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학교 2학년 「전기」단원에서 순환학습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홍혜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이화교육논총 Vol.16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ing cycle model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mprovement of s science achievement, scientific reasoning, science-related attitudes. The subject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140 in 8th grade at a co-educational junior high school in Seoul, Korea. They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treatment group.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the instruction of learning cycle approaches. The control groups received a traditional text-book oriented form of instruction that included reading, writing. They have been taught about 「Electricity」 section of middle school Science2 for 12 class periods during the second semester. Evaluation instruments used in pre-test and post-test were science achievement test, classroom test of scientific reasoning, science related attitude test. Moreover ANCOVA was done by using SPSS 10.0 statistic program. fir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two groups about students' science achievements test by ANCOVA analysis. Especially in high level group, the analysis by ANCOVA showed that the scores of students' science achievements test for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p<05). But in low leve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two groups about students' science achievements test. Secondly, the analysis by ANCOVA showed that the scores of scientific reasoning for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p<.01). Especially in high level group, the analysis by ANCOVA showed that the scores of classroom test of scientific reasoning for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p<.05). But in low leve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two groups about classroom test of scientific reasoning. Also in hypothetical-deductive thinking level and transitional thinking level, the analysis by ANCOVA showed that the scores of classroom test of scientific reasoning for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p<.05). But in Empirical-inductive think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two groups about classroom test of scientific reasoning. Third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two groups about science related attitude test by ANCOVA analysis. Especially in high level group, the analysis by ANCOVA showed that the scores of science related attitude test for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p<.05). But in low leve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two groups about science related attitude test In conclusion, in high level group, it was found that students of treatment group received the instruction of learning cycle approaches showed much more changes positively in achievement, scientific reasoning, science-related attitude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he other hand, in low level group, it was found that students of control group received a traditional text-book oriented form of instruction that included reading and writing showed much more changes positively in achievement, scientific reasoning, science-related attitudes than those of treatment group.

      • SCOPUSKCI등재

        발산하기와 수렴하기를 강화한 탐구 교수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홍혜인,강순희,Hong, Hyein,Kang, Soonhee 대한화학회 2015 대한화학회지 Vol.5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탐구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경험할 수 있는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발산하기 모형, 수렴하기 모형을 탐구의 각 단계에 활용할 수 있는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5월부터 12월까지 개발한 수업 전략을 실시한 후 이 수업 전략이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창의적 사고의 하위 범주인 유창성과 융통성, 독창성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창의적 사고력과 그 하위 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 대한 인지 수준, 성별, 학업 성취도는 교수 전략과의 상호 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력에 대해서는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해석 및 자료변환에서 유의미한 신장을 나타냈다. 또한 비판적 사고력에 대한 인지 수준, 성별, 학업 성취도는 교수 전략과 상호 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using pyramid model of divergent thinking, inverse pyramid model of convergent thinking and evaluate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s. The teaching materials was implemented to 110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is 57, The control group is 53) in middle school for about 8 months (from May to October).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 especially in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about creative thinking skills between the teaching strategy and cognitive level, achievement, gender of those students. Also the teaching materials contributed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skills, especially in making hypothesis, control of variables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about critical thinking skills between the teaching strategy and cognitive level, achievement, gender of those students.

      • KCI등재

        성장글쓰기가 데이트 폭력 피해자의 기본 세계관과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홍혜인,현명호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7 No.4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a growth-writing program on the world assumptions and fear of intimacy of survivors of dating violence. Research subjects included women between 19 and 38 years who had experienced dating violence and were not currently dating. The writing practice was completed during four days, and participants’ world assumptions (WAS) and fear of intimacy (FI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in the follow-up (2 weeks) perio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growth-writing, expressive-writing, and control groups was 10, 11, and 7 respectively.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one-way ANOVA, repeated measurement ANCOVA, and paired sample t-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first hypothesis, which proposed that a growth-writing program would enhance positive world assumptions in survivors of dating violence, was mostly supported. Although scores on world assumptions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finishing the growth-writing program, the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during the follow-up phas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ypothesis, which proposed that a growth-writing program would reduce the fear of intimacy in survivors of dating violence, was proven invalid. This study’s results indicated that, although four days of treatment could not improve the world assumptions of survivors of dating violence,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in the long term. However, results also implied that there is a limit for self-disclosure in reducing fear of intimacy in human relationship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escrib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컨설팅장학 효과 관련 변인 간 구조적 관계

