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황해의 해양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허승,박종수,안경호,이윤,최옥인,임동현,황운기,이승민,김평중,방현우,Heo, Seung,Park, Jong-Soo,An, Kyoung-Ho,Lee, Yoon,Choi, Ok-In,Lim, Dong-Hyun,Hwang, Woon-Ki,Lee, Seung-Min,Kim, Pyoung-Joong,Bang, Hyun-W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3

        황해의 해양환경, 어업자원 및 증양식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에서 해양생태계 보전의 일환으로 황해의 해양환경에 대한 다양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서해수산연구소가 황해에서 수행 중인 모니터링은 연안정지관측, 서해해양조사, 서해어장환경모니터링,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유해적조모니터링, 한중황해환경모니터링조사 및 해파리모니터링 등이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들은 중요 어족의 어장형성 해역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연근해 어업생산성을 제고하고, 기후변동에 따른 향후 수산자원 변동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한반도 주변해역의 체계적인 해양과학자료를 제공하여 수산업, 해양환경보전, 해양레저 등 한반도 주변해역의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연안어장의 지속적 생산을 유지하기 위한 어장환경 관리 및 보전정책 수립을 위한 국가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The 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which is in charge of research on marine environment, fisheries resources and aquaculture carries out various monitoring projects with an aim of marine ecosystem conservation. The monitoring projects include costal oceanographic observation, serial oceanographic observation, fishing ground monitoring, national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harmful algal bloom monitoring, Korea-China joint monitoring on the Yellow Sea and jellyfish monitoring. The monitoring produces basic data on fishing ground locations of main fishery species to improve fishery productivity. The data are also used to estimate variations in fisheries resourc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to set up the policy for creating economic value from fishery, marin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marine leisure activities and conserving/controlling the marine environment for the sustainable production in the fishing groun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복합 CAA 방법과 FRPM 기법을 이용한 냉장고 얼음제조용 원심팬의 광대역 소음 예측

        허승,김대환,정철웅,Heo, Seung,Kim, Dae-Hwan,Cheong, Cheol-Ung 한국음향학회 2012 韓國音響學會誌 Vol.31 No.6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RANS(Reynolds Averaged Navier Stokes) 방정식을 이용하는 복합 CAA(Computational AeroAcoustics) 방법에 광대역 소음원 생성을 위한 FRPM(Fast Random Particle Mesh) 기법을 적용하여 원심팬 광대역 소음 예측을 수행하였다. 먼저, RANS 방정식을 이용하여 원심팬 주위의 유동장을 예측하여 주요한 소음원 영역을 추론하고, 추론된 소음원 영역에 FRPM 기법을 적용하여 통계적 특성을 만족하는 난류를 재생하였다. RANS 방정식으로부터 해석된 유동장과 FRPM 기법으로부터 재생된 유동장을 이용하여 합성한 유동장에 음향상사법(Acoustic Analogy)을 적용하여 원심팬의 소음원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원심팬의 소음원을 경계요소법(Boundary Element Method)으로 구현된 선형전파모델에 적용하여 원심팬의 광대역 소음을 예측하였다. 원심팬에 대한 소음 측정값과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된 기법이 원심팬의 순음 소음 및 광대역 소음 예측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prediction of centrifugal fan was conducted through combination the hybrid CAA method which was used to predict the fan noise with the FRPM technique which was used to generate the broadband noise source. Firstly, flow field surround the centrifugal fan was computed using the RANS equations and noise source region was deducted from the computed flow field. Then the FRPM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source region for generation of turbulence which satisfies the stochastic features. The noise source of the centrifugal fan was modeled by applying the acoustic analogy to the synthesized flow field from the computed and generated flow fields. Finally, the broadband noise of the centrifugal fan was predicted through combination the modeled noise source with the linear propagation which was realized using the boundary element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technique is efficient to predict the tonal and broadband noises of centrifugal fan through comparison with the measured data.

