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책임의사 이상의 '공백'적 글쓰기

        한혜린 한국시학회 2020 한국시학연구 Vol.- No.61

        Yi Sang describes the true colors of the fear right in front of him after his poetic works were refused from newspaper as a universal place. His family’s demands and expect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atriarchal order were the frightening situation that dominated and repressed Yi Sang himself. He brings a ghost, unsubstantive being that exceeds the order of the world where he belongs to, into life. The ghost Yi Sang subpoenaed confirms the process of literature (art) that he started in 1931. The appearance of ghosts leads to a ‘maze’ way, and in the maze, which is a dead end but also an open alley, the ghost never ceases to repeat in such a way that it does not exceed while constantly galloping for an exit. A maze accurately reproduces the structure of a patient's mind when he visits a doctor (psychoanalyst). Yi Sang hoped his text would refuse to be tamed in a huge maze, and his texts would be freed from the maze and work as the ghost threatening the real world. Patient who hover in the maze with symptoms finds a physician in charge and diagnose themselves. while responding to or suppressing impulses. In a poem where the conversations take place with patients, the physician in charge does not invite the patient to his or her world, but instead visits the patient's world and waits for the patient's own unique world to be created in his or her linguistic activity. The physician in charge’s roles are to capture the escape of things that used to dominate the patients paralyzed by others’ gaze, and also to compose the symptoms. The physician in charge, Yi Sang does not judge and diagnose patients who are governed by the world's order by their own knowledge, and induces them to reveal their own void. In this interview situation(literary act), the writer Yi Sang diagnoses and names himself as a patient and a physician in charge, and then acquired death(void). This process pays attention to the process in which an (objectified) (non) subject captured by something becomes a subject by exceeding the common notion in which a doctor treats a patient i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In the poetry, the work of erasing the boundary between two of them by appearing as a ‘physician in charge [writer]’ and ‘patient[poetic narrator]’ shows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focusing on the ‘subject of (analysis)’. It gives up its desire to settle in the world’s order and is born into a writing entity in the form of ‘void’. The physician in charge, Yi Sang includes the void in his works, and transfers that to readers. His poems waits that the readers’ stereotypes could be collapsed and the readers’ language could be newly beginning in a place of void. 이상은 자신의 시작詩作이 신문이라는 보편의 장소에서 거부당한 이후, 자신의 앞에 놓인 공포의 정체를 서술한다. 가부장적 질서에 따른 가문의 요구와 기대는 이상 자신을 지배하고 억압하는 무서운 상황이었고, 그는 자신이 속한 세계의 질서를 넘어서는 환영적 존재인 유령을 출현시킨다. 이상이 소환한 유령은 그가 1931년부터 시작했던 문학(예술)의 절차를 확인하게 한다. 유령의 출현은 ‘미로’적인 방식으로 이어지는데, 막다른 골목인 동시에 뚫린 골목인 미로에서 유령은 출구를 찾아 끊임없이 질주하는 동시에 초과하지 않는 방식으로 반복운동을 멈추지 않는다. 미로는 의사(정신분석가)를 찾아오는 환자의 마음의 구조를 정확히 재현한다. 이상은 자신의 텍스트가 거대한 미로 속에서 길들여짐을 거부하고, 미로로부터 해방되어 현실 세계를 위협하는 유령처럼 기능하기를 바랐다. 충동에 화답하거나 억제하면서 미로 속을 증상과 함께 맴돌던 환자는 책임의사를 찾아 스스로에게 진단을 내리게 된다. 환자와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시에서 책임의사 이상은 자신이 속한 세계로 환자를 초대하는 것이 아닌, 환자가 속한 세계로 찾아가 환자 자신만의 고유한 세계가 언어적 활동 속에서 창안되기를 기다린다. 책임의사의 역할은 타자의 시선에 마비되었던 환자인 자신을 지배하던 것들이 빠져나가는 무언가를 포착하는 일, 즉 증상을 구성하는 일이다. 책임의사인 이상은 세계의 질서에 지배받는 환자를 자신의 지식으로 판단하여 진단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 스스로 공백을 드러내도록 유도한다. 이로써 내담 상황(문학 행위)에서 작가 이상은 환자인 동시에 책임의사로서 스스로를 진단하며 죽음(공백)을 획득한다. 시에서 ‘책임의사[작가]’이자 동시에 ‘환자[시적화자]’로 등장하며 둘 사이의 경계를 지워가는 작업은 ‘(분석)주체’를 중심으로 재구조화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과정은 의사가 환자를 치료한다는 통념을 넘어서서, 어떤 것에 사로 잡혀있는 (대상화 되어있는) (비)주체가 주체로 되어가는 과정에 주목하는 것이다. 이는 세계의 질서 속에 안주하고자 하는 욕망을 포기하고, ‘공백’이라는 형태를 통해서 글을 쓰는 주체로 태어나는 것이다. 책임의사인 이상은 작품 내부에 공백을 포함시키고, 이를 독자에게 양도한다. 이상의 시는 독자의 고정관념이 몰락하기를, 공백의 장소에서 독자의 언어가 새롭게 시작하기를 기다린다.

