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DI가 국내기업 생산성에 미치는 이질적 파급효과 분석

        韓秀旼 ( Soomin Han ),金成炫 ( Sunghyun Kim ) 한국국제경제학회 2021 국제경제연구 Vol.27 No.1

        본 논문은 2006-2017년 우리나라 제조업 데이터를 사용하여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생산성 파급효과를 국내기업의 특성과 투자 원천국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한다. 전체 FDI를 대상으로 보면 부정적인 동일산업 내 수평적 파급효과와 긍정적인 연관산업 간 수직적 파급효과가 나타났다. 국내기업 특성 중 수출지향성 정도는 생산성 파급효과에 영향이 없지만, 기존 생산성 수준이 높은 기업만을 따로 보면 파급효과 정도는 더욱 커진다. FDI를 원천국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일본과 영국발 FDI의 경우 전체 FDI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와 같으나, 미국발 FDI의 경우 반대로 긍정적인 수평적 파급효과와 부정적인 수직적 파급효과가 나타났다. 미국발 FDI기업은 상대적으로 한국내 현지기업에서 중간재를 조달하기보다는 본국의 모기업과의 거래가 많기 때문인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기술 흡수능력이 높은 국내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 비해 FDI 생산성 파급효과가 증가함을 알수있다. 이와 같이 FDI의 생산성 파급효과가 투자 원천국이나 국내기업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는 결과는 FDI 유치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uses firm-level data from 2007 to 2017 to analyze whether domestic firms' characteristics and FDI source countries affect the degree of FDI spillover effects in Korea. Regression results from the whole sample present negative intra-industry horizontal and positive inter-industry vertical spillover effects, similar to previous studies. Consideration of domestic firms' characteristics reveals that domestic firms' export-orientedness does not affect the spillover effects, while domestic firms' productivity matters for the FDI spillover effects. In particular, domestic firms with higher productivity shows more positive vertical FDI spillover effects. Spillover effects from Japan and U.K FDI firms present a consistent sign with the whole sample results, while the US FDI shows positive horizontal and negative vertical spillover effects. US FDI firms have more intra-firm transactions with the parent company, which generates weaker vertical spillover effects. Absorption capacity plays a role in capturing the positive spillover effects.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source countries and domestic firms' characteristics when establishing FDI related policies.

