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허브 식물 추출물의 항암 활성

        추상미,채제천,이동진 단국대학교 국제농업협력연구소 2007 국제농업협력연구 Vol.1 No.1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assay were used to analyze anticancer activities from herbal pl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hibit the human lung cancer(A549) cell line in vitro. The 1C50 value of cytotoxicity showed range of 127.83-2018 .1 9μg/m~. Especially Coriander( 127.83μg/mR} and Catnip(140.68μg/me.) showed more stronger activity than other plants, respectively.

      • KCI등재

        LC-DAD-ESI/MS를 이용한 국내 자색벼 품종 종실의 안토시아닌 조성 및 함량 분석

        김헌웅,김정봉,추상미,김소영,김세나,조영숙,조수묵,백형진,박홍주,김재현,이동진,Hiba A. Ali,Derek Stewart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0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2 No.3

        LC-DAD-ESI/MS를 이용하여 국내 자색벼 품종에 대해 개별 안토시아닌 조성 및 함량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색벼 품종에서 분리된 모든 개별 안토시아닌의 화학구조는 MS fragment 패턴을 확인하여 cyanidin을 base로 한 unknown 화합물 1종을 포함, cyanidin 3,5-diglucoside, cyanidin 3-glucoside, peonidin 3-glucoside의 총 4가지 개별성분이 분리 및 동정되었다. 2. Cyanidin 3-glucoside 및 peonidin 3-glucoside이 주요성분으로 cyanidin 3-glucoside의 경우 90% 이상의 가장 높은 함량 비중을 나타냈으며, 개별성분별 평균 함량은 cyanidin 3-glucoside > peonidin 3-glucoside > cyanidin 3,5-diglucoside > unknown(cyanidin based)의 순으로 나타났다. 3. 흑진주벼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408 mg/100 g으로 흑남벼보다 약 6배 정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anthocyanin were determined in grains of the Korean purple rice varietie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 array detection and 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LC-DAD-ESI/MS). Isolated individual anthocyanins were identified and confirmed as cyanidin 3,5-diglucoside, cyanidin 3-glucoside, peonidin 3-glucoside and unknown compound with cyanidin based by interpretation MS fragments. Among them cyanidin 3-glucoside and peonidin 3-glucoside were major components. Especially, cyanidin 3-glucoside showed highest proportion and the anthocyanin conten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Heugjinjubyeo(408 mg/100 g) than in other variety.

      • KCI등재

        근적외선 분광 분석법을 이용한 참깨의 지방함량 측정

        김정봉,김민희,이영이,이호선,이석영,김헌웅,추상미,백형진,조영숙,김재현,박홍주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0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2 No.3

        근적외선 분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참깨의 지방함량의 신속측정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검량식의 기본 모형은 다중 회귀 모형으로 하였으며, 회귀 모형의 독립 변수의 선택은 step-wise법을 이용하였다. 1. 참깨의 121점 중 지방산 함량 분포는 palmitic acid(IT028899-7.2%, IT169359-10.0%), stearic acid(IT028897-4.5%, IT028910-7.0%), oleic acid(IT170020-32.2%, IT156371-46.5%), linoleic acid(IT156348-36.5, IT169926-49.6%), 그리고 linolenic acid(IT169316-0.2%, IT156367-0.6%)로 나타났다. 2. 지방함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검량선 작성시 종래의 화학적 방법에 의한 분석치와 NIRS 분석치 와의 상관계수는 oleic acid(r2-0.834) and linoleic acid(r2-0.925)로 판단되어 linoleic acid의 이용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 methodological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potential of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for the estim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content in sesame seeds. A set of 3237 sesame lines, provided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ere scanned by NIRS for their fatty acids. Calibration equations for the content of fatty acids were developed for the 122 lines of them by GC-FID(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Main fatty acids were palmitic acid(C16:0, 8.5%), stearic acid(C18:0, 5.7%), oleic acid(C18:1, 39.3%), linoleic acid(C18:2, 43.4%), and linolenic acid(C18:3, 0.4%); the lowest and highest level were IT028899-7.2% and IT169359-10.0% in palmitic acid and IT028897-4.5%, IT028910-7.0% in stearic acid, IT170020-32.2% and IT156371-46.5% in oleic acid, IT156348-36.5 and IT169926-49.6% in linoleic acid, and IT169316-0.2% and IT156367-0.6% in linolenic acid, respectively. Determination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eeds could be carried out successfully by using the spectra patterns of NIRS for both oleic and linoleic acids. As a result,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compositions(% of total fatty acid) ranged from 25.8% to 49.2% and from 21.7% to 52.2%, respectively, in sesame seeds. Correlation(r2) between the percentage of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was calculated in (-0.23).

