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개흉술 후 발생하는 급성 호흡부전 증후군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용,박승일,제형곤,박창률,김동관,주석,김용희,손광현 대한흉부외과학회 200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5 No.9

        배경 : 개흉술 후 생기는 급성 호흡 부전 증후군은 아직까지 그 원인과 경과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개흉술 후 생기는 급성 호흡 부전 증후군이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원인 및 유병률, 경과, 치료 성적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흉강경 수술을 포함한 총 개흉술 4018례중 급성 호흡 부전 증후군이 발생한 3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 총 4018례 중 32례에서 급성 호흡 부전 증후군이 발생하여 전체 발생 빈도는 0.8%였다. 전폐 절제술이 245례 시행되었으며 이중 13례(5.3%)에서 급성 호흡 부전 증후군이 발생하였고, 폐엽 절제술이 710례 중에서 9례(1.3%), 식도 절제술이 226례 중에서 10례(4.4%) 발생하였다. 32명의 환자 중 31명(96.9%)이 악성 종양으로 수술한 환자였고, 1명은 아스페르길루스종으로 수술한 환자이다. 발병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21례(65.6%)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최초 발병일은 평균 수술 후 7.4±7.0일이었다. 최초 병변 발생 부위는 우하엽부분이 10례(31.2%), 좌하엽 부분이 9례(28.1%)였고 양하엽 부분이 12례(37.5%)로 31례(96.9%)가 하엽 부분에서 병변이 시작 되었다. 수술 후 4일 이전에 발생한 급성 호흡부전 증후군 환자군에서 그 이후에 발생한 환자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수분 과다 투여가 관찰되었다.(p<0.05). 총 32례 중 21례가 사망하여 사망률은 65.6%였으며 복와위와 질소가스 환기등 적극적인 치료를 시작한 1998년 7월 이전과 이후의 사망률은 각각 100%, 47.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사망률의 감소를 보였다.(p<0.05) 결론 : 개흉술 후 발생하는 급성 호흡 부전 증후군은 악성 질환으로 폐엽 절제술, 전폐 절제술, 식도 절제술과 더불어 광범위한 임파절 절제술이 동반되는 경우에 그 빈도가 높았다. 수술 직후 발생한 급성 호흡 부전 증후군의 경우 수술 중 수분의 과다 투여가 관찰되었으며 복와위, 질소 가스 환기 등 적극적인 치료로 사망률을 낮출 수 있었다. Clinical Analysis of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fter Thoracotomy

      • 텔리오퍼레이션 조작을 기반으로 하는 가변 로봇 힘 표현 방법

        이용(Yong-Joong Lee),성재경(Jae-Kyeong Sung),강진갑(Jin-Kab Kang) 한국기계가공학회 2009 한국기계가공학회 춘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6월

        In teleoperation, it is important to let operator know the simulation of remote place correctly. We improve operability of teleoperation with force feedback using haptic interface in this research. If there are a lot of tasks in the remote place, it is necessary to change force feedback method according to each task. in this paper, we propose variable force display method based on tasks in teleoperation.

