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을 이용한 주간 신호등탐지 및 인식 시스템

        황지은,안다솔,이승화,박성호,박천수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16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15 No.2

        In this paper, we propose a traffic light detection and recognition (TLDR) algorithm in the daytime. The proposed algorithm utilizes the color and shape information for the TLDR. At first, a traffic light is detected and recognized based on its shape information. Then, the color range of the detected traffic light is investigated in HSV color space. The input data of the proposed TLDR algorithm is the color image captured using the black box camera during driving. Our simulation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achieve a high detection and recognition performance for the images including traffic lights.

      • KCI등재

        Mapp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Checkup Questionnaire to Standard Terminologies

        황지은,박현애,신수용 대한의료정보학회 2021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27 No.4

        Objectives: An increasing emphasis has been placed on the integration of clinical data and patient-generated health data(PGHD), which are generated outside of hospitals.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sing standard terminologies torepresent PGHD for data integration. Methods: We chose the 2020 general health checkup questionnaire of the KoreanHealth Screening Program as a resource. We divided every component of the questionnaire into entities and values, whichwere mapped to standard terminologies—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 Clinical Terms (SNOMED CT) version2020-07-31 and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LOINC) version 2.68. Results: Eighty-nine items werederived from the 17 questions of the 2020 health examination questionnaire, of which 76 (85.4%) were mapped to standardterms. Fifty-two items were mapped to SNOMED CT and 24 items were mapped to LOINC. Among the items mapped toSNOMED CT, 35 were mapped to pre-coordinated expressions and 17 to post-coordinated expressions. Forty items had oneto-one relationships, and 17 items had one-to-many relationships. Conclusions: We achieved a high mapping rate (85.4%) byusing both SNOMED CT and LOINC. However, we noticed some issues while mapping the Korean general health checkupquestionnaire (i.e., lack of explanations, vague questions, and overly narrow concepts). In particular, items combining two ormore concepts into a single item were not appropriate for mapping using standard terminologies. Although it is not the casethat all items need to be expressed in standard terminology, essential items should be presented in a way suitable for mappingto standard terminology by revising the questionnaire in the future.

      • KCI등재

        태양광 어레이 간 좌우 이격거리에 따른 순압력분포 특성

        황지은,하영철,신동현 한국풍공학회 2022 한국풍공학회지 Vol.26 No.3

        국내에서는 ‘태양광 발전 사업‘을 지원하여 태양광 발전소를 늘려나가고 있다. 태양광 발전기는 옥외에 있어 바람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있기 때문에 태풍과 같은 강풍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최근 태풍의 강도와 빈도가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태양광 발전기는 유지 관리 및 보수 작업의 용이성 때문에 동서방향으로 배치한 태양광 어레이들 좌우 사이에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서방향 이격거리를 변수로 특정하여 태양광 어레이에 작용하는 풍압분포와 피크순압력계수를 산출하였다. 이를 위해 이격거리를 0.3m, 0.5m, 1.0m로 선정하여 풍압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든 변수에서 어레이의 양측 상부 모서리에서는 상방향, 하부 모서리에서는 하방향의 피크순압력계수가 지배적이었다. 어레이 내단부에서는 상방향과 하방향의 피크순압력계수가 이격거리 0.3m일 때 가장 크게 나왔으나, 외단부보다 전체적으로는 값이 작았다. 어레이 좌우 이격거리에 대한 내단부에서의 수속효과보다 외단부에서 생긴 와로 인한 피크순압력계수가 크게 나타났기 때문에 외단부에 대한 안전성을 더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 개인정보 영향평가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 EU 개인정보보호규정과 개인정보보호법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황지은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6 Law & technology Vol.12 No.4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개인정보를 적극적으 로 활용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도 커지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해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정보주체의 동의에 의존하고 있는 현행 개인정보 보호 법제에 대한 비판의 목 소리가 많다. EU의 개인정보보호규정(GDPR)은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강화하면서도, 개인정보 보호를 개인의 책임으로만 남겨두지 않고 여러 구 조적⋅기술적 조치를 도입했다. 그중 개인정보 영 향평가는 사생활 침해 위험을 사전에 완화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제도이다. GDPR은 개인정보 영향평가 및 사전 협의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에도 시사점을 준다. 우선 민간분야에 의무적인 영향평가를 도입해 야 하는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감독 기관이 영향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적극적인 자문 역할을 하는 점도 참고할 만하다. 평가 대상을 결 정할 때 위험성을 초래하는 상황을 고려하는 점, 영향평가 의무 위반에 대해 강력히 제재하는 점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현재처럼 평가주체를 특정 기관으로 지정해야 할지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 하다. 앞으로 평가방법론 등 개인정보 영향평가에 대한 많은 연구를 통해, 개인정보를 선제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As new technologies like Internet of Things or Big Data raise privacy concerns, data protection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The current data protection legislation, which only depends on the data subject’s consent, generates much criticism. EU 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introduces several organizational and technological tools, since the data subject is unable to bear all responsibilities of data protection. Among these tools, the Data Protection Impact Assessment (DPIA) is an important measure that can mitigate privacy risks at an early stage. Since GDPR requires DPIA and prior consultation, there are implications regarding Kore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needs of mandatory DPIA for private sectors. The supervisory authorities can play a role by providing active consultations to the controllers, which could serve as a good example for Korean law.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ontext of privacy risk in DPIA. Imposing administrative fines for violations of rules of DPIA is also worthy of consideration. Also, we have to review the necessity of designating particular agencies that can assess the controller’s level of data protection. Further studies regarding DPIA, including a methodology of DPIA, are needed to foster an environment in which individual privacy can be preemptively protected.

      • KCI등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담뱃갑 경고그림 주제에 따른 인식과 정서적 반응 탐색

        황지은,양유선,오유미,이선영,최유진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17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18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emotional responses and perceptions about pictorial cigarette health warnings in Korea.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adult men, adult women, and male adolescents, asking the participants about their emotional reactions and thoughts regarding pictorial cigarette health warning images.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participants frequently mention negative emotions such as disgust and guilt upon exposure to cigarette health warning images. Participants also cited perceived relevance between themselves and warning images, and perceived relevance between smoking and warning images in order to select effective images for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In particular, as participants experienced more disgust and relevance to themselves from warnings, they were more likely to consider smoking cessation and prevention. In addition, guilt was frequently mentioned among female and adolescent participants after exposed to the image of fetus secondhand smoke. Conclusion: We suggest that pictorial cigarette health warning theme selection should be based on 1) images with potential to elicit negative emotions, such as those depicting externally noticeable diseases and secondhand smoke, and 2) realistic problems directly related to smo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