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 구성원의 혁신성과와 협업패턴에 대한 인지적 편향 분석: 미국 특허 발명자 정보 중심으로

        현명진,김지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The research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unique and stro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o propel their innovation activities. Yet, an individual cognitive characteristic and its influence on co-working networks and innovation performance has not been highlighted. Note that the individuals might create their own cognitive bias in the perception of names. This implicit characteristics could be one of the implicit factors which can form a organizational sub-culture.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gnitive bias on the innovation activities using the data from the networks of the US patent. We collected 32,874,742 patent inventor database from the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USPTO) between 1976 and 2017 and selected the names of the 12 Apostles, which might contain a strong influence of cognitive bias in the western culture. We investigated the cognitive bias of the inventor's name, the network patterns of co-inventors, and the relevance of specific technical achievements by name.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re exists a tendency of the preeminent inventor name in the particular innovation area; we further discussed possible cognitive biases and factors in forming organizational sub-culture. 본 연구는 기업의 문화를 형성하는 요소 중 개개인이 갖는 조직 구성원의 이름에 대한 인지적 편향이 기업의 협업 패턴과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동안의 조직문화에 관한 연구는 독특하고 강한 문화적 특성을 정의하고 그 특성과 성과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이 강조되어 온 반면, 개인의 인지적 특성은 연구가 미흡하였다. 개인의 특징 중 이름에 대한 인지적 편향은 암묵적으로 공유되고 잘 변하지 않는 서브 컬처 (Sub-culture)로서 매우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1976 ~ 2017년 11월까지 미국 특허상표청 (USPTO)에 등록된 특허 32,874,742건 중, 서구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성경에 나오는 주요 12사도의 이름과 변화형을 가진 발명자 이름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발명자의 이름이 가지는 인지적 편향, 공동 발명자들의 협업 패턴, 그리고 특허 출원 분야에 따른 이름별 특정 기술 성과들을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 발명자의 이름과 일부 특허 분야 및 연구자 간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제조기업의 서비스화 제공 형태와 고객 특성이 재계약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타이어 렌탈 중심으로

        현명진(Myungjin Hyun),김지은(Jie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4

        제조기업의 서비스화(Servitization)는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을 위한 혁신 모델로서 자동차 및 관련 부품 업계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본 연구는 타이어 업계의 렌탈 비즈니스를 통한 서비스화 모형을 소개하고, 기업의 서비스화 제공 형태와 고객 특성을 중심으로 서비스 재계약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내 사례 기업의 2016~2019년 렌탈 비즈니스 계약 163,742건을 대상으로 서비스 타입, 인구 통계 및 지역, 유입 채널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재계약 여부로 교차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비스 타입 중 고객 맞춤 서비스 이용 경험은 재계약률과 정(+)의 관계가 있으나 차량 정비 서비스는 부(-)의 관계를 보였다. 고객 특성에서는 성별과 지역에 따른 재계약률 차이가 있으나 연령대와 차량 종류(국산/외산)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를 계약하는 유입 채널에서는, 오프라인 채널이 온라인 채널보다 재계약률이 높은 경향이 있으며, 오픈몰의 경우 오프라인 채널에서 계약 전환으로 재계약 건수가 8.4배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조기업의 서비스화 실행에 따른 신규 서비스 개발, 고객 중심의 서비스화 수행, 판매 채널 운영에 대한 실무적 전략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Servitization presents an innovative model to create business value in the automotive industries. This study set out to introduce a servitization model based on the rental business of the tire industry and identify determinants to affect the renewal of contracts around the service types of servit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the service types, demographics and regions, and inflow channels in 163,742 contracts by case companies in the nation in 2016~2019 with the renewal of contracts as a dependent variabl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through cross-tabulation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ntract renewal rate had positive(+) relations with customized service and negative(-) ones with vehicle maintenance servic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tract renewal rate according to such customer characteristics as gender and region, but no clear correlations were found in the age group and vehicle type(domestic/foreign). Of the inflow channels, offline channels tended to have a higher renewal rate than online channels. At open malls, contract renewal increased by 8.4 times due to contract switches at offline channe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directions for practical strategies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new service, implementation of customer-centric servitization, and management of sales channels according to the servitization of manufacturers.

