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감사위원회 전문성과 시장투명성이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

        홍창목,정진향 한국회계정보학회 2013 회계정보연구 Vol.31 No.2

        According to the agency or governance theory of tax avoidance, it is argued that self-interested managers could utilize tax avoidance transactions as a tool for seeking their personal benefits. To outside investors,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understand complex and obfuscatory tax avoidance transactions. Furthermore, managers might be justified not to disclose much about tax transactions because minimizing taxes might require avoiding watchful eyes of tax authorities. As the level of tax avoidance increases, the information environment of a firm would become more opaque, thus hiding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This argument implies that strong corporate governance facilitates more effective monitoring of managers, which in turn restraining their rent seeking behavior, and ultimately reducing the level of tax avoidance. For the same reason, firms' tax avoidance transaction would be held down as outside investors' monitoring becoming more effective, that is, firms' being more market transparent.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audit committee expertise (i.e. accounting expertise and tax expertise) and corporate market transparency on the level of corporate tax avoidance. We conduct our empirical analysis using public companies listed on Korea Stock Exchange and also followed by financial analysts during the period from 2004 to 2009. Our research show that both audit committee's expertise(accounting expertise and tax expertise) and market transparenc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the level of corporate tax avoidance. This implies that tax avoidance activities largely occur as a result of managerial opportunistic behavior in our sample firms, which supports the agency theory of corporate tax avoidance. It is also found that audit committee expertise more effectively restrain tax avoidance when managerial opportunistic behavior is highly likely under the condition of low level of market transparency, which lends additional support for the agency theory of corporate tax avoidance. However, each audit committee expertise type (accounting expertise and tax expertise) is shown to have different capability of restraining tax avoidance activity. Under weak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audit committee tax expertise, but not accounting expertise, significantly reduces the level of tax avoidance. Because tax experts have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tax law and tax avoidance transactions sufficient enough to directly monitor complex and difficult tax avoidance transactions, they could restrain corporate tax avoidance without the help of strong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조세회피의 대리인 이론은 조세회피가 경영자의 사적편익 추구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조세회피거래 자체가 복잡하며 이해하기 어렵고, 세금절감이라는 명목으로 자세한 내용이 공개되지 않아 기업 정보환경을 불투명하게 만들기 때문에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을 감추는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지배구조를 강화함으로써 경영자에 대한 효과적인 감시가 가능해지면 경영자의 사적편익추구를 위한 조세회피행위를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장투명성수준이 높아져 경영자에 대한 효과적인 외부모니터링이 용이해진다면 조세회피가 억제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감사위원회의 전문성(회계전문성과 세무전문성)과 시장투명성 수준이 기업의 조세회피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09년까지의 기간 동안 한국의 유가증권상장기업으로서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정보가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사위원회의 세무전문성과 회계전문성은 조세회피수준과 유의적인 음(-)의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경영자에 대한 외부모니터링의 용이성을 나타내는 시장투명성 수준과 조세회피 간에도 유의적인 음(-)의 관계가 존재함이 발견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표본기업들에서 조세회피가 경영자의 사적편익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서 조세회피의 대리인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시장투명성 수준이 낮아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이 발생될 가능성이 큰 상황일수록 감사위원회의 세무전문성과 회계전문성은 더욱 조세회피를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또한 조세회피의 대리인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장투명성 수준이 통제된 상태에서 감사위원회의 세무전문성과 회계전문성이 조세회피를 억제하는 능력에는 차이가 있음도 나타났다. 지배구조의 구성적 특성이 취약한 경우에 세무전문성은 조세회피를 억제하지만 회계전문성은 그렇지 못함을 보였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세무전문가는 세법과 조세회피거래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복잡하고 어려운 조세회피거래를 직접적으로 감시할 수 있어 지배구조의 도움 없이도 조세회피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생산유발 및 생산성 제고 효과를 통한 항공기 개발 투자의 파급효과 분석

        홍창목,이재경,이태희,김도현,Hong, Chang-Mok,Yi, Jae-Kyung,Lee, Tae-Hee,Kim, Do-Hyeo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0 벤처창업연구 Vol.5 No.4

        The article analyses economic effect of medium size aircraft development project. It is based on the measurement of induced production and increased productivity by the investment on the development project. The analysis shows around 5.2 trillion KRW induced production and 65 billion KRW productivity are expected, if 1.4 trillion KRW is invested as planned. The economic effects with the same size of investment across different manufacturing industries - shipbuilding, auto, general machinery and emiconductor - are also measured for comparison. The result reports ircraft anufacturing is positioned as middle in terms of induced production nd productivity nhancement. he results in this article support the investment, which has economic asibility as well as strategic and military importance as argued.