      • KCI등재

        포도 및 포도주 함유 Resveratrol의 정량 분석

        김헌웅,추상미,이동진 韓國作物學會 2006 한국작물학회지 Vol.51 No.1S

        포도, 와인에 함유되어 있는 레스베라트롤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HPLC 정량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국내에서 생산된 13개의 포도 재배 품종의 부위별과 13종류의 와인에 대한 레스베라트를 함량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3 품종의 평균 레스베라트를 함량은 143.5ug/g 이었으며, 과피, 과육, 종자, 송이가지는 각각 0.9~104.8ug/g,0.1~0.5ug/g1.7~173.9ug/g2.9~247.4ug/g 의 함량 분포를 나타냈다. 2. 과피, 과육, 종자, 송이가지 부위별 평균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각각 35.0, 0.2, 25.8, 82.5ug/g 이었으며, 과피의 경우 용보 품종이 104.8ug/g ,종자의 경우 청수 품종이 173.9ug/g , 송이가지의 경우 델라웨어 품종이 247.4ug/g 의 가장 높은 레스베라트를 함량을 나타냈다. 3. 13종류의 와인에 대한 레스베라트롤은 253.3~11,271.6ug/L 의 함량 분포를 나타냈다. A direct HPLC method was used to analyze determination of resveratrol in grapes and wines. Content of resveratrol in different parts of 13 grape cultivars and 13 wines were quantified. The average total resveratrol content was 143.5~mug/g . Resveratrol contents in the skin, fruit, seed and fruit stem were distributed range of 0.9~104.8~mug/g,~;0.1~0.5~mug/g~;1.7~173.9~mug/g~;2.9~247.4~mug/g , respectively. Resveratrol contents in 13 wines were distributed range of 253.3~11,271.6~mug/g

      • KCI등재

        포도 및 포도주 함유 Resveratrol의 정량 분석

        김헌웅,추상미,이동진,Kim, Heon-Woong,Chu, Sang-Mi,Lee, Dong-Jin 한국작물학회 2006 한국작물학회지 Vol.51 No.suppl1

        A direct HPLC method was used to analyze determination of resveratrol in grapes and wines. Content of resveratrol in different parts of 13 grape cultivars and 13 wines were quantified. The average total resveratrol content was $143.5{\mu}g/g$. Resveratrol contents in the skin, fruit, seed and fruit stem were distributed range of $0.9{\sim}104.8{\mu}g/g,\;0.1{\sim}0.5{\mu}g/g\;1.7{\sim}173.9{\mu}g/g\;2.9{\sim}247.4{\mu}g/g$, respectively. Resveratrol contents in 13 wines were distributed range of $253.3{\sim}11,271.6{\mu}g/g$. 포도, 와인에 함유되어 있는 레스베라트롤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HPLC 정량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국내에서 생산된 13개의 포도 재배 품종의 부위별과 13종류의 와인에 대한 레스베라트를 함량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3 품종의 평균 레스베라트를 함량은 $143.5{\mu}g/g$이었으며, 과피, 과육, 종자, 송이가지는 각각 $0.9{\sim}104.8{\mu}g/g,\;0.1{\sim}0.5{\mu}g/g\;1.7{\sim}173.9{\mu}g/g\;2.9{\sim}247.4{\mu}g/g$의 함량 분포를 나타냈다. 2. 과피, 과육, 종자, 송이가지 부위별 평균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각각 35.0, 0.2, 25.8, $82.5{\mu}g/g$ 이었으며, 과피의 경우 용보 품종이 $104.8{\mu}g/g$,종자의 경우 청수 품종이 $173.9{\mu}g/g$, 송이가지의 경우 델라웨어 품종이 $247.4{\mu}g/g$의 가장 높은 레스베라트를 함량을 나타냈다. 3. 13종류의 와인에 대한 레스베라트롤은 $253.3{\sim}11,271.6{\mu}g/L$의 함량 분포를 나타냈다.