      • KCI등재

        오규원의 ‘날이미지시’에 나타난 여백의 리얼리티와 환유적 확장

        한혜린 한국시학회 2019 한국시학연구 Vol.- No.59

        Oh, Kyu-Won aimed to describe not ‘the nature as the physical world’, but ‘the nature as something responded’ in his poetry. This description builds up the poetic meanings when the realistic situations and psychological shadow are added to it. The meanings built up like this are not the interpretive meanings in abstract form, but the representational meanings in sensuous form, which is revealed in the metonymic language system distinct from metaphor. By pushing it forward to the extreme, the poet presents the poetry showing an extreme of irreversible ‘truth’ that includes nothing except for the realistic description. From the extreme of ’truth’, the meanings of the ‘truth’ are generated from then. Even though the truth of poetry presents the ‘reality’, it has meanings more than ‘something realistic’. Just as shown in the proses and poetry by Oh, Kyu-Won, the poet pays attention to a medium of photograph. To Oh, Kyu-Won, the photograph was something that had the independent structure distinct from other representation systems. The photograph is the objective result of machine, which is automatically formed in the absence of humans. The referent in a photograph is ‘the realistic world’ ‘as it is’ with no given meanings as a trace of a being. ‘The viewpoint that could read the truth as the truth’ mentioned by Oh, Kyu-Won is through a camera lens that does not allow the intervention of humans’ consciousness. The contingency from details that is neither intentionally composed by a photographer nor explained by causality, causes the meanings of subjective subject. Thus, the world of existence which is the result of mechanical reproduction becomes a semantic image of vacant blank space that will be soon filled with something by audiences. The poetry of blank space containing the realistic world is not a transmitting sign that releases meanings, but a receiving sign that receives the subjective experience and imaginary consciousness of gazers. The concept of ‘metonymy’ mentioned by Oh, Kyu-Won penetrates all the principles of formation and reception level of poetry(photograph). Through the raw image poetry based on the photographic structure, the poet paid attention to the phenomenology of mind occurring between people responding to poetry(readers). Through the raw image poetry for the exclusion of abstraction, Oh, Kyu-Won eventually aimed to talk about not the reality, but the power of metonymic expansion as a psychological phenomenon of responding readers. This raw image poetry becomes an image of formation that breathes together with the world through the exchange of meaning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erator and viewer. Such unfixed ‘living language’ is originated from the power of metonymy causing the aesthetics of blank space. 오규원은 ‘물리적 세계로서의 자연’이 아니라 ‘반응한 것으로서의 자연’을 시에 묘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묘사는 사실적 정황들과 심리적 음영이 함께 더해지면서 시적 의미를 축조한다. 이 때 축조되는 의미는 관념적인 형태의 해석적 의미가 아닌, 감각적 형태의 표상적 의미로서 은유와는 구별되는 환유적 언어 체계 속에서 드러난다. 시인은 이를 보다 극단적으로 밀고 나감으로써 사실적 묘사 이외에 아무것도 없는, 어떤 것으로도 환원될 수 없는 ‘사실’의 한 극단을 보여주는 시를 제시한다. ‘사실’의 한 극단에서 그 ‘사실’의 의미는 그때부터 다시 발생한다. 시에서의 사실은 그것이 비록 ‘즉물성’을 내세운다고 해도, ‘즉물적인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오규원의 산문과 시에서 볼 수 있듯이, 시인은 사진이라는 매체에 관심을 기울인다. 오규원에게 사진은 다른 재현 체계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사진은 인간의 부재 상태에서 자동으로 형성되는, 기계가 갖는 객관적인 결과물이다. 사진 속의 지시대상은 존재의 자국 그 자체로서 어떠한 의미도 부여받지 않고 ‘그냥 그대로 있는’ 사실적인 세계이다. 오규원이 말한 ‘사실을 사실로 읽을 수 있는 시각’은 인간 의식의 개입을 허용하지 않는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서이다. 사진가에 의해 의도적으로 구성되지도 또한 인과관계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세부로부터 날아오는 우연성은 지극히 주관적인 주체의 의미를 불러온다. 이로써 기계적 재생의 결과인 현존의 세계는 관객에 의해 곧 무엇으로 채워질, 의미적으로 텅 빈 여백의 이미지가 된다. 사실적 세계를 담는 여백의 시는 의미를 방출하는 발신기호가 아닌, 응시자의 주관적 경험과 상상적 의식작용을 받아들이는 수신기호이다. 오규원이 말한 ‘환유’라는 개념은 시(사진)의 생성원리와 수용층위를 모두 관통한다. 시인이 사진적 구조에 기초한 날이미지시를 통해 주목한 것은 시에 반응하는 자(읽는 자) 사이에서 일어나는 정신 현상학이었다. 오규원이 관념 배제를 위해 나아간 날이미지시를 통해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한 것은 사실적인 것으로서의 즉물성이 아니라, 그것으로부터 반응하는 독자의 정신적 현상으로서의 환유적 확장의 힘이다. 이러한 날이미지시는 작동하는 자와 바라보는 자의 관계 속에서 의미의 들고남으로 세계와 호흡하는 생성의 이미지가 된다. 굳어 있지 않은 ‘살아 있는[生] 언어’는 여백의 미학이 일으키는 환유의 힘에서 온다.

