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소설의 자기 반영적 글쓰기와 담론 생산의 문제

        최인자(In Ja Choi) 한국문학교육학회 1998 문학교육학 Vol.2 No.-

        The topic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writing philosophy and it`s discourse product method in the times of mass-media through self-reflectionity in contemporary novel. Texts studied are A Day of Novelist Gubo by Choi In-hun, Wall of Rumors, A Disabled and a Fool by Lee Chong-jun. This study will provide the way how to educate the writing in the times of mass-media. This study starts from criticizing the imagism which regards `language` as a transparent mediator in writing. Instead, it will bring into focus the social signifying of language as discourse. The two texts have in common that they were written in 1970 when mass-media was strengthening it`s spreading ideological power. Choi In-hun intends to reflect that the doxa generally accepted were false. Writing is, for him, an act to interrogate dominant discourse following his memory. It`s a dialogue with another possibiliy excluded by offical discourse. For this, he developped ambivalent understanding based on various view-point. Lee chong-jun presents the way to `honest words` against the violent control of language as a good writing. `Honest words`, the basic principle of writing, starts from the writer`s hurt and get freedom by violating the bans in reality. Self-reflectionity writing has been the writing method considering both criticism for dominant discourse and possibility of subjective meaning production.

      • KCI등재

        기획 주제 : 디지털 시대의 고전 읽기 ; 디지털 시대,문학 고전 읽기 방식 -고전 변용 텍스트의 상호매체적,상호문화적 읽기를 중심으로-

        최인자 ( In Ja Choi ) 한국독서학회 2008 독서연구 Vol.0 No.19

        이 글은 디지털 시대의 독서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고전 텍스트의 전통적 읽기 뿐 아니라 변용 텍스트들과의 상호교류적 읽기 역시 필요하다고 전제하였다. 이에 현대적 변용의 고전 텍스트들을, 고전 읽기의 본질로 고려하면서도 디지털 독서 문화의 긍정성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읽을 수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변용된 고전 텍스트가 고전 독서로서의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고전 텍스트와의 상호연관성을 고려하는‘문화적 기억’들의 활성화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밝혔다. 곧, 변용된 고전 텍스트 읽기는 고전 텍스트와 상호 연관성을 통해 문화적 기억들을 전승, 변형하며, 새롭게창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단순히 과거 고전에 각인된 문화적 기억들을 전달받는 데 그치지 않으려면,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읽기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상호적 읽기’방법으로 모색하였다. ‘상호적 읽기’는 고전과 고전 변용 텍스트들을 대화적 관계로 규정하고, 상위의 공통점을 전제로 하면서도 다양한 차이점, 불연속성을 부각시켜 읽는 방식이다. 고전은 보편적 공감력을 지닌 존재이기도 하지만 저항할 존재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이런 상호적 읽기는 고전을 고정된 의미로 규정하는 관습화된 기능 기억에서 벗어나 복수의 다가적인 의미로 이끌어내어, 독자자신의 정체성에 입각하여 선택하고, 새로운 의미를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를<심청전>의 변용 텍스트들로 상호매체적 읽기와 상호문화적 읽기를 확인해 보았다. 애니메이션<왕후 심청>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장르적 속성에 따른 원작과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매체의 속성이 문화적 기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읽었다. 이 작품은‘효’를 주제로 하면서도 선과 악, 고난과 성취의 극적 속성을 강화시켜 심청의‘왕후’로의 성취, ‘효’의 사회적 보상의 측면을 강조하고, 윤리적 측면은 망각하고 있었다. 이는 애니메이션 특유의 역동적 움직임과 보편적 감동에 호소하고 있어는 것임과 동시에, 인물들을 능동적이고 당찬 모습으로 그림으로써 매력도를 높이려는 취지라 하겠다. 상호 문화적 읽기에서는 70년대 <달아 달아 밝은 달아>와 90년대 <심청이는 왜 임당수에 두 번 몸을 던졌을까?>의 희극을 중심으로, 시대에 따라 변모되는 여성성에 대한 기억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70년대는 군부 독재와 신식민지에 대한 비판적 인식 하에, 여성성은‘식민화된 수난의 몸’이나 ‘낭만적 정신’을 가진 소유자로, 90년대는 반생명적인 타락 사회에서의 이타적 배려를 지닌‘모성성’의 소유자로서 재현하고 있었다. 이는 고전<심청전>에서 보여주는 잠재적 의미망 중의 하나라 할 것이다. 독자는 이 상호적 읽기에 비판적 읽기나 개작적 읽기 등을 첨가하여 고전의 복수적 의미망을 되살리면서도 주체적인 읽기를 시도할 수 있다. The task of this essay is develop the reading method of classics in the Digital Age. Especially, this essay lays emphasis on the reading of the acculturated classic text in the digital age. The essence of the reading classics is the interpretation of the latent potentialities of the classics in point of the present age. So, it is very important of the revitalization of the cultural memory in the reading of the acculturated classic text. As the revitalization of the cultural memory, the reading of the acculturated classic text is to experience historical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The reader discovers the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the classics and the acculturated classic text. For this, this essay suppose the ‘inter-reading (inter-media, inter-culture)’. This reading seeks to the universal common and the cultural and media difference between the classics and the acculturated classic text. In this essay, I attempt to read the <Sim chung Jun> and the < Empress chung> in the inter-media reading way and the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Why does Shim -Chung drop herself into In-Dang-Soo?> in inter-culture reading way.