      • KCI등재

        서해 군산 연안의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의 변동

        허승,권정노,박종수,Heo, Seung,Kweon, Jung-Ro,Park, Jong-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국립수산과학원의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년 4회 군산연안의 10개 정점에서의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의 조사시기별 및 정점별 변동을 분석하였다. 용존성무기질소(DIN)의 연도별 평균값은 표층과 저층 모두 비슷한 농도 분포를 보였는데, 10년간 표층 평균은 0.421mg/L(0.198~0.846mg/L)였고, 저층 평균은 0.344mg/L(0.148~0.717mg/L)였다. 연도별 평균값은 표층에서 2002년 0.846mg/L로 가장 높았고 그 이후 차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2010년 0.198mg/L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저층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군산연안의 10개 정점에서의 DIN의 10년간 평균의 암모니아질소, 아질산질소 및 질산질소의 비율은 각각 27%, 3% 및 70%정도로서 대부분 질산질소였으며, 표 저층간의 차이도 거의 없었다. 용존성무기인(DIP)의 연 평균값은 2002년 저층에서 0.085mg/L로 높은 값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표 저층간의 농도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표층에서 10년 평균이 0.024mg/L 였으나, 2008년 0.021mg/L, 2009년 0.007mg/L, 2010년 0.008mg/L로 농도가 급격히 낮아졌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DIN/DIP 농도비를 비교한 결과 표층에서 평균 6.0(3.2~10.1), 저층에서 평균 4.6(2.6~7.0)으로서 2002년을 제외하고는 연도별 및 표 저층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2004년부터 조사된 용존성무기규소는 7년 평균이 표층에서 0.372mg/L, 저층에서 0.352mg/L로 표 저층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표층에서 2005년 평균 0.552mg/L, 2006년 평균 0.575mg/L의 값을 보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09년에는 0.130mg/L로 최소값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염분과 용존성무기영양염류와의 10년간 상관관계는 표층에서 용존성무기질소는 -0.72, 용존성무기인은 -0.46, 용존성무기규소는 -0.63 이었으며, 저층은 용존성무기질소는 -0.70, 용존성무기인은 -0.44, 용존성무기규소는 -0.57로서, 군산 연안의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은 금강으로 부터의 담수유입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금강을 통해 용존성무기질소가 많이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존성무기영양염류는 군산시에 가까운 정점 1, 2, 3에서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금강과 군산시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조사 시기에 따른 농도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연도별 평균값을 보면 2001년부터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의 농도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그 원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variation of the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were investigated four times per year in the costal area of Gunsan, Yellow Sea from 2001 to 2010.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10 stations and phsic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clud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 dissolved oxygen, chemical oxygen demand, chlorophyll a and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The average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DIN) for ten years at Gunsan area showed similar concentration between surface and bottom. The average of DIN at surface was 0.421mg/L (0.198~0.846mg/L) and bottom was 0.344mg/L(0.148~0.717mg/L). The highest value of annual average of DIN at surface was 0.846mg/L in 2002 and the lowest value was 0.198mg/L in 2010. The percentage of ammonia, nitrite and nitrate for the average DIN of 10 years showed 27%, 3% and 70% which showed most of DIN was nitrate. Dissolved inorganic phosphate(DIP) for ten years at Gunsan area showed similar concentration between surface and bottom and DIP was decreasing from 2003 to 2010. The average of DIP of 10 years was 0.024mg/L and annual average 0.021mg/L in 2008, 0.007mg/L in 2009 and 0.008mg/L in 2010 which showed decreasing pattern from 2007 to 2010. The average of DIN/DIP ratio from 2002 to 2010 was 6.0(3.2~10.1) at surface and 4.6(2.6~7.0) at bottom. The average value of dissolved inorganic silicate from 2004 to 2010 showed 0.372mg/L at surface layer and 0.352mg/L at bottom layer and was on decreased from 2006 to 2010. The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knowrelation among the salinity and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at the surface and bottom layer. The correlation factor of DIN was -0.72, DIP was -0.46 and dissolved inorganic silicate was -0.63 at surface layer and DIN was -0.70, DIP was -0.44 and dissolved inorganic silicate was -0.57 at bottom layer. The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at the nearshore of Gunsan was affected from the freshwater discharge of Geum river. Especially, a lot of DIN flowed into the nearshore of Gunsan from Guem river.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at Gunsan showed high at station 1, 2 and 3 and there was a little concentra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ruise time.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showed high value at the station 1, 2, 3 which exist nearshore of Gunsan city and it means these stations mainly affected by Geum river and Gunsan city. The annual average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showed gradually decreased from 2003 to 2010 and we need more research on this conditions.

