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택티컬 어바니즘 활용을 통한 가로공간 개선방안 연구 - 소제동 비타민파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한소영,백한열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2020년 COVID –19 팬데믹을 지나면서 자가격리로 인한 거주민의 활동제약의 반대급부로 오픈스페이스와 보행공간의 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서울시 등 자동차 중심의 도로공간을 보행자 중심의 가로공간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로공간에 대한 도시민의 수요와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가로공간과 보행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가로공간의 이용 활성화와 보행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택티컬 어바니즘의 활용과 적용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택티컬 어바니즘과 관련된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택티컬 어바니즘, 리빙랩, 파클렛 등 관련 개념을 살펴보고, 국내에서 진행된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의 차별성을 도출한다. 택티컬 어바니즘을 적용한 해외사례를 연구하여 택티컬 어바니즘의 주요 요소 및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2022년 국내에서 택티컬 어바니즘을 적용하여 임시적으로 거리공원을 조성한‘소제동 비타민파크’ 프로젝트의 진행과정 및 단계별 주요 요소를 분석하고, 지역주민 및 참여자의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을 검증한다. (결과) 소제동 비타민파크 프로젝트는 파클렛을 활용하여 택티컬 어바니즘을 실행한 사례로 리빙랩 형태의 지역주민, 공공, 전문가, 지역사회 등 폭넓은 참여를 통해 자동차 위주의 도로 공간을 일시적으로 시민을 위한 거리공원으로 조성한 사업이다. 특히, 지역대학이 행사의 기획, 준비, 운영을 총괄하여 행사를 진행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그 실효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짧은 사업기간으로 지역주민들이 사업의 전 과정에 적극적인 주체로 참여하지 못한 점과 후속사업의 미비로 인해 프로젝트 이후 도로 공간으로 되돌아간 점은 소제동 비타민파크의 한계로 남는다. (결론) 택티컬 어바니즘을 활용한 일시적 프로젝트를 통해 대규모 가로공간 개선사업에서 발생하는 예산 손실과 위험부담 등 사회적 비용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수준 높은 가로공간을 조성하기 위하여 실제 그 공간을 이용하는 주민들의 참여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주민참여형 계획과정인 리빙랩 등 다양한 방안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로공간 개선 사업시 택티컬 어바니즘을 활용하여 소규모, 지속적인 실험을 통해 시민들의 공감대를 이끌어내어 일시적인 행사가 아닌 장기적으로 보행친화적인 가로공간을 만들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서울시 도시공원의 장소적 재현 - 기념성, 상징성, 장소기억을 중심으로 -

        한소영,조경진,Han, So-Young,Zoh, Kyung-Ji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2