      • KCI등재

        김현 비평에 나타난 ‘나’와 ‘만남’의 문제

        한혜린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6

        김현 비평은 ‘시는 무엇인가’ 라는 물음으로 출발하며, 이는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 곧 ‘나’를 찾아가는 과정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는 대상으로(밖으로) 향하던 마음을 내부로 돌려서 ‘나’를 보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인식은 ‘나’가 대상을 대하는 방식과 태도를 발견하게 하고, 새로운 ‘나’를 찾게 한다. 타자에 의한 자기 상실과 자기 분열의 역사를 경험한 김현에게는 서구로부터 한국문학 나름의 주체성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다.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 고유의 주체성을 찾고자 한 열망은 김현이 비평적 자의식을 모색하던 1960년대의 초기 비평으로부터 연원한다. 김현의 공식적인 비평 활동은 이원론적으로 찢긴 자아의 분열과 혼란으로부터 ‘시(문학)’ 그리고 ‘나’에 대한 물음의 해답을 찾는 것으로 출발한다. 김현에게 혼돈과 미결정의 삶은 질서에 대립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나’로 향하는 신생의 조건이자 근원지이다. 분열과 간극에서 시작된 ‘나’에 대한 물음은 ‘악에의 욕구’를 자각하게 한다. 타자의 현재를 교묘히 자아의 현재 속에 용해시키고 타자를 과거화해 버리는 ‘악에의 욕구’는 ‘진정한 만남에의 욕구’로 전환된다. 타자와의 진정한 ‘만남’은 ‘나’가 주관화 작용을 멈추고 새로운 바라봄의 자세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의 ‘나’라는 주체성은 고정된 실체적 존재가 아니라, ‘만남’의 활동을 통한 계속적 자기 형성의 과정이다. 김현의 새로운 시도는 ‘나’와 ‘너’의 만남을 통하여 나와 세계가 존재한다는 것, 즉 ‘만남’을 존재의 근거로서, 그리고 모든 것에 선행하는 것으로서 사유하고자 한 것이다. 김현에 따르면 ‘만남’의 문제는 안과 밖이라는 위상의 문제가 아니라, ‘자신이 갇혀있다고 느끼느냐 아니면 해방되어 있다고 느끼느냐’인 의식에 문제에 달려 있다. ‘만남’을 통한 새로운 ‘나’에 대한 물음은 ‘나’라는 굴레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한다. 김현이 서양의 거울에서 자기 확장의 나르시시즘적 역사를 보았다면, 공(空)을 상징하는 동양의 거울에서 ‘텅 빈 마음’을 확인한다. 동양의 거울은 ‘텅 빈 마음’이기에 타자의 존재를 배척하지 않고 온전히 받아들여 비추되, 간직하려 하지 않는다. 접촉이라는 조건을 통해 사물을 반사하고, 조건이 다하면 사물이 사라지는 텅 빈 거울은 주체와 대상의 만남이 불완전한 하나의 현상임을 가리킨다. 즉, ‘만남’의 원인이 주체가 대상과 접촉하면서 일어나는 작용만 있고, 실체가 없는 ‘공(空)’과 관련된다. ‘만남’이 관계의 활동으로서 일어나기에 주체는 실체가 아닌 생성이 된다. 김현은 공(空)의 상징인 텅 빈 거울을 통해 ‘나’라는 주체성이 타자를 온전히 받아들이나 간직하지 않는 ‘만남’ 속에서 생성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리고 이 만남의 활동은 개별적 실체를 초월하는 관계 그 자체를 말한다. 김현의 비평작업이 ‘나’와 ‘세계’를 실체로 구분하여 설정하지 않고, ‘나’와 ‘세계’가 만나는 방식―일어나고 사라지는 관계의 방식을 어떻게 열어 제시할 것인가로 향하고 있다. Kim Hyun's criticism of ‘What is a poem?’ comes at the same time as the question of ‘Who am I?’ and the process of finding ‘I’. This is to look at ‘I’ by turning the mind toward the target (outside) inwardly. This self-awareness leads 'I' to discover the way and attitude of 'I' to the object, and to find a new 'I'. It was an important task for Kim Hyun, who has experienced a history of self-loss and self-dividuation by the other, to establish my own identity in Korean literature from the West. The desire to find one's own identity in the other's relationships stems from early criticism in the 1960s, when Kim Hyun was seeking critical