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적 가치가 윤리적 소비행동 및 소비자 행복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수정,왕예,진창현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2 No.2

        Ethical consumption, rational use of resources as a modern consumption pattern,considers environmental consequences and consumer’s rights, allowing consumers togain happiness from practicing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Cultural values, themost important, non-market factor affecting ethical behaviors of consumers, havealways been regarded as a major influencing factor of ethical behaviors ofconsumers. In this context, we in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cultural values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and consumer happiness in terms of Hofstede’scultural dimensions theory. To investigate effects of cultural values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andconsumer happiness, we performed a survey on adult consumers and analyzed thequestionnaires with the SPSS program to verify the effects. As a result, culturalvalues had effects on ethical behaviors of consumers: as consumers practicedpractice ethical consumption more, their scores of consumer happiness were hig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ethical behaviors of consumers hadpositive effects on consumer happiness, serving as effective information for futureeducation or promotion. 본 연구는 문화적 가치가 윤리적인 소비 행동과 소비자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며, Hofstede의 문화 가치 이론을 응용하여 문화 가치 이론의 구성요소들이 윤리적 소비행동과의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문화적 가치 요소는 권력거리, 불확실성, 개인주의, 남성주의 그리고 장기지향성으로 구성하였다. 윤리적 소비행동 유형은 개인가치추구와 자연치환적 가치 추구 유형으로 양분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적 가치에의한 윤리적 소비의 향상과 소비자 행복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설문조사는 중국 소비자 9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가설을 설계하고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문화적 가치 요소인 권력거리, 불확실성, 개인주의, 남성주의, 장기지향성은 자연친화적 및 개인 추구 윤리적 소비행동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장기지향성은 개인추구 윤리적 소비행동에는 무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인 및자연친화적 윤리적 소비 행동은 소비자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윤리적인 소비자 행동이 소비자의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미래의 교육이나 홍보를 위한 효과적인 정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우수등재

        성인장애인의 장애인 야학 음악활동 참여 실태와 요구 분석

        한수정 한국음악교육학회 2019 음악교육연구 Vol.48 No.4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장애인 야학 음악활동 실태와 운영에 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음악프로그램에 참여한 남녀 성인장애인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음악활동 교육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고 배우고 싶은 음악유형은 대중음악이며, 교육 횟수는 주 2회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 장애요인으로는 이동거리 및 교통수단의 문제가 지적되었으며 이를 위한 지원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관계자의 심층면담에서는 평생학습 차원에서 진행하는 효과적인 음악활동 운영과 교육 참여 지속의 중요성에 대해 문해교육 연계 및 반복교육의 중요성 인식, 성인장애인의 계속교육을 위한 배려와 지원 확대 인식 등으로 범주화된 주제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에서 로봇을 매개로한 놀이유형 및 특성에 대한 연구

        한수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선택활동에서 로봇을 매개로 하는 놀이유형과 그 특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다. 이를 위해 자유놀이 상황에서 로봇을 매개로 하는 유아의 놀이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비참여 관찰 을 진행하여 놀이유형과 놀이전략 그리고 놀이행동 특성이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익숙한 것과 연상과정을 통해 접근하기, 주도적 탐색을 통해 또래간 도움 주고받기, 놀이친구 아이로 비에 대해 공동체 의식갖기, 또래의견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의사소통에 참여하기, 어려운 문제해결을 위해 주도성을 발휘하기, 친구를 이해하고 먼저 인정하기, 나도 그럴 수 있다는 생각으로 배려하기, 공유를 넘어선 상호인정의 의미를 경험하기 등의 놀이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나 타내기, 감정다루기, 동의구하기, 부적정서에 대처하기, 받아들이기, 수용하고 해결방법 찾기 등의 놀이반응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소병원 간호사가 인식하는 행복감, 임상간호인성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한수정,오재우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간호사의 행복감, 임상간호인성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임상 현장에서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과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M시 소재 2곳의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자료 수집은 2020년 4월 27에서 5월 11일까 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이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설명력은 20.4%였다.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행복감을 향상시 키고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linical field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feelings of happiness, clinical nursing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and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nurses working in two hospitals located in M City,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pril 27 to May 11,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3.0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happiness showed an influence,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0.4%.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crete and systematic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 KCI등재

        후소아마비 증후군 환자의 연하 곤란

        한수정,이미진,윤태식,배하석 대한재활의학회 2008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2 No.4

