) of Korean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completion of delivery of house and resident registration) can oppose with the lease, even when he acquired it from the unregistered vendee of the property so that the lessor was not an owner of the property (see article 186 of Korean Civil Code, which requires a registration to acquire a property), against the vendor who reacquired the ownership of the property by rescinding the sales contract between the vendor him- or herself and the vendee-lessor. The reasons for this decision the Supreme Court of Korea presented are as follow: (1) it is not required to be leased by an owner of the property for acquiring a lease opposable to those other than lessor (an opposability of a lease); only required is to be leased by one who has an authority to lease; (2) when vendor delivered a property to vendee on the basis of a sales contract, the vendee has an authority to lease even if he did not register his ownership; and (3) a leaseholder who acquired a lease opposable to those other than lessor is protected from the effects of rescission of the sales contract as a third party in the meaning of article 548 (1) of Korean Civil Code. In this article, this decision and its legal grounds are examined: though the first two grounds the Supreme Court of Korea presented are agreeable,the last ground is not; the last proposition, which has been approved by the case law as well as legal literature, ought to be understood carefully or needs elabora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opposability of a lease is supposed to protect a leaseholder not to lose his or her lease in case of a possible transfer of the property and that the limitation of effect of contract rescission by article 548 (1) of Korean Civil Code presupposes the transfer of a property, this proposition should not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lessor did not acquire the ownership so that there was no transfer of the property; in other words, it holds true only when there was a transfer based on the contract rescinded thereafter, which is not possible without a registration. As a result, the conclusion of the judgment, which recognized leaseholder’s right against the vendor who rescinded the contract, is also arguable.

      • KCI등재

        약용작물 종자의 Priming 및 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한 활력증진 방안 개발

        이동진,김영호,윤성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9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1 No.1

        본 시험은 약용작물인 방풍, 갯방풍, 구릿대 및 참당귀 종자를 공시하여 priming방법 생장조절제 및 저온 흡습처리에 의한 활력증진 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방풍 등 공시작물들의 발아율은 20-25℃가 30℃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2. PEG priming(-5∼-14bars)처리는 구릿대 종자에서만 무 처리 보다 발아율이 증가되었으며, 최종발아 50%까지의 소요일수는 공시작물 모두 유의한 단축효과를 나타냈다. 3. SMP처리는 방풍 및 구릿대 종자에서 발아율 증진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최종발아 50%까지의 소요일수에 있어서는 네 공시작물 모두 무처리에 비하여 유의하게 단축 되었다. 4. KNO₃처리는 방풍의 경우 0.1-0.5%, 구릿대는 0.3%처리 시 발아율이 무 처리보다 증가되었다. 5. 저온 흡습처리는 30-50일 정도가 무 처리보다 발아율 증진 및 최종발아 50%까지 소요일수 단축에 효과적이었다. 6. GA₃처리는 1ppm에서 500ppm까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velop the technology for increasing seed viability by priming treatments, plant growth regulators and low temperature stratification in medicinal plants. Ledebouriella seseloides. Glehnia littoralis, Angelica dahurica and Angelica gigas were used in these experiments. The percentage of germination had higher 20-25℃ incubation than 30℃ incubation in tested crops. Osmotic conditioning priming by polyethylene glycol(-5∼-14bars) increased the germination rate in Angelica dahurica and reduced the number of days to 50% germination from final germination in four tested crops. The percentage of germination also increased by 0.1∼0.5% and 0.3% KNO₃ treatment in Ledebouriella seseloides and in Angelica dahurica, respectively. Stratification treatments during 30-50 days have higher germination and faster days to 50% germination from the final germination. GA₃ treatment increased its germination rate as the level increased from 1 ppm to 500 ppm as compared to control.

      • KCI등재

        종합적 상환여건을 반영한 과다부채 가계의 리스크 요인 분석

        이동진,한진현 한국응용경제학회 2017 응용경제 Vol.19 No.3

        This paper suggests a new measure of household over-indebtedness based on the concept of conditional quantiles, and use it to examine the factors of the over-indebtedness. We first consider a distribution of household debt conditional on the overall payment ability, and specify the over-indebted household as the one whose debt exceeds -quantile of the conditional distribution. We find a clear evidence of heterogeneous behavior in that over-indebted households’ income and real estate elasticities of debt are significantly higher. We also find that lower-income and elderly-headed households have significantly higher debt/income ratio compared to the other age and income groups. 본고에서는 조건부 분위의 개념을 이용하여 가계의 종합적인 부채상환여건이 반영된 과다부채 가계를 정의하고 동 가계의 특징 및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였다. 소득, 자산, 가계특성 등 주어진 부채상환여건 하에서 가계부채 또는 부채비율이 상위 %인 가계를 과다부채가계로 설정하였으며 중절분위회귀 추정을 통해 동 가계 식별 및 리스크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12년 이후 과다부채 가계의 부채비율이 여타 가계에 비해 3배 이상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과다부채 가계는 소득탄력성 및 부동산탄력성이 여타 가계에 비해 크게 높아 LTV 등 총액기준 대출규제 정책도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과다부채 가계 중에서도 하위 소득계층 및 고연령층의 부채비율은 여타 가계보다 크게 높아 이들 계층의 부채상환 리스크가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 하수처리장에서 음식물류 폐기물 투입 종류별 처리 효율 비교분석

        이동진,이성수,이수영,김영란,김기헌,정진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3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2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97%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국가로서 화석원료를 대체할 친환경적이며 동시에 지속발전 가능한 에너지원을 찾기 위한 연구가 필수 불가결한 상태 이다. 현재 생활폐기물의 음식물폐기물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약 90% 이상의 음식물류폐기물이 재활용 되고 있으나 해결해야할 문제점들과 해양오염방지법 강화로 인한 해양 투기 금지로 인해 자원화 공정 시 발생되는 음식물류 폐기물 폐수의 효과적인 처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유기물 함량이 높은 음식물류 폐기물과 음폐수를 혐기성소화 공정을 통해서 바이오 가스 회수 및 이용에 많은 기대를 가지고 투자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하수처리 시설 중 2012년간의 혐기성 소화시설의 처리효율과 바이오 가스 회수량을 비교분석하였다. 하수슬러지만을 혐기성 소화시설에서 처리하는 곳, 하수슬러지와 음식물류 폐기물을 가지고 병합 혐기소화 시설에서 처리하는 곳, 그리고 하수슬러지와 음식물류 폐기물 폐수를 가지고 병합 혐기소화 시설에서 처리하는 곳을 비교하였다. 휘발성 고형물은 음식물류 폐기물 폐수와 하수슬러지 병합 혐기소화 시설의 유입물(평균 VS % = 3.36)에서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음식물류 폐기물과 하수슬러지 병합 혐기 소화시설의 평균소화효율(VS 기준)이 50.4%로, 평균 바이오가스발생량 0.58 m³/kg.VSin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