self-consciousness. Kim Hyun's official critical activities start with finding answers to questions about ‘poetry’ and ‘I’ from the division and confusion of the self torn bilaterally. For Kim Hyun, Chaos and undecided life is not a confrontation with order, but a origin and source for a new ‘I’. The question of ‘I’ which began with division and gap, makes us realize ‘the desire for du Mal’. The desire for du Mal, which deftly melts the present of the other into the present of the self and makes the other a past, is converted into a ‘real desire for encounter’. True ‘encounter’ with the other allows ‘I’ to stop subjective action and form a new attitude of gaze. At this time, the identity of ‘I’ is not a fixed entity, but a process of continuous self-formation through the activities of ‘encounter’. Kim Hyun's new attempt was intended to be based on the fact that I and the world exist through the encounter of ‘I-You’ or ‘encounter’ as the basis for existence and as a precedent for everything. According to Kim Hyun, the problem of ‘encounter’ depends not on the status of being inside and outside, but on the consciousness of ‘whether you feel trapped or liberated’. The question of a new ‘I’ through ‘encounter’ means liberation from the ‘I’ restriction. If Kim has seen the narcissistic history of self-expansion in a Western mirror, he checks his ‘empty mind’ in an Oriental mirror, symbolizing empty. The Oriental mirror is an ‘empty mind’, so it does not reject the existence of the other and fully accepts it and reflects it, but does not try to keep it. An empty mirror in which objects are reflected through the condition of contact, and objects disappear when the conditions are expired, indicates that the encounter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is an incomplete phenomenon. In other words, the cause of ‘encounter’ is related to ‘Emptiness’, which has only the action that occurs when the subje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and has no substance. As ‘encounter’ takes place as an activity of the relationship, the subject becomes the becoming, not the substance. Through an empty mirror, a symbol of the Emptiness, Kim Hyun suggests that the subjectivity of ‘I’ is created in ‘encounter’ that fully accepts but does not keep the other. And the activity of this encounter refers to the relationship itself that transcends the individual substance. Kim's criticism work is not setting the ‘I’ and ‘the world’ as entities, but is heading to how to open up the way ‘I’ and ‘the world’ meet –the way the relationship arises and disappears.

