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의 판별 분자마커

        허혜정,손예림,서보윤,정진교,김용균,Heo, Hye-Jung,Son, Ye-Rim,Seo, Bo-Yoon,Jung, Jin-Kyo,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4

        Two closely related species, the soybean podworm, Matsumuraeses phaseoli, and the podborer, M. falcana, gives differential economic damages on crops.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these potential sympatric species by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scriminating molecular marker based on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 partial genomic fragment (500 bp) of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mtCOI) was sequenced in both species, in which restriction site by Rsa I was selected as a dichotomous marker. PCR-RFLP in the mtCOI region clearly discriminated both species.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은 유사한 종으로 작물에 상이한 피해를 주고 있다. 그러나 형태적 특징만으로 이 두 동소적 유사종을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 두 종을 뚜렷하게 판별할 수 분자마커를 개발했다. 두 종의 시토크롬 옥시다아제-I의 부분(약 500 bp) 염기서열이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두 종을 구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판별 제한효소인 Rsa I이 선발되었고 PCR-RFLP를 통해 입증되었다.

      • KCI등재

        영어 체험 기회 활성화를 위한 초등 교육 정책 관련 연구 종합

        허혜정(Heo, Hye-Jung),이상기(Lee, Sang-Ki)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1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0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영어체험 기회 활성화를 목적으로 수립된 원어민 화상교육, 영어체험학습센터, 영어 체험교실의 세 가지 교육 정책을 주제로 그간 수행된 실증 연구를 체계적으로 종합한 것이다. 2020년 5월까지 게재된 출간 논문, 석사학위와 박사학위 논문 총 55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학교 여건에 따라 정책 집행의 결과가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에 효과적인 정책 집행을 위한 ‘초등영어교육정책 선택제’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synthesize empirical studies on three policies, video-conferencing with English native teachers, English experience learning center, and English experience zone, and to examine any discrepancies between their stated goals and actual practices in elementary schools. The three policies appeared to share the same goal of provi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English. Published papers and unpublished master s and doctoral theses from 1995 to 2020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database search, and a total of 55 papers were finally analyzed in the current synthesi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dditionally conducted in order to arrive at deeper interpretations of the policies and any trends in research on them. The results primarily showed that the consequences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ose three policie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school to school, depending on the actual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encountered by the schools. It thus appears not feasible to expect for a single policy to have uniform and predictable effects on all educational units, leading us to propose a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Policy Selection System” for more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 KCI등재

        초등영어교육 관련 정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허혜정(Heo, Hyejung),이상기(Lee, Sang-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본 연구는 초등영어교육과 관련된 각종의 정책에 대해 주된 이해당사자 중의 하나인 초등교사가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9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6개의 정책(EPIK, TaLK, TEE, 초등영어 교과전담제, 영어회화전문강사제, 수석교사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2019년 9~10월에 걸쳐 실시하였고, 그 중 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 면담을 후속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통해 보건대, 교사들은 각 정책 별로 상이한 인식을 보이고 있었으며, 분석의 대상이 되었던 정책 모두와 관련하여 별도의 전략을 사용하는 바가 없었다는 점, 그리고 설문에 제시된 것 외에 기타 정책을 기술한 응답이 없었다는 점 등이 공통 사항으로 나타났다. 자료의 분석을 통해 향후 정책 수립 단계에서의 충분한 의견수렴 및 수립된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연수와 홍보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또한, 과도한 예산을 투입하여 영어 보조 인력을 수급해 온 것이 초등교사의 영어 교수 의욕을 꺾고 그들의 전문성 신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운영 중인 초등영어 교과전담제도와 수석교사제의 실효성 제고를 꾀하기 위해 영어 교과 전문성이 높은 교사를 교과전담 및 수석교사로 우선 선발하여 적소에 배치할 수 있는 체계의 정착이 시급하다고 보았다. In this study we selected six different English education policies (i.e., EPIK, TaLK, TEE, Elementary English Subject-Specialist Teacher System, English conversation instructor System, Master Teacher System) that seem more directly related to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and examined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them.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9 with a total of 93 teachers as informants, which was followed by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seven teacher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teachers perceptions varied from policy to policy, it was found out that they did not employ any specific strategy in any cases. They tended to think that the policies we covered were not familiar to them; throughout the survey there was not a single case when the participants mentioned any other policy than the six we addressed. All these may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communicate with teachers more actively when introducing a new policy to them. Teachers, as one of the major stakeholders, have the right to express their own views about the government-driven education policies. This study also stresse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play a more active role in English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치조마찰음 /ㅅ/의 모음 환경에 따른 음향 특성

