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지향적 교육대학 교육과정 시안 개발

        황윤한,권덕원,박상철,유광찬,이범웅,이원희,이환기,정규영,조기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 교육과정과 관련해서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 즉 ?교원자격검정령?의 개정으로 인한 무시험검정 요건 충족의 필요성, 정부의 영어 교육강화 방안, 정부 기관 및 지역사회의 요구, 중초교사의 초등현장 전입, 초등교육 현장의 교과전담교사 요구, 기타 현행 교육과정운영의 문제점 보완 등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대학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 초등 교육 현장의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교과 전담교사 확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교육대학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각종 관련 자료 분석하였으며, 교육대학교육과정개정위원회의 전문가 협의회와 토론을 통하여 교육대학을 둘러싼 각종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자료분석 결과와 요구 수용 방안들을 토대로 전국 모든 교육대학들이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정 시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안은 교육대학 교육과정을 교실담임교사형과 교과전담교사형으로 이원화하여 교과전담교사 확보하는 복수전공제 방안이다. 이 안은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중등교사의 초등학교 전입을 견제할 수 있으며, 기능 학습을 요하는 교과의 전담교사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CNN을 이용한 뇌 MRI 영상 분할에 관한 성능 비교 분석

        챠이트라 다야난다,이범식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0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6 No.3

        뇌 지기공명영상(MRI)의 분할은 원치 않는 부분을 제거하고 원하는 객체를 찾기 위해 수행된다. 알츠하이머, 다발 성 경화증, 간질 등과 같은 많은 신경 장애는 뇌 영상 조직의 분할 기법을 이용하여 진단할 수 있다. 특히, MRI으로 부터 회백질(GM), 백질(WM), 뇌척수액(CSF)과 같은 심부 뇌 구조의 자동 분할은 뇌 신경 장애의 진단 확률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뇌 MRI 영상 분할의 연구는 계산 복잡도를 감소시키면서 분할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최근 몇 년 동안 CNN은 영상 분할 및 분류에서 큰 정확도 향상의 성능을 보여주었 고, 의료 영상 분석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뇌 MR 영상 분할를 위해 Segnet, U-net, U-Segnet 및 M-net과 같이 널리 사용되는 4 가지 CNN 모델에 대한 비교 실험 및 성능 분석을 실행하였다. 성능 은 Dice 계수(DI) 및 Jaccard 지수(JI)를 기준으로 측정되었고, 실험 결과 주요 CNN 모델 중 M-net은 Dice 계 수 93 % 및 JI 86 %로 가장 정확도가 높은 분할 성능을 보여주었다. The segmentation of brain MR images is performed to eliminate unwanted details and to locate relevant objects from the processed images. Many neuro-disorders such as Alzheimer's, multiple sclerosis, epilepsy, etc. can be diagnosed with the aid of brain tissue segmentation. In particular, automated segmentation of deep brain structures such as gray matter(GM), white matter(WM), cerebrospinal fluid(CSF) from magnetic resonance images play a vital role in increasing the rate for the diagnosis of brain-neural disorders. Most of the research on semantic segmentation is focused on improving the accuracy with computationally efficient solutions. In recent years, convolutional networks have shown breakthrough performance in image segmentation and classification. Convolution Neural Networks(CNN), with their ability to self-learn features from the given data, are being applied extensively for medical images analysis.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mparative study on four popularly used CNN models such as Segnet, U-net, U-Segnet, and M-net for MRI brain tissue segmentation and summarize their observed experimental analysis. The performances are measured based on the Dice coefficient and Jaccard index.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M-net achieves better segmentation accuracy with Dice co-efficient 93% and JI 86%.