      • KCI등재

        여백의 시 : 가는 것과 오는 것의 사이에서

        한혜린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硏究 Vol.39 No.-

        Through the mid twentieth century, when the identity of the world and self was true, poets seek new expression and language. The new poetic work begins with a blank space to accommodate the outside through training of returning to nothing by defining oneself. The blank space, which is the unique screen composition of Oriental paintings, is an empty space in the screen. The painted and unpainted things(empty spaces) diffuse the meaning space through the action of mutually ventilating each other, rather than settling for the way things are. The blank space, a pictorial and spatial concept, appears in the poem as a void of an external description through the abstraction of emotion and the omission of sentences. As a result, things spoken and unspoken face each other. Kim Jong sam and Kim Chun soo show similarities in poetry as poets who possessed the consciousness of contemporary problems. The poetry of the two poets is juxtaposed and is in harmony with the description of the external world and the abstraction as the subject. Thus, their poetic work of returning to nothing does not result in nihilism, and it is summarized as trying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t the maximum while limiting himself to the minimum. It is neither the language of the world through self, nor the reproduction of the outside world as it is, through the work which empties without leaving. It is a place where the outside and the inside penetrate and function as emptying and filling sound at the same time. Language is constantly about to return to the representation of self. The paths of the two poets lie beyond the language of identity to the sound between speaking here and coming from beyond. The beauty of blank space is that the reality(physics) and ideas(psychology) breathe, not blank space. 세계와 자아의 동일성이 진리였던 20세기 중반을 지나면서 시인들은 새로운 표현과 언어를 모색한다. 새로운 시적 작업은 자신을 한정함으로써 무無로 돌아가는 훈련을 통하여 바깥을 수용하는 ‘여백’에서 시작된다. 동양회화의 독특한 화면 구성법인 여백은 화면 속의 빈 공간으로, 그려진 것과 그려지지 않은 것(빈 공간)이 각각 그것 자체에 머물지 않고, 서로가 서로를 환기하는 작용을 통해 의미 영역을 확산시킨다. 회화적, 공간적 개념인 여백이 시에서는 감정의 절제와 문장의 생략을 통한 외부 묘사로서의 공백으로 나타난다. 이로써 말한 것과 말하지 않은 것이 서로 마주한다. 김종삼과 김춘수는 동시대적 문제의식을 지니고 있던 시인들로서 시작(詩作)에서 유사점을 보여준다. 두 시인의 시는 객관적인 외부세계 묘사와 주관으로서의 추상화가 병치되고 조화를 이룬다. 이로써 두 시인의 무(無)로 돌아가는 시적 작업은 허무주의로 귀결되지 않으며, 자신을 최소한으로 한정시키면서 최대한으로 세계와 관계 맺고자 하는 것으로 정리된다. 여백의 시란 자아로 세계를 언어화하는 것도, 남김없이 비우는 작업을 통해 외부의 세계를 그대로 재생산하는 것도 아니다. 비움과 채움이 동시에 울림으로써 외부와 내부가 서로 침투하고 작용하는 관계의 장場인 것이다. 언어란 계속적으로 자아의 재현으로 향하려 한다. 두 시인의 길은 동일성의 언어를 넘어 이쪽에서 말하는 것과 저쪽에서 오는 것 사이의 울림에 놓여 있다. 여백의 시가 아름다운 것은 공백이 아니라 현실(물리)과 관념(심리)이 함께 호흡한다는 것에 있다.

      • KCI등재

        초⋅중학교 무용 문화예술교육 경험가치가 교육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혜린,조선하,김선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는 초⋅중학교 무용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험 가치가 교육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G광역시에서 무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참여하고 있는 초⋅중학생 총 440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처리는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초⋅중학교 무용 문화예술교육 경험가치의 교육적가치, 심미적가치 요인은 수업만족에, 심미적가치 요인은 환경만족에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중학교 무용 문화예술교육 경험가치의 교육적가치, 심미적가치 요인은 지속의도에, 교육적가치, 정서적가치, 심미적가치 요인 모두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중학교 무용 문화예술교육 교육만족은 하위요인 모두 지속의도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향후 무용 문화예술교육은 무용을 하는 것 뿐만 아니라 보고, 느끼고, 감상하는 활동을 다양화할 수 있도록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강사교육을 강화하여 무용 교육 전문가로서, 교육 서비스 제공자로서 자질과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QR코드를 활용한 학교 미세먼지 관리기술 개발을 위한 건물 DB 구축 연구