        허혜정(Hye Jeong Heo),성철재(Cheol Jae Seong)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5 언어학 Vol.0 No.72

        This study presents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lveolar fricative /s/, articulated by 2 groups of children. The subjects were 18 three-year-old children and 18 seven-year-olds reportedly without articulation problems. They have lived in Daejeon. The test material was comprised of 14 categories: 7 CV syllables /si, se, sa, s?, so, su, s?/ and 7 VCV syllables /isi, ese, asa, ?s?, oso, usu, ?s?/. By using spectral moment variables such as skewness, center of gravity(c.o.g., hereafter), kurtosis and central moment,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pure noise + aspiration] of [s] was measured. As a result, the values of all of the variables taken from each subject group(3-year-olds and 7-year-old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mong 7 vowel environments and syllable structures. Regardless of the syllable structures, when the high vowels /i, u, ?/ and /s/ combined, both 3-year-olds and 7-year-olds showed no significant distinction with respect to the skewness and c.o.g.. But in case of /se, sa, s?, so/, a meaningful difference was observed. This explains that 3-year-olds" articulation was imperfect compared with that of 7-year-olds.. This is because that when pronouncing high-vowel combined /si, su, s?/, one simply has to control lips from the articulation /s/ while /se, sa, s?, so/ require more complex chin movement for the following vowels. When compared by vowel environment, both 3-year-old and 7-year-old groups showed a statisti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i/ and /se, sa, s?, so, su/. The fact that the combination of vowel /i/ and /s/ is comparatively easy articulation seems to lead to the uniqueness of /si/. In case of the 3-year-old group, /so-su/ and /so-s?/, and /su-s?/ relation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so/ shows lower spectral distribution compared with /su & s?/. Although the labialization process of /su/ has the front cavity lengthened, /s?/ shows much lower spectral distribution compared to that of /su/. The 3-year-olds’ immatured articulation seems to make this happen.

      • KCI등재

        메모하기 전략 교수가 초등영어 학습자의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허혜정(Heo, Hyejung),이상기(Lee, Sang-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This study addressed the effects of teaching note-taking strategies on the improvement of listening comprehension in a second language. A total of 48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ok part in this three-week long quasi-experimental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experimental versus one comparison.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four different types of note-taking strategies (i.e., writing down key words, paraphrasing, coding, underlining) across three types of question items (i.e., understanding main points, catching details, indirect speaking). Results revealed that the strategy instruction brought about significant learning effect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employed different subtypes of note-tak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 three different item types. More detailed findings are presented, along with some implications for primary English classrooms.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총 4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듣기 학습 전략으로서의 메모하기가 영어 듣기 능력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알아보고, 듣기 문항 유형 별로 그들의 메모하기 전략 사용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폈다. 영어 듣기 성취 수준이 동질한 학생들 24명으로 각각 구성된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집단에는 기존의 의사소통 기능 중심 수업을 진행하며 메모하기 전략(핵심키워드 적기, 나만의 언어로 바꾸어 적기, 기호와 숫자 적기, 문제나 보기에 밑줄 긋기)에 대해 교수하였고, 다른 한 집단은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여 의사소통 기능 중심 수업만을 실시하였다. 3주의 기간 동안 총 9차시에 걸쳐 진행된 실험 처치 결과, 메모하기 전략에 대한 교수학습을 경험한 실험반의 학생들의 듣기 과업 수행이 비교반에 비해 우수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메모하기 전략에 대한 교수가 초등영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하게 기여하였음을 의미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듣기 과업 수행에 있어 메모하기의 여러 가지 하위 전략들의 활용 빈도가 문항의 유형에 따라 미묘하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에 대한 상세한 소개와 함께 교육현장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의 초등영어교육 관련 정부 자료집 및 연구 동향의 체계적 고찰

