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무 싹의 화학성분과 생리기능성

        하진옥(Jin Ok Ha),하태만(Tae Man Ha),이재준(Jae Joon Lee),김아라(Ah Ra Kim),이명렬(Myung Yu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0

        순무 싹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순무 싹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효능을 검증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무 싹 분말의 일반성분은 건물(dry basis)을 기준으로 수분함량은 2.35%, 조단백질 22.51%, 조지방 21.60%, 조회분 4.35% 및 탄수화물 49.19%를 함유하였다. 구성당은 glucose가 73.39 ㎎/L로 가장 많았고, fructose가 12.62 ㎎/L 검출되어 총 2종이 검출되었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242.57 ㎎%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다음으로 leucine, aspartic acid, valine 순이었다. 순무 싹의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tricosano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heneicosano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oleic acid, linolen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2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tartaric acid 함량이 2,962.74 ㎎/L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malic acid 순이었다. 비타민 A와 E의 함량은 각각 0.09 ㎎%와 3.06 ㎎%이었다. 무기질은 총 8종의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중 K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 Ca, Na 순이었고 Fe, Zn, Mn, Cu의 함량은 미량이었다. 순무 싹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순무 싹 에탄올 추출물 100 ㎍/mL 농도에서 35.24%의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1,000 ㎍/mL일 때 아질산염 소거능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각각 64.25% 및 69.29%로 매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순무 싹 분말은 필수아미노산을 비롯한 항산화 비타민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순무 싹 에탄올 추출물은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순무 싹을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개발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것으로 기대되어진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dried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BR) sprouts.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BR sprouts as dry matter basis were 2.35% of moisture content, 22.51% of crude protein, 21.60% of crude lipid, 4.35% of crude ash, and 49.19% of carbohydrate, respectively. The free sugars were identified as glucose and fructose. Analyzing total amino acids, 18 kinds of components were isolated from BR sprouts.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ained in BR sprouts accounted for 47.00% of total amino acid, while the non-essential amino acid accounted for 53.00%. The contents of vitamin A and vitamin E were 0.09 ㎎% and 3.06 ㎎%, respectively. Tartaric acid was the major organic acid. Among the minerals in dried BR sprouts, the content of potassium was the highest (882.50 ㎎%) and those of magnesium and calcium were comparatively high (342.85 ㎎%, 274.30 ㎎%). BR sprouts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Hmg-CoA reductase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vitro. Furthermore,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BR sprouts were 64.25% and 69.29% at a concentration of 1,000 ㎍/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 sprouts possess potential antioxidative capacity and H㎎-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 KCI등재

        연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이재준,하진옥,이명렬,Lee, Jae-Joon,Ha, Jin-Ok,Lee, Myung-Yul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9

        본 연구에서는 연근의 유용자원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근 추출물을 제조하여 in vitro 에서 합성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BHT와의 비교 측정하기 위하여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각 분획별 항산화력 활성을 검토하였다. 연근 분획물의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 Rancimat에 의한 항산화지수, 아질산염 소거능,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 등을 측정하였고, 총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9.14% 이었고,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계통 분획한 수율은 n-butanol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water, eth-ylacetate, chloroform, n-hexane 순이었다.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총 polyphenol 함량은 0.306 mg/ml이었고, 각 분획물 중 ethylacetate 분획물이 0.843 mg/ml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ethylacetate 분획물이 15.69 ${\mu}g/ ml$로 가장 강한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합성항산화제 BHT의 15.38 ${\mu}g$/ml 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Rancimat의 지질 산패도 유도기간에 따른 항산화력 비교에서도, ethylacetate 분획물이 가장 길었으나 양성대조군인 BHT의 유도기간에 비하여 짧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pH 1.2에서 ethylacetate 분획물이 88.33%로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비슷한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도 ethylacetate 분획물이 87.23%로 가장 우수하였다. 전체적으로 연근 ethylacetate 분획물은 BHT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연근 추출물은 in vitro 항산화 실험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on the antioxidant capacity of 80% ethanol extract of lotus root in vitro. The ex-traction yields of 80 % ethanol extract was 9.14%. Lotus root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by the following: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n-butanol. n-Butanol fraction showe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of all fr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ifferent fractions were examined by l.l-diphenyl-2-picrylhydrazyl(DPPH) radical generation, the Rancimat test,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the thiobarbituric acid(TBA) method, and compared with the properties of the commercial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toluene(BHT).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the ethylacetate fraction was the highest among fractions and its fraction showed higher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Furthermore,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the ethylacetate fraction was similar to that of BH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tus root may be a good candidate as a natural antioxidant source.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SCOPUS
      • 유근피가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미정,하진옥,이재준,이명렬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9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34 No.1

        연구배경: 유근피는 기능성식품의 신소재로 개발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식품학적 연구 및 생리활성효능의 검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근피 에탄올 추출물(UDEE)이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방대사 개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혈청 및 간 중의 지질 조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방법: 5주령의 Sprague Dawley계 웅성 흰쥐에게 1% 콜레스테롤과 0.25% sodium cholate를 함유한 고콜레스테롤식이를 조제하여 6주간 급여하였다. 실험군은 정상식이군(NOR), 고콜레스테롤식이군(대조군, CON), 정상식이와 유근피 에탄올 추출물 저용량 투여군(UD1), 정상식이와 유근피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투여군(UD2), 고콜레스테롤식이와 유근피 에탄올 추출물 저용량 병합 투여군(UDC1) 및 고콜레스테롤식이와 유근피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군(UDC2)의 6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유근피 에탄올 추출물은 매일 같은 시각에 경구 투여한 후 흰쥐의 혈액과 간장 내의 지질 조성을 관찰하였다. 결과: 체중증가율과 간 무게는 CON군이 NOR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고콜레스테롤식이와 유근피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UDC1군과 UDC2군에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 중 ALT, AST 및 ALP 활성은 CON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UDEE 투여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UDEE 투여군에서는 CON군에 비하여 HDL-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유리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감소하였다. 중성지질, 인지질,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유리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식이를 급여한 군들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또한, 간 중 중성지질과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UDEE 투여군이 CON군에 비하여 낮았다. 결론: 유근피 에탄올 추출물은 혈청 및 간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켜 고콜레스테롤혈증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UDEE) on serum and liver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Methods and Material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dministered 1% cholesterol and 0.25% sodium cholate to induce hypercholesterolemia. We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diet group(NOR), high cholesterol diet group(CON), normal diet and UDEE 200 mg/kg administered group(UD1), normal diet and UDEE 400 mg/kg administered group(UD2), high cholesterol diet and UDEE 200 mg/kg administered group(UDC1), and high cholesterol diet and UDEE 400 mg/kg administered group(UDC2). Results: The growth rate and liver weight of the CON group was higher than the NOR, whereas the administered UDEE groups were gradually decrease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ctivities of serum ALT, AST and ALP in CON group. The administration of UDEE decreased serum ALT, AST and ALP activities in dose dependently manners. UDEE administered groups were increased HDL-C/T-C, HDL-cholesterol and phospholipid levels, and decreased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as compared with CON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phospholipid,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free cholesterol between normal diet groups. The hepatic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also lower in UDEE administered groups than in CON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UDEE exerts hypocholesterolemic effect by reducing serum and liver cholesterol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