      • KCI등재

        暫定的 特殊關係의 性格과 南北韓 平和條約 締結을 위한 法的 條件

        李庸中(Yong-Joong LEE) 대한국제법학회 2003 國際法學會論叢 Vol.4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기본합의서에서 명시하고 있는 남북한간 잠정적 특수관계의 현실을 법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휴전체제를 항구적 평화체제로 변환시키기 위한 발판인 남북평화조약 체결의 환경과 기술을 국제법적 측면에서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남북한 양측이 1991년에 체결한 기본합의서를 통하여 천명하고 있는 소위 잠정적 특수관계의 법적 함의에 대한 논의를 출발점으로 하고 있다. 남북기본합의서는 前文에서 쌍방 사이의 관계가 나라와 나라 사이의 관계가 아닌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잠정적으로 형성되는 특수관계라는 것을 선언적으로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잠정적 특수관계의 현실적인 함의는 남북한의 국내법과 정책에 따른 자의적인 해석으로 인하여 본래 의도했던 것에서 상당히 변질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잠정적 특수관계에 대한 명확한 법적 해석과 그를 통한 정체성 확립이 남북한 관계의 안정성 확보 및 발전에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잠정적 특수관계의 법적 함의를 파악하기 위해서 우선 그러한 관계 양태의 淵源을 탐구해나가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현재의 남북한 사이에 남아있는 중요한 핵심적인 쟁점들에 대하여 논의를 전개함과 아울러 전후세계에서 특수관계를 형성, 유지했던 국가들을 예시하며 그러한 특수관계를 보편화하였던 법적, 정책적 합의들을 비교,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쟁점들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현재의 한시적인 특수관계를 극복하고 한반도 내에서 항구적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전제 조건인 남북평화조약 체결의 국제법적 측면들을 살펴보고 있다. 이는 남북평화조약이 지난 반세기를 지속해온 휴전체제를 극복하고 한반도에서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의 첫 기착지이며 새로운 평화체제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한편 남북한은 1991년 기본합의서 제5조를 통하여 현 정전상태를 공고한 평화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합의하였다. 따라서 기본합의서 정신의 궁극적인 실현은 남북평화조약을 체결하여 한반도에서의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평화조약 체결을 위한 국내외적 환경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던 기존의 연구와는 관점을 달리하여, 평화조약의 개념과 역사적 발전, 그리고 남북한 평화조약체결을 위한 현실적인 절차를 논하고 있다. 평화조약이 정치성을 짙게 함축하는 조약이지만 합의가 전제되는 시점에서는 법기술적 측면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서양의 평화조약 체결의 관습을 비교법적 시각에서 분석하고 있으며, 특히 동북아시아에 있어서 평화체제 유지 제도의 기원과 발전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남북한이 평화조약을 체결하는 경우, 관습국제법 및 Vienna 조약법 협약의 명문 규정을 통하여 어떠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가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평화조약 체결의 일반적 절차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남북평화조약 체결에 있어서 당사자격, 조약내용, 승인, 비준, 효력 발생(휴전협정의 대치) 등 현실적인 문제들을 논의하고 있다. 근대국제법의 보편적 개념으로 발전해온 평화조약의 체결을 통하여 한반도에서의 항구적인 평화체제 구축에 본 논문이 작은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A primary purpose of writing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rrent special interim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develop the ways of adopting inter-Korean peace treaty in the future.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a new wave of reconciliation came to the two Koreas. Follow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North and South Korea finally concluded the Agreement on Reconciliation, Non-aggression and Exchanges and Cooperation (The Basic Agreement) on 13 December 1991, which contained progressive legal measures for the shaping of new inter-Korean relations in the post-Cold War era. Reflecting the spirit of inter- Korea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is historic Basic Agreement declares, not only in Preface, the special interim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under the armistice system, but also in Article 5, to transform the present state of armistice into a solid state of peace. These two provisions represent a great step forward towards establishing a durable de jur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ose stipula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legal problem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de jur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the making of a formal inter-Korean peace treaty under international law. In Section Ⅱ, first, this paper carefully investigates the meaning of the special interim relationship existing between the two Koreas in both theory and practice. This section raises and answers a few critical questions on the origin and evolu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under the Armistice Agreement. Section Ⅲ meanwhile deals with the legal procedure for concluding inter-Korean peace treaty. Such a procedure may be generally found in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of 1969 (The Vienna Convention). Regarding the capacity of the parties concerned to the peace treaty -making, Article 6 of the Vienna Convention endows all states with the power to make treaties. This means that only a state can be a subject of a treaty because, under the orthodox positivist doctrine, states alone are recognized as legal persons in public international law. Under this doctrine, North and South Korea will naturally be direct parties concerned. Once committed to the making of a peace treaty, the governments of the two sides should talk about drafting the treaty text. The treaty text would include, by and large, such elements as preamble, national entity, political and territorial clauses, military detente, and economic and financial clauses, etc. The peace treaty would finally enter into force in such a manner and upon such a date as it may provide, or as soon as the consent to be bound by the treaty is expressed by the parties concerned. The completion of the peace treaty, however, requires North and South Korea to finalize another vital procedure: the replacement of the Armistice Agreement with the peace treaty. Because the Armistice Agreement does not meet the requirements for treaty termination as laid down in Article 54 of the Vienna Convention of 1969, the best way to terminate the Armistice Agreement seems for the two Koreas to explicitly agree on it based on their national consensus. The final step would then be the entry into force of the new peace treaty. The process would be completed by the ratification of the peace treaty. The peace treaty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a symbol of the new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시각 센서에 의한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툴 좌표계 보정에 관한 연구

