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신애(Han Sin-Ae),문수백(Moon Soo-Bac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교사 지지가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ㆍ간접 영향을 밝혀보려는데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 남ㆍ여 아동 426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교사지지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AMO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5에서 추정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교사지지가 자기효능감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교사지지가 자아존중감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섯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대개로 자기효능감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기효능감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self-efficacy. 4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Gyeongsan-Si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self-efficacy, self-esteem, parenting attitude and teacher's support perceived by children.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AMOS 17.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elf-esteem, parenting attitude and teacher's support perceived by childre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hildren's self-efficacy. Second, parenting attitude and teacher's support perceived by childre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Third, the substantial indirect effect of children's perceptions of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self-efficacy was mediated by children's self-esteem. Fourth, children's perceptions of teacher's support had a substantial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elf-efficacy mediated by their self-esteem.

      • SCOPUSKCI등재

        탈산처리시 기록물 표면에 발생하는 MgO 입자의 백화현상 규명

        한신호 ( Sien Ho Han ),이상규 ( Sang Kyu Lee ),신현창 ( Hyun Chang Shin ),김호진 ( Ho Jin Kim ) 한국공업화학회 2014 공업화학 Vol.25 No.4

        After completing deacidification process and evacuating rest of solvent, white fine particles of MgO are found on the surfaceof archival materials, such as books and documents. When MgO particles remain on the surface of archives, instead of beingwell dispersed and absorbed into cellulose fiber of archives, such white fine particles are found. These particles have raisedconcerns for employees’ deacidification environment and their health; however, the concerns have not been addressed. To findthe cause of white fine particles on the surface of archives after deacidification process and to propose the its solution, anacidic paper and wood free paper were applied with deacidifying chemicals. We analyzed the domestic and abroad deacidifyingchemicals`` physical properties and conducted deacidifcation processes to find effects of different contents and sizes of MgOon white fine particles. When the size of MgO particle was 847 nm, there was significantly less amount of white fine particleson the surface of archival materials. This means that the size of MgO particl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roducing whitefine particles on the surface of archives.

      • KCI등재

        한국대학의 강의평가실태 분석

        한신일(Han Shin-il),김혜정(Kim Hye-jeong),이정연(Lee Jung-y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3

        오늘날 세계적으로 교육의 위기가 보편화됨에 따라 세계 각국의 대학들은 교육구조의 개편을 통한 총체적인 질 관리 노력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 같은 추세 속에서 우리나라의 대학 또한 수행역량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대학의 책무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교육의 총체적 질관리 도구로써 강의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강의평가제가 시행된지 이미 10여년에 이르고 있으나 아직 체계적인 평가척도나 효율적인 평가방식이 정착되지 않고 있어 많은 우려와 개선의 노력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br/>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본 연구는 최근의 강의평가를 둘러싼 국내외의 추세를 고찰하고, 외국대학들의 강의평가 사례와 국내 대학의 강의평가 운영 실태를 통해 우리나라 대학들이 보다 바람직한 강의평가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 국내 대학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결과분석, 강의평가 설문지와 운영지침문서의 수집정리 및 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강의평가문항개발 및 운영을 위한 전문성 확보, 강의평가에 대한 학생의 참여도 및 성실도 유도방안, 강의평가형태와 운영방식의 다각화, 강의평가에 대한 긍정적인 대학문화 형성 등의 이슈를 제안사항으로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tendencies of students' evaluations of university teaching, to review previous researches on those of foreign universities, to analyze those of Korean universities by doing survey with questionnaires, and, finally, to make suggestions on an effective operational plan of evaluation of university teaching. The major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are composed of literature reviews, survey, and document collections from Korean universities. 108 Korean universities and 8 foreign universitie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Suggestions made for improving Korean universities' evaluation of teaching are to prepare professional personnel and well-organized structure for the evaluation, to concentrate on increasing reliability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evaluation, to diversify contents, process, or usages of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depending on individual university's situation, and to establish positive campus cultures on students' evaluation of university teaching.

