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語 複數標識 ‘들’에 對한 考察 - 依存名詞 ‘들’을 中心으로 -

        최윤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최윤, 2018. 한국어 복수표지 ‘들’에 대한 고찰, 어문연구, 180 : 91~117 한국어 복수표지 ‘들’은 그 문법적․의미적 위치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본 논의의 최종 목표는 복수표지 ‘들’을 일관된 시각으로 조망하여 그 활용과 의미 기능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타당한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 있으며 이번 논의에서는 그 첫 번째 시도로서 의존명사로 활용되는 ‘들’의 활용과 의미 기능을 고찰하였다. 논의의 결과, 현재 의존명사로 분류되어 있는 ‘들’은 접사나 보조사가 아닌 의존명사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존명사 ‘들’이 선행 명사군을 하나의 무리로 묶어 집단성을 강조한다는 사실과 단수의 명사군과 통합의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존명사 ‘들’의 이러한 특징은 모두 ‘들’의 복수성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복수성’이야말로 복수표지 ‘들’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의미 기능이라는 것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접사 ‘들’과 보조사 ‘들’의 의미 기능과 활용 양상을 종합하면 ‘들’의 문법적․의미적 위치를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position of Korean plural particle “deul” has not been clearly determined.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plural particle “deul” with a consistent point of view and finally to set reasonable criteria that help understand its usage and semantic function clearly. In this study, as an attempt to achieve its purpose, the usage and semantic function of “deul” that is utilized as a bound noun has been discussed. As a result of discussion, it is found that the particle “deul” that is currently classified as a bound noun needs to be classified as the bound noun that is neither affix nor auxiliary particle.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shed light on the fact that the bound noun “deul” emphasizes its collectiveness by combining preceding nouns as a group and that it contains its limitations in combining with singular nouns. All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bound noun “deul” can be seen to derive from its plurality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semantic function to fully understand the plural particle “deul.” If further study explores the usage and semantic function of “deul” as both affix and auxiliary particle and integrate its outcomes with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it would help better understand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position of Korean plural marker “deul.”

      • 패턴言語 側面에서 본 大學캠퍼스의 外部空間 構成에 관한 硏究

        崔潤,朴文瑀,兪昌均,趙容準 조선대학교 동력자원연구소 1991 動力資源硏究所誌 Vol.13 No.1

        A university campus has to plan to cause the activities of outside space, having organic system among the university facilities. Moreover, the composition of outside space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various activities, induced form outside space owe to the specific character of university, are decisive factor for the qualities of university environment. The results observed from pattern language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Starting from very symbolic and functional main building, collage has had large activity space at the front of it and small activity space arround it. By this way, campus consists of the collage, at present but at the point of aporoach and prevention of noise, the project maybe is profitable. It concentrates core system on the center of the camps and arranges building with mutual relations. 2. At Present, main road system is made up of the uncertain separation of load and pedestrain's path resultes from the types of stright line connecting the main entrance and the main building, but the project maybe is more useful about approach and security than the present time by making a trapezoid inside circlar road in the center of campus and profitable pedestrian road. 3. At present, in two groups of main building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building, the activities of campus are centerized but perhaps the syntheic project is expected to reduce the distribution of activities as it makes functional arrangements. 4. At the point of funtionality and symbolizm. The project of facilities-syntheses has more possitive aspects than campus at present, but financially the possibility of performance has many unreasonable aspects.

      • KCI등재후보

        한국산 갈돔과(농어목)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최윤,김은영 한국어류학회 2004 韓國魚類學會誌 Vol.16 No.1