      • KCI등재

        후두근전적출술과 Provox 삽입술 후 기관식도발성에 관한 연구

        최인자,노영수,김진환,안회영,Choi, In-Ja,Choi, Young-Soo,Kim, Jin-Hwan,Ahn, Hwoe-Young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04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15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 To compare acoustic, aerodynamic analysis of voice and intelligibility score in patients with near-total laryngectomy and implantation of Provox prothesis. Material and Methods : In order to evaluate the voice characteristics, acoustic, aerodynamic parameter and speech intelligibility were measured in 5 patients after near-total laryngectomy, 5 patients after implantation of Provox prosthesis with total bility were measured in 5 patients after near-total laryngectomy, 5 patients after implantation of Provox prosthesis with total laryngectomy and 10 adults normal speaker. Acoustic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CSL and aerodynamic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erophon II. Speech sample was recorded and 10 listener was scored for speech intelligibility using a percentage of words correctly identified. Results. Fundamental frequency($F_0$), intensity, jitter, shimmer, maximal phonation time(MPT), subglottic air pressure were used for parameters for voice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except on fundamental frequency and shimmer. The fundamental frequency was higher in patients with near-total laryngectomy and shimmer was higher in patients after implantation of Provox prosthesis with total laryngectomy. In addition, speech intelligibilit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This results confirm that near-total laryngectomy and implantation of Provox prosthesis provides good voice rehabilitation.

