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과 상기도 저항 증후군의 진단적 및 임상적 차이

        최영미,Choi, Young-Mi 대한수면의학회 2011 수면·정신생리 Vol.18 No.2

        It has been controversial whether upper airway resistance syndrome (UARS) is a distinct syndrome or not since it was reported in 1993.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classified UARS under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n 2005. UARS can be diagnosed when the apnea-hypopnea index (AHI) is fewer than 5 events per hour, the simultaneously calculated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is more than 5 events per hour due to abnormal non-apneic non-hypopneic respiratory events accompanying respiratory effort related arousals (RERAs), and oxygen saturation is greater than 92% at termination of an abnormal breathing event. Although esophageal pressure measurement remains the gold standard for detecting subtle breathing abnormality other than hypopnea and apnea, nasal pressure transducer has been most commonly used. RERAs include phase A2 of cyclical alternating patterns (CAPs) associated with EEG changes. Symptoms of OSAS can overlap with UARS, but chronic insomnia tends to be more common in UARS than in OSAS and clinical symptoms similar with functional somatic syndrome are also more common in UARS. In this journal, diagnostic and clinical differences between UARS and OSAS are reviewed.

      • KCI등재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과 폐동맥 고혈압에서 엔도텔린-1의 역할

        최영미,Choi, Young-Mi 대한수면의학회 2010 수면·정신생리 Vol.17 No.2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increased mortality. However, it was controversial whether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could cause pulmonary hypertension. The controversy was resolved by several studies that have shown pulmonary hypertension in 20% to 40% of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without underlying other cardiopulmonary diseases and reductions in pulmonary arterial press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fter treatment with nocturn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Recent studies provide strong evidence for endothelial dysfunction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pulmonary hypertension. Endothelin-1 is a 21 amino acid peptide with diverse biologic activity such as highly potent vasoconstrictor and mitogen regulator that may play a key role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pulmonary hypertension.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is moderately effective in reducing pulmonary arterial pressure.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assess the therapeutic efficacy of pharmacologic therapy with agents that inhibit the action of endothelin-1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s with pulmonary hypertension.

      • BCG 접종후 발생한 결핵성 농양 및 골수염 1례

        최영미,강현호,조병수,차성호,임성직,이주희,Choi, Young Mi,Kang, Hyeon Ho,Cho, Byung Soo,Cha, Sung Ho,Lim, Sung Jic,Lee, Ju-Hee 대한소아감염학회 1998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5 No.1

        BCG osteomyelitis is rare comlication and the incidence rate has been estimated to be 1/milion vaccinated neonate and infants. BCG osteomyelitis is also reported as a complication of intravesical BCG treatment for bladder carcinoma. We had experienced a 14 months old infant who presented swelling, tenderness and redness on left upper arm suspicious due to BCG vaccination. The MRI finding showed $2{\times}4{\times}4cm$ subcutaneous abscess with cortical defect on proximal humerus and axillary lymph adenopathy. The histologic finding showed diffuse caseous necrosis and Langhans type giant cell. We report A case of BCG osteomyelitis.

      • KCI등재

        중첩증후군: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가 진 폐쇄성 수면무호흡-저호흡 증후군

        최영미,Choi, Young-Mi 대한수면의학회 2008 수면·정신생리 Vol.15 No.2

        Overlap syndrome can be defined as a coexist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SAHS). The association of COPD and SAHS has been suspected because of the frequency of both diseases. Prevalence of COPD and SAHS is respectively 10 and 5% of the adult population over 40 years of age. However, a recent study has shown that the prevalence of SAHS is not higher in COPD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coexistence of the two diseases is only due to chance. SAHS does not affect the pathophysiology of COPD and vice versa. Prevalence of overlap syndrome is expected to occur in about 0.5% of the adult population over 40 years of age. Patients with overlap syndrome have a more profound hypoxemia, hypercapnia, and pulmonary hypertension when compared with patients with SAHS alone or usual COPD patients without SAHS. To treat the overlap syndrome, nocturnal noninvasive ventilation (NIV) or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nCPAP) can be applied with or without nocturnal oxygen supplement.