        한혜린(Hyerin Han),홍희기(Hiki Hong),민준기(Joonki Min) 대한설비공학회 2021 설비공학 논문집 Vol.33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categorize building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particulate matter management technology. Therefore, we divided the database into 7 categories (school type, area, external environment, internal environment, school building status, building certification status) and subdivisions from 1,000 schools and organized data for a total of 38 detailed types. We presented a method of outputting data according to the 7 categories. In addi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chool building DB, we intended to simplify and use this big data by generating a QR code. As for the QR code output method, it was possible to visually show the school building data by providing methods, such as, outputting in Korean, outputting in English, specifying a URL path, and outputting as an image. Comparing the use of Excel and Python in the previous study with the use of QR code, it was found that Excel could easily build a DB and Python could easily output desired data even if data accumulated once coding was done through DB. It was found that the QR code became complicated if the data was generated as it is, but the advantage was that it could be printed simply by using a URL, and it was necessary to produce a separate platform. Future research projects require the establishment and study of platforms which can utilize both Excel, Python, and QR codes.

      • KCI등재

        김종삼 시에 나타난 ‘추상’의 의미

        한혜린 ( Han Hye-rin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4

        회화에 있어서 ‘추상’의 문제는 표현의 기원에 상응된다. 엄격한 의미에서 객관적 시각과 사실적 재현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회화의 표현은 추상성을 수반한다. 김종삼의 추상 기획은 내면의 표상화를 넘어 새로운 가능성의 영역으로 나아간다. 김종삼이 시에서 추구한 추상의 본질은 ‘내용 없는 아름다움’이다. 김종삼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상이 지워진 추상의 모호함을 통해 후경으로서의 내용을 지운다. 이는 현실적 대상의 반영이라는 타율적 요소를 지워나감으로써 추상성이 지닌 자율적 의지를 향하는 것이다. 외부적 모방의 단계에서 벗어나려는 시인의 열망은 한국과 서구와의 접점에서 새로운 추상의 언어를 재구축한다. 전후의 한국 추상은 앵포르멜이 유입된 뜨거운 추상의 시기로, 격렬한 정서와 풍부한 내면성의 양상을 보인다. 실험적 언어에 대한 시인의 열망은 비정형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고자 한 조형언어와 만나 자신의 새로운 추상성을 기획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김종삼이 시 「앙포르멜」을 발표했던 시점인 1966년은 한국의 화가들이 맹목적인 서구화단의 영향에서 벗어나려는 자각과 더불어, 격정적인 추상에 대해 절제된 태도로서 미술의 본질을 추구하려는 노력이 진행되던 시기이다. 당시 앵포르멜은 내적인 표현욕구와 외적인 계기가 일치하면서 수용의 환경을 조성하였고, 6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단순한 양식적 유사성이 아니라 서구와 한국의 접점 사이에서 추상이 자주적으로 발현되기 시작한다. 한국화단의 작가들에게 서구 앵포르멜의 수용과 경험은 자신의 독자적인 양식을 찾기 위한 변형과 확장의 과정이었듯이, 김종삼의 앵포르멜에 대한 관심과 경험은 새로운 언어로 자신이 지향하는 추상성을 찾으려 했던 시적 도정임을 보여준다. 내용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추상의 추구는 충동적 정서의 발현이라는 작업태도가 아닌, 신중하게 동양적 요소를 발견하려는 노력과 함께 진행된다. 김종삼이 새로운 언어로 기획한 추상의 세계는 가시적인 존재의 심연에서 떠오르는 비가시적 층위의 세계이다. 김종삼은 시에서 여백의 운용을 통해 비가시적 층위의 깊이와 심오함을 담는다. 여백은 의미를 품고 있는 바탕으로서 ‘의미의 백서(白書)’이기 때문이다. 이는 수동적 차원의 공백이 아니라 더 많은 세계를 암시하는 능동적 공간이 된다. 형상 대신 여백을 운용하는 것은 존재와 마주치는 매순간 점멸하는 ‘나’의 의미를 형상으로 고정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의미의 모든 가능성을 수용하는 동시에 구속되지 않는 자유로움을 향한 여백의 운용은 존재의 잔상을 비워야 한다는 시인의 자각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공백의 영역은 세계를 향한 김종삼의 관조적 태도의 메타포이다. 시인은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서가 아닌, 평정의 상태에서 시작(詩作)에 임한다. 이는 대상과 구분되는 주관을 제거한 상태에서 거리를 두고 대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려는 자세이다. 김종삼에게 시작은 외부로 향했던 자신을 이완의 시간 속에서 재정비해 가는 일이었다. 여백의 장치와 시작에 임하는 관조적 태도는 김종삼 시에 나타난 ‘추상’이 서양미술사의 고유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자주적 발현으로서의 추상시도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도는 외관을 귀납적 동일성으로 환원하는 것에서 추상을 창도했던, 주관과 객관의 이분법적 구분을 전제하고 있는 서구의 추상과 변별된다. 관조적 시선의 주체가 만든 빈 공간은 의미를 품고 있는 세계인 동시에 의미의 구속으로부터 자율성을 지닌다. 