      • KCI등재

        조세회피가 기업의 시장불투명성에 미치는 영향

        홍창목,정진향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6

        조세회피행위는 기업활동을 보다 복잡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세금관련 공시수준 및 공시내용의 명료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외부투자자들이 기업활동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세금을 절약한다는 명분은 세금관련 정보의 투명한 공개를 정당화하기도 한다. 조세회피의 대리인 이론은 조세회피 행위에 따른 이러한 정보불투명성이 경영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어렵게 하는 방어막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경영자가 사적편익을 추구하는 수단으로 조세회피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대리인 문제가 없어도 조세회피는 기업투명성에 부정적이지만 경영자의 사적편익 추구까지 더해진다면 조세회피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기업정보환경은 더욱 불투명해질 것이다. 본 논문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기간 동안 거래소 시장에 상장된 비금융업종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세회피가 기업불투명성이나 정보불확실성 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조세회피가 기업불투명성을 초래한다는 대리인 이론의 기본 전제를 검증하는 것 이외에도 조세회피가 외부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조세회피를 명시적 세금을 경감시키는 개념으로 광범위하게 정의하고 이를 가장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Dyreng et al.(2008)의 장기현금유효세율을 비롯한 다양한 조세회피수준 대용변수들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업투명성 수준은 기업의 직접 공시와 재무분석가가 수집한 사적정보 수준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다. 그러나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에는 이 두 가지 유형의 정보가 모두 반영될 것이므로 재무분석가 이익예측 정확성 수준을 시장투명성의 주된 측정 변수로 사용하였다. 또한 조세회피는 기업에 관한 정보의 이용가능성 이외에도 투자자들의 기업가치에 대한 추정을 불확실하게 만들 수 있는 가능성도 갖고 있으므로 조세회피가 이러한 정보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을 투자자들의 의견불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의 분산과 거래회전율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조세회피수준이 높을수록 재무분석가 이익예측 정확성은 낮아지고, 재무분석가 이익예측 분산과 거래회전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다양한 조세회피변수들에 걸쳐 일관적으로 나타났고, 내생성을 통제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논문은 조세회피수준과 기업정보환경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와는 다른 연구설계를 사용하면서 조세회피가 투자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시장투명성과 이들 정보 자체가 갖는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투자자들의 기업가치에 대한 판단의 부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결과의 강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세회피변수들을 사용했고, 요인분석으로 추출한 공통요인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조세회피와 투명성 간에 존재할 수 있는 역의 인과관계로 인한 잠재적인 내생성을 검토함으로써 조세회피가 기업의 정보환경을 불투명하게 만드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Corporate tax avoidance transactions not only make business activities more complex but also have negative impacts on tax-related disclosures, thus for outside investors having difficult times to understand firms’ business. Moreover, the argument for saving cash taxes adds validity to less and/or obscure tax-related disclosure. The agency cost-based tax avoidance theory maintains that such corporate opacity arising from tax avoidance transactions provides a shield for managers, thus allowing managers or controlling shareholders’ rent extraction. Even without potential agency problems, corporate tax avoidance negatively influences corporate transparency, but with managers’ potential rent extracting behavior, corporate information environment facing outside investors will get more intransparent. In this paper, we empirically examine the conjecture that corporate tax avoidance exerts negative influences on corporate transparency and information uncertainty for firms listed in Korea Stock Exchange during the period from 2005 to 2009. We contribute to the agency theory-based tax avoidance literature by testing the underlying premise that tax avoidance transactions cause firms’ information environment more opaque, and provide new insights on the effects of tax avoidance on analysts’ decision mak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ax avoidance on the market transparency at an individual firm level employing a research design distinct from prior studies. Prior literature examine a contemporaneous association between a specific tax avoidance measure and market transparency variables. Instead, we focus on the influence of tax avoidance on an individual firm’s market transparency at the time when market participants makes financial decisions. For this purpose, we need a tax avoidance to be measured utilizing previous financial statement and/or tax data. We believe this research design is better suited to discern the true effects of tax avoidance on the market transparency because opaqueness created by tax avoidance is to be fully reflected in an individual firm’s market transparency in this way. Because there is no unanimous agreement about the proper tax avoidance measure, we employ several tax avoidance proxies to test robustness of our research findings. Finally, we formally tackle the potential endogeneity problem due to the reverse causality between tax avoidance and market transparency. With a broad definition of tax avoidance, which is defined as explicit tax saving transactions, we employ several tax avoidance variables including two kinds of long-run cash effective rates (Dyreng et al., 2008; Ayers et al., 2009), abnormal BTD (Desai and Dharmapala, 2006), and permanent BTD. An individual firm’s market transparency level is determined by both public disclosures and private information produced by financial analysts. Therefore, our first market transparency measure is the number of financial analysts following a firm. Because financial analysts’ earnings forecasts incorporate all of these information, it seems appropriate to use financial analysts’ earnings forecast accuracy to measure corporate transparency. Also, tax avoidance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information uncertainty facing outside investors resulting to their inaccurate estimates for valuation. Information uncertainty or disagreement of opinions are measured by financial analysts’ earnings forecast dispersion and trading turnove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s the level of tax avoidance increases, analyst following significantly decreases under some tax avoidance measures, and in another cases, show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esults. This suggests that the market opaqueness created by tax avoidance won’t be lessened because there is no additional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markets. It is also shown that as tax avoidance level increases, analysts’ earnings forecast accuracy decreases, and forecast dispersion and trading...

