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이후 일본의 배외주의와 재일조선인

        이승희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일본학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flow of the chauvinism occurring in Japan after the modern times to contemplat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fore and after the war. In general, the academic circle of Japan has the well established assertion that “Japan has the right wing but it does not have the extreme right wing”, and there is wide spread perception that the social movement in chauvinism as the leading front has emerged in the recent days. In December 2006, Zaitokukai (在特會: meeting of citizens who do not recognize special privileges to Koreans in Japan) was organized to undertake the chauvinism movement to stir the social scandal with aggressive hatred against Korea, demonstration of denouncement of those Koreans in Japan as well as assembly for such causes. Obviously, when considering in history, the right wings and chauvinism of Japan do not necessarily exist in consistency but certain part of overlapping areas in their assertions, characters and theoretical basis that the relativity cannot be completely denied. In addition, the exclusive policies of Japanese government and the hatred and discrimination recognition of private society against Koreans in Japan have been steadily existed from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ing period that calls for attention. Under this article, the focus is on Koreans in Japan as the target of the chauvinism in Japan in particular that the contemplation on the influence on the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s in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with the view of despise of Japanese against Koreans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therefore, such traditional view of despise against Koreans has been handed down to the recently emerged chauvinism. 본고의 목적은 근대시기 일본인들이 갖고 있던 재일조선인 멸시관과 적대감이어떻게 전후시기로 계승되어 최근 대두한 배외주의로까지 연결되었는지 그 연속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근대 이전 일본인의 조선 및 조선인에 대한 인식을 형성시킨 것은 ‘진구황후의삼한정벌’ 전설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이었다. 근세에 이루어진 조선침략의 경험은 기존의 ‘삼한 정벌’ 전설을 보완하며 그 ‘복속’의 대상이었던 조선및 조선인에 대한 멸시관과 일본인의 우월감을 형성하였다. 근대 이후 일본인과조선인이 본격적으로 접촉하기 시작한 때에도 기존의 조선인멸시관은 계승되었고, 문명과 야만의 틀에 의해 더욱 강화되었다. 일본인의 조선 및 조선인에 대한 멸시관은 한국병합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일본으로 건너가기 시작한 재일조선인들에 대한 차별인식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었다. 재일조선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본국의 일본인들이 각지에서 재일조선인을 직접 접할 기회가 많아졌지만 여전히 기존의 멸시관에 더해 3.1운동 이후‘위험’하다는 적대적 인식도 갖게 되었다. 특히 노동현장 등에서 감시와 단속을통해 재일조선인과 자주 접하던 경찰 및 사법 관계자들은 더욱 부정적인 인식을갖고 재일조선인을 경계하고 차별하였으며, 가급적 일본으로의 유입을 막고 치안유지에 ‘위험’한 재일조선인들을 조선으로 돌려보내고 싶어 했다. 제국주의 일본이 패전하고 민주주의 국가로 전환된 후에도 재일조선인에 대한인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침략과 식민지배의 역사에 대한 일본사회의 반성이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재일조선인에 대한 멸시관은 여전히 존재하였고, 패전 직후의 혼란기를 이용하여 암시장을 비롯한 부정한 수단으로 일본의 부를갈취하고 생활보호를 수급하는 부담스러운 존재로까지 인식하기 시작했다. 또한1940년대 말 냉전의 진행으로 인해 특히 좌파 계열의 재일조선인을 위험시・적시하고 일본 내에서 배제하기를 원하는 배외주의 의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움직임은 일본정부로 하여금 재일조선인의 권리를 제한하는 각종 제도적 차별 실시와 일본 국내에서 좌파 계열의 재일조선인을 사실상 추방하는 재일조선인 북송근대 이후 일본의 배외주의와 재일조선인∙이승희 93 사업으로 연결되었다. 민간사회에서도 재일조선인은 신체적인 폭력을 행사 당했으며, 일상적으로 취업, 진학, 결혼, 주거 상의 차별을 받으며 정신적인 고통을 강요받아야만 했다. 1970년대에 이르러도 일본인들은 여전히 기존의 멸시관과 적대감에 근거하여 재일조선인을 바라보고 차별을 가하고 있었으며, 결국 재일조선인들은 출신을 숨기기 위해 일본식 통명을 사용해야만 했다. 일본 정부와 민간사회는 재일조선인에게차별이 싫으면 귀화를 하라는 입장을 취하며 전전 시기와 다름없는 동화 압력을가해왔다. 멸시관과 적대감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타자의 존재를 인정하지 못하고배격하려고 하는 일본사회의 배타적인 자세는 재특회와 같이 재일조선인을 타깃으로 한 극단적인 배외주의를 대두시키는 토양이 되었다. 인터넷상의 익명게시판 공간 등은 그동안 일본인들이 면면히 갖고 있었던 재일조선인에 대한 멸시관과 적대감을 배외주의로서 밖으로 토해내고 증폭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고, 재특회는 이를 기반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재특회는 재일조선인은 나태, 불결, 교활, 위험하다는 등의 전전 시기의 재일조선인 멸시관과적대감, 그리고 패전 직후부터 형성된 재일조선인에 대한 피해망상을 이어 받아이를 현재도 공공연하게 확대・재생산하고 있는 중이다.

