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얀마 NGO 활동가들의 젠더교육과 실천 - 까친주 활동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황정아 ( Hwang Jeong Ah ),신지원 ( Shin Julia Jiwon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1 여성학연구 Vol.31 No.1

        이 연구는 미얀마 까친주 지역 NGO 활동가들의 젠더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지방, 소수민족 그리고 IDP 캠프라는 분쟁의 공간에서 실천되고 있는 젠더교육이 대도시인 양곤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고 어떠한 차이를 함의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지역 내 젠더교육의 실천과정에서 지역활동가들이 겪는 문제를 조명한다. 이 연구는 또한 국제원조의 유입과 미얀마의 여성운동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여성NGO의 젠더교육 확산과정을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맥락에서 분석한다. 135개의 소수민족이 연방을 이루고 있는 미얀마는 문화와 관습, 언어의 차이, 민족 간 분쟁으로 인해 여성운동 내부에서 차이의 문제는 민감하고 중요한 사안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살펴본 까친주에서 이루어지는 젠더교육은 지역, 계층, 민족, 분쟁, IDP와 같은 차이의 변수들이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국제사회의 여성개발담론의 틀 안에서 벗어나지 않는 보편적 권리담론에 치우쳐 탈정치화되어있다. 이는 국제사회의 성평등 원조사업이 양곤의 단체들의 주도하에 지역으로 전달되는 수직적 흐름과 연관되어 있다. 미얀마의 젠더교육은 서구의 발전담론의 틀과 민족국가의 제도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활동가들은 복지서비스의 전달자로서 역할이 더 두드러져 보인다. 따라서 여성 억압의 교차적 요인들을 고려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젠더교육이 요구된다.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NGO activists in Kachin State,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expanding gender education of women's NGOs in Myanmar. It critically examines the ways in which gender educations are conducted in the various spaces of states, districts, and IDP camps, and connected t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a metropolitan city, Yangon.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gender education in Myanmar is depoliticized based on the universal rights discourse that does not sufficiently deal with the variables of differences among women, such as class, ethnicity, conflict situations and IDPs. This is related to the vertical flow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aid projects to the region, led by organizations in Yangon. Myanmar's gender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within the framework of the Western development discourse and the system of the nation-state, and the local NGO’s role as a mere provider of welfare services appears to be more prominent. Gender education is, therefore, required to consider the intersectional factors of women's oppression, including localities, poverty, ethnicities, and socio-economic positions.

      • 토양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밭토양 유효수분량 평가

        선아(Seon-ah Hwang),옥정훈(Jung-hun Ok),오부영(Bu-yeong Oh),손정우(Jeong-woo Son),허승오(Seoung-oh Hur)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총유효수분량은 작물이 이용할 수 있는 토양수분으로 토성, 유기물함량, 용적밀도, 토양깊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토양유효수분율은 총유효수분량 중 현재 유효수분량의 비율로 표현하며, 총유효수분량은 포장용수량에서 영구위조점을 제외한 값으로 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특성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밭토양 유효수분량을 산정하여 비교・평가하였다. 지역별 토양특성 자료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해 농림축산식품부의 팜 맵(2017)에 정밀토양도와 토양특성(토양유형, 심토 토성, 경사 등) 자료가 중첩된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그리고 지역별 심토 토성에 대한 자료는 면적가중치를 고려하였으며, 토성별 포장용수량과 영구위조점은 토양수분특성곡선 자료(엄 등, 1995)를, 용적밀도는 2017년도 농업환경변동조사 사업보고서 자료(농과원, 2018)를 이용하였다. 대상지역은 화산섬인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164 개 시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효토심은 밭작물이 물을 주로 흡수하는 깊이인 60cm를 기준으로 하였다. 밭토양 면적은 밭과 과수원으로 이용하는 면적을 합하여 활용하였다. 시군별 토양특성에 따른 밭면적 분포비율 분석결과, 식양질이 50.1%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사양질(34.5%), 식질(8.7%), 미사식양질(5.9%), 사질(2.8%), 미사사양질(1.2%) 순이었다. 전국 밭토양 유효수분량은 76.5∼93.2mm 범위였으며, 평균 85.4mm 였다. 도별로 살펴보면 경기도는 93.2~82.5mm(평균 88.2mm), 강원도는 87.3~77.4mm(평균 83.1mm), 충청북도는 88.8~79.1mm(평균 86.4mm), 충청남도는 90.4~82.3mm(평균 86.3mm). 전라북도는 87.5~80.5mm(평균 85.0mm), 전라남도는 85.5~78.1mm(평균 82.4mm), 경상북도는 91.1~81.9mm(평균 85.4mm), 경상남도는 88.1~76.5mm(평균 84.7mm) 범위로 나타났다. 경기도가 가장 높았으며, 전라남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

        약물치료의 예후가 불량한 나팔관임신에서의 초음파 유도하 임신낭내 methotrexate 주입법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 2예

        선정 ( Sun Jung Hwang ),이수정 ( Soo Jeong Lee ),김슬아 ( Sul Ah Kim ),최정인 ( Jeong In Choi ),신종철 ( Jong Chul Shin ),최세경 ( Sae Kyung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11