      • KCI등재

        평창방언 용언의 성조 연구

        최영미 ( Young Mi Choi ) 겨레어문학회 2015 겨레어문학 Vol.54 No.-

        이 연구는 평창방언 용언 성조의 실현을 살펴고, 평창방언과 정선방언을 비교하여 평창방언의 전이적인 특징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그 결과, 평창방언은 성조가 남아 있는 성조방언이라 할 수 있다. 다만, 평창방언은 정선방언보다 비성조방언으로 더 많이 전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에 대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창방언이 성조언어라는 주장의 근거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평창방언 성조체계는 3개의 성조소로 구성되었다. 즉, 평창방언의 성조소는 평성(□), 거성(·□), 상성(:□) 등이다. 나. 평창방언의 성조형은 1음절과 다음절로 구분되는데, 1음절에서는 평측형(평1형, 음평성형, 평복형), 거성형, 상성형이 변별적 대립을 이루고 있지만, 다음절에서는 평측형, 상성형만이 변별적 대립을 이룬다. 왜냐하면, 거성형은 2음절 이상에서 평2형으로 합류되기 때문이다. 둘째, 평창방언이 정선방언보다 더 많이 비성조방언으로 이행되었다는 주장의 근거는 평창방언과 정선방언의 성조 실현의 차이점이 될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평창방언에서 음평성형이 출현한다. 그러나 정선방언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나. 평창방언의 변동평성형 중에서 ‘사·다, 서·다’ 등은 고정적 음평성형으로 실현된다. 하지만 정선방언에서는 변동평성형으로 실현된다. 다. 평창방언의 상성형은 임의적으로 4음절 이상에서 평복형으로 실현된다. 반면에 정선방언에서는 상성형으로만 실현된다. 라. 평창방언 평1형의 음조형이 억양의 영향을 받아 [HM]~[HH], [HM(2)]~[HMH]처럼 변이음조형을 가지나 정선방언에서는 변이음조형이 없다. This study has two aims. The one is to discribe tonal system in Pyeongchang diarect. Another aim is to elucidate the transitional features of changes in tonal systems through comparing Pyeongchang diarect and Jeongseon diarect. As a result, Pyeongchang diarect is tone language. And tonal systems in Pyeongchang diarect is more unstable than that in Jeongseon dialect. There is some ground for this argument. First, although Pyeongchang diarect is slowly transforming into a non-tone languages, these are interpreted to be the tone languages. The base of judgment is as follows. A. The tonal systems consist of three tonemes(plain tone, depart tone, rising tone) and have a range of two levels in Pyeongchang diarect. B. There are three types of tonal patterns in Pyeongchang diarect. but The departing tonal pattern is only a word with one syllable and has been changed to plain tonal pattern in a word with two syllables. Scound, In some ways, Pyeongchang diarect has more transitional characteres than Jeongseon dialect. There is some ground for this argument. A. The yin-plain tonal pattern show up in Pyeongchang diarect. But it is not in Jeongseon dialect. B. The tonal pattern of ``Sa·da, Soe·da`` changed to the yin-plain tonal pattern in Pyeongchang diarect. But it is not in Jeongseon dialect. C. Sometimes the rising tonal pattern appears to be the pyeongbok pattern in Pyeongchang diarect. But it is not in Jeongseon dialect. D. The plain-1 pitch pattern changes to randomly [HM(2)]~[HMH] in Pyeongchang diarect. But it is not in Jeongseon dialect.