        본 연구는 근대에 조성되기 시작한 서울의 도시공원의 조성과 관련한 제 전반의 사항들이 어떤 흐름으로 변화해왔는지를 고찰하기 위함을 주요 목적에 두고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개방 이후 조성된 서울의 대부분 공원들이 다양한 형태의 기념성,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거나 혹은 장소 자체 기억을 재현할 것이라는 가설을 전제하고 연구를 착수하였다. 공원 내 상징성, 기념성, 장소기억의 물리적 혹은 비 물리적 요소들의 재현양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 내 기념성 및 상징성이 물리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 기념비, 동상 등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이는 공원의 조성 목적이 기념공원에 부합하는 경우 좀 더 적극적인 형태로 기념비적 요소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 이외의 경우는 공원 전체의 개념과는 관계없이 국가에서 임의로 지정한 상징성을 띠는 조각물이나 동상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장소기억의 경우, 과거에는 기념성이나 상징성 구현 방법과 같이 동상이나 일부 건조물 등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일정 시기 장소기억을 공원 전체에 조화시키는 양상을 띠기 시작한다. 둘째, 비 물리적 재현요소들의 경우 공원 명칭에서 기념성 및 상징성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 들어서는 명칭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경우는 많이 약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공원의 부분 장소 명칭에서 장소기억과 관련하여 지어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공원 내에서 벌어지는 이벤트의 경우, 탑골공원 등 개방 초기 조성된 공원들에서 일부 당시의 시대 상황을 기념하기 위해 설정된 경우 등이 있었다. 장소기억이 강조되어 최근 조성된 공원들의 경우 이와 관련하기 보다는 다양한 형태로 시민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가장 큰 목적에 두고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lace representation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urban parks in Seoul, which bega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order to grasp place representation,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most urban parks are undertaken with the idea of monumentality and symbolism or memories of the place itself. Diverse ways of representation through physical or non-physical aspects of symbolism, monumentality, and place memor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physical aspects of representation in the parks, monumentality and symbolism are expressed mostly through monuments or statues. In the case that the intention of the park is commemorative, celebrative elements are more actively utilized. In other cases, symbolic sculptures or statues, which are randomly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re so often used regardless of the overarching concept of the urban park. In addition, in the case of place memory, monumentality or symbolism are commonly represented through bronze statues or partial remnants of the past. Recently, however, the site in itself has been constructed to coordinate the memories of a certain place into the configuration of the park. Secondly, in relation to the non-physical representation elements, many urban parks tend to reveal monumentality or symbolism through the names they are given. Recently, this tendency has significantly dropped, but some places of parksare frequently denominated in consideration of place memory. In the case of events held in parks, parks which were constructed in the beginning of the park movement, such as Tapgol Park, hold certain events to commemorate certain causes that took place in those days. On the other hand, the main purpose of recently-constructed urban parks relating to place memory is to encourage citizens to participate in events in a variety of ways.

      • KCI등재

        Intravitreal Ranibizumab for Subfoveal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from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with Combined Severe Diabetic Retinopathy

        한소영,배정훈,오재령,유형곤,송수정 대한당뇨병학회 2015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9 No.1

        Backgrou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intravitreal ranibizumab for subfoveal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 from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with combined severe diabetic retinopathy (DR). Methods: This retrospective, interventional case series included eleven patients (mean age, 70.09 years; range, 54 to 83 years) with at least severe non-proliferative DR and subfoveal CNV secondary to AMD. Each subject was treated with intravitreal injections of 0.5 mg ranibizumab. The primary outcomes included change in best-corrected visual acuity and central subfield thickness (CST)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Results: The mean follow-up time was 16.7±14 months (range, 6 to 31 months). Mean visual acuity improved from 1.21±0.80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 to 1.0±0.6 logMAR (P=0.107), 0.95±0.62 logMAR (P=0.044), 1.10±0.68 logMAR (P=0.296), and 1.13±0.66 logMAR (P=0.838) at 1, 3, 6, and 12 months after injection, respectively. Eight patients (72.7%) gained or maintained vision (mean 0.32 logMAR), whereas three patients (27.3%) lost more than one line of vision (mean 0.51 logMAR). The mean OCT CST was 343.9±134.6 μm at baseline, and the mean CST at 1, 3, 6, 12 months after the injection was 367.8± 172.1 (P=0.864), 346.2±246.2 (P=0.857), 342±194.1 (P=0.551), and 294.2±108.3 μm (P=0.621), respectively. Conclusion: Intravitreal ranibizumab injection can be considered to be a therapy for the stabilization of subfoveal CNV secondary to AMD with combined severe DR. However, these patients might exhibit limited visual improvement after treatment.

