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소기업 지원의 정당성 고찰과 정부 역할의 재정립

        최세경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16 중소기업정책연구 Vol.1 No.1

        This study examines legitimacy of SMB support in terms of conformability between policy value and policy means. And It analyzes why government policy for SMB support is criticized in Korea. Policy value for SMB support has turned out a variety of categories depending on goals on macro and micro economic policy, social policy and enterprise policy for business ecosystem. But in case of Korea, policy value has a limited goal to protect or promote SMB as a industrial policy. This has acted as a major cause to criticize SMB support policy. Therefore, if Korea government seeks to build up the legitimacy for SMB support, it has to enhance the conformability between policy value and policy means in supporting SMB. First, the government has to aim for not only efficiency and equity but also fairness and innovation as policy values for SMB support and make use of sustainability as an adjustment value among policy values. Second, the governmen must has a role as a builder of order composition in market or a supporter for business ecosystem formation. Third, the government has to operate the assessment and monitor system to policy delivery and performance. 이 연구는 중소기업 지원의 정당성을 정책가치와 정책수단 의 정합성 차원에서 검토하고, 중소기업 지원에 대한 국내 비 판론이 주로 문제삼는 영역이 무엇인가를 분석했다. 중소기업 지 원의 정책가치는 거시·미시적 경제정책, 사회정책, 그리고 생태계 측면의 기업정책까지 매우 다차원적인 형태를 갖고 있다. 하지만 국내 중소기업 지원의 정책가치는 산업정책 측면에서 중소기업을 보호·육성하는 것을 주로 강조했다. 이는 중소기업 지원의 정책수 단을 비판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따라서 정부가 중소기업 지원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면, 중소기업 지원의 정책가치를 재정 립하고 그에 부합하는 정책수단을 선택하여 정책가치와 정책수단 의 정합성을 높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효율성과 형평성을 양립시키기 위해 공정성과 혁신성을 지향하고 여러 정책가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기업생태계의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정 부는 공정경쟁을 보장하는 질서 조성자로서 그리고 기업생태계의 건전성을 높이는 생태계 형성자로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셋째, 정부는 중소기업 지원에 관한 다차원의 정책가치를 고려하여 그 에 적합한 정책수단을 선택·조합하며, 그 집행을 모니터링하고 평 가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 중소기업의 TV홈쇼핑 진출 확대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최세경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18 중소기업정책연구 Vol.3 No.1

        The TV home shopping system has a policy goal to increase the growth and self-sustaining capacity of SMEs by expanding the market of SMEs. This study assessed whether the TV home shopping policy related in SMEs achieved this policy goal. As a result of evaluation, it was confirmed that SMEs were not available at prime time, sales commissions were higher for SMEs than for large companies, and that specific purchasing and policy commission contracts still burdens SMEs. This i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two-sided market, TV home shopping operators have a platform status and SMEs are forced to place themselves at the lowest position in terms of their trading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behavior policy’ should be strengthened more than ‘the structure policy’ of entering the TV home shopping company to expand the market of SMEs. Specifically, it introduced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regulation on the duty scheduling ratio of SMEs, prohibiting discrimination on sales commissions, encouraging direct purchasing forms and fixed fee commissions, introducing accountability systems to comply with fair trade practices, and improving the government's policy governance. TV홈쇼핑 제도는 중소기업 판로를 확대하여 중소기업의 성 장과 자생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목표를 가진다. 이 연구는 그 간의 중소기업 판로 관련 TV홈쇼핑 정책이 해당 정책목표를 달성했는가를 평가했다. 평가결과, 프라임시간대의 중소기업 입점은 부족하고, 판매수수료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게 더 높게 적용되며, 중소기업에 부담을 지우는 특정맹비과 정책수수료 계약방식이 여전함을 확인했다. 이는 양면시장 특성상 TV홈쇼핑 사업자가 플랫폼의 지위를 갖고 중소기업이 거래구 조 상 가장 낮은 위치에 처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중소기업의 판로 확대를 위해서는 TV홈쇼핑 사업 자를 진입시키는 그간의 구조정책보다 행위정책을 보다 강화 할 것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중소기업 의무편성비율 편성규 제의 강화, 판매수수료 차별 금지, 직매입 형태와 정률수수료 계약의 장려, 공정거래행위 준수를 위한 책무성시스템의 도입, TV홈쇼핑 산업의 정책 거버넌스 개선 등을 제시했다.