      • KCI등재

        응용행동분석에서의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 모델

        이승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In the first issue of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Baer, Wolf, and Risley (1968) presented generality as one of the 7 dimension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According to them, a behavior change may be said to have generality if it proves durable over time (that is, maintenance), if it appears in a wide variety of possible environments (that is, stimulus generalization), or if it spreads to a wide variety of related behaviors (that is, response generalization). Since th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has been a main concern in the field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in applied behavior analysis. To do this, first, generalization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stimulus generalization and response generalization), which were used interchangeably with ‘stimulus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and ‘response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respectively in this study. Next, maintena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kinds (‘maintenance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stimulus-generalized behaviors’, ‘maintenance of response-generalized behaviors’) based on the review performed in this study. Lastly, the two types of generalization and the three kinds of maintenance were set up as five aspects of generality (‘stimulus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response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stimulus-generalized behaviors’, ‘maintenance of response-generalized behaviors’) and a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was propos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의 창간호에서 Baer, Wolf와 Risley(1968)는 응용행동분석의 7개 차원 중 하나로 일반성(generality)을 제시하면서 행동변화가 시간이 지나도 지속되거나(즉, 유지),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나거나(즉, 자극일반화), 또는 다양한 관련행동으로 확산된다면(즉, 반응일반화) 그 행동변화는 일반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후 유지와 일반화는 응용행동분석 분야에서 주요 관심사가 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응용행동분석에서의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에 대한 모델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이승희(2021)의 연구를 근거로 일반화를 자극일반화와 반응일반화라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극일반화와 ‘습득된 행동의 자극일반화’를 그리고 반응일반화와 ‘습득된 행동의 반응일반화’를 각각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의 고찰을 근거로 유지를 ‘습득된 행동의 유지’, ‘자극일반화된 행동의 유지’, ‘반응일반화된 행동의 유지’라는 세 가지 종류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일반화의 두 가지 유형과 유지의 세 가지 종류를 일반성의 5개 측면(습득된 행동의 자극일반화, 습득된 행동의 반응일반화, 습득된 행동의 유지, 자극일반화된 행동의 유지, 반응일반화된 행동의 유지)으로 설정하고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 모델을 본 연구의 결론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A Review of the Determinants of Counterfeiting and Piracy and the Proposition for Future Research

        이승희,유붕희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09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24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rough a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on product counterfeiting and piracy, to propose specific topics that future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Specifically, the study calls for developing a framework explaining the whole process of counterfeiting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estimating the revenue losses more accurately; surveying real buyers rather than students; examining a variety of manufacturer and consumer motivations in contextual factors; and studying the interactive complexity between the demand-side and supply-side driving factors. In conclusion, the study discusses policy and research implications.

