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정배경,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학업성취 간 구조적 관계

        현지영,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5 No.-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1차년도 중학생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모의 사회경제 적 지위,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학업성취 간 구조적 관계를 고찰하고, 이러한 관계가 가족구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 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보호자 학력은 자녀의 학업성취 에만 유의미한 효과를 발휘하고, 부모-자녀 관계, 교사에 대한 신뢰, 교우관계에는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구소득은 부모-자녀 관계와 학업성취에 가시적인 효과를 발 휘하는 반면, 교사에 대한 신뢰나 교우관계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 러났다. 부모-자녀 관계는 교사에 대한 신뢰, 교우관계, 학업성취 모두에 강력한 정적 효 과를 발휘하였고, 교사에 대한 신뢰 및 교우관계도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미 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족구조별 비교 분석 결과는 양친가정 학생들이 한부모가정 학생 들보다 학업성취에서 우위를 보이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도 높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다집단분석 결과에 따르면 양친가정에서는 보호자 학력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정 적 효과를 갖지만, 한부모가정에서는 보호자 학력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울러 양친가정 학생들의 경우에는 가구소득이 교사에 대한 신뢰에 정적 효과를 발휘하지만, 한부모가정 학생들의 경우에는 가구소득이 교사에 대한 신뢰에 오히 려 부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가 가족구조에 따라 상이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차세대 과학 교과서와 기존 과학 교과서의 STS 교육내용 비교 분석 :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현지영,박신규,김중욱,정원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科學敎育硏究誌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차세대 과학 교과서를 STS적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STS의 내용들은 Yager의 STS 토픽과 Piel의 기준 그리고 학생들의 SATIS 활동 유형 등에 의해 분석 되었다. 연구결과,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Yager의 기준에 의한 STS 포함 비율은 20.9%로 기존 교과서의 평균인 11.3% 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TS 구성요소 분석 결과 차세대 교과서의 경우 ‘지역사회와의 관련성’(59%), ‘과학의 응용성’(18.2%), ‘실제 문제에 대한 협동 작업’(13.6%) 순이었다.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지역사회와의 관련성’요소가 기존 과학 교과서 보다 증가하였고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요소가 감소한 것이 큰 특징이다. ‘과학의 다차원성에 대한 인식’, ‘정보의 선택 및 이용에 대한 평가’ 등의 요소에 대해서는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포함되지 않은 반면에 기존 과학 교과서의 경우 낮은 비율이지만 어느 정도의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Piel의 기준에 의한 STS 주제 영역에 관한 비교 분석에서 차세대교과서는 ‘환경의 질’ 문제와 ‘우주개발과 국방’ 문제를 다루고 있는 반면 기존 교과서의 경우 ‘기술발달의 영향’, ‘천연자원’ 등을 다루고 있다. SATIS 교수-학습 활동 영역에서 차세대 과학 교과서의 주된 활동은 ‘조사 연구’, ‘모의실험’, ‘자료 분석’등이며, 기존 교과서에서는 ‘역할 놀이’, ‘연구 고안’, ‘모의실험’등의 활동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차후 개발될 교과서에서는 ‘역할 놀이’, ‘연구 고안’, ‘모의실험’등의 활동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bout STS contents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for 10th grade according to curriculum revision 2007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the Earth Science which were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The contents of STS were analyzed by the STS topics of Yager(1989), Piel’s standard(1981), and student activities by SAT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same as follows: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was shown that 20.9% is STS material amount in average by Yager’s standar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shown that 11.3% is STS material amount in average. Based on the STS topics by Yager’s standard, most of STS content is focused on ‘Relativity with local community’, ‘Application of science’ and ‘Cooperative work on real problems’. However, there is rare contents such as ‘Multiple dimensions of science’, ‘Practice with decision-mak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concerned for getting and using information’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shown that ‘Applicability of science’ is the highest and ‘Relativity with local community’ is the next high contents. Based on the STS topics by Piel’s standard, most of STS contents are focused on ‘Environmental quality’, ‘Space research’ and ‘National defence’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But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re focused on ‘Natural resourc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The activities were analyzed by SATIS student activities. The major categories of activities included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were ‘Investigation’, ‘Simulation’ and ‘Data analysis’. But, there were rare activities like ‘Roleplaying’, ‘Research design’ and ‘Simulation’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 KCI등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학업성취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가족구조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현지영,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교육사회학연구 Vol.25 No.2