      • 신산업 및 고기술 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최세경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17 중소기업정책연구 Vol.2 No.1

        이 연구는 혁신기반 창업을 촉진하기 위한 핵심 분야로 신 산업과 고기술 창업을 설정하여 국내 창업지원 정책을 평가하 고 문제점을 진단한 후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정책 사례를 분석했다. 그리고 국내 신산업과 고기술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 한 특화 지원체계의 필요성과 구축 방향을 창업생태계 모델에 근거하여 제시했다. 국내 신산업과 고기술 창업을 활성화시키 기 위해 여러 부처로 분산된 창업지원체계를 중소기업청 중심 으로 통합 또는 정비해야 한다. 그리하여 신사업과 고기술 분야 에서 ‘창업보육(지원플랫폼/인프라)-기술 혁신과 사업화 - 벤처투 자’ 간의 정책 연계성을 강화하고 시너지 효과를 유발시켜야한다. 또한 신산업과 고기술 창업에 특화된 지원 플랫폼과 인프라를 조 성하고 별도의 지원 수단과 내용까지 마련해 제공하는 노력이 시 급하다. 나아가 신사업과 고기술 창업 활성화를 위한 세제, 규제, 투자를 촉진하는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The study evaluates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in Korea and analyzes the policies of the UK, USA and Israel. This study sets up new industry and high-tech startup as key areas for promoting innovation-driven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it suggests the necessity and the direction of the specialized support system for promoting new industry and high-tech startup based on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model. In order to make new industry and high-tech startup revitalized, the support system of entrepreneurship should be integrated or reorganized under the SMBA(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olicy linkage between “Business incubation (platform/infrastructure)-technology innovation and commercialization – venture capital investment” and to create synergy effect in the new industry and high-tech sectors. Moreover, a support platform and infrastructure specialized in new industry and high-tech startup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s these startups with peculiar supporting policy means and contents. Lastly, Korea government has to introduce taxation, regulation, and investment that can encourage new industry and high-tech startup as a incentive mechanism.

      • OB-61 : Is IOM recommendations for gestational weight gain proper for Korean women?

        최세경,김나리네,윤혜정,천주영,김연희,신종철 대한산부인과학회 2014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0 No.-

        목적: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pose the proper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based 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pregnancy BMI definitions for Asian populations. 방법: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482 singleton term pregnant women who had delivered babies at Seoul St. Mary`s Hospital and Uijeongbu St. Mary`s Hospital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0. We used World Health Organization definitions for Asian populations of underweight (BMI < 18.5), normal (18.5 ≤ BMI < 23), overweight (23 ≤ BMI < 25), and obese (25 ≤ BMI). We analyzed the incidence of poor perinatal outcomes according to the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Statistics were performed using SAS 9.2 and results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p value < 0.05. 결과: The mean pre-pregnancy BMI was 21.03 ± 4.03 kg/m2; 174 subjects (11.74%) were underweight, 848 (57.22%) were normal, 194 (13.09%) were overweight, and 266 (17.95%) were obese. We analyzed the influences of gestational weight gain on perinatal outcomes based on the prepregnancy, and these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maternal and neonatal complications. In normal weight group, the incidences of perinatal outcom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excessively less or weight gain. The lower and upper cut-off values for weight gain were 13 kg (OR 2.15; 95% CI= 1.306?3.536) and 17 kg (OR 1.875; 95% CI= 1.919?3.628), respectively. Other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ut- off vales for weight gain. 결론: This study shows proper gestational weight gain for normal weight women based on the WHO BMI definitions for Asian populations. New guideline for gestational weight gain for Korean women is needed because IOM recommendation for gestational gain does not consider BMI definition for Asian population. Further researches including larger number of study populations are required to propose the gestational weight gain guidelines for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