      • KCI등재

        국민연금 가입종별 기여격차 요인분해

        한신실(Sinsil Han) 한국사회정책학회 2021 한국사회정책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연금 가입종별 기여 격차의 요인을 분해함으로써 제도 구조상 내재되어 있는 차별 요소를 실증하고 가입자 간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제도 개선안의 근거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조사 2차년도부터 14차년도까지 총 13년 간 자료를 가지고 집단중심 추세분석을 활용하여 개인이 경험한 주된 가입종을 유형화하였으며, 유형별 기여격차에 대해 오하카-블라인더 요인분해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민연금 가입 대상은 주로 사업장 가입 위주의 기여 이력을 가진 집단과 지역 가입 위주의 기여 이력을 가진 집단으로 구분되며, 이들 집단은 동일 기간 상당한 격차의 기여 이력을 보였다. 그리고 가입종별 기여격차의 주된 원인은 설명되지 않는 차별적 보상에 따른 결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국민연금 적용대상 확대과정에서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된 가입자격 이원화전략은 가입자 간 형평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야기한 것으로 보인다. 즉, 지역 가입자의 경우, 사업장 가입자와 동일한 인적 · 경제적 특성을 가진다 하더라도 가입종에 따른 차별적 보상의 결과 같은 기간 상대적으로 짧은 기여 이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차별을 완화하기 위한 지원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잔여주의적이면서 선별적인 방식보다는 가입 종 간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도전반의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ribution gap between insured types, such as workplace-based insured and individually insured, of National Pension, to improve the equity of the system by demonstrating the discriminatory factors inherent in the system, and to provide evidence for system improvement plan targeting vulnerable groups. To this end, based on the Korean Welfare Panel Survey from 2<SUP>nd</SUP> data to 14<SUP>th</SUP> data, Group-based Trajectory Model is used to categorize the subscription groups, and the Oaxaca-Blinder Decomposition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contribution gap by grou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in insured types a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the workplace-based insured, individually insured and uninsured. And contribution gap between groups is considerable difference during the same period. In addition, a result of decomposing the contribution gap between groups, the gap due to differential compensation is larger than the gap due to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Examining the contribution ga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sured types, the influence of gender or employment status on the discriminatory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ubscription was considerable. In summary, even if the individually insured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workplace-based insured, they have a relatively low contribution for the same period because of a result of the differential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insured typ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dequate policy to alleviate such discrimination and emphasized that the overall system needs to be improved in a direction that improve equity among insured types rather than a residualism and selectivism.

      • KCI등재

        대학생의 영어능력과 수업참여 적극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신일(Han Shinil),이석열(Lee Sukyeul)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대학의 영어수업에서 학생의 영어능력과 수업참여의 적극성 정도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지와 실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영어강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학생 차원의 효과적인 영어강의의 설계 전략과 대학차원의 수강지원방안을 수립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A대학교에 재학 중인학부생 중에 영어강의를 수강한 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영어능력, 학업성취도 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어강의에서 학생의 인지적 요소인 영어능력과 정의적 요소인 수업참여 적극성 정도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만족도 그리고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강의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요인이 모두 충족될 때 영어강의 수업 효과성이 극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어강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유발이 있을 때, 학생들은 영어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어강의를 수강하는 데 영어능력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여전히 중요한 영향 변인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 본 연구를 통해 재확인되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in undergraduat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heir higher or lower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and active class participation, and to see the influences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and active class participation on academic self-efficacy,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tudy, 155 students were sampled from an English medium class of an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and English proficiency test and survey were done. And, other information such as course exam scores was also collected after the class end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study result shows that; ① The differences exist in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higher or lower levels of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and activeness of class participation, ② When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skills of students are high enough, their scores are highest in their class satisfaction and course achievement, ③ Active class particip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has an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lass satisfaction, ④ It is revealed that the English proficiency is still one of strongest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nglish medium class. In conclusion, educational strategies and policies for English medium instruction of Korean universities are recommended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study.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와 사회과학하기

        한신갑(Shin-Kap Han)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2

        빅데이터와 사회과학하기의 관계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는 이 글에서는 이론-방법-자료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구도를 사회과학하기의 기본 틀로 잡고 논의를 시작하여, 빅데이터가 가져온 자료기반의 변화와 그 특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분석전략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사회과학에서 자료가 차지하는 위치와 그동안의 변화 추세, 그리고 빅데이터의 출현을 가져온 배경과 그 영향에 대해 논의하면서 자료의 양과 질에 있어서의 변화가 오랜 기간 계속되어온 것이라는 점을 짚고, 그 연장선상에 빅데이터의 출현도 자리매김한다. 빅데이터 시대가 가져온 새로운 사회과학의 시제품 역할을 하면서 그 가능성과 한계를 극명하게 보여준 구글 독감추세예측 서비스를 취사선택의 필요성과 근거, 방향을 경험적으로 보여주는 유용한 실제 사례로 검토한다. 이 논의들을 원론적 사회과학하기의 틀 안에서 다시 정리하고 이 비판적 검토에 근거하여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는 것으로 글을 맺는다. 글머리에 제시한 삼각구도의 요소들 각각의 내용과 상대적 비중, 그들 간 연결의 구조와 방향 등은 재조정되어야 하겠지만, 크게는 이 기본 틀의 개조와 확장을 통해 빅데이터의 잠재력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 조심스러운 진단을 내린다. How do we do social sciences? It is a question that needs to be asked more often. Commonly found in the various answers is a tripartite structure of theory-method-data. I ask the question yet again in the context of a recent and drastic change in the data environment: the emergence of “Big Data.” Reviewing the change and its characteristics, I consider possible analytical strategy to take advantage of the new developmen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he data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constantly. Big Data, too, can be located in the continuum. To illustrate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 describe the case of Google Flu Trends (GFT). These critical discussions suggest what to do with the Big Data-what to take and what not to and, when you do, how to. With adjustments and extensions, the theory-method-data tripartite structure still seems to be capable of providing a solid framework to integrate the potentials of Big Data.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학교적응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분석