      • KCI등재

        EA(Enterprise Architecture)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공공기관 정보화사업수행 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세청 정보화 구축·운영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현명진 ( Hyun Myungjin ),김미량 ( Kim Miryang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정보화정책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EA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공공기관 정보화 사업수행 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은 관세청 국가 관세망 및 관련 정보화 사업이며 설문 조사를 활용하였다. EA 정보 제공은 정보의 적절성, 충분성, 일관성으로 정의하고 사업수행 활동은 사업관리, 사업 참여, 의사소통, 요구사항 관리, 인력투입으로 정의하여 항목 간 상관분석을 통해 영향도를 제시하였다. EA에서 제공된 정보와 사업관리 툴의 활용도, 인력투입 적정성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담당 공무원은 제공된 정보가 충분하면 사업수행 중 의사 결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수행업체는 정보가 일관되게 제공된다면 사업에 필요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정보화 사업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사업이 가진 특성과 함께 발주처의 사업환경을 확인하고, 사업을 수행하는 주체별 핵심 역할에 집중하여 사업수행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사업의 성공에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how the provided information from Enterprise Architecture (EA) affects the activities to for performing IT projects. The IT projects analyzed in this paper are projects to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Korea Customs' UNI-PA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survey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the information from EA on activities for IT projects. Information from EA is categorized into propriety, sufficiency and consistency. Activities for IT projects are defined as management, participation, communication, requirement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Correlational analysis i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inf ormation on the defined activities. The analysis, which verifies the provided information by EA, does not have meaningful correlation with project management nor human resource. For public officials in charge, Sufficiency of the information produces a positive effect on decision making. For operation company, consistency of the information encourages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required for the projec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strategies for performing IT projects with EA information that can support the verification of characteristic environments of each project and performance of vital activities required by the participants' roles will ensure the success of government IT projects.

      • KCI등재

        부산 영도 내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주간 변동 특성

        양원석,최동한,원종석,김지훈,현명진,이하은,이연정,노재훈,YANG, WONSEOK,CHOI, DONG HAN,WON, JONGSEOK,KIM, JIHOON,HYUN, MYUNG JIN,LEE, HAEUN,LEE, YEONJUNG,NOH, JAE HOON 한국해양학회 2021 바다 Vol.26 No.4

        연안역에서 나타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연중 변동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 년여간 부산 영도 내만의 고정점에서 생물량 및 다양성을 매주 조사하였다. 연구 해역은 엽록소 a가 0.43~7.58 mg m<sup>-3</sup> 범위를 나타내어 중영양에서 부영양 특성을 나타내었다. 조사 기간 동안 엽록소 a 중 3 ㎛ 이상 크기의 식물플랑크톤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80% 내외를 차지하여 높았다. 이들 3 ㎛ 이상 크기의 식물플랑크톤에서는 규조류(Bacillariophyta)가 봄과 여름에 가장 우점하였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은편모조강(Cryptophyceae)이 우점하였다. 반면, 3 ㎛ 이하 크기의 초미소식물플랑크톤에서는 마미엘라강(Mamiellophyceae)이 대부분의 시기에 가장 우점하였으며, 은편모조강(Cryptophyceae)이 연중 평균(+표준편차) 17.7 ± 17.6%로 비교적 높았으나 계절적 변동이 컸다. 와편모조강(Dinophyceae)은 드물지만 60.4%까지 매우 높게 우점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 13개월 간 일주일 간격의 정기 관측을 통해 육지에 인접한 천해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짧은 시간 규모에서 변동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속적인 고정점 관측은 식물플랑크톤의 단·장기 변동 특성과 기후 및 환경 변화의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o understand the tempor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a coastal area, the biomass and diversity were weekly investigated in the inner bay of Yeong-do, Busan. In the study area, chlorophyll a concentration ranged from 0.43~7.58 mg m<sup>-3</sup> during the study, indicating the study area was in mesotrophic or eutrophic status. The fractions of chlorophyll a occupied by large phytoplankton (> 3 ㎛ diameter) exhibited an average of 80% of total chlorophyll a in this study. Among the large phytoplankton, while Bacillariophyta was the most dominant in spring and summer, Cryptophyceae prevailed in the fall and winter. On the contrary, in the picophytoplankton community less than 3 ㎛ in diameter, Mamiellophyceae was the most dominant in most seasons, Cryptophyceae was relatively high with an average of 17.7 ± 17.6% throughout the year, but seasonal variations were large. Dinophyceae rarely occupied a higher fraction up to 60.4% of the picophytoplankton community. By weekly monitoring at a coastal station for 13 months, it is suggested that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coastal waters could be changed on a short time scale. If data are steadily accumulated at the time-series monitoring site for a long time, these will provid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the long-term dynamics of phytoplankton as well as the impact of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