      • KCI등재

        원심팬 볼루트 영역내 순음 소음원의 상대적 기여도 분석

        허승,김대환,정철웅,Heo, Seung,Kim, Daehwan,Cheong, Cheolung 한국음향학회 2014 韓國音響學會誌 Vol.33 No.1

        원심팬 날개 깃에서 발생한 와류와 원심팬 볼루트 사이의 상호작용은 원심팬의 주요한 소음원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소음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원심팬의 주요한 소음원 영역으로 고려되는 원심팬 볼루트 영역을 세분화하여 볼루트 영역내의 상대적 기여도를 분석한다. 주요한 소음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소음을 예측하기 위해 내부 음장용 복합 전산공력음향학(CAA, Computational Aero-Acoustics)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과 음향상사법(Acoustic Analogy), 그리고 경계요소법(BEM, Boundary Element Method)을 사용하여 원심팬 내부 유동장으로부터 방사한 소음을 원심팬 외부 음향장에서 예측하는 방법이다. 복합 CAA 방법을 이용한 원심팬 볼루트 영역내의 소음원의 상대적 기여도 분석은 컷-오프영역으로부터 출구영역보다 컷-오프영역으로부터 원심팬 스크롤영역이 전체 소음에 대한 기여도가 높고, 날개 깃의 쉬라우드 영역보다 허브 영역이 전체 소음에 대한 기여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저소음 원심팬 개발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nteraction between the unsteady flow emitted from the blade of the centrifugal fan and the volute tongue region of fan duct is known as the main noise source of the centrifugal fan. In this paper,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volute tongue region of the centrifugal fan is analyzed to utilize as the foundation data of low noise design. The internal hybrid CAA (Computational Aero-Acoustics) method is used to predict noise radiated from the main noise source. This method is the noise prediction technique using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coustic analogy, and BEM(Boundary Element Method).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centrifugal fan volute tongue region using the hybrid CAA method show that the region between the cut-off and the scroll has high contribution than the region between the cut-off and the outlet and the hub region of blade has high contribution than the shroud region of blade. These results is utilized as the important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ow noise centrifugal fan.

      • KCI등재후보

        황해 공동 관리시스템 기반 조성을 위한 한.중 황해환경공동조사

        허승,안경호,박승윤,박종수,강영실,손재경,김평중,김형철,황운기,이승민,황학진,최용석,고병설,방현우,Heo, Seung,An, Kyoung-Ho,Park, Soung-Yun,Park, Jong-Soo,Kang, Young-Shil,Shon, Jaek-Young,Kim, Pyoung-Joong,Kim, Hyung-Chul,Hwang, Woon-Ki,Lee, S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5 No.3

        한 중 황해환경공동조사 연구는 1993년 11월 한 중 환경협력에 기초하여 1995년 5월 한 중 환경협력공동위원회에서 채택되어, 1997년부터 매년 1회씩 한국과 중국이 황해에 대한 공동조사 및 분석을 격년별로 주관하여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 중 양국이 황해를 대상으로 양국 과학자가 공동으로 승선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는 연구로서, 황해에서 해양환경의 특성과 잠재적 오염압력을 평가하고,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황해 환경에 대하여 한 중 양국이 국가적 차원에서 공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황해 오염현상의 공동연구를 통한 한 중 간 해양환경 협력 기반을 구축하고, 황해에 대한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해양학적 자료의 축적 및 황해환경 보전을 위한 자료 제공 등 한 중 간 창해 공동관리 시스템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조사된 결과, 조사해역의 해양환경은 양호한 상태로서 해역 생활환경 수질기준 I등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매년 황해의 COD 값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 양국 연안지역에서의 인구밀집과 산업화로 인하여 해양환경오염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으로 오염 부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실시된 한 중 황해환경 공동조사는 연 1회 실시되고 있어, 황해의 다양한 해양환경 특성을 상세히 밝히기는 어려우나, 한 중 양국 간 황해 관련 각종 환경정책을 입안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산출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양국은 앞으로 조사 횟수, 조사해역 및 조사항목을 연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The Yellow Sea is extremely important to the economy and to the health and well-being of surrounding countries, Korea and China. Recently, the Yellow Sea is under constantly increasing threat of degradation due to the increa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over-fishing. The governments of Korea and China have been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Yellow Sea and reached an Environmental Agreement between Korea and China at the governmental level(November, 1993) According to this environmental agreement the Yellow Sea Environmental Cooperative Research between Korea and China has been undertaken since 1997. The joint cruise had been conducted once a year at 33 stations in the 4 lines of the Yellow Sea where the 9 stations of the D line was newly added in the 7th cruise in 2003.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scientists of both countries at the WSFRI, Korea and the OEMNC of the SEPA, China in turn, the annual report has been published every year during 1998-2008. The scientific efforts to fix the cruise time in October and to extend research frequency, as twice a year, should be considered, and this requires the governmental supports such as research funds and other related administrational assistance on both sides. Finally, scientists should also pay a concentrated attention to standardize the analytical methods including quality control and to improve this Yellow Sea research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projects in the Yellow Sea where sharing additional informations available, if exist of dumping sites and material content, and of the freshwater quality will be of great help to broaden the output of this joint research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