        허혜정(Hye-jung Heo)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22 초등영어교육 Vol.28 No.3

        한국의 첫 번째 코로나19 환자는 2020년 1월 19일에 처음 발생하여, 2월 중순부터 급격히 환자의 수가 증가하였다. 한국은 3월부터 정규 학기가 시작되기 때문에 이러한 감염 확산세는 학교 교육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교육부는 불가피하게 2020년 2월 23일, 전국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의 개학을 연기하는 방안을 발표하며 첫휴업령을 선포하게 되었다. 이후 2020년 3월 31일, 교육부는 등교 형태의 개학이 어렵다고판단하여 원격수업을 통한 개학 실시를 발표하였다. 장기화되는 학생들의 학습 결손을 최소화하고 코로나19로 인한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자 내린 사상 초유의 발표였다. 이러한원격수업으로서의 개학을 위하여 교육부는 3월 27일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교육부, 2020a) 을 수립하고 4월 7일 ‘원격수업 출결·평가·기록 가이드라인’(교육부, 2020b)을 마련하여 학교 현장에 배포하였다. 이후 감염병 상황이 조금씩 호전되면서 5월 20일부터 6월 8일까지고등학교 3학년을 시작으로 4차례에 걸쳐 순차적으로 등교 개학을 하였고, 학교 내 밀집도원칙의 변화를 거듭하다 2021년 10월 29일 ‘교육 분야 단계적 일상회복 추진방안’을 발표에따라 2021년 11월 22일 이후부터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의 구분에 따른 등교 원칙이 폐지되어 전면 등교가 가능하게 되었고 교과 및 비교과 영역에서 위축되었던 교육활동들도 부분적으로 정상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약 2년간 지속된 원격수업은 학교나 교사, 학생의 선호나요구에 의해서가 아니라 감염병 상황 하에서 사회적 합의에 의한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점에서 기존에 이루어졌던 영어 원격 수업이나 화상 수업과는 차이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0년과 2021년에 이르는 약 2년 동안 교육부가 초등영어교육과 관련하여 발간한 각종자료집을 분석하고, 이 시기에 이루어진 원격수업 형태의 초등영어수업과 관련한 1차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당면한 교육 현장의 실태를 점검하고 향후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implications for online English classes by systematically reviewing government casebooks and research studies dealing with online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in Korea during the COVID-19 epidemic. In-depth analyses of Korean government casebooks and 16 primary studies published during the years 2020 and 2021 showed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tried to support elementary schools by providing examples of restructuring standards for achievement, examples of instructional plans, and examples of evaluation and feedback. Some othe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atio of content utilization-centered classes using the ‘E-learning platform’ for elementary English was high. Of the entire studies, 74% was conducted in the metropolitan area. Learners valued interaction with teachers the most. Teachers were concerned about copyright infringement and the learning gap between learners.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lore various types of online English classes,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learners.

      • KCI등재

        고추를 가해하는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Guenée)]의 효과적 방제를 위한 쌀좀알벌(Trichogramma evanescens Westwood)과 미생물제제의 종합생물방제 효과