        한신애 ( Sin Ae Han ),문수백 ( Soo Back Mo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간접 영향을 밝혀보려는데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남·여 아동 623명을 대상으로 학교적응,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자아탄력성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AMO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1에서 추정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그리고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내재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내재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를 매개로 학교적응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낮추어 주는 것이 학교적응을 원만하게 하며, 높은 자아탄력성은 학교적응에 도움을 주는 것을 규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아탄력성이 내재와 문제 및 외현화 문제를 매개로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령기 아동에게 학교적응을 높여주기 위해 올바른 자아탄력성을 키워주고, 내재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를 낮추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school adjustment. 623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Pohang-Si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school adjustment, emotional problem, behavior problem and ego-resiliency.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motional problem, behavior problem and ego-resilien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Second, children`s ego-resiliency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problem and behavior problem. Third, children`s ego-resiliency had a substantial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their emotional problem and behavior problem.

      • KCI등재

        『구별짓기』의 한국적 문법

        한신갑(Han Shin-Kap),박근영(Park Keun-Young)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2

        이 글에서는 『구별짓기』로 대표되는 부르디외의 문화자본론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몇가지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실제 자료의 분석을 통해 이 이론의 경험적 근거들이 현재 한국사회에서는 어떤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지를 살펴본다. 분석은 2005년에 시행된 문화향수에 관한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두 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여가활동 항목들이 응답자들의 선택을 통해 어떻게 자리 매겨지는 지를 다차원척도분석을 통해 그려내고, 그 결과에 나타나는 문화적 취향의 구조를 찾아보았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에서 보고된 ‘계급/계층적 차별화’ 라는 결론과는 달리, 이번 연구에서 발견된 구조는 상층계급-하층계급이나 고급취향-대중취향 같은 어느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기보다는, 다양한 사회적 구분의 축들에 의해 동시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각각의 항목들이 어떤 축에 따라 어떤 식으로 나뉘어 선택되는 지를 다중모델을 적용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도, 기존의 연구에서 문화적 취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보고된 독립변수들 ― 계급, 경제자본, 문화자본 등― 사회적 구분의 축이 될 수 있는 다른 변수들 ― 성별, 연령, 거주지역 등 ― 을 함께 고려했을 때 대부분 그 설명력을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경험적 연구들과는 상당한 거리를 두는 내용으로 기존의 분석틀을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oblems in applying Bourdieu’s theory of cultural capital, as epitomized in his Distinction, to contemporary Korean context are addressed. More specifically, we examine how its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borne out empirically in Korean society by analyzing a recent data ― The Survey of Women’s Cultural Consumption (2005). The analysis proceeds in two stages. First,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cultural consumption, we generate a map, in which a set of 30 leisure activities are arrayed according to the choices made by the respondents. Contrary to the prior research, no clear pattern of stratified differentiation was found. The finding, instead, shows a pattern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In the second stage, we conduct multivariate analyses to ascertain the factors that affect these choices. We find that the factors considered previously ― such as class,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 lose much of their explanatory power once the other dimensions of social differentiation ― such as gender, generation, and area of residence ― are taken into account. On the whol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results we report here and those of prior research suggests a ne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analytical framework.

      • 한부모가족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학교적응유연성과 가족보호요인의 상관성 연구

        한신애 ( Shin-ae Han ),한춘남 ( Chun-nam Han ) 산업진흥원 2018 산업진흥연구 Vol.3 No.2

        본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지가 학교적응유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가족기능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보호요인이 학교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변수가 되는 부모와의관계, 가족지지 모두가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보호요인이 학업성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모와의 관계, 가족지지, 가족기능의 변수들이 특별히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밝혀지지 않았다. 넷째, 가족보호요인이 학교규범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가족기능이 좋을수록 학교규범준수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부모가족 청소년은부모와의 관계와 가족기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있어 부모와의 관계, 가족기능, 가족지지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 수 있는 것이었다.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suppor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flexibility, and the following is family function. Second, the effect of family protection factors on the interest in the school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family support.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 the achievement of the family,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the family support, and the family function were not found to be influential.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pliance with school norms,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the family function, the better the adherence to school norms.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parents was significant. This was to know how important parental relationship,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are in the adjustment of single parent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