      • KCI등재

        내부회계관리제도 담당 인원수가 재무분석가 이익예측 속성에 미치는 영향

        홍창목,정진향 한국상업교육학회 2012 상업교육연구 Vol.26 No.4

        내부회계관리제도(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는 기업의 재무보고 과정에 대하여 기업 스스로 모니터링을 함으로써,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2005년에 도입된 제도이다. 본 연구는 기업들이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효과성(품질 향상)을 높이기 위하여 투입하는 내부회계관리 운영인력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의사결정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한다. 분석을 위해 2005년 부터 2009년까지 유가증권 상장기업 중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치가 존재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추출된 표본기업의 수(firm-year)는 523개를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회계관리 운영인력이 많을수록 재무분석가 이익예측 정확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부회계관리 운영인력이 많을수록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의 분산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부회계관리 운영인력이 많을수록 회계정보의 신뢰성이 높아져 재무분석가의 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회계관리 운영인력이 많다는 것은 기업 활동의 포괄적인 부분에 내부통제 문제들을 다룰 수 있도록 확대된 투자가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내부회계관리제도가 더욱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내부회계관리제도가 효과적일수록 회계정보의 신뢰성이 높아져 정보의 비대칭이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 of personnel related to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hereafter ICFR) and properties of financial analysts' earnings forecasts. Based on prior studies showing that the level of human resource investment for ICFR might be proxy for quality of ICFR, this study also maintained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will improve as the number of employees working for ICFR increases. Financial reporting quality of a firm percieved by financial analysts have the following components; quality of fiancial statements which are ouputs of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and quality of financial information production system itself. The latter depends on quality of independent audit and ICFR. Thus, we investigate incremental information content of the level of personnel of ICFR for explaining cross-sectional variations in the properties of financial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fter controlling discretionary accruals and audit quality. We provide the first empirical evidence whether the ICFR personnel data, which should be annually disclosed, are utilized by financial statement users represented by financial analysts. The previous finding that the level of ICFR personnel ha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nancial reporting quality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at financial statement users actually use the publicly disclosed ICFR personnel data. We examine fianancial analysts use the ICFR personnel data for formulating their annual earnings forecasts. Our evidence will lend support the regulatory authority's rational behind the madatory disclosure requirements imposed on the ICFR personnel data. We found that as the level of ICFR personnel increases, the accuracy of analysts' earnings forecasts increases, and the number of analysts also increases. This results are obtained after controlling discretionary accruals and audit quality, thus suggest that the ICFR personnel number has ncremental information content explaining the properties of financial analysts earnings forecasts. In the additional analysis, we controlled the potential endogeneity between the ICFR personnel and financial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nd found qualitatively same results. Without controlling endogeneity, analysts' forecast dispersion did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ICFR personnel data. However, analysts' forecast dispersion did show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with the ICFR personnel data after controlling endogeneity. We also did rank regression analysis and obtained evidence similar to the analysis with controlling endogene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