      • KCI등재

        문화 정책으로서의 독서 정책 방향

        최인자 ( In Ja Choi ) 한국독서학회 2013 독서연구 Vol.0 No.30

        이 글은 문화 정책으로서의 독서 정책이 어떠한 비전을 가지고 방향성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지식 기반 사회, 평생 학습사회, 문화 지향의 사회 등에서 독서는 국가 경쟁력은 물론이고 개인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일종의 국가적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정책이 문제 해결의 수단적 측면으로만 존립한다면 정작 정책의 주체가 되어야 할 국민은 대상화되고, 현실과 분리된 채 형식화 될 우려가 있다. 독서 정책이 내함하고 있는 가치 지향에 대한 전국민적 토론과 합의가 필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문화 정책으로서의 독서 정책은 그 사회의 문화적 상황을 반영해야 하지만 동시에 독서를 통해 대안적 문화 비전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한 전제로 우선, 독서 현상이 일종의 사회 문화적 현상이자 실천으로, 책 읽기라는 고립된 행위가 아니라 인간 삶의 여러 맥락에 뿌리를 내리고 있음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의 지식 사회, 문화 융성의 사회에서는 ‘문화적 능력’이 중요한데, 독서 정책은 독서를 통하여 공동체 구성원이 접하고 있는 삶의 문화를 성찰, 비판, 참여, 창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그 동안의 독서 문화 정책은 국가에 의한 계몽적 교육성이 지나치게 강한 ‘교육 패러다임’ 속에 갇혀 있고, 이 때문에 일상적(생활 문화)가치와 독서의 가치를 분리시켜 오히려 독서 문화의 정착을 방해한 측면이 있다. 이 시대의 독서 문화는, 주체의 거듭나기를 통해 자발적인 변화를 추구할 수 있고, 균형 잡힌 삶을 살 수 있으며, 소통을 통해 사회적 유대를 경험하는 대안적 문화를 가능케 한다. 앞으로 추구할 독서 문화 정책의 방향은 일단, 독자의 자발적 독서를 위해 그들 삶의 현실적 맥락과 창의적으로 접목하여, 독자의 현실적 문제와 욕구와 독서를 결합시켜 한다. 곧, 독서 환경 지원이나 독서의 강제적 요청이 아니라, 독자들의 현실 삶의 맥락에서 독서 활동을 다양하게 창출해 내는 맥락 부여의 방식이 독서의 자발성을 키울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 문화, 생활 세계 문화의 세부적 항목과 독서 프로그램을 창의적으로 연결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중,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가 축적되어, 독서 현상과 행위자들의 의식과 가치에 대한 종합적이면서도 심층적인 이해가 있어야겠다. 아울러 독서 정책에서도 인프라를 육성, 지원하여 독서 환경에 능동적으로 행위할 수 있는 주체를 양성해야 한다. 그리고 디지털의 미디어 환경에서 매체간, 독자간, 장르간 소통을 통하여 문화를 창조하는 독서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ich vision reading policy as cultural policy can shape the direction with. Reading became a critical national issu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dividual`s life as well as national competitiveness in an knowledge based, lifelong learning, and culture based society. Nevertheless, if policy exists only as means to solve the problem, it is feared that the people who have to be the agents of policy will be objectified and formalized while separated from reality. This is why the national discussion and agreement regarding value orientation reading policy includes is needed. Reading policy as cultural policy should reflect the cultural situation of the society, but sometimes shapes the alternative cultural vision through reading. Reading is a kind of social cultural phenomenon and practice, and not an isolated act, but stays rooted in various contexts of life. In a modern knowledge and culture based society, cultural ability is important. Reading policy should enable members of communities to reflect on, criticize, participate in, and create culture of life encountered. However, reading culture policy so far has been locked in the educational paradigm which has the state-run too much enlightening factors. This separated the everyday value from the reading value and disrupted the settlement of reading culture. In this era, reading culture can pursue the individual`s voluntary transformation and balanced life, and alterative culture where individuals can experience social connectedness through communication. The new direction of reading culture is to creatively combine reader`s real problems and desires with reading for reader`s voluntary reading. That is, voluntary reading results from not a reading environment support or compulsory reading request but a way to present contexts which create various reading activities from reader`s reality. For this, We need efforts to creatively relate details of consumption and everyday culture to reading program. In addition, we need to accumulate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regarding experience during basic research for policy making, and comprehensively and thoroughly understand reading phenomenon and reader`s awareness and value. Also, we need to cultivate readers who can interact with reading environment by building and supporting the infrastructure for reading policy, and pursue reading which create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among media, readers, and genre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 놀이의 해석학 -전통놀이 문화의 해석을 위한 시론-

        최성환 ( Sung Hwan Choi ),최인자 ( In Ja Choi ) 한국해석학회 2006 해석학연구 Vol.18 No.-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meanings of play in human life and the philosophical meanings of plays. First, in order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play, we compared the concept of play suggested by J. Huizinga that comprehends several viewpoints with concepts presented by other scholars such as R. Caillois and H. G. Gadamer. Many of Western philosophers from Heraclitos to J. Huizinga understood plays not as activities with simple purposes but as structure with unique properties that can make decisive contributes to the explanation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In particular, Huizinga emphasized the cultural creativity of plays based on the fact that all cultures originate from plays. R. Caillois appreciated Huizinga`s play theory high but, at the same time, insisted in a critical position that play develop from the fundamental forces called ``paidia`` and ``ludus`` and by the principle of freedom. He maintained that plays contribute to the refinement of human culture and the advance of moral values. The concept of plays suggested by Gadamer gives philosophical support to Huizinga`s theory. Explaining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ys through fundamental hermeneutics of plays and arts, he asserted that a play itself is the subject of playing activities and an art work is an encounter with an aesthetic being by event(Geschehen) occurring unceasingly from absorption in the play. Based on the ground of discussion,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play types in connection to the existence pattern of people`s life. Here, we will identify the types of Korean traditional plays(culture) along with ordinary plays in the East and the West. As an essayistic attempt to approach traditional plays(culture) more systematically, this study adopts an analytic approach. Based on the concept of the hermeneutical cycle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as suggested by W. Dilthey, we refine the meaning through concepts suggested by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utics such as publicness and openness, cultivation and apply it in explaining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plays (culture). We reinterpret experience as social-cultural practice accompanied with historical experience, expression as the formation of publicness and the practice of openness, and understanding as the practice of cultivation (culture) that realizes humanity. In addition, we will demonstrate the contemporariness of play education as cultural education from F. E. E. Spranger`s educational viewpoint and ultimately show the continuity of culture and the meanings of traditional culture. The model called ``the trio of play, common sense and hermenutical cycle (Erlebnis, Ausdruck, Verstehen) provides guidelines for applying play education to the field as cultural education.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refresh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 through examining plays from an analytic perspective and to suggest the meanings of the inheritance of culture and future directions for play education as cultu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문학 영역의 교실 내 평가 정착을 위한 ‘실제적 평가’의 방향성