        이용,김학범,이양범 한국통신학회 199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19 No.8

        본 연구에서는 로보트 시스템에게 인식기능을 부여하여 작업대상물의 위치와 방향이 임의적으로 변경되어도 사용자가 원하는 핸들링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동화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작업대상물의 변화된 위치와 방향은 시각센서로서 검출하고, 화상처리과정에서 명도정보의 가변과 같은 주변여건의 변화때문에 발생하는 에지 추적 오차는 적절한 필터링 방법을 적용하여 최소화시켰다. 시각센서의 운용 프로그램은 인터럽트 기법으로 주변장치와 상호제어가 가능토록 구성하고, 시각센서에서 검출한 데이타는 아스키 포멧으로 로보트시스템에 전달되어 6자유도 매니플레이터의 툴 좌표계는 검출데이타와 비례하게 자동보성되어 작업대상물의 위치와 방향변화를 추종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 운용 알고리즘을 생산현장에 직접 적용한 결과 라인 밸런스의 향상과 산업재해방지를 위한 효과적이고 안정된 생산설비로써 운용될 수 있었다. Recently many robot manipulators are used for various areas of industriesand factories. It has been frequently observed that the robot manipulator fails to complete the function when the object changes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unexpected impacts and vibrations the center and direction of the object would be shifted in many real application. In this study, a visual sensing algorithm for the robot manipulator is proposed. The algorithm consists of two parts : Detection of the object migration and adjustments of the orobot manipulators Tool Coordinate System. The image filtering technique with visual sensor is applied for the first part of the algorithm. The change of illumination intensity indicates the object migration. Once the object migration is detected, the second part of the algorithm calculat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bject. Then it adjusts the robot manipulators Tool Coordinate System. The robot manipulator and the Visual sensor communicate each other using interrupt technique via proposed algorithm.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reduces the malfunction of a robot manipulator significantly. Thus it can provide better line balance-up of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efficiently.