      • KCI등재

        교육감추천입학전형제도의 성과와 한계 분석 및 대안 탐색: 광주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황윤한,박남기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dmission System based on the Recommendation of the Chief Superintendent of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SRCSPOE) in terms of its attainments,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Design/Methods: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utilizing a literature review as its methodology. Literature produced by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NUE), Ministry of Education (MO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KCUE) pertinent to ASRCSPO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analytic framework of introduction, implementation, and the results of the ASRCSPOE. Findings/Results: After adopting the teacher recruitment test, remote and isolated and rural (RIR) elementary schools have been having difficulties recruiting and retaining teachers. The ASRCSPOE was first introduced in 1997 and implemented from 2002 to solve these problems. The ASRCUPOE has brought some positive attainments such as stable teacher supply for RIR elementary schools; normalizing high school education in RIR areas; relieving the imbalanc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regional, social, and economical isolation; and proving the effects on th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rogram. However, KCUE decided not to allow GNUE to implement ASRCUPOE without considering the real purpose which was also stated on 「Educational Officials Act」Article 32-2(1). This study suggested the reinstatement of ASRCSPOE or the expansion of the Admission by the Recommendation of the Principal (ARP). Furthermore, this study recommended mentoring between ASRCSPOE students and RIR teachers, forming a teacher community culture for RIR schools, and implementing curriculum for RIR teachers separately to improve ASRCSPOE or ARP. Value: The findings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good policy on education,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remote and rural area schools. 이 연구는 광주교대가 추진한 교육감추천입학전형제도의 도입, 시행, 결과와 관련된 문헌, 교육감추천입학제와 관련된 교육부, 광주교대, 대교협 등이 생산한 공문, 계획서, 연구보고서, 그리고 관련 법률 등을 분석하여, ⅰ) 제도 도입의 배경과 경과 및 발전, ⅱ) 제도 도입 성과와 한계, ⅲ) 제도의 대안과 보완책 등을 탐구하였다. 교육감추천입학제는 임용시험 도입 이후 나타난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에 초등학교가 많은 지역의 임용시험 미달 및 현직교사 이탈 현상을 극복하고 안정적인 교사 공급을 위해 도입되어 광주교대는 그동안 1,210명(2018년 현재)을 이 제도에 적용하여 입학시켰다. 교육감추천입학제는 도서・벽지 초등학교에 안정적인 교사 공급, 농어산촌 고등학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 지역적・사회경제적 교육환경의 불균형을 완화, 초등 교사교육의 효과 입증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교육감과의 협약을 위반하고 타 시도 임용시험에 응시하거나 의무복무 기간을 채우지 않고 타 시도로 빠져나가는 현직 교사들을 방지할 대책이 부재하였고, 마침내 대교협은 일반전형과의 '형평성' 이유로 교육감추천입학제 불허 방침을 내렸다. 이 연구는 교육감추천입학제의 부활 또는 학교장추천입학제의 대폭 강화를 주장하면서,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 학교의 멘토교사제 운영,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 교사공동체 문화 형성,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형 교사교육 교육과정 운영 등의 보완책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교육감추천입학제도에 관한 연구

        황윤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감추천특별전형제도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탐구하고, 이 제도가 학생들의 대학성적과 임용시험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함과 동시에 제도를 보다 발전적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4학년도부터 2006학년도 사이에 광주교대에 입학하여 2010년까지 임용시험을 치르고 졸업한 1,615명(교육감추천 462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들의 입학성적과 대학성적을 심층 분석하였다. 또한, 입학성적 및 대학성적과 임용시험 합격 여부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교육감추천특별전형제도는: 첫째, 교육여건이 열악한 전남 농어산촌의 학생들에게 고등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대학에서 양질의 교사로 양성하여, 해당지역의 초등교사로 임용하는 성공적인 입시제도의 하나이다. 둘째, 성적 중심의 신입생 선발효과보다 학력 중심의 재학생 교육효과를 보여주고 있어 성공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교사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하고 있다. 넷째, 입학사정관제를 효율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준다.

      • KCI등재

        Goals for Elementary Schooling Perceived by Prospective, Newly Appointed and Veteran Elementary Teachers

        황윤한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8 No.1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regarding the goals for elementary schooling. The goals of school form the framework for the functions of education as reas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existence of the school. In this study, goals for schooling were categorized into content goal areas (academic and vocational) as well as process goal areas(personal and social/civic). Participants were prospective, beginning, and veteran teachers. This study used a survey method to figure out teacher’s goal orientation, perception of contents taught, emphasized goals, and differences among teacher groups on the perception of goals for schooling. This study found that goal orientations of teachers were well balanced, more content for academic goals were loa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aught in schools, teachers emphasized more process goals, and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educational views among groups. The three groups of teachers all agreed that academic goals were heavily loaded in the content of elementary schoo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