        최인자(Choi In-ja) 국어교육학회 2009 국어교육연구 Vol.45 No.-

        The task of this essay is to inquire the direction of the classroom literary Assessment.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classroom literary Assessment for the realization the idea of the literary education. The standardized evaluation has it's limit to evaluate the total literary ability which complex and dynamic factor, being connected the cognition and affection. The literary ability has multi dimension ; the cognitional, the emotional layer and the social layer. The Authentic Literary Assessment is developed and performanced in the class by teacher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learner's performance and growing ability. This essay suggest the four themes for the contents of Literary Assessment. First, the teacher should evaluate the characteristic of the learner's knowledge, performance and attitude in his class. For this, he/she evaluate the learner's literary ability, unifying the cognition, the emotion and the social context. Second, the teacher should evaluate the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in the class. Third, he should evalu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The method of classroom assessment is to observe, record, interview. As the alternative assessment, authentic literary assessment should be activated in the class.

      • KCI등재

        청소년 문학 경험의 질적 이해를 위한 독서 맥락의 탐구 -학교에서의 다양한 문식적 클럽들을 중심으로

        최인자 ( In Ja Choi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6

        본고는 청소년 독자의 문학 경험을‘질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독서의 사회적 맥락과 개인의 독서 경험을 연관짓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특히, 청소년 독자의 사회적 맥락으로, 그들이 다양한 의도로 참여하는 학교에서의 다양한 문식적 클럽에 주목하고, 이들 클럽에서의 사회적 관계가 개인의 독서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독서 경험’을 문제 삼은 것은, 독서의 개인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를 아우르고, 복합적인 제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먼저, 본고에서는‘청소년 독자’에 대한‘이해의 관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것은‘무엇을 어떻게 읽힐 것인가’라는 처방적 관점이 아니라‘왜 그렇게 읽는가’에 대한 심층적 해석의 시각이다. 이런 관점에서, 청소년들의 독서활동이 교실 수업에서의 활동뿐 아니라 학교의 다양한 문식적 클럽을 중시하였고, 그 클럽이 개인의 독서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그들의 사회적 관계로 규정하였다. 사회적 관계의 해석틀은,‘ 멤버쉽’,‘ 앎’,‘ 위험도’,‘ 책임감’이었다. 또한 독서 경험 역시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경험으로 다변화하였다. 먼저, 교실 수업의‘성취형 클럽’을 보면, 성취형 클럽은 교사 주도적 상호작용으로 학습자 간의 멤버쉽은 상대적으로 약한 편이었다. 교사가 정답으로 요구하는 관습적인 앎이 인정되었고, 의미 혁신의 기회 역시 없는 편이었다. 응답의 책임감은 존재하였으나 다소 경쟁적 요소가 압도적이었다. 이런 관계에서, 학습자들의 독서 경험은‘필기’로 압축되었고, 자신의 성취를 실행하는 사회적 경험의 측면이 중시되었다. 다음, 동아리 클럽에서의‘아카데미형 클럽’은 멤버쉽이 높고, 새로운 의견을 도출하는 데에 위험도가 거의 없으며, 자발적으로 응답하는 참여도가 높은 편이었다. 주로 논의되는 지식은 개인적인 의미와 연관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관계에서 독서는 주로, 자아를 드러내고 타자와 공유하는 경험으로 인식되었으며, 특히 친밀한 공동체를 만든다는 사회적 경험이 두드러졌다. 다음, 향유형 클럽에서는 멤버쉽이 높고, 위험도가 거의 없으나 지식은 학교의 관습적인 의미에서 일탈된 내용이었다. 그러나 응답의 책임감이 거의 없어 자신의 의견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런 관계로 하여, 독서는 주로 웃음의 경험이었고, 은밀한 상상을 통해 갇힌 공간에서 자신의 주도권을 행사하는 양상이었다. 각 클럽의 경험은 별도의 논문이 필요할 만큼 세부적인 내용이 많으나, 본고에서는 그 경험의 다양성을 제시한 것으로 만족하고자 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dolescent`s literary reading experience qualitatively. This study paied attention to the relation of social context and personal experience, especially the social relation in various literacy clubs which adolescents participated in school whith various intention. The concept of ‘reading experience’ is so complex that personal and social factor is included.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why the adolescents read so it than what the adolescents must read. The frame to interpretate social relation is membership. knowing, the degree of risk, the degree of responsibility. The factor of literary reading experience is cognitive, emotion and social. In achievement club, the membership is relatively low and the degree of risk is high and the degree of responsibility is low. So, it is the teacher centered social interaction and is asked to determined discourse position. In academy club, the membership is relatively high and the degree of risk is low and the degree of responsibility is high, So, the social interaction of students is very active. They experienced of joint ownership and the presentation of ego. In enjoyment club, the membership is relatively high and the degree of risk is low and the degree of responsibility is high. So, the social interaction of students is very active but there is not so many expressions. They experienced secrecy imagination.