      • KCI등재

        Social Construction of Place Representation and Place Identity Process in Hyochang Park

        한소영,김용국,조경진 한국전통조경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9 No.-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modernization, Japanese occupation and national liberation during the short period, political inclinations of the power elite was represented in (re)creating urban parks. Depending on time strongly intervened, it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the physical structures and non-physical contents of the parks. Such a situation did not stay in the process in itself, but it took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ies for the general public about places being made through place representation. In addition, the place identity with such collective memories of the general public are socially constructed. This study focused on Hyochang Park which has been endlessly changing according to evolution of the power elite with symbolism among the nation's urban parks in order to look into the process of social construction of place identity. The history of Hyochang Park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One is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of the nation. The second is the period from liberation from Japan to the 1980s, in which the sanctifying process of the park began literally. The last period is from the 1980s to the present. We will look into how the place identity was formed in each era and what kinds of place identity coexisted together, and what reasons for that were examined. Historically, the processes of Hyochang Park's transformation was related with the social landscape rather than ecological ones. It have closely been associated with urgent social issues. Regarding physical changes, the roles of the power elite were especially critical in making of the park. Before the nation was occupied by Japan, Hyochang Park was Hyochang Tomb.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Japanese Empire built the park to dissolve the place symbol of the site and attempted to integrate the modern image with the existing site. After the nation was liberated from Japanese colonialism, patriotic martyrs were buried in this place to erase the traces of the Japanese occupation. Since then, many statues and monuments were added to disintegrate the traces of the power while converting the park with images of Hyochang Park as a resting place. Hyochang Park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power elite's political ideology. However, in recent times, it has been influenced by citizens' demands and social and cultural trends as larger factors of changing environment. The government attempted to present traditional images through the sanctifying process, but most of them couldn't be fully realized. It means that people's awareness and potential power in the civil society was increased to resist against the deep-rooted top-down park policy. This means that the original nature of the urban park has been sustained since Japanese occupation. However, people came to be active participants by intervening the meaning of the place rather than staying as passive spectators.

      • KCI등재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과 상담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한소영,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4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exploring and identifying how cli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counseling outcome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Authors investigated experiences relating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the counseling process from ten clients showing successful counseling outcome by employ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Results showed that clients experience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various ways, and counselors' needs support interventions suggested by SDT effectively influenced clients’ needs satisfaction. Clients reported that experiencing needs satisfaction led positive counseling outcome and was a positive counseling outcome per se.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이론에 바탕을 두고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상담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성공적 상담성과를 보인 10명의 내담자의 경험을 심층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내담자들은 상담과정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불만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안하는 욕구 지지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이 상호작용하며 욕구 만족 경험에 서로 영향 미치는 양상을 보였다. 내담자들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이 상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았으며,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특히 자율성과 유능감 만족 경험 자체가 상담성과라고 응답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임상적 의의를 비롯하여,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다.

      • KCI등재

        커플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의 다집단 요인분석과 잠재평균분석

        한소영,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집단 요인분석을 통해 커플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가 남성과 여성 집단, 연인관계에 있는 대상과 부부관계에 있는 대상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둘째,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커플 기본 심리적 욕구 3 요인에 대한 성별과 커플 발달 단계별 잠재평균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방 법

      • KCI등재

        커플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의 개발

        한소영,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8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Importance Scale for Couples(BPNIS-Couple)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Deci & Ryan, 2000). In study 1, 39 items were created from students' essays and the item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developed by La Guardia et al.(2000). We selected the 24 preliminary items from the original item pool on the basis of ratings of the researcher group. The result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supported 3 factor-structure of the scale: a) autonomy, b) competence, and c) relatedness. Finally, a total of 21 items with 7 items per each factor were selected. In study 2, the 3-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identified in study 1 was support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coefficient alphas were .89 for the total BPNIS, .79 for the autonomy, .86 for the competence, and .86 for the relatedness.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80 for the total BPNIS, .81 for the autonomy, .61 for the competence, and .62 for the relatedness. For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3 factors of the scale and 3 factors of the Wish subscale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tern Questionnaire. The resul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utonomy and “to be independent”(.58), competence and “self-confident”(.64), and relatedness and “to be loved”(.70).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 이론(Deci & Ryan, 2000)에 바탕을 두고, 커플 관계에서 주된 심리적 욕구를 측정하는 커플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Basic Psychological Needs Importance Scale for Couples; BPNIS-Couple)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엣세이를 통한 질적 자료의 수집과 관련 척도를 참고하여 자기결정 이론의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반영하는 최초의 39개의 문항을 수집하였다. 전문가들의 평정을 통하여 24개의 예비 문항이 선발되었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분석을 통하여 최종 21문항을 추출하였다. 연구 2에서는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 1에서 추출된 문항의 3 요인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대인관계 패턴 질문지의 하위 범주인 소망의 3요인과의 상관을 통해, 공존타당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율성은 ‘독립하고 싶음’과 .58, 유능성은 ‘성취하고 싶음’과 .64, 관계성은 ‘사랑받고 싶음’과 .70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개발된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전체 척도가 .88, 하위요인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각각 .79, .86, .86이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전체 척도가 .80, 하위요인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각각 .81, .61, .62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다.

