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R. Carson의 `경이감` 사상이 지속가능발전 지향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

        허미화(Huh, Mi-Hw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Rachel Carson의 사상 전반에 기초하되 특히 그녀가 중시하는 ‘경이감’ 사상과 그것이 지속가능발전 지향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점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Carson의 주된 저서들과 그녀의 전기와 평전, 사진과 동영상 기록물 등이었다. 연구 결과, Carson의 ‘경이감’은 자연 사랑과 돌봄으로 이끄는 핵심적 정서를 의미하며, ‘경이감’ 사상이 담고 있는 메시지는 자연과의 친화 중시, 생태중심주의, 존재목표 지향이었다. 그리고 ‘경이감’ 사상이 지속가능발전 지향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았다. 즉, 첫째로 유년기에 자연환경 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함으로써, 둘째로 모든 생명체 혹은 비생명체들의 조화를 강조하는 생태중심주의적 태도를 견지하도록 함으로써, 그리고 셋째로 ‘소유목표’가 아닌 보다 ‘존재목표’ 선택적 삶의 기쁨과 행복을 경험하도록 이끌어 줌으로써, 그들이 생태계를 건강하게 지키고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일에 앞장서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마지막으로는, 유아교사가 자기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지원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has studied the thought for ‘the sense of wonder’ and its implication which would g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overall thoughts of Rachel Carson. The research materials are Carson"s major writings, her biographies, pictures, and video records etc. As research results, Carson’s ‘sense of wonder’ means the core emotion leading to the love of nature and care, and the messages which the thought for ‘the sense of wonder’ includes are an emphasis on the intimacy with nature, an ecocentrism, and the orientation of ‘goals for being’. The implication, which Carson’s thought for ‘the sense of wonder’ would giv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as follows; Young children could take the lead in protecting healthy ecosystem and seeking after a harmony with nature, first by being provided many opportunities that their sensitivity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uld be enhanced, second by being forced to sustain the ecocentric attitude which emphasizes a harmony between living creature and non-living things, and third by being guided to experience the joy and happiness of the life that pursues not ‘the goals for having’ but ‘the goals for being’. Finally, this research has also suggested to support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 that they c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 KCI등재

        과학적 개념이 포함된 그림책을 통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허미화(Huh, Mi Wha),안경숙(Ahn, Gyoung Suk),신애선(Shin, Ae Sun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과학적 개념이 포함된 그림책을 통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K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9명(실험집단 20, 비교집단 19)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과학적 개념이 포함된 그림책을 통한 토의활동을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과학적 개념이 포함된 그림책을 통한 토의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과학적 개 념이 포함된 그림책을 통한 토의활동은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적 개념이 포함된 그림책을 통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뿐만 아니라 언어표현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동임을 시사해준다 고 하겠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effect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verbal expression skills which discussion activities with picture books containing scientific concepts affect. For this study, five-year-old 39 young children (experimental group 20, comparative group 19), who are attending K kintergarten which is located at J city of Jollabukdo, a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of young children, the discussion activities with using picture books containing scientific concepts have been performed for twelve weeks. The result of study has revealed followings; First, discussion activities with picture books containing scientific concepts resulted in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Second, discussion activities with picture books containing scientific concepts resulted in a positive effect on verbal expression ski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scussion activities with picture books containing scientific concepts are those of affecting positive impacts on not only young children’s scientific concepts but also their verbal expression skills.

      • KCI등재

        이혼가정 아동의 사회적 적응을 돕는 방안들에 관한 고찰

        허미화(Huh MiHw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4

        산업사회적 가치의 확산으로 인하여 높은 이혼율을 경험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는 증가하고 있는 이혼가정 자녀의 사회적 적용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혼 전에 극단적인 갈등과 폭행을 경험한 자녀들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부모이혼이 장단기적으로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가정 자녀들의 사회적 적응을 돕는 방안으로써 이혼을 전후하여 부모의 자녀를 향한 사려 깊은 의사소통, 이혼 후 환경적인 변화의 최소화, 아동의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는 작업, 확대가족들과의 교류 증대 등을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가정 내의 노력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사회와 국가의 수고가 병행되어야 하며, 적절한 아동상담프로그램의 개발이 요청되는 바이다. In Korean society which is experiencing a high divorce rate caused by an expansion of industrial society value, we are faced with a serious issue of how children of the divorce family adjust themselves to the society. The divorce of parents appears to give negative effects on children in a short or long period except a case of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extreme conflicts and physical violence. As ways to help the children of divorce family to adjust the society, I have researched a thoughtful communication with children before or after the divorce, a minimization of environmental change after the divorce, a work to reinforce a self-efficiency, and an increase in contacts with extended family members. In order for these kinds of family efforts to result in fruits, it is desired that a whole society and the government make efforts and that adequate child counseling programs need to be develop.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교사 - 학생간 상호작용을 통한 인성교육 가능성 탐색

        허미화,김인전 한국초등교육학회 2001 초등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인성 및 인성교육과 관련된 문제점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 및 의견조사를 통하여 추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심층 면담을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고 학생 및 교사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상황 속에서 어떠한 덕목들이 현재 지도되고 있으며, 또 지도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토의하였다. 그 결과 인성교육의 여러 덕목들은 학교생활 장면에서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어떤 상황에서든지 교사로부터 그들에 대한 사랑과 관심과 격려를 원하며, 또한 학생들은 타당성 있고 공정한 개입이라고 인정할 경우에만 교사의 언행을 긍정적으로 지각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year study that humanities education should take the form of informal student-teacher interactions in every day school life. To explore how the component factors of desirable humanities education were included and exercised in school we examined how various conflic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were handled, and how the student-teacher interactions were taking place in the conflict situation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student-teacher interactions, we adopt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in our investigation.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34 teachers and 151 students from 3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area. Eight interview questions were constructed which represented conflic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side and outside classroom settings. The data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in three major categories which identified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ree aspects, that is, relations between the domain of humanities education and instruction, students' reponses to teachers' act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three component factors of humanities education can be dealt within the context of student-teacher interactions in class and out of class at school. (2) Students perceived verbal persuasion of teachers as the most positive way of handling conflict situations. (4) Students perceived teachers' intervention in conflict situations positively, but only when the intervention was fair and appropri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