      • 국어교육 현장연구 방법으로서의 내러티브적 접근법 고찰

        최인자(Choi In-ja)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

          이 논문은 국어교육 현장의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내러티브적 접근’의 의의와 연구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국어교육 연구와 실천에서 현장 적합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에 의한 경험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질적 연구는 실제 지금, 여기에서 이루어지는 국어교육 경험을 심층적으로 해석하고, 나아가 격변하는 시대 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이론 모색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내러티브적 접근은 탈맥락적 실증주의나 행동주의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어교육 경험을 실제의 복합적인 맥락 속에서, 그리고 개별 주체의 주관적 의미를 복원하는 데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국어교육 현장을 서사적으로 생각한다면, 그곳은 특정의 인물이 나름의 역사와 지향성을 가지고 특정의 사회 문화적 배경 속에서 살아가는 현장이 되며, 그것을 내러티브화하는 과정에서 심층 의미를 성찰할 뿐 아니라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국어교육 현장연구에서 내러티브적 접근은 언어 경험과 정체성의 연관성, 또 언어교육 경험의 맥락적, 역사적 성격을 복원하여 표준 교육과정의 탈맥락성에서 벗어날 수 있다. 연구 내용으로 보자면 국어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이해, 성찰할 수 있는 방법론이 되는데, 특히 그들의 주관적 신념이나 딜레마 혼돈을 드러냄으로써 국어 수업의 전체상을 심층 해석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 학습자들의 배움의 서사를 연구할 수 있다. 서사화 된 배움은 지식적 앎 그 자체에만 국한하지 않고, 삶과의 연관 속에서 실천적으로 작용하는 양상을 살필 수 있다. 내러티브적 접근에서 자료는 다양한 유형의 자전적 서사와 대화적 서사를 활용할 수 있는데, 특히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안전한 환경’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중요하다. 내러티브적 연구는 일반화 가능성을 염두에 둔 타당성, 신뢰성 보다는 개연성을 통한 심층 해석의 기능에 중점을 둔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ummarize the narrative approach for research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empirical research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and to interpret the experienc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y is the narrative Approach important in the research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it contributes to think the classroom field narratively. If we think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narratively, we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free-contextual positivism. So, we interpret the teaching in context of the schooling and the subject"s histor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learners have own history and individual meaning of experience. And the teacher"s subject and practical knowledge can be understood. The attribute of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s narrative knowing. Because this knowledge is constructed with teacher"s belief and experience. The narrative of the learner and teacher is important domain in narrative approach. For the collection of material, the reacher must the record the subject"s narrative during the long time. In the narrative approach, the probability is more important than validity.