      • KCI등재

        천경자의 여성 인물화 표현 연구

        한수민 ( Han Soo M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천경자의 작품 세계가 탄생한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고 여성 인물화 작품들에 드러난 특색을 찾고, 그것과 관련한 자전적 한과 정서를 연구한다. 나아가 천경자가 살았고 작품에 영향을 미쳤던 시대적 상황과 삶을 살펴봄으로써 변하고 발전하는 작품세계를 조명하고 작가가 가졌고 구현하고자 했던 정신을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주요 선행연구와 각 시기를 대표하는 작품을 중심으로 천경자 여성 인물화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표현 특성을 살펴본다. 연구결과는 천경자의 내면에 있던 정서, 즉 슬픔과 고통을 자서전처럼 이미지로 나타내었고, 소재는 꽃, 여인, 뱀 등을 선택하여 특유한 화법과 색채로 나타내었다. 작품세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여성으로서 가져야 했던 원초적 슬픔과 고독, 성장하고 살아가며 직면하였던 소외를 회화에 깔았으며, 어느 대상을 그릴 때 내면에 깊이 감추었던 감정과 정서, 슬픔을 풀어냈으며 그러한 감정과 슬픔을 외면하지 않고 정면으로 맞서서 극복하고자 하였다. 천경자가 직면하고 겪었던 고독은 작가에게만 해당하는 문제가 아니라 그 당시를 살았던, 그 시대를 사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겪는 외로움과 갈등, 공허함으로 드러나는 것이었다. 이러한 특성은 누구든지 공감할 수 있게 하여 호소력이 강할 수밖에 없었다. 천경자는 삶이라는 질곡을 거치며 동양과 서양, 삶과 죽음, 정과 한, 행복과 불행, 현실과 환상, 기쁨과 슬픔 등을 대비하고 표현할 수 있는 세계를 만들었다. 자신이 술회하였듯이 젊은 시절에 겪었던 고난과 고통에서 생긴 고독과 슬픔, 소외는 작품을 기저로 하였으며 동물, 꽃과 여인, 환상 세계 등은 자신과 삶, 시대를 살다 간 여인을 표현하고 공감할 수 있는 소재였고 수단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birth of Chun Kyung-ja's work, to find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works of female figures, and to study the autobiographical sentiments related to it. Furthermore, by examining the circumstances and life of the times in which Chun Kyung-ja lived and influenced her works, it aims to illuminate the changing and developing world of art and explore the spirit the artist had and intended to embody. The research method examines the process of change in female figure of Chun Kyung-ja, focusing on major preceding studies and works representing each period,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Chun Kyung-ja expressed her inner emotions, that is, sadness and pain as an autobiography, as an image, and selected flowers, women, snakes, etc. with her unique senses and expressed them in her own style and color.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world of art are the primal sorrow and loneliness that women had to have, and the alienation faced while growing up in the painting. Instead of turning away, I tried to overcome it by confronting it head-on. The loneliness that Chun Kyung-ja faced and suffered was not a problem unique to the artist, but was revealed through the loneliness, conflict, and emptiness experienced by anyone who lived at that time or in this era. These characteristics made it possible for anyone to sympathize, so the appeal had to be strong. Chun Kyung-ja created a world where she can prepare for and express the East and the West, life and death, love and sorrow, happiness and unhappiness, reality and fantasy, joy and sorrow, etc. As she said, the loneliness, sadness, and alienation caused by the hardships and sufferings of youth are based on the work, and animals, flowers, women, and the fantasy world are materials that can express and empathize with oneself, life, and women who have lived through the times. In conclusion, the composition and themes of these screens contain the inner feelings and literary thoughts that Chun Kyung-ja had to face. It can be said that the elements Chun Kyung-ja included in her paintings were created because the wisdom and philosophy she had learned from birth and life had an influence.

      • KCI등재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한수민 ( Soomin Han ),임병노 ( Byungro Lim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4

        실천적 지식은 가정생활, 직업생활 등 개인이 위치한 삶의 모든 영역에서 자신의 최선의 역량을 발휘하도록 하는 지식으로서 매우 중요하지만 그동안 단편적인 행동 수행이나 성과 도출을 위한 지식으로 왜곡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실천적 지식에 대한 본질적 개념을 정립하고,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에 기반한 형성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① 문헌연구 및 이론적 탐색을 통한 실천적 지식의 개념 정립, 이를 토대로 한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 도출 ② 도출한 원리를 중심으로 모형의 설계 요소 및 설계 전략을 구체화하여 원형 모형 개발, 전문가 타당화 실시 ③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보완된 원형 모형에 따라 수업사례 개발 및 적용, 결과 자료 분석 및 이를 반영한 원형 모형을 수정 및 보완 ④ 최종 도출된 모형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실시의 절차로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로 개발된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PKC 모형)은 ① 사전학습활동(수업소개, 학습주제와 관련한 이론, 가치, 실천경험 측면의 선지식 활성화 및 동기유발(전체 맥락 조망, 학습주제 조망), 팀구성, 가치규명 및 성찰) ② 본학습활동(학습자 분석 및 요구에 따른 실제 문제를 활용한 문제해결활동(팀별 실천경험활동, 개별 실천계획수립활동), 학습정리) ③ 사후학습활동(실천계획수립에 따른 실천 및 지속적인 성찰적 실천을 통한 지식 재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모형에 대한 평가 결과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PKC 모형은 실천적 지식에 대한 개념 정립을 바탕으로 실천적 지식이 효과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지식 구성 과정을 모형화한 것으로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실천적 지식 구성을 돕는 효과적인 모형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for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PKC Model). Practical knowledge helps learners to exert one`s competencies in many areas of life such as family life and vocational lif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define practical knowledge and identify its components, 2) to draw knowledge construction principles, and 3) to develop a practical model for the knowledge. Based on formative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took four steps: 1)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practical knowledge` and its elements were defined, 2) after instructional principles, design elements and strategies were identified, a model prototype was developed, 3) the model prototype was applied in the real setting in a college, and 4) the model was revis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finally validated. As a result, stages and components of the model are as follow: 1) Pre-learning activity stage: Introduction, activity of prior knowledge and motivation, team organization, value identification and reflection. 2) Main-learning activity stage: Learning to solve problem based on real problems, review. 3) Post-learning activity stage: Practice by planning detailed practice in a context, and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through continuous reflection-in-action. The PCK model helps students to learn how to construct practical knowledge and to construct practical knowledge on real problems related to subjects through the activities. The model is expected to efficiently facilitate practical knowledge building.

