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과 전공의의 소진과 대처 과정에 대한 경험: 근거이론 접근

        허보연,김양선,신효정 한국건강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8 No.6

        본 연구는 외과 전공의가 경험하는 소진과 소진에 대한 대처 과정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질적연구방법인 근거이론에 기반하여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3차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외과 전공의 9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73개의 개념으로부터 34개의 하위범주와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외과 전공의들이 경험하는 소진(burn-out)의 인과적 조건은 개인적 삶과 일과의 불균형, 초심의사로서 맞닥뜨리는 과중한 책임감과 전문성에서의 미숙함으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으로는 수련생활과 직장생활에 따른 이중고, 전문의가 되기 위한 긴 과정, 선배(의사들)에게 도움을 받기 어려운 환경, 병원 내 관계적인 갈등이 나타났다. 소진의 중심현상은 체력적인 한계에 마주하게 되고, 감정적으로 소모되고, 아무것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무기력해지며, 직업적인 회의감을 느끼게 되는 등 의사로서의 직업적인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업무숙달, 성취감 경험, 직접 도움을 받은 경험과 더욱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개인적 성격 특성 등의 중재적인 조건이 작용/상호작용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된 외과 전공의들은 힘든 생각을 차단하거나 당장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일시적인 대처와, 적응적인 생각과 행동으로 전환하거나 위로와 지지를 얻기 위해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거나 쉼, 운동, 종교 등의 자기 돌봄 활동을 하는 등의 문제해결에 초점을 맞춘 적응적인 대처를 번갈아 활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외과 전공의들은 긴 수련과정에 대한 수고스러움을 되새기고 소진으로 인해 잊고 있었던 직업선택에 대한 동기와 직업의식을 상기시키는 등 의사로서의 역할을 성찰하고 소명을 재정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과 전공의의 소진 경험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grounded theor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gain further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burnout experienced by surgeons and the process of coping with burnout. For this purpos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surgical resident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based on grounded theory, 34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73 concept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ausal conditions for burn-out experienced by surgical residents were imbalance between personal life and work, excessive responsibility experienced by a novice doctor, and inexperience in professionalism. The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d double hardship of training and working life, long process to become a specialist, environment where it was difficult to receive help from seniors (doctors), and relational conflicts within the hospital. The central phenomenon of burnout was found to be the experience of a professional identity crisis as a doctor, such as facing physical limitations, becoming emotionally exhausted, feeling helpless, and experiencing professional skepticism. In this process, work mastery, experience of accomplishment, experience of receiving direct help, and person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at further increased the difficulty were found to influence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s mediating conditions. To cope with this, exhausted surgical residents alternately used immediate responses to resolve immediate difficulties and adaptive responses focused on problem solving. As a result, surgical residents were found to reflect on their role as doctors and reorganize their calling by reflecting on hardships of the long training process and recalling the motivation and professionalism for choosing a career that had been forgotten due to burnout. Finally, we comprehensively discussed the burnout experience of surgical residents and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개념도 방법을 통한 여자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탐색