      • KCI등재
      • KCI등재

        향신료 작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이동진,배로나,김헌웅,추상미,박순영,이재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7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9 No.1

        향신 채소 유전자원 34점에 대해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항산화 활성은 57.9~423.1 ㎍/㎖으로 넓은 분포를 보였다. 공시작물 중 상추(Lactuca sativa) 품종들이 57.9~89.6 ㎍/㎖으로 비교적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며, 이 중 홍하적축면이 57.9 ㎍/㎖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2. Brassica campestris, Brassica juncea, Brassica napus ,Brassica oleracea, Cichorium, Coriandrum 등도 Beta vulgaris, Raphanus sativus, Spinacia oleracea 등에 비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3. 추출물 100㎕ 첨가 처리구 경우, Escherichia coli KCTC 1923 균주에 대해서는 뉴비타(Brassica campestris) 등 10점 모두 대조구인 MeOH의 8㎜ 보다 높은 14~30㎜의 균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케일 에프시(Brassica oleracea)가 30㎜으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Bacillus subtilis KCTC 1021 균주에 대해서는 보쌈치커리(Cichorium endivia)와 청피홍심무(Raphanus sativus)만이 각각 15㎜, 11㎜의 균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DPPH(1, 1-di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disk diffusion assay were conducted to analyz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34 herbs and spices. Antioxidant activities of herbal plants showed distribution of 57.9~423.1 ㎍/㎖ concentration. Lactuca sativa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by 57.9~89.6 ㎍/㎖. Especially, Hong ha red curled leaf lettuce(Lactuca sativa) showed the highest activity by 57.9 ㎍/㎖. Also, Brassica campestris, Brassica juncea, Brassica napus, Brassica oleracea, Cichorium and Coriandrum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es compared to Beta vulgaris, Raphanus sativus and Spinacia oleracea. Out of the total, 10 chosen methanolic extracts of plants including Newvita(Brassica campestris)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ose 10 methanolic extracts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 and all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ies (14~30㎜ inhibition zone) as compared to control (8㎜ inhibition zone) when Escherichia coli KCTC 1923 strain was used. But Bo ssam chicory(Cichorium endivia) and Cheong pi hong shim radish(Raphanus sativus) only showed baterial inhibitory zone by 15㎜ and 11㎜, respectively when Bacillus subtilis KCTC 1021 strain was used.

      • KCI등재

        보리 유전자원 종실 추출액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이동진,김헌웅,박상구,추상미,이재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7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9 No.3

        보리 유전자원 405점에 대해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70% 이상의 항산화 활성에서 재래종 겉보리 및 쌀보리는 각각 103점 중 3점(2.9%), 56점 중 14점(25%)으로 쌀보리에서 활성이 높은 품종이 더 많이 조사되었다. 반면에 유색종 겉보리 및 쌀보리는 각각 193점 중 28(14.5%), 53점 중 8점(15.1%)의 비슷한 분포를 나타냈다. 2. 쥐 흑색종 세포인 B16-F10 cell lines에 대하여 재래종 겉보리 및 쌀보리는 각각 활성이10% 이하부터 70% 미만, 10% 이하부터 58% 미만인 분포를 나타냈으며, 유색종 겉보리 및 쌀보리는 모두 10% 이하에서 70% 미만까지의 분포를 나타냈다. 3. 재래종 및 유색종 보리의 항산화 활성에서 겉보리 및 쌀보리는 10-50%의 활성을 중심으로 정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항암 활성에서는 겉보리의 경우 10-50%의 활성을 중심으로 정규 분포를 보이는 반면, 쌀보리의 경우 활성이 높아질수록 낮게 분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DPPH(1, 1-di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and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assay were used to analyze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in 405 barley germplasms. In more than antioxidant activities(70%), the covered and naked barley having colors showed similar distribution of 28(14.5%) and 8(15.1%) accessions whereas the covered and naked barley landraces are 3(2.9%) and 14(25%) accessions, respectively. Against B16-F10 mouse melanoma cell lines the covered and naked barley landraces are showed distribution of 0-70% and 0-58%, respectively. And all the covered and naked barley having colors showed distribution of 0-70%. In antioxidant activities of native and colored barley, the covered and naked barley are showing a normal distribution in the center of 10-50%, In anticancer activities naked barley showed the tendency of distribution lowly as activities are higher whereas the covered barley are showing a normal distribution in the center of 10-5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