      • KCI등재

        총조사 오차(Total Survey Error)의 패러다임으로 이해하는 표본조사

        이승희 통계청 2010 통계연구 Vol.15 No.1

        Sample surveys have been widely practiced as a data collect tool for understanding the society and its population. More importantly, as surveys provide vital data sources for government official statistics, their quality may directly influence government policies, guiding the lives of many peop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evaluate sample surveys systematically based on science. This paper provides a brief background and history of sample surveys and introduces the total survey error paradigm crucial for a scientific understanding of sample surveys. 사회인구에 대한 이해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표본조사가 널리 시행되고 있다. 특히 표본조사가 정부의 공식통계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므로, 표본조사의 품질이 일반국민의 생활을 결정짓는 정책 수립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표본조사의 품질을 과학을 바탕으로 하여 구조적으로 평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원고는 표본조사의 간략한 역사와 더불어 표본조사 품질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총조사 오차(total survey error)의 패러다임을 소개하겠다.

      • A NUMERICAL ANALYSIS FOR ADVECTION-DISPERSION IN HETEROGENEOUS SUBSURFACE FORMATIONS

        이승희,주현종 경기대학교 1995 論文集 Vol.37 No.-

        Monte Carlo 방법으로 형성된 불균일성 지하토양의 모형을 통하여 유해폐기물에 대한 차수층(Confining Layers)에서의 이류-분산(Advection-Dispersion)을 조사하였다. 차수층에 대한 지하토양은 순수한 사암(Sandstone)관 순수한 혈암(shale)으로 구성된 임의의 이항 구조로 가정하여 모델을 형성하였다. 차수층은 주로 혈암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불균일성 차수층에서의 혈암분률을 0.66. 0.7, 0.8, 0.88로 하여 수치모사를 하였다. 미국 EPA에 의해 심정분산 시스템에서 규정된 10,000년 동안 유해폐기물 소멸과 이동의 조사를 위해 형성된 차수층에서의 유해폐기물의 농도분포는 정상상태의 흐름과 이류-분산 식을 통한 유한요소모델에 의해 결과를 얻었다. 이류-분산(Advection-Dispersion)모델과 확산(Diffusion)모델과의 차이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증가되었다. 혈암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류(Advection)가 감소되기 때문에 혈암분율이 증가할수록 이 차이는 감소하였다. 불균일성 차수층에서의 수착(Sorption)은 혈암에서만 일어난다고 가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오염물질일 acrylonitrile을 지연시켰다. 그러므로 사암과 혈암으로 구성된 지하토양에서의 이류-분산은 높은 혈암분율에서 혈암의 지질, 물리학적 특성값에 의해 지배받는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평균 유효확산계수를 사용한 일차원 확산의 해는 수치모사의 평균농도결과와 아주 잘 일치하였다. 이류-분산에 대하여 평균 유효투수계와 평균 유효확산계수를 분리하여 평가한 결과는 이러한 특성값들의 복합효과를 고려하지 않았다(즉, 혈암에서는 낮은 투수계와 낮은 유효확산 계수를 나타낸다). 이류-분산에서의 실제 특성값은 직접적으로 농도결과로부터 최화적 방법에 의해 얻어졌다. 이러한 실제 특성값은 평균 특성값 보다 작고, 실제 특성값과 평균 특성값의 차이는 혈암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평균 유효계수들을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2차원의 불균일성 지하토양에서 얻은 오염물질의 농도 분포는 불균일성 지하토양에서 실제 유효계수를 사용한 농도분포보다 과대하게 평가되었다. The advection-dispersion of hazardous waste was investigated through a hypothetical heterogeneous subsurface formation for confining layers which was generated by using a Monte Carlo technique. The subsurface formation was modeled as a combination of binomial random structures composed of either pure sand or pure shale. Since there are usually high shale fractions in confining layers, shale fractions in the heterogeneous formation of 0.66, 0.7, 0.8 and 0.88 are used in numerical simulation. The requirement of 10,000 year in EPA proposed regulation demands models to project the fate and transport of the wastes over this time period. The concentration profile of each hypothetical confining layers is obtained by solving the steady-state subaurface flow and advection-dispersion equation via a finite element method. Comparison between an advection-dispersion model and a diffusion model showed differences that increased with time. This difference decreased as shale fraction increased because advec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shale fraction. Sorption in the heterogeneous confining layers retarded a model compound, acrylonitrile, despite the assumption that sorption only occurred in shale zones. Hence, it proved that advection-dispersion through sand-shale formation was dominated by the geophysical properties of shale regions in higher shale fractions. The one-dimensional analytical solution for diffusion only using the expected effective diffusivity quite well with the mean concentration of the results from numerical simulations. For advection-dispersion, the separated estimations of the expected effective permeability and the expected effective diffusivity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combined effect of in these paramerters (i.e. sllale zones exhibit both low hydraulic conductivity and low effective diffusivity). The estimated parameters for advection-dispersion problem were directly estimated from the concentration results using an optimization method. These estimated parameters were less then the expected parameter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cted and the estimated parameter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shale fraction. Hence, the contaminant concentration profile using independently the expected effective parameters that were obtained from the heterogeneous subsurface system overestimated the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s for two-dimensional heterogeneous systems.