        Ectopic pregnancy occurs in about 2% of pregnant women, and may seriously compromise women`s health. Extra uterine implantation can occur anywhere along the reproductive tract with the most common implantation site in the fallopian tube. At early stages of presentation where the risk of rupture of a tubal pregnancy is minimal, medical therapy using methotrexate (MTX) given systemically or injected directly into the ectopic pregnancy is an option occasionally used with good results. In addition, ultrasound technology, particularly the introduction of high-resolution transvaginal probes, has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revolutionary change towards conservative management strategies in ectopic pregnancy care. Tubal pregnancy can be successfully managed without surgical intervention through local injection of MTX. This treatment not only ablates the ectopic pregnancy but also preserves the salpinx without systemic side effect. In this report, we present two cases of tubal pregnancy which treated successfully with ultrasound-guided intraamnionic MTX injection.

      • KCI등재

        단일융모막이양막성 쌍태임신에서 산전태아간 양막의 자연파수

        오정은 ( Jeong Eun Oh ),배진영 ( Jin Young Bae ),인아 ( In Ah Hwang ),김미주 ( Mi Ju Kim ),성원준 ( Won Joon Se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6

        Umbilical cord entanglemen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monoamniotic twins. However, it can occur in diamnionic twins due to rupture of the intertwin-dividing membrane, and is a cause for concern. A 31-year-old nullipara visited our hospital at 28+3 weeks gestation. A monochorionic diamniotic twin gestation was diagnosed ultrasonographically by visualizing a thin intertwin-dividing membrane and a single placenta. A cesarean section was performed at 35+3 weeks gestation and concordant twin fetuses with entangled umbilical cords were delivered. Gross examination revealed a single placenta with a ruptured dividing membrane. Our case, along with the other cases, confi rms that antepartum rupture of an intertwin-dividing membrane is a clinical condition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all cases of monochorionic diamniotic twin. A careful inspection of the dividing membrane and each cord insertion site should be performed. Once the dividing membrane cannot be easily visualized, the possibility of antepartum rupture should be suspected.

      • 일반농경지 과수원의 토양물리성 변동

        손정우(Jeong-woo Son),옥정훈(Jung-hun Ok),선아(Seon-ah Hwang),허승오(Seoung-oh Hur),이협성(Hyub-sung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지속가능한 농업을 목표로 일반농경지 토양의 건전성 유지 및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최근 잦은 경운과 대형농기계 사용의 증가로 작물 근권에 대한 토양물리성이 악화되고 있어 토양물리성에 대한 현황 및 변동 파악이 중요하다. 현재 2010년부터 4년 주기로 전국 과수원 토양에 대한 정점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2010년 258개 지점에서 2018년 320개 지점으로 증가하였다. 조사항목은 작토심, 용적밀도, 삼상, 토성, 산중식 경도, 유기물 함량(국립농업과학원, 2017)이다. 전국 일반농경지 과수원의 토양물리성 주기간 변동을 살펴보면, 작토심은 16.7 cm(2010년) → 18.9(2014) → 22.6(2018)으로 지속적으로 깊어지고 있어 근권에서의 토양물리성이 개선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지역별로는 강원(28.3 cm)과 전북(27.8 cm)이 깊었으며, 충북(16.6 cm)과 경기(16.7 cm)가 얕은 편이었다(2018년 기준). 심토의 산중식 경도는 19.8 mm(2010년) → 19.3(2014) → 18.8(2018)으로 작아지고 있으며, 심토의 유기물 함량도 16.0 g kg<SUP>-1</SUP>(2010년) → 15.3(2014) → 14.7(2018)으로 낮아지고 있다. 2018년 기준으로 토성은 사양토 및 양토가 표토에서 60%, 심토에서 65%를 차지하였으며, 사과 및 배 과원이 조사지점의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전국 일반농경지 과수원의 토양물리성 변동평가는 지역과 재배 과원에 따른 친환경농업 기반 구축 및 토양 개선 등 과수원 토양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환자안전전담자의 환자 및 보호자 대상 환자 안전 교육 경험 분석

        김윤숙,김문숙,지인,김혜란,김현아,김효선,천자혜,곽미정,Kim, Yoon-Sook,Kim, Moon-Sook,Hwang, Jee-In,Kim, Hye-Ran,Kim, Hyun-Ah,Kim, Hyuo-Sun,Chun, Ja-Hae,Kwak, Mi-Jeong 한국의료질향상학회 2019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2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st appropriate and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s fo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through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officer. Methods: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nalysis that involves us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to understand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of the patient safety officer. Results: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of the patient safety officer is divided into four topics: (1) patient safety education content (2) patient safety education method (3) patient safety education status (4) activation and improvement of patient safety education. Additionally, the study incorporated twelve subtopics: (a) falls (b) speak up (c) patient safety campaign (d) patient safety rounding and a one on one training (e) education through medical staff (f) education using broadcast, video, post, among others (g) a lot of education in patient (h) patients not interested in patient safety education (i) patient safety education is less effective (j) human and medical expenses support (k) provision of standardized educational materials (l) patient safety culture for patient particip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 that education for patients and the caregivers should be inclusive and protective of stakeholders from the risks involved in patient safety events. The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officer is necessary for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both patients and the caregivers since it is the source of basic dat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atient safety education.