        허보연,김봉환 한국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대학생이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지각하고 있는 진로장벽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밝히는 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따랐다. 먼저,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의 여자대학생 3․4학년 15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하였고, 얻은 응답 자료를 수집한 결과 총 312개의 아이디어가 수집되었다. 추출된 아이디어는 분류 가능하도록 종합․편집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50개의 진술문으로 축약되었다. 최종 진술문은 다시 15명의 연구 참여자들이 분류하고, 각 진술문의 지각 정도를 평정하였다. 분류 결과를 토대로 다차원 척도법(ALSCAL법)과 위계적 군집분석(Ward법)을 실시하여, 2개 차원(개인-환경, 주관적-객관적), 7개의 군집(진로에 대한 준비부족, 직업 환경의 제약, 사회적 환경으로 인한 진로선택의 한계, 진로 준비단계에서 오는 불안감, 주위 사람들의 시선에 대한 부담, 노동시장에서의 현실적 자기이해와 낮은 기대, 개인의 희망과 외부조건 사이의 갈등)으로 구성된 개념도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여자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적극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process of career decision. In doing so, 15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interviewed, resulting in the collection of 312 ideas. By being synthesized and edited, the final statements reduced to 50. At the next step, the 15 participants classified and rated these 50 final statement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extract dimensions in the previously classified and rated statements. Results showed that concept map was consisted of two dimensions(‘individual-environment’, ‘subjective-objective’) and seven clusters(‘Lack of preparation for career’, ‘Constraints in job environment’, ‘Limitation in career selection due to social environment’, ‘Anxiety coming from career preparation’, ‘Strain due to others’ attention’, ‘Realistic self-understanding and low expectation in labor market’, ‘Conflicts between personal hopes and external conditions’).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 to a researcher and practitioner who develop a counseling program to resolve career barriers.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의 고립감과 우울의 관계: 자기연민과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허보연,김양선,신효정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2 人間理解 Vol.43 No.1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solation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during Covid-19 and to confirm whether family strength and self-compassion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solation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iversity students’ isolation depending on lecture participation method and whether to go out in Covid-19;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depending on gender and whether to go out. Second, self-compassion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solation and depression. Las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이 경험하는 고립감과 우울의 양상을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살펴보고, 고립감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연민과 가족건강성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여 368명의 자료를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3.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고립감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연민과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고립감은 수업방식과 외출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우울의 경우 성별과 외출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립감은 자기연민 및 가족건강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우울도 자기연민 및 가족건강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고립감과 우울의관계에서 자기연민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와 같은 사회적 재난의 상황에서 대학생이 경험하는 고립감과 우울을예방하고 대처하는데 자기연민이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불안의 매개효과와 독립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정희,허보연,강연우,송언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3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과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와 독립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대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하여 내현적 자기애 검사, 직업결정 검사, 불안 검사, 진로태도 성숙도의 독립성 검사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의 하위변인인 ‘우유부단’ 간의 관계에서 불안이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독립성 수준에 따라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의 하위변인인 ‘필요성 인식 부족’과의 관계가 달라진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독립성 수준이 낮을 때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클수록 진로에 대해 필요성을 덜 인식하지만, 독립성 수준이 높을 때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더라도 진로에 대한 필요성을 더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큰 사람들이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게 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이들이 진로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독립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진로상담에 갖는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nd moderating effect of independence, the subscal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n the relation of covert narcissism and career indecision among 234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xiety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decisiveness', the subscale of career indecision. Second, independence, the subscal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the lack of recognition about necessity’, a subscale of career indeci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n career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제시동기에 따른 자기애와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송언희,강연우,허보연,하정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3

        본 연구는 대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하여 내현적 자기애 및 외현적 자기애가 진로미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자기제시동기 수준에 따라서 외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과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변인 가운데 목표불안정, 인정욕구/거대자기 환상, 소심/자신감 부족이 진로미결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가운데 목표불안정 요인이 진로미결정의 하위변인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외현적 자기애의 하위변인인 자신감은 진로미결정 하위변인에 공통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발견하였다. 둘째, 외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간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제시동기가 조절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성격특성을 밝혀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진로미결정과 관련된 자기애의 긍정 부정 특성이 자기제시동기 수준에 따라 달라짐을 발견함으로써 자기애와 관련된 연구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는 데에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how covert and overt narcissism affects career indecision. It also sought to examine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t narcissism and career indecision differs depending on levels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mong the 234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Goal Instability, Need for Attention/ Self-Aggrandizing Fantasy, Timidity/Confidence Deficiency, and subscales of covert narcissism correlated to career indecision positively. This was especially so in terms of Goal Instability, a subscale of covert narcissism which was a common factor affecting subscales of career indecision. Moreover, Self-Confidence, a subscale of overt narcissism, was a common factor negatively affecting subscales of career indecision. Second,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t narcissism and career indecision.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that it illuminates many of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hich influence career indecision.

      • KCI등재

        COVID 19 시기의 청소년기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잠재프로파일 유형화와 SNS중독