      • KCI등재

        법인의 국적과 외교적 보호

        李庸中(Yong-Joong Lee) 대한국제법학회 2007 國際法學會論叢 Vol.52 No.1

        본 논문은 외교적 보호에 있어서 가장 커다란 쟁점 사항인 법인의 국적 판단과 관련된 주요 쟁점과 최근의 경향을 UN국제법위원회의 외교적 보호협약 초안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쓰여졌다. 외교적 보호란 외국에 체류하고 있는 자국민이 재류국의 국제불법행위(internationally wrongful act)에 의하여 부당한 대우를 받거나 불법하게 권리침해를 받은 경우, 국가가 그러한 국제불법행위에 기인하는 국가책임을 근거로 자국민에게 적절한 구제를 행하도록 외교절차를 통하여 재류국에게 요구할 수 있는 국제법상 권리를 말한다. 외교적 보호의 주체는 국가이며 대상은 해외에 체류하는 자국민으로서 여기에는 자연인과 법인이 모두 포함된다. 이러한 외교적 보호권 발동의 첫 번째 근거는 국적이다. 국적이란 개인과 국가를 연결하는 법적 유대이기 때문이다. 법인도 예외가 아니다. 그런데 법인의 국적을 결정하는 국제법상 일반적인 원칙은 없고 나라마다 그 기준을 달리하고 있다. 더욱이 오늘날 다국적 기업과 같이 국적을 명확히 하기 어려운 법인이 생겨나면서 법인의 국적성 판단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ILC 외교적 보호협약 초안 제9조는 외교적 보호가 법인에 까지 확대된 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법인에 대한 외교적 보호를 위해서 국적국이 자연인의 외교적 보호에서 요청되는 것과 유사한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다. 외교적 보호를 위하여 법인이 특정 국가의 국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법인의 설립과 설립이 하가된 국가에 등록된 사무소가 존재해야 한다는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특정국가의 법률에 의거한 법인이 설립되는 경우 그 법인이 설립된 국가와의 구체적인 연관이 필요하다. 법인의 외교적 보호에 있어서 또 하나의 중요한 조건은 국적계속의 원칙이다. 국적계속의 원칙이란, 외교적 보호를 받기 위한 조건으로서 피해당사자가 피해 발생 당시부터 당해 국가의 국적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청구 제출 당시 동일 국적을 소유하고 있어야한다는 원칙이다. ILC 외교적 보호협약 초안 제10조 제1항은 법인에 대하여 외교적 보호를 행사하기 위해서는 당해 법인이 피해 발생 시점부터 청구 제기 시점까지 청구국의 국적을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법인의 외교적 보호에 대해서도 국적계속의 원칙이 적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기업인 법인의 외교적 보호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는 주주의 국적국인 아닌 법인의 국적국이 외교적 보호의 행사 주체라는 점이다. 이 원리는 Barcelona 전력회사 사건의 판결에서 확인 되었다. 법인의 국적 판단의 파생 문제로서 기업 이외의 법인의 국적 문제도 있다. 기업 이외의 해외활동 법인들의 종류와 목표는 너무나 다양해서 그러한 법인들의 외교적 보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포괄 규정을 제정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이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기업에 대한 외교적 보호 규정을 다른 법인에 확대 적용하는 것이다. ILC 외교적 보호 초안 제13조는 법인에 관련된 초안 제9조 및 제10조의 규정이 적절한 수준까지 다른 법인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결국 각 법인의 성격을 고려하여 필요한 변화를 가하면 된다. 이 경우 초안 제9조와 제10조에서 각각 규정하고 있는 기업의 국적국 및 국적계속에 대한 원칙을 ‘적절하게(as appropriate)’ 기업 이외의 법인의 외교적 보호에 적용하면 될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questions on the nationality of legal persons in diplomatic protection. In accordance with prevalent state practice and opinion, diplomatic protection is understood as the protection given by a subject of international law to individuals, natural or legal persons, against a violation of international law by another subject of international law. Article 1 of ILC Draft Articles on Diplomatic Protection reads: "Diplomatic protection consists of resort to diplomatic action or other means of peaceful settlement by a State adopting in its own right the cause of its national in respect of an injury to that national arising from an internationally wrongful act of another State Diplomatic protection is practised by one State against another. The individual receiving diplomatic protection is a private individual. Diplomatic protection of legal persons first dates from the final decades of the 19th century. It is ow an established principle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Up until the Nottebohm decision there was no evidence of a genuine-link requirement as a general prerequisite for diplomatic protection of legal persons. In the Barcelona Traction case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rejected an analogy to the special issues and the decision in the Nottebohm case. In order to get diplomatic protection, legal persons should meet three conditions. First, a legal person gets injuries from an international wrongful act of a foreign country. Second, the legal person should have a nationality of the protecting country. Third, the legal person should exhaust the local remedies. Chapter Ⅰ of this paper deals with the definition and current trend of diplomatic protection. This chapter scrutinizes the relevance of diplomatic protection and state responsibility. Chapter Ⅱ explains the significance of diplomatic protection. Chapter analyzes the nationality of legal persons for diplomatic protection. Important prerequisites for granting diplomatic protection to legal persons. Chapter Ⅳ examines the continuity of nationality for diplomatic protection. Chapter Ⅴ investigates the conditions of protecting shareholders of a legal pers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