      • 경북지역 토양 물리적 특성과 토양유기탄소와의 관계

        정혜정(Hye-Jeong Jeong),이중환(Joong-Hwan,Lee),남효훈(Hyo-Hoon Nam),김종수(Jong-Su, Kim),선아(Soen-Ah Hwa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농경지 농업환경변동조사는 농업환경자원을 보전하고 친환경 농산물의 안전생산을 위하여 범국가적 차원으로 농경지의 토양 특성을 조사하는 사업으로 농경지 유형을 논, 밭, 과수, 시설재배지 4가지로 나누어 5년 주기로 실시되고 있다. 특히 토양 물리성은 토양 내 공기순환 및 양·수분 이동과 흡수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작물 수량 및 품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물리성 변화조사는 중요하다. 또한 최근 기후변화 대응과 맞물려 탄소중립을 위하여 토양의 탄소저장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탄소고정능이 높은 유기질을 토양에 투입하여 토양 물리성을 개선하고 탄소 고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환경변동조사를 통해 조사된 경상북도 지점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중 2017년, 2021년에 변경되지 않은 지점의 토양 물리성 조사데이터를 바탕으로 물리적 특성과 토양 탄소함량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비교해보고자 한다. 조사방법은 농업과학원의 토양 물리성 조사방법 및 분석법에 준하여 측정 및 분석하였고, 단위면적당 토양탄소량은 유기물을 탄소환산계수인 1.724로 나누고 지점별 용적밀도를 곱하여 계산하였다(Park et al, 2017). 그 결과 2021년 조사된 밭토양의 용적밀도는 2017년 대비 표토는 0.08g m<SUP>-3</SUP>증가하였고, 심토는 0.08g m<SUP>-3</SUP> 감소하였으며 공극률은 2017년 대비 표토는 3% 감소하였고, 심토는 3% 증가하였다. 입자분포에서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2021년의 유기물 함량은 2017년 대비 표토는 2.8g kg<SUP>-1</SUP> 감소하였고, 심토는 7.8g kg<SUP>-1</SUP> 증가하였다. 2017년과 동일 지점에 동일 작물을 재배하는 지점 중 유기물 함량이 감소한 지점은 토양유기탄소량이 16%∼45% 감소함과 동시에 점토함량도 6%∼45% 감소하였다. 유기물이 증가한 지점의 토양유기탄소량은 3%∼27%증가한 반면, 점토함량은 모두 감소하였다. 토양 중 토양유기물함량과 점토의 상관관계를 보았을 때 상관계수 0.1774로 정비례하고 있어 토양탄소 저장에 점토함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총 토양유기탄소는 2017년 대비 표토는 0.5tC ha<SUP>-1</SUP> 감소하였으나, 심토는 5.8tC ha<SUP>-1</SUP> 증가하여 토양 중 유기물이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2021년 밭토양의 물리적 특성에서 표토는 용적밀도 증가 및 공극률 감소로 다짐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심토는 용적밀도 감소, 공극률 증가, 유기물 함량 증가를 통해 토양유기탄소의 함량도 높아져 탄소저장장소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밭토양 표토의 토양 물리성 개선 및 토양탄소저장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토양검정에 기초한 적정 유기물을 공급으로 토양 이화학성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토양탄소저장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시비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Soil Labile Organic Carbon Fractions in Response to Different Fertilization under Organic Maize Farming System

        Hyun-Young Hwang(현영),Nan-Hee An(안난희),Sang-Min Lee(이상민),Cho-Rong Lee(이초롱),Jeong-Ah Jeong(정정아)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Organic farming has been known to improve soil quality by enhancing soil organic carbon (SOC) contents. The functions of SOC is not only to mitigate climate change but also support nutrient cycling. Soil C pools that promote microbial activity and nutrient cycle are mainly the labile pools, which has short turnover times of a few days to months. These labile organic carbon is considered as early sensitive indicators of soil quality and productivity.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ffect of different fertilization practices on labile C fractions namely water extractable C (WEC), hot-water extractable C (HWEC), microbial biomass C (MBC), particulate organic C (POC), light fraction organic C (LFOC), and permanganate oxidizable C (KMnO₄-C) in maize field station. The experiment consisted of four different fertilization; no fertilization (CK), mineral fertilizer (NPK), hairy vetch (HV) and manure compost (MC). Organic fertilizer treatments increased SOC content by 37-40% and 18-30% over CK and NPK plot, respectively. The MC treatment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labile C but at the same time the highest proportion of non-labile C among treament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OC and the labile SOC fractions may indicate that the SOC is a major determinant of the labile C fractions. In particular,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SOC and HWEC, POC and KMnO₄-C, which means these three fractions were more sensitive than other C fr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