        윤지연,민혜영,유미선,허보연,박영민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tegorize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find out whether typification affects SNS addiction. To this end, Latent Classe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a total of 646 teenagers who responded to the 2022 Community Youth Opinion Survey conducted by Sogang University's Life Culture Research Institute,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ypes. As a result, firs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nd they were named 'communication facilitation', ‘communication deficits’, 'communication intermediate', and 'momentive communication'.Second, about 80% of the total study subjects belonged to the lower-middle group i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communication with mothers was found to be high in all groups. Third, Among the types of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during the COVID-19, ‘communication deficits' showed higher levels of SNS addiction than the 'communication facilitation'', which resulted in the same results compared to the 'communication intermediate', and 'momentive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adolescent parents was confirmed, and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was suggested in relation to it.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시기의 청소년의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유형화하고, 유형 간 SNS 중독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한 ‘2022년 지역사회 청소년 의견조사’에 응답한 청소년 총 646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하였고 이를 통해 나눠진 유형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은 4개의 하위집단으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프로파일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통취약형(9.4%)’, ‘소통 중간형(70.1%)’, ‘소통원활형(15.5%)’, ‘모편향소통형(4.3%)’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전체 연구 대상의 약 80%가 부모와의 의사소통에서 중간 이하의 집단에 속했으며, 유형화를 통해 도출된 네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기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 중 ‘소통취약형’이 ‘소통원활형’보다 청소년 자녀들의 SNS 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모편향소통형’과 ‘소통중간형’과의 비교에서도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자녀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개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마음챙김 자기연민(SCHC) 프로그램 참여에 관한 외과 수련의 마음챙김과 자기연민 경험: 합의적 질적 분석

        김양선(Yang Sun Kim),허보연(Bo Yeon Huh),신효정(Hyojung Shin)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외과 수련의들이 의료현장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고통의 순간을 이해하고, ‘온라인 마음챙김 자기연민(Self-Compassion for Healthcare Communities: SCHC)’ 프로그램 참여에 관한 외과 수련의 마음챙김과 자기연민 경험을 탐색하여 추후 SCHC 프로그램 수정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3차 의료기관에서 전공의 또는 전임의로 근무 중이며 SCHC 프로그램에 참여한 8명에게 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 총 6개의 영역과 31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은 ‘마음챙김-자기연민이 도움이 되었던 스트레스와 심리적 고통의 순간’으로, 환자의 상태가 나빠질까 불안, 압박감을 경험할 때, 환자가 사망했을 때 도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영역은 ‘SCHC 프로그램 참여 동안의 인식 변화’로 프로그램 참여 동안 참여자들은 고통의 순간 멈추어 자신의 감정과 상황을 명확히 보고, 여유를 찾는 중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자신을 친절히 대하는 대처방법을 알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영역은 ‘SCHC 프로그램 후 일상생활에서의 변화’로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위로, 진정됨, 이완됨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영역은 ‘수련의가 지각한 도움이 된 세부 프로그램’으로 고통의 순간을 알아차리고 잠시 멈추어 여유를 되찾는 프로그램이 도움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영역은 ‘수련의가 지각한 어려움이나 저항이 생겼던 세부 프로그램’에 대한 것으로 ‘평정심’ 실습이 포함되었다. 여섯 번째 영역은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제안’으로 주로 구성원, 시간, 장소에 대한 의견들이 나타났다. explore the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experiences of surgical trainees participating in an online ‘Self-Compassion for the Healthcare Communities (SCHC)’ program. Eight surgical trainees working as residents or fellows in tertiary medical institutions in Gyeonggi-do who participated in the SCHC were interviewed. Data analysis followed the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 Method (CQR), resulting in six domains and 31 categories. The first domain focused on moments of psychological distress where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helped. The second domain examined changes in awareness during the SCHC. the third domain explored changes in daily life after the SCHC. The fourth domain discussed helpful program details. The fifth domain addressed program details where difficulties or resistance arose. The sixth domain provided operational suggestions. Finally, the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long with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청정개발체제 사전 타당성 평가 프로그램 개발

        박종배(Jong-Bae Park),정윤원(Yun-Won Jeong),이우남(Woo-Nam Lee),이상형(Sang-Hyung Lee),원성희(Sung-Hee Won),허보연(Bo-Yeon Hur),오대균(Dae-Gyun Oh),하경애(Gyung-Ae Ha)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The cost-effectiv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 to avert the most severe impacts of climate change remains one of the widely accepted priorities for global action. In order to facilitate cost-effective abatement strategies, the Kyoto Protocol introduced three mechanisms, or flexible instruments, the Emissions Trading (ET), the Joint Implementation (JI) and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The CDM enables Annex I countries to the Kyoto Protocol to partially meet cost-effectively their emission reduction commitments by undertaking GHG mitigation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which do not have any GHG abatement obligations and where the emission reductions arc cheaper. One of the major barriers hampering the wide spread implementation of CDM is the high transaction costs associated with the initial identification of promising CDM projects. This paper presents development of a pre-validation program of CDM. The developed program may provide a useful aid to potential investors and project developers as a supportive pre-evaluation tool, and may become an effective tool for the promotion of renewable energy and fuel switching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