      • KCI등재

        영월 방언의 거성형과 성조 변화

        최영미(Choi Young-mi)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7

        이 연구는 영월 방언 체언의 성조를 분석하고 약 30년이라는 시간차를 두고 거성형의 성조 실형을 비교하여 영월 방언 성조 변화를 설명하고자 했다. 그 결과, 영월 방언의 성조체계는 두 가지 성조 변화가 진행중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는 성조체계 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단순한 음성 변화이고 다른 하나는 성조형 분포의 변화로 말미암아 성조체계 내에 재구조화가 일어나는 변화이다. 먼저, 단순한 음성 변화는 평복형과 상성형의 음조 변화이다. 최명옥(1999)의 자료에서는 평복형과 상성형의 음조는 어절의 둘째음절과 셋째음절에 어절에서 가장 높은 고조 [H]가 실현되었다. 그러나 30년 후인 현재 자료에서는 평복형과 상성형의 음조는 어절 끝에서 둘째음절에 어절에서 가장 높은 고조 [H]가 실현되었다. 다음, 영월 방언 성조체계 내에 재구조화를 촉발하는 성조형 분포의 변화이다. 30년 전 자료에서는 거성형이 분포의 제약 없이 안정적인 성조 실현을 보인다. 하지만, 현재 필자의 자료에서는 거성형이 매우 불안정한 성조 실현을 보인다. 즉, 영월 방언 거성형은 3음절 이상 어절에서 평2형(□□, □□ · □)에 합류해서 거성형이 존재하지 않고, ‘·말(斗)/M/[Mˉ ]’과 같이 1음절 단독형과 ‘·춤·이/M²/[HH]’처럼 2음절 어절에서도 첫소리가 강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에서만 실현된다. 결국, 성조형 분포의 변화로 인해서 2음절 어절에서 거성형은 A유형(·춤·이/M²/[HH]), B유형(·풀·이/M²/[HH]~풀이/H²/[MH]), C유형(물이/H²/[MH]) 등이 공존한다. This study described the tone of substantive words and the tone changes of the departing pitch pattern in the Yeongwol dialect. In this study, two states of pitch patterns in the same region were studied over a more than 30-year interva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onal system of the Yeongwol dialect has undergone two tone changes. One is a phonetic change that does not impact the tonal system. The other is a phonological change that is still in progress that is caused by the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X. These chang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honetic changes are the results of the pitch changes in the plain and rising pitch patterns. Thirty years ago, the highest peak was placed on the second syllable in a word, but now the highest pitch appears on the second-to-last syllable in a word. Second, the distribution of the departing pitch pattern that triggers the reconstruction in the tonal system of the Yeongwol dialect has changed. Thirty years ago, the departing pitch pattern was stable, but it has since become significantly unstable in the tonal system of the Yeongwol dialect. There are two main reasons why the tone of the departing pitch pattern has undergone some noticeable changes. One is that, in words of more than three syllables, the departing pitch pattern merges into the plain pitch pattern, resulting in no departing pitch pattern in the Yeongwol dialect tone patterns. The other is that the departing pitch patterns are realized in a limited way, even in the context of two-syllable words. There are three types of departing pitch patterns. Type A is realized as [HH], I would write this in A, B, C order depending on the speaker. Only type A is realized in words whose initial sounds start with strong consonants like /k<SUP>h</SUP>,t<SUP>h</SUP>,p<SUP>h</SUP>,tʃ<SUP>h</SUP>/. Therefore, it is likely that departing pitch patterns will gradually disappear from the tonal system, mainly due to their instability.

      • KCI등재

        모음 탈락과 성조 재배열 -중세국어와 정선방언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영미 ( Young Mi Choi ) 겨레어문학회 2014 겨레어문학 Vol.52 No.-