        Drawing on first wave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we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at school, and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varying relationships by family structure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Our SEM results showed that while parental education exerted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t had little to do with parent-child relationships, trust in teachers, and peer relationships. Household inco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it did not have an impact on trust in teachers and peer relationships. While parent-child relationship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trust in teachers, peer relationships, and academic achievement, both trust in teachers and peer relationships also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Meanwhile, it was proven that students from a two-parent family exhibit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nd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than their counterparts from a single-parent family. Finally, the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at school, and academic achievement did indeed vary according to family structure.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1차년도 중학생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학업성취 간 구조적 관계를 고찰하고, 이러한 관계가 가족구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보호자 학력은 자녀의 학업성취에만 유의미한 효과를 발휘하고, 부모-자녀 관계, 교사에 대한 신뢰, 교우관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구소득은 부모-자녀 관계와 학업성취에 가시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반면, 교사에 대한 신뢰나 교우관계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모-자녀 관계는 교사에 대한 신뢰, 교우관계, 학업성취 모두에 강력한 정적 효과를 발휘하였고, 교사에 대한 신뢰 및 교우관계도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가족구조별 비교 분석 결과는 양친가정 학생들이 한부모가정 학생들보다 학업성취에서 우위에 있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도 높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다집단분석을 수행한 결과, 양친가정에서는 보호자 학력이 학업성취에 강력한 정적 효과를 발휘하는 반면, 한부모가정에서는 보호자 학력과 학업성취 간에 의미 있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친가정에서는 가구소득이 교사에 대한 신뢰에 정적 효과를 갖지만, 한부모가정에서는 오히려 가구소득이 교사에 대한 신뢰에 부적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KCI등재

        문제해결 활동에 기초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신장

        현지영(Hyun, Ji You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3

        지속가능발전은 환경 보호와 사회의 안정, 경제 성장의 조화가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교과서에서의 지속가능발전의 필요성과 사례는 환경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사회 문제에 초점을 두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젠트리피케이션과 투어리스티피케이션 현상을 소재로 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실행연구법이며,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 역량 평가지를 초등용으로 수정하여 초등학교 5학년 21명의 학생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총 9명의 최종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연구프로그램은 총 3차 실행으로 계획하였고 창의적 문제해결모형과 현장 학습이 함께 적용되는 수업 흐름으로 구성하였다. 매 실행에서의 수업 과정과 학생들의 반응, 상호작용들은 녹화되어 실행 연구 및 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본 프로그램은 연구 대상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 역량 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생들의 소감문과 인터뷰 내용을 통해선 학생들이 직접 문제점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비판적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정보처리 능력, 자아 성찰적 태도, 타자 지향적 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젠트리피케이션 및 투어리스티피케이션 관련 사회 문제 해결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을 신장시킨 사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harmonized with environmental protection, social stability and economic growth. However, the needs and exampl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troduced to students are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Therefore, this researcher was interested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ocusing on social problems, and develope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phenomenon of gentrification and touristification that are emerging as global issues. The research program was planned as a total three run, and consisted of a class flow in which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nd field learning were applied together. The teaching process and students reactions in each action were recorded and used for performance studies and results analysi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over three action research, the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core capacity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As a result of the post-test on the evaluation sites such as the pre-test, the scores of the core competency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ere increased in all 9 students. The students writings and interviews show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skills, problem-solving a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self-reflective attitude, and others-care attitudes in the process of exploring problem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 case of develop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rogram by solving social problems related to gentrification and touristification.