      • KCI등재

        특허 디자인 융복합을 통한 미래기술시각화

        한소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창조경제 시대에 특허와 디자인의 역할이 기술개발의 보조적 역할 또는 완료 단계의 권리화에 머무르던 것에서 R&D혁신의 핵심 요건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산업 간 융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미래 유망기술과 결합한 디자인의 새로운 개념이 미래를 예측하고 그에 대응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만들어지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최첨단 기술의 융복합이 가속화되면서 기계 중심적 기술에서 인간 중심적 기술로 전환하였고, 무형의 가치를 지식재산권(IP)의 형태로 창출하고 있다. 특허 중심의 IP-R&D는 선진기술을 추격하는 형태로 상표권, 디자인권, BM(비즈니스모델)특허 등을 확보하는 것으로 과거 지향적이라는 한계점을 가진다. 디자인이 과거 기계적 요소의 협조 관계에 있던 미적 가치 추구로 인식되던 것과 달리, 오늘날의 디자인은 지속적인 혁신을 위한 기업 가치를 창출하고 브랜드를 구축하는 핵심적이고 지속적인 혁신의 중심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의 디자인이 미래가치를 예측하여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는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어 특허 중심이 아닌 디자인 중심의 IP-R&D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기술의 성장속도와 미래가치를 예측하고, 시장의 니즈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간파하는 히트상품을 개발하는 디자인 중심의 IP-R&D는 미적 가치 추구를 넘어서 전략적 지재권 포트폴리오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처럼 기술과 디자인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하여, 특허 디자인 융복합과 미래유망기술 기반 미래기술시각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의 창조적 지식, 정보, 기술을 지식재산권으로 권리화하고 디자인의 진화된 역할 활동으로 그것을 실현시킬 미래 비즈니스 모델의 형태로 제시하는 것을 기술시각화라고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시장을 선점하고 미래를 선도함으로써 기업경쟁력은 물론 국가 R&D 고도화를 실현할 수 있다. The role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design until now in the creative economy era was to support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protecting rights on the finalizing stage and has emerged to be a core element in R&D innovation. Although industrie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it has not been able to reach the stage of combining it with potential future technologies to produce new designs that can predict future trends, and thus develop business models that can respond to those trends. As high-tech convergence accelerated, the basis of technology became human based instead of machinery, thus intangible value is being created in form of IP. Patent based IP-R&D pursues advanced technology, which limits the process to acquiring rights from those technologies. Unlike the past where design was simply a supplementary process of technology, in present days design plays a key role for continuous innovation and increasing the value of brands. Currently, design predicts future value to pioneer product and service development in the future market, thus instead of a patent-based, a design based IP-R&D process became necessary. Developing a strategic IP portfolio with a design based IP-R&D process that exceeds simple aesthetic value by predicting the growth of technology and value of the future is the aim of this research. In order to surpass the limits of design and technology and create new value, future technological visualization based of future potential technologies was to be proposed. This research refers to technological visualization as taking creative elements of people and utilizing them interactively to create future business models with the protection of IP. Through this process and resulting advantages in the future market, both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national value could significa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