      • KCI등재

        대학의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 설계 및 적용 방안 연구

        한수민 ( Soo-min Han ),임경화 ( Kyung-hwa Rim ),성상만 ( Sang-man Seong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3 No.1

        플립러닝은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프레임으로서 적절한 교수설계 및 수업 적용을 통해 학업성취도 향상 및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 함양에 효과적임이 검증되어 왔다. 그러나 2020년, COVID-19로 인한 갑작스런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자 중심수업이 증가하게 되면서 비대면 상황에서의 효과적인 학습자 중심 수업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비대면 수업상황에서의 플립러닝 설계 및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플립러닝을 신교수법 교육모델로 적용하고 있는 K대학교의 비대면 플립러닝 설계 및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고, 실제 수업 적용을 통한 효과성및 제한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 적용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the effective application method of flipped-learning in non-face-to-face environment. The flipped learning is a framework for learner centered education, and by designing the effective learning procedure, it is possible to get the various effects of flipped learning, such as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cultivation of competencies necessary for future society. We suggest several consider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specified to online based flipped learning in non-face-to-face environment. As a method, we proposed a non-face-to-face flipped learning design and application plan of K university, and confirmed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through actual class applic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applying non-face-to-face flipped learning classes were presented.

      • 지능 반사 표면을 사용한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시공간 선 부호 기반 심볼단위 사전부호화

        한수민(Sumin Han),양홍준(Hong Jun Yang),최지훈(Jihoon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This paper proposes a new precoding method for maximizing the detection signal-to-noise ratio (SNR) in the downlink of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s with 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s (IRSs). The proposed symbol-level precoding scheme is derived based on the multiple space-time line code using the effective channels including the IRS elements. The optimization procedure of the proposed method is formulated as two subproblems for optimizing the phase shift of IRS elements and designing the symbol-level precoder in terms of maximizing the minimum detection SNR, respectively. In addition, a lowcomplexity algorithm is derived by employing a suboptimal closed-form solution for symbol-level precoding.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erforms better than existing precoding schemes.