      • KCI등재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 향상과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현지영 ( Ji Young Hyun ),김수영 ( Soo Young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북 P시에 소재하고 있는 H유치원과 E유치원의 만4∼5세 유아 79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처치를 하였다. 공감능력 및 공격성 검사를 이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처치 프로그램은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내용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총 12회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t 검증 및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 하위요인인 기쁨 요인, 불안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슬픔 요인, 심적 부담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 하위요인인 언어적 공격성, 신체적 공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recognize the effects of Roots of Empathy Program on children`s empathic ability increase and aggression decrease. Participant in this study were 79 children at 4~5 year old group kindergarten in P city. Experiment treatment were performed for 12 weeks. The experiment tools were the children`s Empathic Ability and the Children`s Aggression. Data analysis included ANC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a significant increase on children`s pleasure and anxiety factors of empathic ability. But There were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dness and mental burden factors of empathic ability. There were a significant decrease on children`s linguistic and physical aggression.

      • KCI등재후보

        토마토 숙성저해 유전자의 SCAR 분자표지 개발

        김현정,이흥렬,현지영,홍동오,원동찬,한지학 한국육종학회 2013 한국육종학회지 Vol.45 No.2

        토마토 과실의 숙성기간은 운송기간과 상품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고온에서는 과실숙성이 빨라지므로, 숙성기간은 열대지방에 수출하는 토마토 품종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토마토 과실숙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RIPENING-INHIBITOR (Rin) 유전자는 열성 유전하는 돌연변이체에서 보고되었고, 교잡후대(Rin/rin)에서는 숙성이 느리게 진행되어 저장성이 상당히 향상된다고 알려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출용 토마토 품종의 육성을 위해, 과실 숙성의 저해와 관련한 Rin 유전자 특이적인 분자 표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Rin과 rin유전자의 mRNA와 genomic DNA의 염기서열 정보를 확보하고 다형성을 나타내는 프라이머 조합을 선발하여, 공우성 SCAR 분자표지로 개발하였다. 토마토 육성 라인 24주에서 과실숙성 정도와 PCR밴드를 비교한 결과, 공우성 마커는 동형(Rin/Rin, rin/rin)과 이형(Rin/rin)의 유전자형을 구별하기에 적합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저장성이 좋은 토마토 품종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omato shelf-life is important for its fresh market usage especially for exporting and transporting tomato in tropical climate. To increase the shelf-life, delaying maturity is one of the powerful methods. A ripening gene related to the fruit maturity delaying was previously known through tomato mutation. RIPENING-INHIBITOR (Rin) from the recessive mutation effectively blocks the ripening process, and when the hybrid (Rin/rin) was formed it shows slow-ripening and long shelf-life. Since breeders need the long shelf-life character in the tomato breeding program, we had set out a series of experiments to develop a Rin related DNA marker. We searched for the proper primer sequences in the deletion region between Rin and rin mRNA sequences, and also in the intron region of rin. Primers that simultaneously amplified two bands with a co-dominant pattern were selected and converted to the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marker. As a preliminary data, the SCAR marker clearly distinguished genotypes between heterozygote (Rin/rin) and homozygote (Rin/Rin, rin/rin), and this would help select the tomato lines that have a characteristic of long shelf-life.

      • KCI등재

        CAPS Marker Linked to Tomato Hypocotyl Pigmentation

        김현정,이흥렬,현지영,원동찬,홍동오,한치학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1

        Tomato hypocotyl can generally be one of two colors, purple or green. Genetically, this trait is controlled by a single dominant gene. Hypocotyl tissue specific color expression is one of many visible genetic marker sources used to select tomato progeny. However, the visible marker does not show a clear distinction between homozygous genotype and heterozygous genotype from the breeding lines. Therefore, to identify a hypocotyl pigmentation related marker, we screened DNA polymorphisms in thirteen tomato lines showing purple or green hypocotyls. The markers used for screening consisted of primer set information obtained from anthocyanin related genes, conserved ortholog set II (COS II) marker sets localized near anthocyanin related genes,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markers localized near COS II markers, which produce polymorphisms between purple and green tomatoes. One primer from a RFLP fragment resulted in a polymorphism on agarose gel electrophoresis. From the RFLP fragment, a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CAPS) marker was developed to distinguish between purple and green hypocotyls. The genotypes of 135 F2 individuals were analyzed using the CAPS marker, and among them, 132 individuals corresponded to the phenotypes of hypocotyl pig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