        Objective: To evaluate the presence of swallowing difficulties in patients with post-poliomyelitis syndrome (PPS) by characterizing their swallowing patterns with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Method: Eleven patients diagnosed with PPS were enrolled. All subjects answered the self assessment questionnaire for swallowing difficulty and gastric symptoms. We assessed the ability of tongue control, the oral transit time, cricopharyngeal opening time, and pharyngeal transit time. We also assessed the presence of aspiration or penetration and the amount of residue in the vallecular and pyriform sinus by four grade scales. A gastroenterologist examined esophagus, stomach and duodenum through an esophagogastroduodenoscopy. Results: Six patients complained swallowing difficulty and nine patients showed symptoms of esophageal regurgitation. Although finding of penetration or aspiration was not seen, all patients showed swallowing dysfunction in the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In the esophagogastroduodenoscopy,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was observed in all enrolled patients (n=11) and reflux esophagitis was found in 4 patients (36%). Conclusion: About half patients with PPS complained of dysphagia. Routine evaluation of dysphagia with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and esophagogastroduodenoscopy is needed in all patients with PPS due to the low reliability in their subjective symptom. Objective: To evaluate the presence of swallowing difficulties in patients with post-poliomyelitis syndrome (PPS) by characterizing their swallowing patterns with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Method: Eleven patients diagnosed with PPS were enrolled. All subjects answered the self assessment questionnaire for swallowing difficulty and gastric symptoms. We assessed the ability of tongue control, the oral transit time, cricopharyngeal opening time, and pharyngeal transit time. We also assessed the presence of aspiration or penetration and the amount of residue in the vallecular and pyriform sinus by four grade scales. A gastroenterologist examined esophagus, stomach and duodenum through an esophagogastroduodenoscopy. Results: Six patients complained swallowing difficulty and nine patients showed symptoms of esophageal regurgitation. Although finding of penetration or aspiration was not seen, all patients showed swallowing dysfunction in the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In the esophagogastroduodenoscopy,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was observed in all enrolled patients (n=11) and reflux esophagitis was found in 4 patients (36%). Conclusion: About half patients with PPS complained of dysphagia. Routine evaluation of dysphagia with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and esophagogastroduodenoscopy is needed in all patients with PPS due to the low reliability in their subjective symptom.

      • KCI등재

        외국유학생의 학교생활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대학원과정 기혼 몽골유학생을 중심으로 -

        한수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0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8 Mongolian students studying in the master’s degree programs of the universities in the Capital region. 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 was us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carrying out the in-depth interviews. Research findings, Although the Mongolian students had been experiencing the many conflicts, including those relating to the language, the stud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money, and the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conflicts, they were accustomed to the life in Korea somehow and they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school. Also, considering that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academic performances in the graduate school programs and the importance of the Korean-language cap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mentoring program and the social gatherings with the Koreans as well as the supplement and support on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are necessary. Also, Mongolian students were seeking the solution by themselves regarding the scholarships and the economic life and they had been endeavoring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engaging in the studies and the parenting at the same time. Number of the students hoped to be employed by an educational institution related to the major after returning home once they complete their graduate course. Moreover they expected to live better life with their family in home country along with improvement of the social status.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지역 대학의 대학원 과정을 수학 중인 몽골유학생 8명으로서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심층 면접을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몽골유학생들은 언어, 학업, 대인관계, 경제적, 심리적, 사회문화적인 여러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으나 대부분 한국생활에 어느 정도 익숙해져 있었으며, 학교의 교육환경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학원과정의 학업수행과 한국어 능력 역량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한국인 학습 멘토링과 교제 모임, 교육내용 보완 및 지원 등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학생 스스로 장학금 및 경제생활을 위한 해결 방법을 모색하고 있었으며, 학업 및 양육 병행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수의 학생들은 대학원 학위 이수 후 귀향하여 전공 관련 교육기관으로의 취업을 희망하였고, 모국에서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더불어 가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일부 여대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연구

        한수정 建陽大學校 2000 建陽論叢 Vol.- No.8

        The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towards the elderly.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48 students in K University at N city, Korea.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 1988 to March 30, 1988. Instrument for this study were the attitude elderly scale developed by Lee(1989).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attitude to elderly was moderate high at 3.01. In the subcategories, 2.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ere the experience of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the experience of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t=2.08, p<0.05). 3.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related to attitude toward the elderly's intelligence, only the year in university was correl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