        2000년 7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우리나라 연안에서 채집된 갈돔과 어류의 주요 계수 ·계측 형질과 형태적 특징을 분석하여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갈돔과 어류는 까치돔 Gymnocranius griseus, 줄갈돔 Lethrinus genivittatus, 구갈돔 L.haematopterus, 점갈돔 L. harak, 갈돔 L. nebulosus 등 모두 2속 5종으로 조사되었다. 이 가운데, 제주도 서귀포 어시장에 수집한 L. harak 1개체의 표본은 한국미기록종으로 확인되어 계수 계측치 및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국명을 「점갈돔」으로 명명하였다. 점갈돔은 뺨에 비늘이 없고, 가슴지느러미 안쪽 기부에 작은 비늘이 있으며 체측 중앙에 흑갈색의 큰 반점이 있는 점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갈돔과 어류 2속 5종에 대한 형태적 특징과 함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A taxonomic study of the family Lethrinidae was made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from off Korea from July 2000 to December 2003. Five species of Lethrinidae are recorded from Korea: is Gymnocranius griseus, Lethrinus genivittatus, L. haematopterus, L. harak, and L. nebulosus. Of these L. harak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on the basis of one specimen from Jeju Island. L. harak is characterized by having no scales on the cheek, many minute scales on the inner base of the pectoral fin, and a large black blotch on the side of the body. Morphological measurements and counts are recorded in detail and a key to species of the family Lethrinidae from Korea is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New records of Sharks, Sphyran lewini and Alopias vulpinus (Pisces: Elasmobranchii) in Korea

        최윤,김익수,나카야 카즈히로,Choi, Youn,Kim, Ik-Soo,Nakaya, Kazuhiro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1997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13 No.4

        우리나라의 서해연안에서 채집된 상어류 2개체는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 없는 Sphyrna lewini(Griffith and Smith)와 Alopias vulpinus(Bonnaterre)로 동정되었다. S. lewini는 귀상어(S. zygaena)와 유사하지만 두부의 중앙부가 함입되엉 있고, 제2등지느러미 끝이 거의 꼬리지느러미에 달한다는 점에서 귀상어와 구분되었다. A. ulpinus는 환도상어(A. pelagicus)와 유사하지만 복부의 흰색이 가슴지느러미 기부 위까지 확장되고, 입의 양쪽 끝에 입술주름이 있어서 환도상어와 구분되었다. Two species of Sphyrna lewini (Griffith and Smith, 1834) and Alopias vulpinus (Bonnaterre, 1788) belonging to the Elasmobranchii were collected form the first time from the western coast of Korea. S. lewini is similar to S. zygaena, but differs in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a prominent median indentation on anterior margin of head and free rear tip of second dorsal nearly reaching upper caudal origin. a. vulpinus differs from A. pelagicus in having labial furrows, long terminal lobe and white ventral coloration extending above the pectoral fin bases.

      • KCI등재

        GM 작물의 국내 환경방출: 민관합동조사를 중심으로

        최윤,김병수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22 시민사회와 NGO Vol.20 No.1

        As the cultiv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that are resistant to herbicides or insects increases abroad, controversy over the environmental risks of these crops continues. Korea does not cultivate GM crops for commercial purposes, but imports more than 10 million tons each year. GM crops imported in this way were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in the form of down grains during transportation, but in 2017, GM rapeseed, which was not in this form, was released nationwide. Since this incident, countermeasures and discussions on the environmental release of GM crops hav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Korea. In this study,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e perception of risks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government-NGOs partnership investigation team formed after the GM rapeseed accident were analyzed. Until now, research on GMO-related awareness in Korea has mainly focused o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GMO, GM food labeling, and the risks to human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ceptions of various actors about specific incidents that occurred in Korea and their response methods, not the perceptions of GMO in an abstract situation. 해외에서는 제초제나 곤충에 저항성을 갖는 GM 작물의 재배가 증가하면서 GM 작물의 환경 위해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GM 작물을 상업적 목적으로 재배하고 있지 않지만 해마다 사료 및 식용으로 약 1000만톤 이상을 수입하고 있다. 이렇게 수입된 GM 작물이 운송 과정에서 낙곡 형태로 환경에 방출되고 있었는데 2017년도에는 이러한 형태가 아닌 GM 유채가 전국적으로 방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국내에서도 GM 작물의 환경방출에 대한 대책과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GMO의 환경 위해성에 대한 인식, 정부의 안전관리 체계에 대한 평가, GM 유채 유출 사고 후 구성된 민관합동조사팀 활동의 의의와 한계 등을 분석했다. 그동안 국내에서의 GMO 관련 인식조사는 주로 GMO에 대한 지식 정도, 표시제, 인체 위해성에 대한 것들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GMO에 대한 추상적 상황에서의 인식이 아닌 국내에서 발생한 구체적 사건과 그 대응 방식에 대한 다양한 행위자들의 인식을 분석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