      • KCI등재

        메칠글라이옥살이 섬유주세포의 산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승희,김신후,김재우 대한안과학회 2009 대한안과학회지 Vol.50 No.10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thylglyoxal (MG), intermediate metabolite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AGE), on the induction of oxidative stress in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s (HTMC). Methods: Primarily cultured HTMC were exposed to at concentrations of 0, 30, 100, and 300 μM of MG for 18 hours, with or without co-exposure to N-acetyl-cysteine. Cellular survival and apoptosis were assessed by MTT assay and flow cytometry using annexin-PI double staining.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superoxide,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assessed by Griess assay, cytochrome c assay, and 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assay, respectively. Results: MG did not affect cellular survival at concentrations under 100 μM, but induced apoptosis of HTMC at concentrations over 100 μM. MG decreased NO production, accompanied with increased superoxide production. In addition, MG increased ROS, which were abolished by N-acetylcysteine. Conclusions: MG induced oxidative stress by decreasing NO production, accompanied by increasing superoxide and ROS productions in HTMC. AGE could induce trabecular meshwork dysfunction. 목적: 최총당화산물의 중간대사물인 메칠글라이옥살(MG)이 섬유주세포의 생존과 산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배양한 섬유주세포에 MG을 10, 30, 100, 300 μM의 농도로 18시간 노출시켰으며 N-acetyl-cysteine (NAC)에도 노출시켰다. 세포생존은 MTT assay로, 세포고사는 Annexin-PI를 이용한 유세포분석을 하였다. 일산화질소 생성은 Griess assay, superoxide 생 성은 cytochrome C assay, 반응성산소종 생성은 DCFH-DA assay로 조사하였다. 결과: MG는 100 μM 이하의 농도에서는 섬유주세포의 생존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며 100 μM의 농도에서부터 세포고사를 유발하 였다. MG는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하였고 superoxide의 생성을 증가시켰다. 반응성산소종의 생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NAC에 의해 상쇄되었다. 결론: MG는 섬유주세포에서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superoxide의 생성을 증가시켰다. 최총당화산물은 섬유주세포에서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섬유주세포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A First Experience of Rh(D) Incompatible Living Related Liver Transplantation in Korea

        이승희,주종우,양광호,유제호,문기명,김형회 대한수혈학회 2012 大韓輸血學會誌 Vol.23 No.3

        To expand the indications for living liver allograft, an increasing number of clinical trials of ABO incompatible liver transplantation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Administration of immunosuppressive drugs has resulted in decreased rates of mortality and graft loss in patients undergoing in ABO-incompatible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Rh incompatibility in liver transplantation has not been reported as frequently as that of ABO-incompatible LDLT. Rh-antigens are said to be located only on red blood cells, and have not been demonstrated on leukocytes or tissue cells. For this reason, the incompatibility of Rh antigen between the donor and the recipient has received significantly less consideration in organ transplantations. Here, we report on a case of Rh incompatible living related liver transplantation from a group O, Rh-positive donor to a group O, Rh-negative recipient. The recipient did not develop Rh alloimmunization after administration of immunosupressive drugs and Rh immunoglobin (RhI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