        홍혜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컨설팅장학 효과에 관련된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컨설팅장학 활동에 관한 선행 문헌에서 도출된 변인을 중심으로 컨설팅장학 특성에 관한 질문지를 개발하고, 2012학년도 1학기 수업혁신 컨설팅장학을 제공받은 경험이 있는 경기도 내 초· 중·고교 교사 87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학교 지원, 컨설팅장학 과정, 의뢰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컨설팅장학 과정 변인인 의뢰 자발성, 컨설턴트 전문성, 절차 충실성과 의뢰 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 간 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학교 지원 변인인 학교장 지원, 교내 업무 담당자 지원, 학교 내 자원과 컨설팅장학 과정 변인 간 관계는 일부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지원, 컨설팅장학 과정 및 의뢰 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 간 관계는 개인컨설팅 그룹과 집단컨설팅 그룹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컨설팅장학이 천명하는 각 특성들이 실행 과정에서 제대로 구현되도록 하고, 이를 위해 학교 관리자, 교내 업무 담당교사 등을 대상으로 컨설팅장학의 취지와 내용, 방법을 공유하고 단위학교와 교육청 간 협력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컨설팅장학 개선을 위한 제도적 접근은 컨설팅장학의 명칭으로 수행되는 다양한 활동의 성격에 따라 보다 개별적이고 구체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과학 수업에서 논리적 사고력 강화 탐구 교수 전략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홍혜인,강순희,Hong, Hyein,Kang, Soonhee 대한화학회 2014 대한화학회지 Vol.5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수업 시간에 비례, 보존, 변인 통제, 확률, 상관, 조합 논리 활동을 강화한 탐구 교수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논리적 사고력 강화 모형인 MCP(M: 동기 유발단계, C: 갈등 유발 단계, P: 문제 해결 단계)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탐구 과정에 적용하여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한 탐구 교수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후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내용에 있는 논리 사고 요소를 추출한 후에 이 논리 사고 요소들을 MCP 모형으로 변형하여 중학교 1학년용 탐구 과학 교수 전략들을 개발하였다. 대부분 구체적 조작 수준이거나 과도기 수준인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교수 전략을 2011년 5월부터 12월까지 60차시 동안 실시한 후 이 교수 전략이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논리적 사고력은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특히 보존 논리, 변인 통제 논리, 조합 논리가 유의미하게 신장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례 논리, 확률 논리, 상관 논리는 유의미한 향상이 없었다(p<.05). 이러한 교수 전략에 따른 논리적 사고력은 학생들의 인지 수준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 stratege focused on Conservational reasoning, Proportional reasoning, Variable-controlling reasoning, Probabilitic reasoning, Correlational reasoning, Combinational reasoning and investigate its effects on enhancing students' logical thinking skills through the science teaching on common education. And the teaching materials was implemented to 110 students in middle school over about six month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logical thinking skills (p<05). Especially, this teaching stratege was effective on Conservational reasoning, Variable-controlling reasoning, Combinational reasoning but was not effective on Proportional reasoning, Probabilitic reasoning, Correlational reasoning (p<.05). Logical thinking according to the teaching strategy skill was not affected by gender, cognitive level, academic achievement (p<.05).