        이 연구는 중세국어와 정선방언에서 성조 재배열 과정에 적용되는 성 조 재배열을 비교하기 위해 중세국어의 모음 탈락의 실현을 살피고, 비 음절화를 겪으면서 성조의 재배열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음 ``으`` 탈락에 의한 비음절화에 수반되는 성조 재배열 과 정에서 적용되는 성조 재배열은 변화가 없지만, 모음 ``아/어`` 탈락에 의한 비음절화에 수반되는 성조 재배열 과정에서 적용되는 성조 재배열은 변화가 있는것을 알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중세국어에서 성조 재배열 과정을 겪으면서 상성형으로 실현된 것은 탈락에 의해서도 성조의 보상이 일어나나, 정선방언에서는 탈락에 의한 성조의 보상은 일어나지 않는 다. 이러한 결과를 기술할 수 있는 근거는 아래와 같다. 먼저, 중세국어의 모음 탈락과 성조 재배열 실현의 특징은 4가지로 정리된다. ㄱ. 모음 ``아/어`` 탈락은 수의적으로 일어난다. 성조의 재배열 과정에 서 3가지 유형(상성형, 거성형, 평성형)으로 성조의 변동이 일어 난다. 이때 상성형으로 실현되면, 성조의 보상이 일어난다. ㄴ. 모음 ``으/.``의 탈락은 어간의 모음 ``으/.``가 탈락되며 필수적으 로 일어난다. 비음절화 하면서 성조의 재배열 과정을 겪지만 어 절의 성조형은 변동하지 않는다. ㄷ. 모음 ``오/우``의 탈락은 필수적으로 일어난다. 성조의 재배열 과정을 겪는데, 성조의 변동은 2가지 유형(거성형, 상성형)으로 나타난다. 이때도 상성형으로 실현되면 성조의 보상이 일어난다. ㄹ. 모음 ``이``의 탈락은 필수적으로 일어난다. 비음절화 과정을 거치 면서 성조의 재배열 과정을 겪지만 성조의 변동은 일어나지 않 는다. 다음으로, 정선방언의 모음 탈락과 성조 재배열 실현의 특징은 3가지 정리된다. ㄱ. 모음 ``아/어``의 탈락은 필수적으로 일어난다. 성조가 재배열 과정을 겪으면서 어절의 성조형이 2가지 유형(거성형, 평측형)으로 실현된다. ㄴ. 모음 ``으`` 탈락은 필수적으로 일어난다. 비음절화 하면서 성조가 재배열 과정을 겪으면서 어절의 성조형은 변동하지 않는다. ㄷ. 모음 ``우`` 탈락은 용언 어간의 말음 ``우``가 필수적으로 탈락한다. 비음절화를 거치면서 어절의 성조가 평측형에서 상성형으로 변동한다. This research has two aims. The one is to describe a tone rearrangement which appears when vowel deletion occur. Another aims is to compare a tone rearrangement Middle Korean and a tone rearrangement Jeongseon Dialect. In conclusion, there are not a change of toneal patterns when vowel ``.`` deletion occur.; In the Middle Koeran and Jeongseon Dialect, the pyeongcheuk patterns appear althought vowel ``.`` deletion applied in front of ending ``-a/.X``. But there are a change of toneal patterns when vowel ``a/.`` deletion occur.; Plain patterns, departing patterns, raising patterns are appear althought vowel a/.`` deletion applied in front of ending ``-a/.X`` in the Middle Korean. While plain patterns, departing patterns are appear in the same environment Jeongseon Dialect. Therefore, A compensatory of the tone accompanying the Middle Korean vowel ``a/.`` deletion is a consequence of non-syllabification. And a compensatory of the tone accompanying Jeongseon Dialect vowel ``a/.`` deletion is not a consequence of non-syllabification.

      • KCI등재

        국어 `가·다`류 동사의 성조 변화

        최영미 ( Choi Young-mi ) 한말연구학회 2017 한말연구 Vol.- No.43

        This paper has two aims. The one is to delineate tonal alternations of Ka·da-type verb in Korean, and the other is to elucidate the change of tonal alternations based on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in five korean tonal dialect; Middle Korean, Changwon dialect, Jeongseon dialect, Pyeongchang dialect, and Bukcheong dialect.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onal alternations of Ka·da-type verb in Korean is irregular. There are two types; H<sub>M-1</sub> type and H<sub>M-1</sub> type. The verbs `Ka·da, Na·da, Ja·da, O·da, Ji·da` belong to H<sub>M-1</sub> type and The verbs `Ju·da, Nu·da, du·da, ha·da` is a member of H<sub>M-2</sub> type. Tonal alternations of Ka·da-type verb in Middle Korean is irregular; When the verb stem is combined with the ending of verb, It`s tone is realized as plain tone, departing tone, or rising tone. and has an irregular paradigm. Later, however, tonal alternations of Ka·da-type verb has changed in Changwon dialect, Jeongseon dialect, Pyeongchang dialect and Bukcheong dialect; Tonal alternations of H<sub>M-1</sub> type are still irregular. but tonal alternations of H<sub>M-2</sub> type is changing regularly and have a single paradigm. Especially in Pyeongchang dialect, tonal alternations of H<sub>M-2</sub> type is completely regular. These changes are subject to change processes such as instability of the departing tone in the tonal system, analogical leveling, and analogical expansion.