이로써 하나의 시는 외부세계를 옮겨놓은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하나의 독립된 실재로서 ‘시적(詩的) 사실’이 된다. In painting, the problem of ‘abstraction’ corresponds to the origin of expression. In a strict sense, there are no objective views and realistic representations, so the expression of paintings entails abstraction. Kim Jong-Sam's abstract project goes beyond the representation of his inner world to a new field of possibility. The essence of abstraction that Kim Jong-sam puesued in his poetry is ‘beauty without content’. Kim Jong-sam erases the content as a background through the obscurity of abstraction that does not come up with a specific and realistic object. This is toward the autonomous will of abstraction by erasing the valid element of reflection of real objects. The poet's desire to escape from the stage of external imitation rebuilds a new abstract language at the interface between Korea and the West. The post-war Korean abstraction was a period of hot abstraction in which Informel was introduced, showing intense emotion and rich innerness. The poet's desire for experimental language moves on to plan his new abstraction by meeting with a formative language, which seeks to find new meaning in atypical form. In 1966, the time when Kim Jong-sam published his poem “Enformel” was a time when Korean painters were conscious of escaping from the blind influence of the Western painting group and tried to pursue the essence of art with a modest attitude toward passionate abstraction. At that time, Informel created an environment of acceptance as the internal desire for expression and the external moment coincide, and as the mid-60s passed, abstraction began to emerge independently between the interface between the West and Korea, rather than a simple stylistic similarity. Just as the acceptance and experience of Western Informel was a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to find one's own style, Kim Jong-sam's interest and experience in Informel show that he was a poetic journey to find the abstraction he had pursued in a new language. The pursuit of abstraction to be free from the content proceeds with an effort to carefully discover oriental elements, not the work attitude of expressing impulsive emotions. The abstract world, designed by Kim Jong-sam in a new language, is a world of invisible layers that emerges from the abyss of visible existence. Kim Jong-sam captures the profundity and depth of the invisible layer through the use of blank spaces in poetry. This is because the blank space is a ‘white paper of meaning’ as the basis for bearing meaning. This is not a passive space, but an active space that suggests more worlds. The use of blank spaces instead of shapes is because the meaning of ‘I’, which blinks at every moment of encounter with existence, cannot be fixed in shape. The use of a blank space for freedom that is not bound while accepting all the possibilities of meaning start with the poet's awareness that the afterimage of existence must be emptied. This space of space is a metaphor of Kim Jong-sam's contemplative attitude toward the world. The poet is not in a whirlpool of emotions, but works in a state of calm. This is a posture to look at the object as it is with a distance from the object, with the subject being removed. For Kim Jong-sam, the work of writing was to rearrange oneself, who was headed to the outside, in a time of relaxation. The device of blank space and the contemplative attitude toward writing poems show that the ‘abstraction’ in Kim Jong-sam's poem is not an inherent concept of Western art history, but an abstract attempt as an independent manifestation. This attempt is differentiated from Western abstraction that presupposes a dichotomy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 which created abstraction in reducing the shape to inductive identity. The empty space created by the subject of a contemplative gaze is a world that has meaning and at the same time has autonomy from the constraints of meaning. In this way, a poem does not displace the outside world, but itself becomes a ‘poetic fact’ as an independent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