      • 기계 학습을 위한 데이터 품질 향상 과정을 지원하는 시각적 분석 시스템

        홍혜인(Hyein Hong),유상봉(Sangbong Yoo),김지수(Jisue Kim),서성범(Seongbum Seo),장윤(Yun Jang)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기계 학습 모델은 데이터에 숨겨진 정보들을 마이닝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계 학습 모델의 성능은 알고리즘과 데이터의 품질에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성능을 측정하며 모델을 수정하는 작업은 비효율적이며, 품질이 낮은 데이터는 모델의 편향된 학습을 야기한다. 따라서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키는 작업은 중요하다. 기존에 데이터 품질 향상 과정을 지원하는 시각적 분석시스템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제안된 연구들은 사용자가 기계 학습을 위한 종합적인 데이터 품질향상 방법들을 고려하고, 적합한 데이터 품질 향상 과정을 판별하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기계학습 모델에 사용되기 위해 데이터 품질을 관리하는 새로운 시각적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 KCI등재

        청소년 우울증에서 자살 행동과 인터넷 사용

        혜인,전덕인,정명훈,나래,김재진,송정은,육기환,현주 대한정신약물학회 2012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3 No.2

        ObjectivezzSuicide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for adolescents. The internet is widespread in Korea and has influence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use and suicidal behavior resulting from adolescent depression. MethodszzThe subjects consisted of 61 adolescents between the ages of 13 and 18 who were diagnosed as depression by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 and Schizophrenia Present and Lifetime Korean Version and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ition. Suicidal behavior was assessed by Columbia Suicide Severity Rating Scale. Patients were inquired about their internet use using questionnaires and other clinical variables using Beck Depression Inventory, Beck Suicidal Ideation Scal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and Physical Abuse Scale. ResultszzThe patients within the high-risk group were more prone to searching for the word ‘suicide’ on the internet and having suicidal idea compare to the patients within the low-risk group. Among the high-risk group, the patients who searched for the word ‘suicide’ tended to be more anxious compared to the patients who did not search the word. Conclusionzz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searching the word ‘suicide’ on the internet i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 It i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on the patients within the searching group may reduce the suicidal idea resulting from adolescent depression. 본 연구는 청소년 우울증 환자군에서 자살 행동과 관련된 인터넷 사용의 임상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 결과 고위험군에서는 63.0%로 저위험군보다 인터넷을 통한 ‘자살’에 대한 검색의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자살 사고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다. 청소년의 자살 사고 감소를 위해서는 인터넷에서 자살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청소년에게 우선적인 개입이 고려되어야 하겠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자살 관련 단어를 검색한 집단에게 자살의 위험성을 높이는 정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효과적인 자살 예방 및 우울증 감소에 대한 정보와 정서적 지원을 하는 것이 자살률을 줄이는 데 있어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노인의 학대피해경험, 우울, 자살의 관계구조에 미치는 사회적 연결망의 조절효과

        혜인,송이 한국범죄심리학회 2019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5 No.4

        The study attempted to confirm a complicated structure of elder abus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nd further to examine a moderator of social 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We analyzed 10,723 subjects form the '2017 National Survey on Community Older Adults’ Living Conditions. Using a structure equation modeling, we confirmed that depression indirec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 abuse and suicidal ideation. Furthermore, older adults’ social ties functioned as a moderator i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ventive and remedial intervention towards elder abuse should be more advanced for proactive strategies on the expansion of older adults’ social networks in a community.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학대피해경험, 우울, 자살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연결망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 복잡한 연구모형은 ‘2017년 전국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노인학대 피해경험에서 무응답 또는 결측한 자료를 제외한 10,72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학대 피해경험, 우울, 자살의 관계에서 사회적 연결망은 우울과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노인학대 피해경험이 우울을 유발하고 이는 궁극적으로 자살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 구조적 관계에서 사회적 연결망의 수준이 우울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함의를 갖는다. 이 연구결과는 학대와 같은 범죄피해 사후관리에서 사회적 연결망을 지지 및 강화할 수 있는 구조화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