        김근섭,허혜정,박정아,유용석,함은혜,강성영,권기면,이건형,김용균,Kim, Geun-Seob,Heo, Hye-Jung,Park, Jung-A,Yu, Yong-Suk,Hahm, Eun-Hye,Kang, Sung-Young,Kwon, Ki-Myeon,Lee, Keon-Hyung,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Due to internal feeding behavior,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Guen\acute{e}e$), infesting hot pepper has been regarded to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targeting egg and neonate larval stages just before entering the fruit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fficient biological control method focusing on these susceptible stages of H. assulta. An egg parasitoid wasp, Trichogramma evanescens Westwood, was confirmed to parasitize the eggs of H. assulta. A mixture of Gram-positive soil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and Gram-negative entomopathogenic bacterium, Xenorhabdus nematophila ANU101, could effectively kill neonate larvae of H. assulta. A sex pheromone trap monitored the occurrence of field H. assulta adults. The microbial insecticide mixture was proved to give no detrimental effects on immature development and adult survival of the wasp by both feeding and contact toxicity tests. A combined treatment of egg parasitoid and microbial pesticide was applied to hot pepper fields infested by H. assulta. The mixture treatment of both biological control agent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ruit damage, which was comparable to the chemical insecticide treatment, though either single biological control agen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ntrol efficacy. This study also provides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s of T. evanescens. 고추를 가해하는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Guen\acute{e}e$))의 최적 방제 적기는 과실 내부로 침투하기 이전 시기인 알과 어린 유충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담배나방의 이러한 감수성 발육시기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 생물적 방제 기술을 개발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쌀좀알벌(Trichogramma evanescens Westwood)은 알기생봉으로 담배나방 알도 기생시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관찰되었다. 그람양성균인 토양 곤충병원세균(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과 그람음성균인 곤충병원세균(Xenorhabdus nematophila ANU101)은 어린 담배나방 유충을 대상으로 상호 협력적 병원력을 발휘하였다. 고추 포장의 담배나방 성충 발생은 페로몬트랩을 통해 모니터링하였다. 혼합 미생물제제는 접촉과 섭식 독성 분석 모두에서 쌀좀알벌의 유충 발육과 성충 생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담배나방 성충 발생이 성페로몬 트랩으로 확인된 시기에 고추포장에 쌀좀알벌과 미생물제제의 혼합 처리가 실시되었다. 혼합 생물방제 처리는 화학농약과 비슷한 수준으로 과실의 피해를 현저히 감소시킨 반면, 단독 생물방제 처리는 효과가 현저히 낮았다. 아울러 본 연구는 쌀좀알벌의 형태적 및 유전적 특징을 분석했다.

      • KCI등재

        알기생봉(Trichogramma sp. Nabis101)의 저온 발육 휴지와 단기 저장 기술

        김용균,허혜정,김근섭,함은혜,김지원,강성영,권기면,Kim, Yong-Gyun,Heo, Hye-Jung,Kim, Geun-Seob,Hahm, Eun-Hye,Kim, Ji-Won,Kang, Sung-Young,Kwon, Ki-My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3

        상용화된 Trichogramma sp. Nabis101은 알 기생봉으로 대상 기주 범위가 넓어 해충 방제용으로 농생태계에 방사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 미생물농약과 혼용 기술이 개발되어 이들의 적용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 기생봉의 정확한 종 동정이 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비교적 불규칙적 수요에 대응하여 생존력과 기생 능력 차이 없이 기생봉을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기생봉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 기생봉의 종 동정을 실시한 결과 T. brasiliensis와 가장 높은 유사성을 나타냈다. 이 기생봉의 저장은 기생 초기의 기주 알을 $10^{\circ}C$에서 보관하는 기술이 결정되었다. 이 조건에서 기생봉은 5주 동안 생존력, 성비, 수명 및 기생능력의 큰 저하 없이 유지될 수 있었다. A commercial egg parasitoid, Trichogramma sp. Nabis101, was released into agricultural cultivating areas in Korea due to its wide host spectrum against insect pests. Moreover, an application technique has been recently developed to enhance its control efficacy by mixture treatment with a microbial control agent. Despite its expansion of commercial availability, any genetic identification on this commercial strain was not determined. Also, to meet inconsistent demands from consumers, the live parasitoids need to be stored without significant loss of their survival and parasitic activity. This study determined nucleotide sequence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of the wasp species. The identified ITS sequences indicate that this wasp species is most similar to T brasiliensis. Optimal storage condition of this wasp required young parasitized stage at $10^{\circ}C$. Under these conditions, survival, sex ratio, longevity, and parasitic behavior were not much impaired for 5 wee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