      • KCI등재

        커피전문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수민(Han, Su Min),김광용(Gim, Gwang Yong) 글로벌경영학회 2021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에 대한 평가가, 지각된가치, 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커피전문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지속사용의도를 긍정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전략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커피전문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를 대상으로 2021년 3월 13일~4월10일까지 비대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을 위한 표본집단을 확보하였으며, 등간척도로 구조화된 측정도구와 분석을 위한 총 262건의 데이터를 확보하였으며 통계분석은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시스템품질의 안정성과 이용용이성이 서비스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보품질의 정확성은 지각된가치와 서비스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적시성과 상황관련성은 지각된 가치에 있어서만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고, 서비스품질에 있어서는 신뢰성과 공감성이 서비스만족도에 긍정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응답성은 지각된 가치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각된가치와 서비스만족도는 모두 지속사용의도를 긍정적으로 개선하는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어플리케이션의 재사용의도를 제고하기 위한 쉬운 UI와 안정적 서비스 제공, 이용자에 필요한 적합한 정보의 정확한 제공과 시기적 적합성,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는 전략적 제언을 실시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act of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s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on perceived value and service satisfaction on mobile application users of coffee shops. It also verified the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rough this, it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making a proposal to positively improve the intention of continuing to use coffee shops mobile applications. To this end, a non-face-to-fac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obile application users of coffee shops from February 13 to March 10, 2021. A total of 262 data were obtained for measurement tools and analysis made on an equivariable scale, and statistical analysis utilized the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stability and usability of system q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service satisfaction, accuracy of information q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value and service satisfaction, timeliness and context relevance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perceived value, reliability and empathy. Furthermore, both perceived value and servic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s that positively improved the intention of continuing use.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ntion of reusing coffee shop applications, the interface should be improved, stable services should be provided, information needed for users should be provided exactly at the right time, and personalized service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미술작가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수민(Han, Soo-Min)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미술작가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표본 특성별 직무환경, 자기효능감, 직무만족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이것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유의한 변수와 성과를 제시하였고, 연구설계와 실증분석으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표본 특성별 차이를 규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과 한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이 미술작가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Sobel 검정 결과도 매개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둘째, 표본 특성별 직무환경, 자기효능감, 직무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무환경,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모두 작가로 데뷔한 기간, 연령, 장르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미술작가의 직무만족 연구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자기효능감이 미술작가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부분 매개한 결과는 어려운 창작환경에서 창작, 발표, 관객 더 나아가 판매까지 염두에 두고 활동하여야 하고 다양한 미디어도 고려하여야 하는 환경에서 창작하는 바탕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환경은 작가로 데뷔한 기간이 짧고 젊을수록 긍정적인식이 낮기 때문에 이들이 창작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셋째, 직무만족도 직무환경과 마찬가지로 작가로 데뷔한 기간이 짧고 젊을수록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젊은 층이 자기 일에 만족할 수 있도록 직무환경과 연결하여 만족도를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the artist"s job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job environmen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significant variables and outcomeswere present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differences in sampl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research design and empirical analysis. Finall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nd suggestions and limitationswere presented.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whether self-efficacy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s job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a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found, and the Sobel test prov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job environmen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by sample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ly the period, age, and genre.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future job satisfaction studies of artists. First, the result of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s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is the basis for creating in an environment where creative, presentation, audience, and even sales are to be considered in a difficult creative environment. Second, the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as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devote themselves to creation, as the period of their debut as a writer is shorter and younger. Third, as job satisfaction is similar to the job environment, the shorter the debut period as a writer and the younger, the more negatively they perceive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satisfaction by connecting with the job environment so that young people can be satisfiedwith theirwork.

      • KCI등재

        택배 물류 터미널에서의 화물하차 로봇 도입의 효율성 분석

        한수민 ( Sumin Han ),원종운 ( Jong-un Won ),이석 ( Seok Lee ),( Enkhtsetseg Sampil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20 로지스틱스연구 Vol.28 No.6

        Due to the continued growth of online shopping and the corona 19 incident, the proportion of face-to-face shopping is decreasing, and the online shopping market is growing by expanding its proportion and scop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shopping, the demand for small package delivery is increasing dramatically. Increasing demand for delivery creates a significant load on the delivery logistics process. Among these processes, the unloading work at the logistics terminal, which is performed by manpower, is most affected by increasing demand. However, because of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frequent accidents,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efficiency of the delivery logistics terminal. In this study, a parcel unloading robot is suggest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efficiency of a terminal. and the operating and allocation policies of unloading robots are suggested. And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robot installed terminal, the simulation experiments ar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