      • KCI등재

        평창 방언의 성조 연구

        최영미(Choi Young-mi) 한글학회 2015 한글 Vol.- No.308

        이 연구의 목적은 평창 방언의 성조를 연구하여 전이 지역의 운율특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평창 방언의 성조 체계를 기술한 후, 평창, 정선, 강릉, 삼척 방언의 성조 비교를 통해 평창 방언의 성조변화의 정도성을 살펴서 강원 방언 전이 지역의 운율 특징을 설명했다. 그 결과, 평창 방언은 성조 방언으로서 성격을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삼척, 강릉, 정선 방언에 비해서 성조 체계의 불안정성이 크고 성조 변화의 정도가 심하다. 성조형의 변화와 음조형의 변이를 보면, 평창 방언은 삼척, 강릉, 정선에 비해 비성조 방언으로의 전이가 많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이러한 판단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창 방언이 음장 방언으로 전이되고 있지만 성조 언어로 분류했다. 평창 방언의 성조 체계는 2단 3성조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즉, 성조소는 3개, 평성, 거성(·□/M/[M˘ ]), 상성(:□/M˘ /[M˘ ])으로 구성되어있다. 평창 방언의 성조형은 거성형, 상성형, 평측형의 평1형과 평복형, 음평성형, 음상성형, 음거성형 등이 있다. 이 중 거성형은 1음절 어절에서만 실현되고, 다음절에서는 평복형으로 변한다. 또한 음상성형과 음거성형은 성조의 축약에 의해서 실현되며, 이것은 동해안 성조 방언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새로운 성조형인 음평성형의 출현은 평창 방언에서만 출현하고 있다. 둘째, 평창 방언의 성조 체계는 정선, 강릉, 삼척의 그것보다 더 불안정하다. 성조 체계의 불안정성은 성조 방언에서 음장 방언으로 이행되는 요인이 될 것이다. 논의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평복형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즉, 평창, 정선, 강릉, 삼척 방언에서 거성형이 평복형으로 실현되고, 평창 방언에서 평복형인 어휘가 정선, 강릉, 삼척 방언에서 평1형으로 실현된다. 나. 평1형의 기능이 축소되고 있지만 성조 체계 내에서 평1형의 기능이 확고하다. 변동평성형 동사 어간 ‘사-’는 정선, 강릉, 삼척 방언에서 불규칙적인 성조 실현을 보이지만, 평창 방언에서 동사 어간 ‘사-’는 평1형과 음평성형으로 실현된다. 다. 평창 방언에서는 삼척, 강릉, 정선 방언의 성조 체계에서 발견되지 않은 성조형인 음평성형이 새롭게 나타나고 있다. 라. 평창 방언에서 성조형은 억양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정선, 강릉, 삼척 방언에서는 그렇지 않다. 즉, 평1형의 음조형은 억양의 영향을 받아서 대표음조형 [HM²]과 변이음조형 [HMH]으로 실현된다. 마. 평창 방언에서 새롭게 등장한 신형 성조형인 음평성형의 음조형은 억양의 영향을 받아 [HHH]와 [HHM]으로 실현되고 있다. 바. 평창 방언에서 평복형의 음조형도 억양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첫째 음절부터 마지막 음절까지 차차로 상승하는 특징을 보인다. 사. 상성형의 음조형이 평복형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있다. 즉, 4음절 이상으로 된 어절에서 상성형의 첫째 음절이 1모라(mora)의 길이로 실현되기 때문에 첫째 음절의 피치가 상승하지 못하고 수평조로 실현되는 경우가 있다.

      • KCI등재

        정선방언 “가·다”류 동사의 성조형의 변화

        최영미 ( Young Mi Choi ) 한말연구학회 2010 한말연구 Vol.- No.27

        The purpose of this paper has two aims. The one is to investigate tonal alternations of verb `Ra·da` -types, and the other is to elucidate the change of tonal alternations and tonal rule system, based on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in three korean tonal dialect, Middle Korean, Changwon dialect, Jeongseon dialect. This papa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nal alternations of verb `Ra·da`-types have irregular tonal pattern in Middle Korean. When verb stem `Ra-` combines with I -types ending, the tone of verb stem `Ra-` is to be realized plain tone, but when verb stem `Ra-` combines with (2) -types ending, the tone of verb stem `Ra-` is to be realized departing tone. Also, When verb stem `Ra-` combines with prefinal ending `-o/uX` and final ending `-n/eun/neun`, the tone of verb stem `Ra-` is to be realized in plain, departing, and rising one. Second, tonal alternations of verb `Ra·da` -types, in the aspects of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in three korean tonal dialects, have irregularity in Middle Korean and Changwon dialect. As it has changed gradually, however, it can be regularized in Jeongseon dialect. Third, the system of tonal rule in Jeongseon dialect differs from Middle Korean and Changwon dialect. Neutralization rules apply only to tonal alternations of verb `Ra·da`-types in Middle Korean and Changwon dialect. But three tonal rules, neutralization rules, plain-2 pattern realization rule of departing tone and free change rule of pyeongbok pattern, apply to tonal alternations of verb ;Ra·da` -types in Jeongseon dial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