      • KCI등재

        일반 논문 : 김형경 <세월>에 나타난 트라우마 치유의 자전적 서사 쓰기

        최인자 ( In Ja Choi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2 국어교육 Vol.0 No.139

        The task of this essay is to analyze the narrative strategy of the self-healing in Autography. The self-healing is to overcome the problem of life which is lead to dominant social narrative and to create new self through the reconstruct of the self- narrative. Literary Autobiography represents the experiment of the diverse self narrative. Especially, the form of narrative which enables to reflect self in special position functions as important role to heal the self. <Time> is the novel which represents to construct and reconstruct the self narrative to therapy mind hurt and formation new self. This novel uses the various narrative strategies of self- healing. First, author uses fictional heros, such as ``the child``, ``the student``, ``the woman`` to represent the problem of life in respect to various view. The narrator results in the extention of knowledge the own problem of life in social-cultural context. Second, author describes the remembrance in present view. So, the narrator create the continuity the present between the past and the real ego and the possible ego. Third, the narrator make a alternative plot the dominant social cultural narrative.

      • KCI등재

        문학 기반 ‘자세히 읽기’ 교육의 재인식

        최인자 ( Choi In-ja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5

        이 글은 ‘독서 복지’의 시각에서 ‘자세히 읽기’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그 교육적 방향을 살피고자 하였다. 독서 복지는 격차 해소라는 결핍 보완적 복지 모델에서 나아가 읽기 경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전반적인 노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자세히 읽기’의 개념은 미국 중핵 교육 과정에 의해 제도화된 측면이 있는데, 텍스트 기반, 반복 독서, 깊은 이해, 객관적 의미 분석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검토 결과 이 읽기를 처음 제안한 영국의 리차즈 A. Richard는 독자의 해석 과정과 심미적 경험을 중시하였고, 이후 미국 신비평 관점에 의해 텍스트 내적 분석 중심의 ‘자세히 읽기’ 개념의 축소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세히 읽기의 정서적 요소, 비판적 요소, 독자의 능동성, 문학적 언어의 특징이 부각되지 못하였다. 이에 독자 반응 이론, 서사 인지론, 탈구조주의 서사론 검토를 통해, 자세히 읽기에서 이루어지는 독자의 내적 과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자세히 읽기’의 독자는 텍스트와의 입체적 교섭을 통해 특별한 시공간에서, 특별한 경험으로 독서 행위에 참가한다. 독자는 고도의 집중을 통해 신중하고 열린 자세, 공감과 유대감을 경험한다. 이를 통해 자세히 읽기는 사회적 정의에 이바지하며, 직업과 삶을 위한 리터러시 역량이 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 제안한 ‘자세히 읽기’ 교육의 방향은 독자의 경험적 질성을 강화하여, 개별 독자들의 읽기의 온전함과 고유함, 자발적 책임감을 강화하는 방향의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텍스트 선정, 반복 독해와 주석달기, 상호작용의 방식 등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rediscover the value of “close reading” in terms of the “literacy welfare” and explore its educational direction. I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 overall transition in which the literacy welfare can be developed to enhance the quality of reading experience crossing the existing poverty relief welfare model to resolve the disparity. Institutionalized by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 US, the current notion of “close reading” can be characterized as text-based, repeated reading, deep understanding, and objective analysis of meaning. After fully examining, however, I came to recognize that although I. A. Richards, the founder of this practice of close reading, underscored the interpretation process and aesthetic experience of readers, the school of New Criticism has narrowed the concept of close reading focusing on the internal analysis of text in the process of which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close reading such as emotional and critical element, reader’s proactiveness, and literary language have not been highlighted. Thus, through examining reader-response theory, narrative cognitive theory, and post-structuralist narratology, I explored the internal process of reader who performs the practice of close reading. The results illustrate that readers performing the practice of close reading interact with text in multidimensional ways and thereby participate in the reading activity not only within a special time and space but also as undergoing a special experience. Moreover, readers with higher concentration are expected to experience prudent and open attitude as well as sympathy and solidarity. Subsequently, the practice of close reading would contribute to social justice and become the literacy capacity for one’s career and life. The close reading education suggested in this paper reinforces readers’ qualitativeness of experience and therefore emphasizes a wholeness of experience, a uniqueness and responsibility of reader, and immersion. To this end, I have discussed the pursuit of deep understanding based upon text selection, repeated reading, and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